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계산성 天祭壇의 형태와 성격

        김도현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寒溪山城の中にある天祭壇は城郭内に位置した祭祀の遺蹟であったと推定することができる。その理由として, 他の地域山城内の祭祀遺蹟を綜合的に檢討してみた結果、祭祀遺蹟が位置した所は山城の內部、特に建物址がある所と近くにありながら、內部をよく見ることができ、山城外部の河川や主要な交通路などを一目で見渡すことができる所に位置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寒溪山城内の天祭壇と近い所の大闕垈と呼ばれる所に住居遺蹟が發見された点と、その周邊で發見された土器片は山城を維持していた高麗時代と朝鮮時代に祭壇の役割として機能した可能性を高めてくれる。そして、寒溪山城が關防遺蹟としての機能を廢した後、祭壇も放置され、ここを據點に仙思想と道敎、佛敎が習合された新宗敎を作った人がここを天に祭祀を執り行う祭壇として活用した可能性が高い。なぜなら、一般的に共同體のための祭壇を設置する所が村落や周邊の景觀をよく眺望できるところに設置された事例が多いので、太白山の天祭壇や三陟にある可谷山烽燧·陽野山烽燧の民間信仰の處所化の事例などを通じて過去に國家の祭場だったり、關防の遺蹟だった所がその本來の機能を廢した後、新宗敎や民間信仰の處所として活用された事例が多く發見される。これとともに以前の宗敎機能を廢しても以後に作られる宗敎祭場は以前に宗敎祭場だったところに彼らの祭場を設置した事例が多いからである。 寒溪山城내 天祭壇은 城郭내에 위치한 祭祀遺蹟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 산성 내 제사 유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제사 유적이 위치한 곳은 산성 내부, 특히 建物址가 있는 곳과 가까우면서 내부를 잘 볼 수 있으며, 산성외부의 하천이나 주요 교통로 등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寒溪山城내 天祭壇과 가까운 곳에 대궐터라 불리우는 곳에 주거 유적이 발견되었다는 점과 그 주변에서 발견된 土器片은 山城을 유지하였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祭壇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한계산성 내 천제단의 명문을 보면 仙○○, 道君子, 上帝, 佛者등 仙思想과 道敎, 佛敎思想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제단에 새겨진 명문 내 인물들이 고려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라면 당시 이와 같은 사상 경향을 국가나 민간 차원에서 수용하여, 祭儀를 행하였음은 醮祭나 八聖堂을 설치한 사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을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하였다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종합해 보면 고려시대에 한계산성 내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설치하였던 天祭壇이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계산성이 관방유적으로서의 기능을 廢한 후 祭壇또한 방치되었다가 이곳을 거점으로 仙思想과 道敎, 佛敎가 習合된 新宗敎를 만든 사람들이 이곳을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단으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공동체를 위한 제단을 설치하는 곳이 마을이나 주변 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사례가 많으며, 太白山天祭壇이나 삼척 가곡산 봉수·양야산 봉수의 民間信仰處所化사례 등을 통해 과거에 국가 제장이었거나, 관방 유적이었던 곳이 그 본래의 기능을 廢한 후 新宗敎나 民間信仰의 처소로 활용된 사례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전의 종교 기능을 廢하더라도 이후에 만들어지는 종교 제장은 이전에 종교 제장이었던 곳에 그들의 祭場을 설치한 사례 또한 많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 천제단이 지닌 가치는 하늘에 제사를 지낸 聖所였다는 점과 산성 유적 내에 제사를 지낸 장소의 위치적 특징이 산성 내부와 외부를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면서 주변에 건물 유적이 있는 곳에 위치한다는 점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인제 한계산성의 역사와 유적에 대한 연구

        유재춘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There has been no definition information on Hangye mountain fortress including accurate size, upper fortress and lower fortress structure, entrance route, internal building site and subsidiary facility site. The below has been figured out through this study. First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fortress and the lower fortress has been clearly clarified. There was no accurate understanding and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ortresses in existing records. Thus, it was conjectured that the upper fortress might be the one near Cheonjedan. But, this study made clear structure and location of the upper fortress. Secondly, the new building site of the lower fortress was confirmed. In the existing lower fortress, building site was found in the east of valley area. But, this investigation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building sites and stone shadow dwelling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valley. Thirdly, a new relic excavation site was found in the upper fortress. Majority relics in the existing upper fortress were collected at the palace site. But, new relic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places in this investigation. Fourthly, Donhu (defense facilities made outside the fortress to monitor attackers and to prevent them temporarily) facilities were found at two sites apart from Wonseong mountain fortress. These facilities were established to make a close monitoring of traffic route and to take delay of attack by means of temporary blocking. Fifthly, accurate entrance route to the mountain fortress was figured out. The entrance route in relation with the use of mountain fortress is very important, and this study makes it clear. While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of Hangye mountain fortress was still a matter of conjecture, there is an apparent record of use in the 13th century. In particular, this is a historic place to win over the Mongolian invasion by Goryeo at the final stage. Thanks to the victory of this battle, the central inland of the country could escape from the plunder of the Mongolian troops. When there was a severe military tension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in Goryeo because of the Anti-Won Dynasty policy, Hangye mountain fortress was expanded and hugely renovated, which was directly related to the victory of the battle against the Mongolian troops. Besides such historic meaning, Hangye mountain fortress is a typical case of a mountain fortress built at a rugged mountain in the middle ages, which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mountain fortress such as expansion of existing fortress wall and construction of Donhu facilities. 한계산성에 대해서는 그간 정확한 규모나 상성, 하성의 구조와 접근로, 기타 내부 건물지나 부대시설물지에 대한 현황이 분명하게 파악되지 못하였는데, 지난 2010년부터 필자가 조사하여 새롭게 확인된 사항은 대략 다섯가지이다. 첫째는 상성과 하성의 구분이 명확하게 확정되었다는 점이다. 종래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바, 상성(上城)과 하성(下城)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분이 분명하지 않아 막연하게 천제단 근처가 상성이라고만 여겨져 왔으나 이번 조사에서 상성의 구조와 위치가 명확해 지게 되었다. 둘째는 하성의 새로운 건물지가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기존에 하성내에서는 계곡부 동측에서만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그 계곡 반대편에도 여러 건물지와 바위그늘 주거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는 상성내에서 새로운 유물 출토지를 찾았다는 점이다. 기존에 상성내에서의 유물은 대부분 대궐터에서 수습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여러 곳에서 새로운 유물이 채집되었다. 넷째는 산성 원성(元城)과 별개로 축조된 돈후(墩堠) 시설물이 2개 지점에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교통로에 대한 근접 감시는 물론 일시적인 차단을 통한 지연전을 전개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섯째는 산성으로의 다섯가지 출입로가 정확하게 파악되었다는 점이다. 산성의 운용과 관련하여 출입로 파악은 매우 중요한 사항인 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산성으로의 접근로가 명확하게 파악되게 되었다. 한계산성은 초축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되어 중세시기 활용에 대한 명확한 역사기록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몽항전(對蒙抗戰)의 마지막 단계에서 승전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1259년(고종 46) 몽고에 투항한 조휘 일당이 몽고 군사를 끌고 와서 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점령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산성을 지키고 있던 방호별감(防護別監) 안홍민(安洪敏)이 야별초군(夜別抄軍)를 거느리고 나아가 습격해 모두 섬멸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중부내륙 지역이 몽고의 약탈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이 전투에서 승전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 공민왕 당시 반원정책을 추진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자 한계산성을 확장하면서 크게 개축한 것은 바로 대몽고전에서 승전하였다고 하는 사실과 직접 관련이 있다. 그러한 역사적 의미 뿐만 아니라 한계산성은 중세시기 험지위주 산성의 전형적인 사례로, 성곽의 확장, 별설의 돈후(墩堠) 시설물 축조 등 중세 산성의 특징적인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高麗 對蒙抗爭期 金允侯將軍의 3次例 勝戰의 意義

        김호준(Kim Hojun)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4

        고려와 몽골간의 6차에 걸친 전쟁 중에 몽골군이 고려에 의해 패퇴하여 철수 한 것은 2차 전쟁이 유일하다. 2차 전쟁에 대한 고려 승전의 결정적인 전투가 金允侯가 참전했던 處仁城戰鬪(1232년 12월)이며, 이 전투에서 몽골군 총사령관 撒禮塔이 사살되었다. 김윤후는 대몽항쟁기에 처인성전투와 5차 전쟁에서 防護別監으로 임명되어 忠州城戰鬪를勝戰(1253년 10월)으로 이끈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김윤후가 1259년 1월에 임명된 東北面兵馬使재임기간 동안 발생한 麟蹄寒溪山城勝戰(1259년 2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 당시 기록이 빈약하여 처인성전투와 충주성전투, 한계산성전투의 자세한 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본고는 사료의 빈곤을 보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장의 자료인 성곽과 11세기에 발간된 北宋의 兵書인 武經總要 와 몽골이 서하와 금, 송나라의 전쟁과정을 기록한 자료들을 통해 당시의 전투상황을 비교 검토하여, 처인성과 충주성승전의 전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인제 한계산성의 승전에 대한 의의를 도출해냈다. 필자는 김윤후가 군사조직의 리더로서 전투상황 속에서 어떠한 해결방안을 도출해 내고, 어떻게 조직을 이끌어서 성공적인 결과물을 창출해냈는지, 그리고 승전 이후 하부조직에 대한 적절한 공적의 분배 등을 통해 군지도자로서의 리더십(leadership)과 관련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를 기대한다. In the course of six wars between Goryeo Dynasty and Mongolia, the Mongol army was only defeated and withdrew in the 2nd War. The crucial battle for Goryeo to win this war was the Cheoinseong Fortress battle, in which a military officer, Kim Yun-Hoo, took part and the Mongol military commander Salietai was killed.(December 1232) Kim Yun-Hoo, appointed as the mountain fortress guard officer during Goryeo s 5th war against Mongolia(October 1253), is famous for achieving victory in the Battle of Chungjuseong Fortress in this period. However, the fact that he led Inj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in triumph during his service, as a military commander of the Northeast area since 1259, is not well known. The documentation regarding that time is so lacking that it is tough to grasp the detailedsituation of the battles in Cheoinseong Fortress and Chungjuseong Fortre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data and determine the war situation in detail, this article closely investigates the castles themselves; North Song Dynasty s military compendium Wujing Zongyao published in the 11th century; Mongol s record of wars against Seoha, the Jin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The conclusion illuminates the unexplained significance of the successful war of th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This paper examines what solutions Kim Yun-Hoo, as a leader of a military organization, found during the battles, how he led the organization to successful outcomes, how he appropriately distributed the credit of the victories to those lower in his organization. I hope it opens up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research related to Kim Yun-Hoo s leadership.

      • KCI등재

        대몽항전을 통해 본 김윤후의 대몽전략과 리더십

        강재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Kim Yoonhu who was a chief of warrior monks, killed Sartai (撒禮塔) who was the general of Mongol army at the Cheoinseong (處仁城) battle in 1232. He leaded to supervise Cheoinbugokmin (處仁部曲民) and warrior monks. Specially, he succeeded in killing the enemy’s chief throughout correct sight gunnery of archers. After 20 years, as Chungjusanseongbanghobyulgam (忠州山城防護別監) Kim Yoonhu carried out Chungjuseong (忠州城) battle. At this battle, he defeated Mongol army under the control of Great King Yago (也古) who was a member of the imperial family of Mongol. At that time, he burned slave ownership paper of Chungju (忠州) and promised the liberation of status of slaves in government employ (官奴). As the result, will to fight of Chungju people was raised largely and finally could hold victory. In 1259, he was sent to Donggye (東界) as Dongbukmyunbyungmasa (東北面兵馬使), and contributed indirectly to victory of Hankyesanseong (寒溪山城) battle and Cheongokchon(泉谷村) battle, by dispatching Sambyulcho (三別抄) units in time. Kim Yoonhu’s leadership in the fighting against Mongol is summarized like this. The first, though outstanding military service, he did not desire military officer of high rank, and showed incorruptible personality. The second, he made the best use of persons that had military talent, without regard to estate. Also he awarded a prize to men of merit. The third, he was a military strategist as well as commander that had established strategy against Mongol systematically. The fourth, he did not flatter to military ruler, and only devoted for revival of Goryo dynasty, cessation of the war against Mongol, and recovery of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백현원 승려 출신이었던 김윤후는 1232년(고종 19) 처인성전투에서 승병장 역할을 자임하면서 처인부곡민과 승도를 통괄 지휘하고 궁수 부대를 통한 정확한 조준사격을 통해 몽골군 원수 살례탑을 사살하였다. 충주성전투에서는 방호별감으로서 관노 문서를 불사르고 신분해방을 약속하는 등 충주민의 전투의지를 고양시켜, 몽골군 총사령관 야고 대왕이 직접 지휘하는 몽골군 본진을 70여 일간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물리쳤다. 1259년(고종 46)에는 동북면병마사로서 한계산성전투⋅천곡촌전투에 강도에서 급파된 별초 3,000 병력을 적시에 나눠보내 한계산성방호별감 안홍민이 몽골군을 격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대몽항전에서 보여준 김윤후의 리더십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위대한 전공을 쌓았음에도 높은 관직을 탐하지 않고 낮은 관직에 상당기간 머무르면서 청렴결백한 성품을 보여주었다. 둘째, 신분제도에 구애받지 않고 귀천을 막론하고 능력 있는 자들을 전투에 적극 활용하였고 전공을 세운 자들을 포상하였다. 셋째, 대몽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몸소 실행에 옮기는 군사전략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넷째, 무인정권에 아부하지 않고 오로지 고려왕조의 부흥과 대몽전쟁의 종식, 민생의 회복을 위해 헌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