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초심학인문』의 수행론

        김부용(Kim, Boo Yong)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지눌(知訥, 1158-1210) 선사의 일생은 정혜결사로 대표된다. 선사는 팔공산 거조사와 조계산 수선사 두 곳에서 정혜결사를 이어갔다. 선사가 다시 시작했던 수선사 결사는 이전과 달랐다. 선사의 비문에 언급하지 않은 수선사 정혜결사의 변화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청규에 의거한 대중의 일상 수행이 가르쳐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계초심학인문』은 결사에 참여한 대중의 일상 규범을 담은 수선사 청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초심학인문』의 성격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지눌 선사가 찬술한 목적을 중심으로 새롭게 바라보면, 이 책은 선사의 여타 저술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돈오수행으로서의 정혜수행과 자리이타의 보현행 등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임을 알 수 있다. 『계초심학인문』은 출가자와 재가자 누구나가 참여할 수 있었던 정혜결사의 성격에 맞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책은 결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지켜야할 내용과 특별히 출가자를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모두에게 해당하는 내용은 서언과 결어 부분, 그리고 ‘주사당’ 이하 ‘종사의 설법’과 관련한 내용 등이다. 출가자에게 경계한 본문은 출가자의 마음가짐과 계행의 근본을 나타낸 부분 그리고 대중생활의 일상을 경계한 내용으로 구분되며, 대중생활의 일상은 다시 여섯 가지 내용으로 나누어진다. 다시 모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주사당’ 이하의 내용을 ‘사당에 머무를 때’의 경계와 ‘종사께서 설법 할 때’ 유의해야할 내용으로 나눈 것은 이 내용이 지닌 의미가 특별하기 때문이었다. 『계초심학인문』에서 지눌 선사의 수행법풍이 담겨있는 내용은 ‘종사의 설법을 들을 때’와 ‘법당에서 내려와서 자기 점검을 할 때’의 경계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발(機發)’과 ‘정혜원명(定慧圓明), 견자심성(見自心性), 환도중생(還度衆生)’ 등의 구절이 담긴 문장이다. 이들 용어는 『계초심학인문』을 통해서 지눌 선사가 이루고자 했던 수행의 이상을 표현한 것이었다. 또한 이 이상은 선사가 정혜결사를 통해서 이루고자했던 수행의 목적이었다. ‘기발’하는 순간이 바로 ‘정혜원명’의 순간이며 ‘견자심성’의 순간이기 때문이다. 돈오견성이 바로 이 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는 지눌 선사의 돈오 수행의 근본을 담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환도중생’으로 인천의 복전이 되는 데까지 나아가면, 자리와 이타로 보현행을 성취하는 불교의 이상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초심학인문』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이 책은 지눌 선사의 돈오수행, 정혜수행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라고 할 수 있다. Seon master Jinul(知訥, 1158~1210)’s life is represented by the Compact of the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he master continued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Geojosa on Palgongsan(八公山居祖寺) and Suseonsa on Jogyesan(曹溪山修禪寺). One of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is not mentioned in the epitaph, is that the daily routines of the public were taught based on Qinggui(淸規, the Clean Rules). It is because Gye-chosim-hagin- mun(誡初心學人文, Admonitions to Neophytes, GCHM) is Qinggui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has the common norms of the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ct by referring to the important points. However, the nature of GCHM does not stop at mere normative books. Looking back at Jinul’s purpose for this book, it can be seen that this book is a book on the practice that contains his whole dharma tradition. The GCHM was tailored to the nature of the compact, where renunciant monks and lay people could participate altogether. The book consisted of content that everyone in the compact should obey and specially targeted at renunciant monks. In this book, the contents for everyone are preface, conclusion, and the parts related to ‘the preaches by a genuine master(宗師)’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The part that gives attention to renunciant monks is divided into the part representing a mental attitude of renunciant monks and the basis of the precepts and the daily life of the public life and The daily life of public life is divided into six contents again. The reason why the contents for everyone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are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the realm when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 and the contents to be careful when a genuine master preache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se contents is so special. In the GCHM, the part on Jinul’s practice tradition is the part of the realm ‘when hearing preaches of a genuine master’ and ‘when he comes down from the dharma-hall and self-checks’. This is especially true of sentences containing phrases such as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in turn ferry across sentient beings [to salvation](還度衆生)’. These phrases represent the ideal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GCHM. This ideal is also the purpose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compact of the society. Because the moment of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is the moment when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and it is the moment when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Sudden awakening(頓悟) by seeing the nature(見性) takes place at this very mo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basis of Jinul s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Moreover, if you go to the state of becoming a great field of merit(福田) for humans and divinities(人天), it is the completion of Buddhist ideals that fulfill Samantabhadra’s practices with benefitting yourself and benefitting others. Therefore, GCHM is not just a book on norms. This book can be said to be a book on the practice completely containing Jinul’s traditions about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and practice by samādhi and prajña.

      • KCI등재

        결사, 은둔, 그리고 출가의 문제

        김호성(Ho Sung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근래 지난 사반세기에 걸친 나의 결사연구를 집대성하여 『결사, 근현대 한국불교의 몸부림』이라는 책을 상재(上梓)하였다. 그러면서 서평회(書評會)를 가졌다. 서평위원들로부터 전문적인 비평이 있었고, 청중들로부터도 많은 질의가 있었다. 이를 통해서 내가 느낀 것은, 아직 “결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결사에 대한 정의에 대한 공감이 있었다고 한다면, 많은 의혹은 사전에 해소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내가 결사를 바라보는 데 문법(文法)을 제공해 준,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를 다시 살펴볼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물론, 이미 정혜결사에 대한 논문이 『결사, 근현대 한국불교의 몸부림』 속에 수록되어 있었다. 그것은 정혜결사를 윤리적 차원의 결사라는 점을 부각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결사를 은둔이라고 보는 나의 관점에 대한 비판에 대답하기 위하여, 나는 보조지눌의 정혜결사가 곧 은둔이라는 점을 그의 『정혜결사문』의 서분(序分)과 유통분(流通分)을 분석함으로써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은둔에는 공간적 차원의 은둔만이 아니라 탈권력(脫權力)적 차원의 은둔 역시 있다는 점을 『삼국유사』의 피은(避隱)과 대비하면서 설명하였다. 결국, 결사가 은둔이며 탈권력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실제로 그것은 바로 고타마 붓다가 보여주었던 출가정신을 다시금 회복하자는 운동이었음을 다시 한 번 더 분명히 할 수 있었다. I published a book titled The Society: Struggle of the Modern Buddhism by compiling my own research of society which extend over the last quarter of a century. After that, I held a book conference. The book review critics expressed their professional criticisms and the audience enquired various questions. Through this conference, I realized the need to raise the question What is society? again. Since that if the comprehension toward society s definition had existed, arising suspicions would have be resolved in advance. This is why I realized the need to look over Bojo Chinul s Junghaegyŏlsa(Samadhi and Prajna Community) again who provided me the milestone in looking at society. Of course, an article about Junghaegyŏlsa is included in The Society: Struggle of the Modern Buddhism. It is focused on magnifying Junghaegyŏlsa as the society on the ethical level. However, I tried to clarify that Bojo Chinul s Junghaegyŏlsa is seclusion in order to answer to the criticism toward his viewpoint by analyzing both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Junghaegyulsamun (The Compact of the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In addition, I provided the explanation that not only spatial dimension of seclusion but also postauthoritative seclusion exist in seclusion by making comparisons with Pi Eun(seclusion;避隱) of Samgukyusa. Eventually, when comprehending that society is seclusion and post-authority, the fact that it was a movement which tried to recover the renunciation spirit shown by Gautama Buddha was once again clarified.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 KCI등재

        曉峰의 定慧結社와 시대적 의의

        김경집(Kyung-Jib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효봉(1888-1966)은 1925년 출가한 이후 철저한 수행으로 1931년 여름 깨달음을 얻었고, 보임의 길에서 만공과 한암을 만 나 결사의 정신을 계승할 수 있었다. 그런 수행력은 뒷날 한국불교의 고비 때마다 바른 지침을 제시하는 지혜가 되었다.그의 생애는 한국 근, 현대사와 그 궤를 함께 한다. 그런 까닭에 일제 강점에 의한 한국불교의 변질을 지켜보았고,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전통을 정립하는 것이 급선무임을인식하였다. 그래서 1937년부터 송광사에 주석하면서 보조 지눌의 결사정신을 바탕으로 변질된 수행풍토를 바로 잡아 한국불교를 중흥하려 하였다. 이런 정신은 광복 후에도 계속되어1946년 7월 15일 송광사 三日禪院에서 3년을 기한으로 定慧結社를 시작하였다.이 결사는 1946년 8월 교무원이 모범총림을 설립하고 수행력이 높은 효봉을 조실화상으로 삼아 한국불교의 앞날을 도모하면서 교단 차원에서 실행하게 되었다. 한국불교의 수행풍토와인재양성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던 효봉도 자신의 결사를 해인사로 옮겼다. 이후 결사는 1950년 6.25가 발발하기까지 5년간지속되었다.이와 같이 광복 후 실시된 효봉의 정혜결사는 다음과 같은의의를 지니고 있다. 먼저 한국불교 있어 현대에 실시된 정혜결사의 효시라는 점이다. 그것은 광복 후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자 한국불교의 중흥을 위한 움직임이었고, 이후 교단 차원의 수행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모범총림으로 이어져 한국 현대불교의 시금석이 되었다.효봉의 정혜결사는 멀리 보조의 사상과, 가까이는 경허와 만공 그리고 한암의 정혜결사를 계승하면서 한국불교 선풍운동을계승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후 제자인 구산에 의해 송광사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현대에 이르고 있다. In this paper, I present Ven. Hyo-bong's life and practice asceticism in modern times. Ven. Hyo-bong became a Buddhist monk at the age of 38 in 1925. He was practicing asceticism in the Geumgang mountains and became an excellent zen master in modern times. His life agreed with the period when Korean Buddhism los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the spirit of the times of religion. This period was very difficult but he gained new courage and he took actions. He established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in August 1946.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by improving Korean zen practicing method in depressed Korean Buddhism. Ven. Hyo-bong'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was moved in Haein korean traditional Temple by korean Buddhist Order in November 1946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has lasted for 5 years and Ven. Hyo-bong educated many Buddhist Priests and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Therefore, thi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was the first practice system Korean Buddhism in present-day, and its had a historical meaning that was continued from Ven. Man-gong and Ven. Han-am's movement of zen trend in modern times.

      • KCI등재

        효봉, 보조 계율사상의 계승과 발전

        황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연구를 통해 본 효봉(曉峰, 1888-1966)은 간화선 수행자일 뿐만 아니라 계율을 철저히 지키는 율사(律師)였다. 이에 그의 삶과 사상을 보면, 보조국사 지눌의 영향이 지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효봉의 법명이 고봉 원명에서 효봉 학눌(學訥), 즉 ‘지눌을 배우다’로 개명한 기연에서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봉이 송광사 삼일암(三日庵)에 주석하면서 보조의 목우가풍(牧牛家風)과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선풍(禪風)을 재현하고자 제2정혜결사운동을 일으킨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결사를 비교해 보면, 보조의 정혜결사가 다소 수동적, 은둔적이라면, 효봉의 제2정혜결사는 능동적, 적극적인 결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효봉이 처한 당시의 한국불교의 현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조선의 억불정책과 일제강점기의 왜색불교로 인해 한국불교의 존립자체가 위협받던 시기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효봉이 보조의 정혜결사정신을 계승해서 자신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발전시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효봉은 삼학(三學)에 있어서도 보조의 삼학에 큰 영향을 받았다. 보조의 삼학은 곧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삼학을 전승 및 발전시킨 것으로, 효봉의 삼학은 두 스승의 삼학을 자신의 방식으로 계승 및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효봉은 계율을 ‘집터’로 비유함으로써 계율이 보다 근본적인 의의를 갖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정혜결사의 이념에 대한 이해사(理解史) 속에서 계학은 너무나 오랫동안 외면되어 왔지만, 효봉 만큼은 보조의 결사정신이 계학(戒學)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더욱이 효봉은 단지 이해에만 그치지 않고 제2정혜결사, 종단정화운동 등을 주도함으로써 당시의 타락한 한국불교를 혁파하고자 했다. Through the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venerable Hyobong(曉峰, 1888-1966) was the practitioner of the phrase-observing meditation(看話 禪) as well as the master of the rules of the discipline. Not only to this, the study enables us to know that Buddhist national teacher Bojo Jinul(普照 智訥, 1158-1210) was the one who most affected Hyong. This is largely because his dharma name was changed into Hyobong Haknul(曉奉 學訥), which means ‘learn from the venerable Bojo Jinul’ from Unbong Wonmyeong(雲峰 元明). Furthermore, while staying at the Samil hermitage(三日庵) of the Songgwang temple(松廣寺), Hyobong led the second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o reenact the cowherd (a metaphor for the task of bringing the mind to awakening) family tradition(牧 牛家風) of Bojo and to reawaken the Chan style(禪風) of dual practice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which Hyobong guided was different: while the first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 of Bojo was slightly passive and seclusive, the movement of Hyobong was active and aggressive. Such a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when Hyobong had practiced. In other words, Korean Buddhism was threatened not only by the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also by Japanese style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Hyobong needed to succeed to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by adjusting it in accordance with his time and situation. In addition, with regards to the three disciplines(三學), Hyobong followed the teaching of sixth patriarch Huineng(慧能, 638-713) to develop the doctrine of three disciplines of Bojo. Hyobong, in particular, used an expression ‘a site for a house’ as a metaphor for moral restraints and rules of discipline(戒律) to clarify the fundamental meaning of discipline itself among the three disciplines.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has been disregarded among the three disciplines for a long time. However, it was not until he started the second movement tha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was rooted in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Moreover, taking the lead in the second samādhi and prajñā movement and the religious order movement for purification, Hyobong had aimed at reforming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 KCI등재

        결사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정혜결사와 참사람결사 비교연구

        오종만(吳宗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6 No.-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래 전통문화의 근간을 이루었다. 전통문화의 상당수가 불교에 근거하고 있으며, 불교는 한국인의 사유와 가치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불교의 ‘결사’는 이러한 흐름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결사는 불교의 잊어진 문화이며, 불교계에서도 결사는 단어만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결사는 대표적인 불교의 공동체 문화로서 불교 내부와 외부를 함께 아우르는 운동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삼국시대부터 불교인들은 신행활동이나 불사, 혹은 교단 개혁을 위해 뜻을 모으고 결사를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타락한 고려불교를 정화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정부의 탄압도 극복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왜색불교 극복을 위해 경허와 한암이 결사를 주창하였다. 서옹스님은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 참사람결사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현재 불교계에서도 기억되지 않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와 불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결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오랜 결사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참사람결사가 역사 속의 결사를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 의미를 연기, 평등, 참여의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m achieved a found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Many of the cultural Heritages are based on Buddhism. Buddhism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ldview of Koreans. But the Association of Buddhism is slightly off from this pact. These days, the Buddhist Association is the Forgotten Buddhist Culture in Korea. In the Korean Buddhism, Buddhist association exists only as a word. But the Association was the typical community culture and had the nature of social movements covering with the outer and inner Buddhism.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ts had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Reformation.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Rotten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was purified. And Buddhism was overcame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in Joeseon Dynasty. In Japanese occupation, Kyungheo(鏡虛) and Hanam(漢巖)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and the Purification of Japanese style Buddhism. Seoong(西翁) made the “True-Being” Association for the purpose to resolve the Modern Social Problems in the mid-1990s. But, these Associations are not remembered in Current Korean Buddhism. There has increased the necessity of the Association to overcome the crisis facing the Korean society and Buddhism in toda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s Purpose i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For it, it is proved that the True-Being Association was succeeded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in Koryo Dynasty. And this paper was summarized its meaning in terms of Compassi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Equality.

      • KCI등재

        結社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

        김호성(Ho Sung, Kim)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The term Gyŏlsa(結社, Jiéshè), which means generally ‘association’, has the special meaning in the Buddhist history. We can easily suppose it from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Baekryŏn Gyŏlsa(白蓮結社, Báilián Jiéshè) and Jŏnghae Gyŏlsa(定慧結社, Dìnghuì Jiéshè) etc. My focus, however, is not on the specific meaning but on the general definition. It is also derived from the historical events though. From the aspects of modern development of Gyŏlsa, I have made the definition: “The Community which is grouped by people who are sharing the ideology, having been training themselves, in order to reform the Buddhist System.” This definition is based on these four key words such as practice of austerities, reformation, ideology, and community. My definition, however, is needed to review by himself when he observed the Korean Buddhist development. Gyŏlsa should be differed from the participation of the secular Buddhist affairs with crying for a reform. The latter would be accompanied with the institutional power, and it can not be any more Gyŏlsa. Accordingly it is defined again, “It is the efforts that one who wants to reform the problematic Buddhist System, train oneself in order to recover it, instead of participating it directly. It is free from any secular powers, so that need not to be grouped.” Gyŏlsa should be away from the secular affairs, so that could be a hope for people. That is the reason that I suggest ‘Holo Gyŏlsa’, or Gyŏlsa of being alone. It is actually inconsistent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just like the term, ‘Holo Gyŏlsa’. However it never breaks Buddhist harmony, rather it would be helpful for them. There could be numerous opponents against this writing. It is, however, not the point to find and criticize my faults. Our concern must be on these questions, “What is the way for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 be free from the institutional power?”, “How cannot the reformer downfall to be another object of reformation?”, and “How can they keep their original intentions?” I am always open to be criticized, what I would not give for to be helpful to our Buddhist Community. 일반적으로 모임이나 조직을 의미하는 ‘결사’라는 말은 불교사 안에서는 독특한 의미를 갖는 술어로서 거듭났다. 예컨대, 정혜결사, 백련결사 등에서 우리는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결사’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무관심해왔다. 이에 나는 구체적인 결사를 떠나서 결사 그 자체의 일반적 정의를 물어보았다. 그리하여 「결사의 근대적 전개양상」에서 “이념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먼저 스스로 수행을 하면서 불교교단을 새롭게 개혁하고자 실천한 공동체 운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는 결사를 ㉠수도운동, ㉡개혁운동, ㉢이념운동, 그리고 ㉣공동체운동으로 파악하고 있음이 반영되었다. 그런데, 나는 조계종을 중심으로 한 현대 한국불교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내 자신의 정의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결사에는 근본적으로(혹은 결과적으로) 개혁적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음은 사실이지만, 근래 종단개혁을 부르짖으면서 종단정치에 참여하는 움직임과 결사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종단개혁을 부르짖고 현실적으로 宗團事에 참여하게 되면 반드시 거기에는 권력화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미 결사정신의 망각 내지 이탈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한 운동까지 결사로 부를 수는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결사정신의 측면에서 볼 때, ‘참여 속의 개혁’과 그것이 필연적으로 초래할 정치화의 길과는 반대로 결사는 脫정치/脫권력의 길(=수도의 길)을 걸어갔기 때문이 아닌가. 이러한 생각의 반영으로 나는 결사를 “불교교단의 문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직접 그 상황 속에 참여하여 개혁하고자 하는 대신, 그 상황으로부터 避隱하여 먼저 스스로 수행함으로써 장차 그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일”로서 재정의하였다. “그것은 권력이나 정치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므로, 종단의 제도나 조직을 활용하지 않는 순수 민간, 在野 차원이어야 한다. 脫권력 내지 脫정치를 지향하므로 반드시 2인 이상의 모임이 아니어도 무방”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2인 이상의모임이 아니라도 무방하다는 데에서 ‘홀로결사’도 가능하리라 보았다. 이는 사실상의 결사의 해체에 다름 아니다. 형식보다도 정신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며, 결사정신이 살아있는 곳에 결사는 존재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지눌 정혜결사의 근현대적 계승 고찰

        보경(Bokyoung)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보조국사 지눌은 고려후기의 수행자며 사상가이기도 하다. 지눌은 고려사회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격동의 역사와 궤를 맞춰갈 수밖에 없었던 시대상황 속에서 불교 내부의 선종과 교종의 융합이라는 전혀 새로운 불교의 시원을 열어보였다. 선과 교가 분리될 수 없음을 일깨워 고려불교에 통일성을 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혁신, 나아가 요익중생의 종교본분을 모색하였다. 그 사상의 근간이 바로 정혜결사운동이다. 결사는 단순히 수선사에 그치지 않고 고려후기를 거쳐 억불숭유의 조선과 근현대사의 질곡을 극복할 사상적 대안이 되었다. 본 논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정혜쌍수라는 지눌의 선사상과 그 사상의 실천이라 할 결사가 오늘의 근현대에서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한국불교가 심한 부침을 겪으면서 사상의 단절은 필연적인 결과였다. 근현대 선사상을 새롭게 정립한 경허와 한암의 결사계승, 나아가 수선사 16대 마지막 국사였던 고봉의 몽중수기를 받은 효봉이 송광사를 불교중흥의 근본도량으로 인식하고 제자인 구산이 조계총림과 국제선원을 세워 선의 대중화를 실천하고 제2정혜결사운동을 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 산중에서 천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그 나라의 종교사상을 주도해나간 역사가 흔하지 않다. 여기에 착안하여 과연 통시대적인 지눌의 결사정신이 무엇이며, 교단과 사회가 혼미한 때일수록 자기정화의 실천대안으로 정혜결사가 주목받는 역사를 천착해봄으로서 미래사회의 불교역할을 모색해 본 것이다. 즉 시대를 달리하여 자기 극복 내지는 교단정화의 씨줄날줄로 작용하는 결사정신의 가치에 대한 고찰이다. Bojokuksa Chinul is a discipliner and ideologist in the second half of Goryo Dynasty. Chinul showed the totally new initiation of Buddhism that is the fusion of zen sect and non-zen sect inside the Buddhism in the midst of the social situation to be in line with the dynamic history of East Asia and Goryo Society as well. He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the Goryo Buddhism by enlightening the no separation of zen and non-zen and explored the innovation of the Buddhism and the duty of the religion for benefiting sentient beings based on this. The base of the thought was the samadhi and prajna movement. The prajna was not popular in Susun Temple only but it became the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hoseon Dynasty which restricted Buddhism and pursued Confucianism and the fetters of modern history. This thesis is to consider how the zen thought of Chinul that is the both study of zen and knowledge and the association which can be the carry out of the ideology is succeeded in modern times. The disconnection of the thought was an eventual result during the severe twists and turns in Korean Buddhism. Gyunghuh and Hanam succeeded the association which is the new establishment of modern zen thought. Furthermore, Hyobong who received the instruction during dreaming of Gobong who was the 16th and the last national zen master of Susun Temple recognized the Songkwang Temple as the fundamental place for the revival of Buddhism and his student, Kusan performed the publication of the zen by establishing the Chogye Chongrim and international zen center and it reached today by declaring the second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The history of dominating the religious facility for a period of nearly one thousand years in the deep mountain was rare. By taking an idea from this point, this study explored what is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of Chinul and explored the role of the Buddhism in the future society by scrutinizing the history of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of Chinul which draw atten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in the self purification in the chaotic times of the religion organization and society. Consequently, this thesis considered the value of throughout times which acts for the basic pattern for the self overcoming and the purification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in different times.

      • KCI등재

        한국불교 결사운동의 전개와 현대적 의의

        한성열(韓聖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자기모순의 인식과 반성을 통한 개혁의 핵심이 불교의 결사(結社)이다. 특히 한국불교의 발전에는 결사운동이 뒷받침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는 교선일치(敎禪一致)를 과제로 한 결사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현대 한국불교의 방향타가 설정되었다. 그것이 봉암사결사와 상월선원결사로 이어졌다. 고려시대 중기에 결사운동이 일어나 불교계의 정화를 가져오기까지는 지눌(知訥)의 정혜결사(定慧結社)와 요세(了世)의 백련결사(白蓮結社)가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특히 고려 후기 진표(眞表)를 중심으로 한 미륵신앙이 흥기되고 무신난과 몽고의 침입으로 민중의 삶이 피폐하게 되면서 결사운동은 불교계 자정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도탄에 빠진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뜻을 같이 하는 도반들이 불교 발전을 위해 사회정화운동 차원에서의 결사를 일으켜 실천적이고 능동적인 불교결사를 하였기 때문에 그 힘이 현대까지도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라고 평가한다. 비록 정혜결사와 백련결사가 중앙이 아닌 전라도 지역이라는 변방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여파가 현대에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고려시대의 결사 운동이 갖는 논리적 사상체계를 재조명하여 불교사적 의의를 다시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한국불교 결사의 전개를 다루면서 봉암사결사와 상월선원결사가 잇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Regarding the Buddhist association, the reform through the recognition and the self-reflection of the self-contradiction is the core.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uddhism, the association movement has been the back support. Regarding the Buddhism in the era of Goryeo, which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this research, the association which had the coincidence of the lines of the intersections as a task had been proceeded with. And, through this, the rudder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had been set up. That led to the Bongamsa and Sangwolseonwon association. Because the association movement had taken place in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eo era, until the 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ircle had been brought forward, the jeonghyegyeolsa of Jinul and the baekryeongyeolsa of Yose had played the pivotal roles.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with the maitreya faith that had Jinpyo at the center rising and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getting impoverished because of the Mushinran and the invasion by Mongolia, the association movement had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self-purification of the Buddhist circle, thereby endeavoring to rescue the people who had fallen into the distress. Or, in other words, because the like-minded dobans had engaged in the proactive, Buddhist association by causing an association on the level of the social purification move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m, I would like to evaluate that the power could be continued until the modernity, too. Although the jeonghyegyeolsa and the baekryeongyeolsa had taken place at the frontiers, which were the Jeolla-do regions, and not the center,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the aftereffects have been reaching the modernity, we must take a look at the Buddhist meaning again by re-illuminating the logical ideology system which the association movement during the Goryeo era had possessed.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associations and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Bongamsa and Sangwolseonwon association.

      • KCI등재

        ‘자성(自省)과 쇄신(刷新) 결사’에 대한 고찰 - 성립가능성과 수행을 중심으로 -

        김호성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2011년 1월 26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자성과 쇄신 결사“를 선언하였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5대 결사를 선언하였다. 이는 사실상 종단 전체가 결사체(結社體)가 되었다는 점에서, 결사운동의 역사에서 볼 때 새로운 하나의 시도로 보였다. 과연 결사라고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의구심 역시 적지 않게 일어난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먼저 이러한 의구심으로부터 출발하여 과연 자승 총무원장이 선언한 “자성과 쇄신의 결사”가 결사일 수 있는지를 검토한 디에, 특별히 수행결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종단이 곧 결사라는 것은 종래 불교사에서 볼 수 있는 결사와는 다른 것이었다. 종단 안에서 종단의 어떤 문제를 극복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결사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종단=결사’라고 하는 것은 결사의 종래 정의와는 맞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종단결사는 결사라기 보다는, 오히려 결사의 해체라고 보아야 할 것이었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할 수 없는 결사(卽非結社)일 뿐이었다. 그렇지만 결사를 형식보다는 그 정신에서 찾는 관점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이름할 수 있는 것(是名結社)로 보였다. 왜냐하면 그것은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 등의 문제로 불거지면서, 종단이 정부와의 정치적 유착관계를 단절하고 경제적으로도 독립적으로 운영해 나가고자 했던 선언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적어도 2011년 1월 26일 발표된 총무원장의 「담화문」은 탈권력의 자주불교와 자생불교의 선언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다만 그것이 앞으로 어떻게 지켜질 것인가 하는 점은 차후 이 결사를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5대 결사 중에서 수행결사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도 준비중이라 할만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침서』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윤리적인 수행법만을 제시하고 있다. 오계, 자자, 포살, 청규 등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이런 점은 한편으로는 윤리가 곧 수행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윤리적(倫理的) 수행 내지 윤리즉(倫理卽) 수행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중심적인 수행법이 종단차원에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어떻게 보면 대한불교조계종은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어떤 하나의 수행법을 선택한 뒤, 그것만을 전수(專修)하는 종파불교적 정체성을 갖는다기 보다는 어떤 수행법이든지 근기에 맞게 실천하면 된다는 회통불교적 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수행결사는 중심없는 수행을 통하여, 궁극에는 결사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결사의 궁극적 목적은 결사의 지속이 아니라 결사가 무용한 상황의 창조에 있다는 점에서 일단 “자성과 쇄신 결사”는 그 나름으로 큰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평가는 1월 26일에 선언된 「담화문」 자체에 대한 평가일 뿐, 그 이후의 전개과정을 다 넣어서 평가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추후의 또 다른 평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런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결사로 기록되고 평가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렇게 된다면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결사여부에 대한 시시비비는 모두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Ven. Jaseung(慈乘), the Presiden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eleased on January 26, 2011, an essay entitled “Statement: The Association for Self‐Reflection and Renovation.“ It was a surprising fact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self suggested the association. Moreover, the statement analyzed and self‐examined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os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power, and consequently Buddhism is mired in crisis. With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he suggested “the order is not dependent on political power and let pursuit the way of self‐reliance and self‐esteem.” More specifically, the order has to be independent on the matter of financial aid from the government. The statement came after the government cut the budget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last December. Even the associations soured over budget cutbacks to the temple stay programs from the government, and one of the purposes of the association is to be protected by the national culture. It could be possible, according to social circumstances, that the order may be dependent on some government funding and lost the spiritual aim to pursue Buddhism for oneself. Six months after the statement, Ven. Jaseung had a media day and announced on June 7, 2011, “We will normalize the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seek a solution fo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We will return to the basic principles of harmony to find a solu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order has accepted governmental support, and carried out its aim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while pushing ahead with the revisions of the laws related to the traditional temples and cultural heritage. The order also stil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the order has pursued a campaign of reform from early this year. As I have already pointed out, there is a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and the order could go back to the relationship as “strange cohabitation” with regard to the budget, and each other will be using it for its own benefit. If so,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could be diluted and finally could remain as a mere form. I would expect that the head of the order should lead directly and effectively, and the Association, during the remainder of the period, will see the good result of the Association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did not deal the whole of the processing of the Association because the Association, as of October 31, 2011, is currently still going on during its nine months. For instanc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and data collections. More importantly, I would emphasize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Association: that the order wanted to pursue the independence of Buddhism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s and the autonomy of Buddhism in terms of economic matters.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unexpected situations regarding the Association, I would estimate that the Association will be meaningful when the processes are going to harmonize all of its members. Next, I explore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ssociation, and the meditational practice of the Association. This practice should be re‐estimated from a new perspective. From the practice association, I think the practical platform suggest two parts. The first is the aspect of ethical behaviors regarding mediation in the everyday life. The keywords of Korean Buddhism for practices such as the five precepts and the three refuges are nothing but the messages characteristic of ethical behaviors. In addition, these ethical forms are eventually the foundation of all meditational practice. These ethical forms are apart from political powers. The second one is “one practice in one day” will be result in the most tremendous practice that will overcome, in my mind, problems of sect Buddhism in Korean Buddhism.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should pursue the synchronization of all Korean Buddhism in terms of the frame of Korean Buddhism by rejecting of the limited perspective that the Order has to focus on the Jogye Order. I would hope that when the Order, as the leader of Korean Buddhism, maintains a stance with catholicity and self‐retrospection in society and history in Korea,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ll sincerely carry a great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