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 불교 수행공동체의 변화

        안신정(Sin-Jung A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불교수행의 원형은 2,600년 전 붓다에 의해 전해진 팔정도(八正道)이다. 팔정도는 최상의 행복을 위한 길로 계정혜 삼학으로 나누어진다. 계정혜 삼학은 대승의 6바라밀수행으로 이어지면서 보시와 지계는 정혜수행을 위한 바탕이 된다. 정혜수행은 중국 천태의 지관수행을 지나 고려 보조지눌의 정혜쌍수로 이어져, 조선의 서산휴정을 거쳐 현대까지 이어어고 있다. 불교수행공동체는 안거수행 형태로 상가를 이루며, 포살과 자자를 통해 공동생활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불교수행공동체는 다양한 단계의 수행자들로 구성되어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도의 길을 닦는 특징이 있다. 초기승가공동체는 칭송과 존경, 침묵과 경청, 친절과 호의의 경책, 열의와 기다림, 다양함을 존중, 겸손과 사무량심, 수용과 환대 등의 덕목이 실현되었다. 현대한국불교수행공동체는 화두참선수행을 하는 제방 선원공동체와 각 사찰에서 정진하는 공동체와 남방불교의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공동체, 큰 스승의 한국방문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명상수행공동체의 3종류로 정리해보았다. 화두참선 수행공동체는 동안거 하안거, 산철결제 기간에 공동체를 이루는 구조이며, 해마다 4천 명 정도씩 수행정진을 하고 있다. 남방수행전통을 따르는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공동체는 지도자 계파별로 온-오프라인을 겸해 수행센터에서 매월 집중수행공동체를 형성해 일상적인 개별수행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제3의 명상수행공동체는 큰 스승이 한국에 방문할 때마다 일시적인 안거로 공동체를 이루고 짧게는 2∼3일에서 길게는 10일 정도의 기간을 갖고 매년 1회 정도씩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불교수행공동체는 사찰 등의 고정된 공동체에서 스승과 수행법을 따라 유연하게 흐르는 경향을 보인다. The originality of Buddhist Practice comes from The 2,600 year old Noble Eightfold Path handed down by Buddha. It was divided to the three types of learning leading to the best happiness: Precept, Concentration, and Wisdom. And these three types of learning leading to 6 Paramita, offering Generosity and keeping Precepts had been the basis of balanc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It led to Jigwan Practice of Chinese Cheontaejong, then to Jinul’s balanc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in Goryeo Dinasty, to Monk Seosan, and to now. The Buddhist Shangha composing community in the form of practicing retreats, it has been keeping the Buddhist context of common life through Confessional ceremonies and Pavarana, selfconfession at the end of summer retreat. As the Buddhist Shangha is composed of practitioners with diverse steps, they practice the Way with teaching and learning from each other. The early Shangha accom- plished its culture with many virtues; praise and respect, silence and listening, kindness and remonstration with good will, passion and waiting, respecting diversity, humility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cceptance and welcoming. In this thesis, I arranged the present Korean Buddhist Shangha as the three big streams; 1) shanghas practicing Koan in concentrated atmosphere and communities of the temple-based practice around the country, 2) the communities practicing Samatha and Vipassana of Southern Buddhism, 3) meditation practic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a foreign venerable master. Shanghas practicing Koan are structured to form a practicing community in the period of 3 month long winter retreat and summer retreat, and around 4 thousand people are practicing together annually. The communities practicing Samatha and Vipassana of Southern Buddhism form harmoniously both online daily personal practice and monthly offline gathering practice. The third type meditation practicing communities form a temporal community when the foreign venerable master visits Korea; from 2∼3 days to 10 days annually. The present Korean Buddhist Shangha shows the tendency to flow flexibly from the fixed communities in the shape of temple to diverse communities based on different masters and practicing methods.

      •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이 글에서는 『권수정혜결사문』 제7문답에 나타난 지눌 선사의 정토수행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7문답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제7문답에서 지눌 선사가 강조했던 수행의 근본을 파악하여, 이를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으로 정리하였다. 지눌 선사는 제7문답을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선사는 처음에 1) 대심중생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을 상근이라고 구분하였고, 마지막에는 4) 최하근이라는 용어로써 칭명(稱名)만으로도 희유하다고 여기는 이들을 나누었다. 그리고 중간에는 2) 자력과 타력으로 안과 밖이 서로 돕는 수행을 하는 사람 두 종류(①, ②)를 묶어서 설명하고, 또 3) 불법 가운데 마음을 잘 쓰지 못해서 장애에 막힘이 많은 사람 둘(①, ②)을 구분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선사는 최하근 외에 다시 5) 심법의 가르침은 알지 못하지만, 실제의 수행에서는 범행을 이루는 사람과 6) 조종문하(祖宗門下)에 이심전심으로 비밀한 뜻을 전하는 격외선 수행자를 밝혔다. 지눌 선사는 여섯 부분을 수행자의 근기에 따라 나타나는 수행의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지눌 선사는 각각의 근기에서 닦는 정토 수행을 말하는 가운데 선문 수행자가 닦아야 하는 바른 정토 수행을 강조하였다. 1)에서는 대심범부가 불심인 자심․불성인 법성을 신해하고, 신해를 의지해서 이루는 법성정토를 말하였고, 2)․3)․4)․5)에서는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으로서의 정토 수행을 반복적으로 말하였다. 그리고 제5)에서는 고금의 달자(達者)가 구했던 정토는 결국 진여를 깊이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래서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법성정토를 닦는 수행,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 등으로 정리하였고, 이 모두는 결국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으로 돌아간다고 파악하였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Jinul (知訥, 1158~1210)’s theory of pure land practice focusing o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in Gwonsujeonghyegyeolsamun (『勸修定慧結社文』). To this end, first I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then figured out the basis of the practice emphasized by Jinul i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summarized it as Jinul’s theory of the practice of pure land.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consists of six parts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faculties: he classified (1) people with the great mind as the uppermost faculties (上根); (2) two types of people who practice helping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with self-power and others’ help as the second group; (3) two types of people who are blocked a lot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using their minds in Buddha’s dharma as the third group; (4) people regarded as rare only if they invoke a buddha’s name as the lowermost faculties (最下根); (5) people who do not know the teachings of the Dharma of mind but achieve clean acts in actual practice as the fifth group; (6) people who convey secret meanings by the way of transmission from mind to mind in the Zen patriarchy as the sixth group. Jinul classified these six group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faculties of practitioners. Jinul emphasized the proper practice of pure land that zen practitioners should perfor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pure land according to each faculty. As for the first group, he talked about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achieved by the ordinary people with the great mind who believe and understand that the Buddha's mind is their mind and the Buddha's character is dharma nature. About the second to fifth groups, he repeatedly said the practice of pure land which is the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Finally, as for the sixth group, he revealed that the pure land pursued by all the adepts of all ages was to deeply believe in tathāta and devote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To sum up, he summarized these three characteristics: (1) practice of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2)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and (3)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And he concluded that all of these eventually return to the third practice, the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 KCI등재

        ‘자성(自省)과 쇄신(刷新) 결사’에 대한 고찰 - 성립가능성과 수행을 중심으로 -

        김호성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2011년 1월 26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자성과 쇄신 결사“를 선언하였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5대 결사를 선언하였다. 이는 사실상 종단 전체가 결사체(結社體)가 되었다는 점에서, 결사운동의 역사에서 볼 때 새로운 하나의 시도로 보였다. 과연 결사라고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의구심 역시 적지 않게 일어난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먼저 이러한 의구심으로부터 출발하여 과연 자승 총무원장이 선언한 “자성과 쇄신의 결사”가 결사일 수 있는지를 검토한 디에, 특별히 수행결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종단이 곧 결사라는 것은 종래 불교사에서 볼 수 있는 결사와는 다른 것이었다. 종단 안에서 종단의 어떤 문제를 극복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결사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종단=결사’라고 하는 것은 결사의 종래 정의와는 맞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종단결사는 결사라기 보다는, 오히려 결사의 해체라고 보아야 할 것이었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할 수 없는 결사(卽非結社)일 뿐이었다. 그렇지만 결사를 형식보다는 그 정신에서 찾는 관점에서 볼 때, “자성과 쇄신 결사”는 결사라 이름할 수 있는 것(是名結社)로 보였다. 왜냐하면 그것은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 등의 문제로 불거지면서, 종단이 정부와의 정치적 유착관계를 단절하고 경제적으로도 독립적으로 운영해 나가고자 했던 선언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적어도 2011년 1월 26일 발표된 총무원장의 「담화문」은 탈권력의 자주불교와 자생불교의 선언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다만 그것이 앞으로 어떻게 지켜질 것인가 하는 점은 차후 이 결사를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5대 결사 중에서 수행결사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도 준비중이라 할만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침서』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윤리적인 수행법만을 제시하고 있다. 오계, 자자, 포살, 청규 등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이런 점은 한편으로는 윤리가 곧 수행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윤리적(倫理的) 수행 내지 윤리즉(倫理卽) 수행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중심적인 수행법이 종단차원에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어떻게 보면 대한불교조계종은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어떤 하나의 수행법을 선택한 뒤, 그것만을 전수(專修)하는 종파불교적 정체성을 갖는다기 보다는 어떤 수행법이든지 근기에 맞게 실천하면 된다는 회통불교적 정체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수행결사는 중심없는 수행을 통하여, 궁극에는 결사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결사의 궁극적 목적은 결사의 지속이 아니라 결사가 무용한 상황의 창조에 있다는 점에서 일단 “자성과 쇄신 결사”는 그 나름으로 큰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평가는 1월 26일에 선언된 「담화문」 자체에 대한 평가일 뿐, 그 이후의 전개과정을 다 넣어서 평가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추후의 또 다른 평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런 평가에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결사로 기록되고 평가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렇게 된다면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결사여부에 대한 시시비비는 모두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Ven. Jaseung(慈乘), the Presiden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released on January 26, 2011, an essay entitled “Statement: The Association for Self‐Reflection and Renovation.“ It was a surprising fact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self suggested the association. Moreover, the statement analyzed and self‐examined tha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los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power, and consequently Buddhism is mired in crisis. With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he suggested “the order is not dependent on political power and let pursuit the way of self‐reliance and self‐esteem.” More specifically, the order has to be independent on the matter of financial aid from the government. The statement came after the government cut the budget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last December. Even the associations soured over budget cutbacks to the temple stay programs from the government, and one of the purposes of the association is to be protected by the national culture. It could be possible, according to social circumstances, that the order may be dependent on some government funding and lost the spiritual aim to pursue Buddhism for oneself. Six months after the statement, Ven. Jaseung had a media day and announced on June 7, 2011, “We will normalize the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seek a solution fo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We will return to the basic principles of harmony to find a solu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order has accepted governmental support, and carried out its aim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while pushing ahead with the revisions of the laws related to the traditional temples and cultural heritage. The order also stil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the order has pursued a campaign of reform from early this year. As I have already pointed out, there is a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and the order could go back to the relationship as “strange cohabitation” with regard to the budget, and each other will be using it for its own benefit. If so,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could be diluted and finally could remain as a mere form. I would expect that the head of the order should lead directly and effectively, and the Association, during the remainder of the period, will see the good result of the Association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did not deal the whole of the processing of the Association because the Association, as of October 31, 2011, is currently still going on during its nine months. For instanc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and data collections. More importantly, I would emphasize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Association: that the order wanted to pursue the independence of Buddhism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s and the autonomy of Buddhism in terms of economic matters.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unexpected situations regarding the Association, I would estimate that the Association will be meaningful when the processes are going to harmonize all of its members. Next, I explore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ssociation, and the meditational practice of the Association. This practice should be re‐estimated from a new perspective. From the practice association, I think the practical platform suggest two parts. The first is the aspect of ethical behaviors regarding mediation in the everyday life. The keywords of Korean Buddhism for practices such as the five precepts and the three refuges are nothing but the messages characteristic of ethical behaviors. In addition, these ethical forms are eventually the foundation of all meditational practice. These ethical forms are apart from political powers. The second one is “one practice in one day” will be result in the most tremendous practice that will overcome, in my mind, problems of sect Buddhism in Korean Buddhism.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should pursue the synchronization of all Korean Buddhism in terms of the frame of Korean Buddhism by rejecting of the limited perspective that the Order has to focus on the Jogye Order. I would hope that when the Order, as the leader of Korean Buddhism, maintains a stance with catholicity and self‐retrospection in society and history in Korea,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ll sincerely carry a great weight.

      • KCI등재후보

        지눌의 삼문수행체계에 나타난 돈오점수론의 선교일치적 특성

        김태수 대행선연구원 2024 한마음연구 Vol.13 No.-

        Jinul (知訥, 1158-1210)’s theory of Seon-Doctrinal Unity is developed primarily through his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feature that consistently integrates his doctrinal studies and practice theory. In the context of the Three Gates of Practice, the concept of ‘Gradual Cultivation’ emphasized in the ‘Gate of Equal Maintenance of Alertness and Quiescence’ serve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Gate of Sudden and Perfect Faith and Understanding’, and the ‘Gate of The Path of Direct Cutting by Observing the Key Phrase’. This study examines Jinul’s concept of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as the content of sudden enlighten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hree Vehicles and the One Vehicle, linking it to the Bodhisattva path and the initial awakening in the Ten Faiths stages. Furthermore, Jinul discusses Sudden Enlightenment based on the concept of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not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 but as non-discriminative wisdom grounded in emptiness and liberation. He presents the cultivation of ‘Self-nature Concentration and Wisdom’, and ‘Investigative Concentration and Wisdom’ through Sudden Enlightenment in the context of differentiating cognition, emphasizing thei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essence and function of the self-nature. Additionally, he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gradual cultivation that perfect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Bodhisattva path. Regarding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Jinul’s Three Gates of Practice system starts from the luminous mind of universal illumination, encompassing the nature that aligns with the true mind of non-duality between self and others, and between ordinary beings and sages. Therefore, even upon attaining the eighth stage of immovable wisdom, continuous gradual cultivation remains necessary until one reaches the wisdom of the Buddha. Jinul’s Three Gates of Practice system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Seon-Doctrinal Unity by encompassing both ignorance and wisdom within the realm of the ‘arising from the self-nature’, beginning from the stage of self-mind. This system integrates dependent origination and harmonizes doctrinal teachings with Seon practice. Moreover, from the perspective of Seon, Jinul’s system consistently and uniquely integrates the Three Vehicles and the One Vehicle, Sudden and Complete teachings, Huayan and the Bodhisattva path, providing a coherent framework for all discourses. KEYWORDS Jinul, Theory of Seon-Doctrinal Unity,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Dual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Wisdom, Self-nature Concentration andWisdom, and Investigative Concentration and Wisdom,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Three-Gate Practice, Self-mind 강조되는 ‘점수’ 개념은 그 기초가 되는 돈오와 함께 원돈신해문 및 간화경절문의이론적 토대로서, 돈오 이후의 수행인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로 전개된다. 본고는 지눌이 돈오가 가능한 근거로 제시한 공적영지 개념을 삼승론과 일승론의 입장에서, 각각 보살도 수행과 십신 계위의 ‘초발심≡정각’ 논의로 전개한 후, 이를 선적인 자심自心 논의로 회통적으로연계시킨 것으로 보았다. 특히, 삼승론의 시각에서 돈오의 내용인공적영지를 지해가 아닌, 공성과 해탈적 경지에 근거한 무분별지의맥락에서 논의했다. 또한, 돈오로써 진행되는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를깨달음과 동시에 자성의 체와 용에 따라 전개되는 차별지의 맥락에서고찰했다. 나아가 보살도로써 깨달음의 행을 원만하게 하는 점수의특성에 주목했다. 돈점논쟁과 관련하여, 지눌의 삼문 수행체계에서의 자심은 보광명지에서 출발하되, 이미 자타 및 범성凡聖불이의 진여심에 부합하는성품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무루지인 불지에 도달하지 않은 한, 무공용의 공용을 이룬 제8 부동지를 성취했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점수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했다. 또한 삼문수행론은 자심의 경지에서 무명과 지혜를 관통하는 성기에 입각하되 연기를 포섭하고, 선에 입각하되 교를 회통하는 선교일치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 선의 입장에서 삼승과 일승, 돈교와 원교, 화엄과 보살도를 아우르며 모든 논의를 회통하는 체계의 일관성과 독창성을 강조했다.

      • KCI등재

        知訥과 少太山의 생애와 사상 비교 연구

        박태봉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Jinul(1158~1210)and Sotansan(1891-1943). There are many ancient Buddhist priest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ut they have brought new breakthroughs through the association for the practice of Buddhist reform. In particular, I can not help bu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thought of the two people. I can see that I can find the spirit and ideas that connect with each other while deeply researching them. Jinul is a Korean Buddhist with a history close to 1700. It is one of the two major mountain ranges of Korean Buddhism together with Wonhyo.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the point that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Sutra of the Diamond Sutra.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need a link in various fields. The objective was to focus on objective documents and materials, such as those written directly by the author. As Sotansan promulgated in『Daejonggyeon』in Chapter 10, "Daejongsa said, I have opened many recollections Several(多生), but since this recollection is the biggest one" Since mid-Goryeo, Jinul has tried to clarify the muddy atmosphere of the mission conflict and the covetousness of the world and to preserve Jeong Hye-ssu(定慧雙修) as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o set up the Jeong hye-Association(慧慧結社) to practice it, In order to complete the vow over the past 700 years, to come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pen the biggest recollections and to open the Il-Won-sang truth.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 more 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eeking for truth and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he method of execution between the two of them. Because these academic attempts can close to truth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본 논문은 불일보조국사 지눌국사(1158~1210)와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대종사(1891~1943)의 생애와 구도과정, 그리고 주요사상 등을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불교사에서 기라성 같은 고승들이 많았지만 두 분의 특이점은 불교개혁을 이루고자 결사를 통해 획기적인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점이다. 특히나 두 분의 생애와 사상의 유사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데, 두 분의 저술을 천착하면서 상통하는 구도과정과 사상을 찾을 수 있었다. 지눌국사는 17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에서 원효성사와 함께 한국불교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고, 소태산대종사는 후천문명을 여는 주세불로 신앙되고 있는 분으로 두 분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결고리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개인의 구도과정 보다는 불교개혁의 결사를 한 점과 금강경을 立法으로 정혜쌍수, 돈오점수와 지행일치의 수행체계를 수립한 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두 분의 저서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문헌과 자료를 전거로 삼았다. 소태산대종사께서『대종경』부촉품 제10장에서 언급하신 “내가 다생 겁래로 많은 회상을 열어 왔으나 이 회상이 가장 판이 크다”고 한 것처럼 고려 중반 이후 禪敎 갈등과 현세의 탐욕에 물든 혼탁한 분위기를 정화하고 정법안장 열반묘심을 재현하기 위해 그 수행원리로 정혜쌍수를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定慧結社를 세운 지눌국사의 대발원이 700여년을 뛰어 넘어 조선 말기 대개벽기에 새로운 주세불로서 가장 큰 회상을 열고 一圓相의 진리를 굴린 소태산대종사로 이어지는 것이다. 앞으로 두 분의 일생과 구도과정 그리고 수행법과 불교개혁을 위한 결사에서의 유사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 이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규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메타프락시스적 순환론과 불교 수행: 어린이를 위한 찬가

        이치형 한국도덕교육학회 2023 道德敎育硏究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how human destiny can be defined through metapraxis circular theory, and based on this specific understanding, human destiny in the ‘educational sense’ should be aimed at spiritual person(大人). Thus, this article first conceptually distinguished and understood ‘children and adults’, it revealed how children can become spiritual person. However,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piritual person are not just ‘given’, but children can be cultivated by their efforts to become spiritual person or education, and for this, social competence must be gathered, and on the other hand, their own ‘decision and effort’ must be supported. In addition, even if humans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child’s state or time as fate at birth, the state or quality of an adult can be said to be in a state of being determined, not a state of being determined, in that it can become a spiritual person by its own efforts or normal education. Therefore, as discussed in this articl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how it is possible by ‘related to division’ between Concentration & Contemplation[止觀] and Samadhi & Vipassana[定慧] in Buddhist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