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만년기 시에 대한 고찰

        辛香林 ( Hyang Rim Shin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ology of materials and connections of poems in the Chinese poems of Sojae Noh Su-shin(1515~1590) in his later years. He was the nation`s first Yangmyeonghak scholar that accepted Jeonseuprok by Wang Su-in and raised a new Shimseong and study theory. Just like he accepted Yangmyeonghak and raised a new ideology, he mostly created difficult poems in an unconventional form different from trite poems in vogu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uring his exile, he usually created long poems, in which he identified his poverty-stricken life with the impoverished life of common people and realistically described it, and short poems, in which he sang about his empty life in a tragic sentiment. After his exile was lifted, he held a high-rank position in the government as an old man and still created poems in a sorrowful sentiment. The previous studies understood thos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as the influence of the Ting style that tried to express one`s emotions frankly and argued that his poetry was the pioneer of Samdangpa. This study discussed that he usually created a poem in the Song style that elaborated placed difficult authentic precedents and used unfamiliar poetic words that were rarely used in poetry. The study also maintained that his difficult poems reflected the Yangmyeonghak-based life attitude of the poet that made sincere efforts to reach an ideal state of personality where daily emotions and actions would match the natural law. 이 논문은 蘇齋 盧守愼(1515~1590)의 만년기 한시를 중심으로 소재의 사상과 시의 연관성을 고찰한 것이다. 소재는 王守仁의 『傳習錄』을 수용하여 새로운 심성론과 공부론을 제기하였던 우리나라 최초의 陽明學者이다. 소재는 양명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사상을 제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시에 있어서도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상투적인 宋詩風이나 宣祖 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섬약한 唐詩風에서 벗어나 破格적인 형식의 難解詩를 주로 창작하였다. 소재는 낯선 고사와 파격적인 시어들이 대거 등장하는 奇拔한 시를 창작하여 정치현장에서는 지친 소처럼 무기력하고 인격 수양 면에서도 지지부진한 자신의 삶을 끊임없이 自嘲하고 自責하였다. 소재 시의 이러한 특징은 그의 양명학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소재는 여러 시를 통해 朱子學의 格物 공부를 비판하고, 陽明學의 誠意 공부가 유가의 핵심적인 공부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시들에서 책을 읽고 是非眞妄을 변별하는 데만 치중한 주자학의 공부방법을 통해서는 聖人은 될 수 없고 겨우 讀書人이 될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스스로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意念을 바로잡아 본래의 선한 마음으로 되돌리는 誠意 공부를 통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는 自慊의 경지와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天理와 어그러지지 않는 聖人의 경지에 이르려고 하였다. 소재가 죽는 날까지 삶의 부끄러움을 노래한 것은 결국 자신의 마음에 비추어 부끄러움이 없는 성실한 삶을 살고자 한 지향에서 온 것이었다.

      • KCI등재

        穌齋 盧守愼의 만년기 시에 대한 고찰

        신향림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deology of materials and connections of poems in the Chinese poems of Sojae Noh Su-shin(1515~1590) in his later years. He was the nation's first Yangmyeonghak scholar that accepted Jeonseuprok by Wang Su-in and raised a new Shimseong and study theory. Just like he accepted Yangmyeonghak and raised a new ideology, he mostly created difficult poems in an unconventional form different from trite poems in vogu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uring his exile, he usually created long poems, in which he identified his poverty-stricken life with the impoverished life of common people and realistically described it, and short poems, in which he sang about his empty life in a tragic sentiment. After his exile was lifted, he held a high-rank position in the government as an old man and still created poems in a sorrowful sentiment. The previous studies understood thos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as the influence of the Ting style that tried to express one's emotions frankly and argued that his poetry was the pioneer of Samdangpa. This study discussed that he usually created a poem in the Song style that elaborated placed difficult authentic precedents and used unfamiliar poetic words that were rarely used in poetry. The study also maintained that his difficult poems reflected the Yangmyeonghak-based life attitude of the poet that made sincere efforts to reach an ideal state of personality where daily emotions and actions would match the natural law. 이 논문은 穌齋 盧守慎(1515~1590)의 만년기 한시를 중심으로 소재의 사상과 시의 연관성을 고찰한 것이다. 소재는 王守仁의 『傳習錄』을 수용하여 새로운 심성론과 공부론을 제기하였던 우리나라 최초의 陽明學者이다. 소재는 양명학을 수용하여 새로운 사상을 제기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시에 있어서도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상투적인 宋詩風이나 宣祖 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섬약한 唐詩風에서 벗어나 破格적인 형식의 難解詩를 주로 창작하였다. 소재는 낯선 고사와 파격적인 시어들이 대거 등장하는 奇拔한 시를 창작하여 정치현장에서는 지친 소처럼 무기력하고 인격 수양 면에서도 지지부진한 자신의 삶을 끊임없이 自嘲하고 自責하였다. 소재 시의 이러한 특징은 그의 양명학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소재는 여러 시를 통해 朱子學의 格物 공부를 비판하고, 陽明學의 誠意 공부가 유가의 핵심적인 공부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시들에서 책을 읽고 是非眞妄을 변별하는 데만 치중한 주자학의 공부방법을 통해서는 聖人은 될 수 없고 겨우 讀書人이 될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스스로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意念을 바로잡아 본래의 선한 마음으로 되돌리는 誠意 공부를 통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는 自慊의 경지와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天理와 어그러지지 않는 聖人의 경지에 이르려고 하였다. 소재가 죽는 날까지 삶의 부끄러움을 노래한 것은 결국 자신의 마음에 비추어 부끄러움이 없는 성실한 삶을 살고자 한 지향에서 온 것이었다.

      • KCI등재

        『惺수詩話』의 風格批評 양상 : 許筠의 唐詩風的 대안의 특징

        조융희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한국고전연구 Vol.8 No.-

        이 논문에서는 허균이『성수시화』에서 보여준 풍격비평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허균은 晩唐風을 극복하고 盛唐風을 추구한 시인과 성당풍이 구현된 시를 높이 평가 했다. 허균에게는 '纖麗' 또는 '纖靡' 풍격으로 대표되는 晩唐의 시풍이 극복의 대상이었다. 성당풍이라고 하여 허균에게 주목받은 대표적인 풍격은 '沈着'이었는데, 이 풍격이 동시대의 신홈과 같은 비평가에게서 그다지 중시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할 때, 허균의 이러한 관심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그리고 허균은 '纖靡'·'纖麗' 등 晩唐風에서 발견되는 부정적인 면모들을 일신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宋詩風에서 구사되었던 '淡雅'·'勁悍'·'奇杰' 등의 풍격에 대한 수용도 고려하고 있었다. 이들 풍격은 경박하지 않고 차분한 정서 또는 나약하지 않고 강한 기상을 표현한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동시대 시단에 대한 허균의 비평을 통해서는 그가 '淸'과 같이 唐詩風 계열의 작품에서 일반적으로 구현되던 풍격까지도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허균은『鶴山樵談』에서『성수詩話』로 오는 과정에서 '淸麗' 보다는 '淸勁'이, '淸勁'보다는 '悍勁'이 唐詩風의 본령, 즉 성당풍의 범주에 가까운 풍격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濂洛風의 詩格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枯淡' 풍격도 唐詩의 본령 안에 두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풍격이 萎弱함과 결합될 경우 시의 본령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This thesis examines Seongsu-Shihwa, Heo Gyoon's remarks on poetry, focusing on its aspects of stylistical criticism. Heo Gyoon highly praises the High-Tang Chinese styles of poetry to overcome the Late-Tang styles such as the 'Delicate-Weak'. He especially notes the 'Firm and Self-Possessed' as a High-Tang style while Shin Heum, Heo Gyoon's contemporary critic, does not consider it as an important style of poetry. Heo Gyoon also reveals the standpoint that the merit of Sung Chinese style should be taken for the better embodiment of Tang Chinese styl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ate-Tang style which was too frail and delicate, the styles of the 'Calm-Dignified', the 'Strong-Sturdy' and the 'Wondrous-Outstanding' containing the calm and moderate emotion are emphasized by Heo Gyoon. Heo Gyoon commented his contemporaries by subcategorizing the 'Lucid' style which was recognized as a main element for the poetry writing of Tang Chinese styles in his days. This thesis traces that Heo Gyoon's favorite poetic style changes from the 'Lucid-Beautiful' to the 'Lucid-Strong', and then to the 'Strong-Sturdy', which means his view point of boundary for the High-Tang style heads for stronger tendency. The 'Washed-Calm' style derived from the Neo-Confucian poetry also interests Heo Gyoon on condition that it does not join the poetic styles of weakness and fragility.

      • KCI등재

        白元恒의 생애와 시세계

        여운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4

        Despite of being selected sixteen poems in Tongmoonseon(『東文選』), Paek Weonhang's(白元恒) life became known simply, and his poems were neglected in historical evaluation and studying. Therefore we have to reconstruct his life and investigate his poetry world. By close scrutiny, his life was like below. He was born in circa A.D. 1260, and won the first place in Samasi(司馬試) in 1279. He also passed in Yeboosi(禮部試) since 1286. But he was loitering about petty positions for a long time. After successively holding various positions as Cheongyoryong(典校令), Chongboojeonseo(摠部典書), Miljiksa(密直使), he was promoted to be Cheomeuipyongri(僉議評理) in the 8th year of king Choongsookwang's reign(忠肅王朝), and Chanseongsa(贊成事) in some years after. It is estimated that he died in circa A.D. 1330. The poems by expressing his thoughts(述懷詩) have eminently mild tone and pregnant expression. There are courteous and affluent feature in his bureaucratic poems(館閣詩). The main stress of scenary poems(景物詩) generally was laying on depiction. On the whole, his poems formed the base by Song dynasty poetical style(宋詩風), and there are exquisite couplet depiction and moderate emotions and choice skill for poetic diction. His position in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between superior poets and future generations. 白元恒은 『東文選』에 시 16수가 선발된 중요한 시인임에도 불구하고, 개략적인 생애만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사적 평가나 연구에서 소외되었으므로, 생애를 자세히 재구하고, 시세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문인이다. 제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한 결과 그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는 1260년경에 출생하여 1279년에 감시에 장원급제한 데 이어, 1286년 이전에 예부시에 등제하였으나, 오래 말직에서 전전하다가 충렬왕조 말에 충선왕 부자를 시종하여 元에 다녀왔다. 그는 충선왕대에 典校令이 되고 충숙왕 4년에 摠部典書로 同考試官을 지냈으며, 5년에는 密直使에 올랐다. 충숙왕 8년에 僉議評理로 승진한 데 이어, 贊成事로 승진하는 등 충숙왕의 측근으로 크게 활약하다가, 1330년 무렵에 타계한 것으로 보인다. 완편 16제 16수와 연구 1편이 전해지는 그의 시는 술회시․관각시․경물시로 나누어 시세계와 특성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술회시는 자신의 처지를 강하게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보여 주며, 전반적으로 온자한 풍격과 함축적인 표현기법이 두드러진다. 그가 군왕․은문․선배 등에게 올린 시들은 관각시의 제반요소를 두루 갖춘 가운데, 특히 전실하고 부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 경물시는 형사에 치중한 경향이 강하며, 정경의 융합에는 송시풍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송시풍을 기반으로 하여 기교적 대우․묘사와 절제된 정서․시어선택을 장점으로 한 그의 시는 金坵․郭預․洪侃 등과 함께 李仁老․金克己․李奎報 등과 李齊賢․李穀․鄭誧 등 두 시인군의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시사적 위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기획논문 : 고려시대의 문화와 사상 ; 백원항(白元恒)의 생애와 시세계

        여운필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4

        白元恒은 『東文選』에 시 16수가 선발된 중요한 시인임에도 불구하고, 개략적인 생애만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사적 평가나 연구에서 소외되었으므로, 생애를 자세히 재구하고, 시세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문인이다. 제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한 결과 그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는 1260년경에 출생하여 1279년에 감시에 장원급제한 데 이어, 1286년 이전에 예부시에 등제하였으나, 오래 말직에서 전전하다가 충렬왕조 말에 충선왕 부자를 시종하여 元에 다녀왔다. 그는 충선왕대에 典校令이 되고 충숙왕 4년에 摠部典書로 同考試官을 지냈으며, 5년에는 密直使에 올랐다. 충숙왕 8년에 僉議評理로 승진한 데 이어, 贊成事로 승진하는 등 충숙왕의 측근으로 크게 활약하다가, 1330년 무렵에 타계한 것으로 보인다. 완편 16제 16수와 연구 1편이 전해지는 그의 시는 술회시·관각시·경물시로 나누어 시세계와 특성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술회시는 자신의 처지를 강하게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보여주며, 전반적으로 온자한 풍격과 함축적인 표현기법이 두드러진다. 그가 군왕·은문·선배 등에게 올린 시들은 관각시의 제반요소를 두루 갖춘 가운데, 특히 전실하고 부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 경물시는 형사에 치중한 경향이 강하며, 정경의 융합에는 송시풍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송시풍을 기반으로 하여 기교적 대우·묘사와 절제된 정서·시어선택을 장점으로 한 그의 시는 金坵·郭預·洪侃 등과 함께 李仁老·金克己·李奎報 등과 李齊賢·李穀·鄭포 등 두 시인군의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시사적 위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Despite of being selected sixteen poems in Tongmoonseon(『東文選』), Paek Weonhang's(白元恒) life became known simply, and his poems were neglected in historical evaluation and studying. Therefore we have to reconstruct his life and investigate his poetry world. By close scrutiny, his life was like below. He was born in circa A.D. 1260, and won the first place in Samasi(司馬試) in 1279. He also passed in Yeboosi(禮部試) since 1286. But he was loitering about petty positions for a long time. After successively holding various positions as Cheongyoryong(典校令), Chongboojeonseo(摠部典書), Miljiksa(密直使), he was promoted to be Cheomeuipyongri(僉議評理) in the 8th year of king Choongsookwang's reign(忠肅王朝), and Chanseongsa(贊成事) in some years after. It is estimated that he died in circa A.D. 1330. The poems by expressing his thoughts(述懷詩) have eminently mild tone and pregnant expression. There are courteous and affluent feature in his bureaucratic poems(館閣詩). The main stress of scenary poems(景物詩) generally was laying on depiction. On the whole, his poems formed the base by Song dynasty poetical style(宋詩風), and there are exquisite couplet depiction and moderate emotions and choice skill for poetic diction. His position in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between superior poets and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鶴峯 金誠一 燕行詩의 載道的 意境 考察

        이성형 ( Seong Hyung Lee )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0 No.-

        鶴峯 金誠一(1538~1593) 燕行詩의 意境은 性理學的 修養論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漢詩를 통해 성정 도야를 기약했던 자신의 한시관에 충실한 작시태도로 판단된 다. 또한 次韻詩가 적고 長篇詩가 많아서, 개인의 성정도야와 자연스러운 감정의 노 정에 적절했다. 학봉 연행시의 재도적 의경은 ``性理學的 性情 修養의 强調``와 ``性理學的 價値에 의한 人物 褒貶``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수양의 측면으로는 忠孝兼全을 위 해 先公後私를 중시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長篇詩를 바탕으로 ``忠孝兼全``을 지향 하는 載道的 문학관에 충실한 작품 세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봉은 스승인 退溪의 華夷觀을 계승하여 內聖外王을 통한 守在四夷를 지향했다. 학봉의 연행시에 城牆과 江河 등 경계공간에 華夷의 개념을 대입한 것은 華와 夷를 구별하여 夷狄을 辨斥하고 자 한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王道의 교화로 夷狄이 감화되어 城牆이 불필요한 상태를 지향했다. 학봉은 성리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역사적 인물을 褒貶하였다. 학봉은 역사적 사실 에 대하여 현상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렸는데, 그 귀결도 역시 修養의 문제였다. 또한 性理學的 歷史觀을 계승하였고, 하흠과 연계된 의무려산을 성리학적 表象으로 조성하였다. 학봉 연행시의 문학적 의의는 우선 성리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서술적이고 논리적인 성격의 송시풍을 추구한 학봉의 한시관과 효용론이 연행시의 의경에 충실히 구현 되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학봉의 ``朝天紀行``은 조선 후기 ``續北征`` 같은 장편 연행시가 출현하게 된 배경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Moral value intention of Yeonhaengsi(燕行詩) of Hakbong(鶴峯) Kim Seong Il(金誠一 ; 1538~1593) belongs to the issue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theory and is considered to be verse writing attitude faithful to his viewpoint on Chinese poetry who promises temperament cultivation through Chinese poetry. In addition, it was suitable for personal temperament cultivation and natural disclosure of emotion since it has a few poems imitating rhythms of other poems and many long poem. Moral value intention of Hakbong Yeonhaengsi(燕行詩) can be classified into ``emphasis of Confucian temperament cultivation`` and ``praise and blame of person by Confucian value``. First, in terms of personal cultivation, ``preceding private obligation with public affairs`` was emphasized for fidelity and filial duty. In particular, he showed the works faithful to moral value view of literature pursuing ``fidelity and filial duty`` based on long poem. Next, he pursued Sujesai(守在四夷) through a person with knowledge and virtue by inheriting the sense of Hwai(華夷觀) of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his teacher.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Hwai(華夷) to the boundary space such as growth and falling in Yeonhaengsi(燕行詩) was to oppose the foreign enemy by differentiating Chinese from foreigners. However, ultimately, he was touchedby the reformation of kingship and pursued the status not requiring wall of palace. Hakbong(鶴峯) praised and blamed historical figure based on Confucian values. He clarified fundamental causes of the historical fact, evaluated phenomenal issue, and concluded it with the issue of cultivation. In addition, he inherited the Confucian viewpoint of history and presented Ueimuryesan mountain(醫巫閭山 ) related to Haeum(賀欽) as the Confucian symbol. Literary meaning of Yeonhengsi(燕行詩) of Hakbong(鶴峯) is that utility theory and viewpoint of Chinese poems of Hakbong(鶴峯) pursing the poetical style of Song dynasty which was descriptive and logic based on Confucian value were faithfully implemented in the Yeonhengsi(燕行詩). Next, ``Jocheongiheng(朝天紀行)`` of Hakbong(鶴峯)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background when long poem such as ``Sokbukjeong(續北征)`` at the late Joseon dynasty appeared.

      • KCI등재

        鹿門 洪慶臣의 詩世界 연구

        김영주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9

        본 논문의 목적은 녹문 홍경신의 생애와 교유관계 그리고 시세계의 특징에 대한 고찰이다. 16~17세기 조선의 시단에서 홍경신은 당대의 저명한 문인들과 枕流臺詩社를 중심으로 활발히 교유하였다. 홍경신은 ‘慕古爲學’의 창작 정신을 기반으로 ‘尙友’와 ‘獨得’을 창작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제시하며 이것을 ‘妙法’이자 ‘玄旨’라고 평하였다. 창작 논리에서 확인되는 홍경신의 好古的 경향은 그의 시작에도 반영되어 송시풍과 당시풍이 혼효된 상황에서 점차 당시풍의 우세로 변모되어 가는 당대 시단의 구체적인 모습을 반영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 예가 서곤체와 의산체 시의 창작이며, 이백의 작풍을 주로 추숭하는 경향을 나타낸 ‘청련체’ 시의 창작과 현실을 벗어난 선계에 대한 동경이 감지되는 탈속적인 시세계이다. 그 외에 그의 창작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영사시의 창작이나, 작시 능력을 보여주는 잡체시의 창작, 초사풍의 장편시, 다수의 악부체 시가 창작 등을 거론할 수 있다. 홍경신의 시세계는 16세기 시단의 중심을 이룬 강서시풍의 퇴조와 함께 등장한 당시풍의 유행 그리고 명나라 의고파의 영향으로 인한 의고적 특징을 아울러 나타낸다는 점에서 16~17세기에 이르는 조선 시단의 변화를 작품으로 체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시사에서 그 위상과 의미가 중요하다고 평할 수 있다.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Joseon, Hong Gyeong-shin actively engaged with prominent writers of the time and members of the Chimryudae group(枕流臺詩社). Based on the creative spirit of "‘MoGo-Wihak(慕古爲學)," Hong Kyung-shin presented "Sang-woo(尙友)" and "Dok-dek(獨得)" as concrete methods of creation, calling them "Myo-beob(妙法)" and "Hyeon-ji(玄旨)." Hong Kyung-shin's tendency to admire the old creative tendencies confirmed in his creative logic was also reflected in his work, reflecting the specific aspects of contemporary literature that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dominance of Dangsi-style(唐詩風) in a mixture of Songsi-style(宋詩風) and Dangsi-style. An example is the creation of Soegon-style(西崑體) and Yuisan-style(義山體) poems, a poetry creation style that shows a tendency to mainly follow Libaek's creative tendency, and a poem in which admiration for the world of Taoism beyond reality is detected. In addition, his creative ability can be confirmed by creating projections based on historical figures, creating prototypes of various styles that show his creative ability, Chosa-style long poems, and a number of musical poems. Hong, Gyeong-sin’s poems exemplify the trend of Dangsi-style, which emerged with the decline of the Gang-Seo poetry styl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His poetry also show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 of the Dangsi-style of the Ming Dynasty. In this respect, his poetry can be evaluated as important in that it is a concrete example of realizing the changes in the Joseon poetry stag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 : 연담 이세인의 「독이(讀易)」시 고

        이구의 ( Ku Eui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31 No.-

        이 논문은 조선 전기 학자이면서 경세가(經世家)인 연담(蓮潭) 이세인(李世仁 1452-1516)의 「주역을 읽고 여섯 수 절구시를 지음(讀易六絶)」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연담이 「독역(讀易)」 시를 지은 이유는, ① 이 『주역』 이론을 후생들에 가르치기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② 『주역』의 이치를 알면 마음속이 탁 트이기 때문이다. ③ 위학(爲學)의 방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연담은 『주역』 상수리(象數理) 가운데 이(理)를 바탕으로 하였다. 그는 『주역』의 도통 계보를 복희(伏羲), 문왕(文王), 주공(周公), 공자(孔子), 정자(程子: 程이), 주자(朱子: 朱熹)로 잡고 있다. 이는 고려 말부터 유행한 신유학자, 즉 성리학자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그는 정자(程子)의 『역전(易傳)』와 주자의 『주역본의(周易本義)』의 내용을 많이 수용했다. 「독역」시의 구성면을 보면, ① 『주역』 도통의 계보를 잡고 있다. ② 육합(六合)의 원리를 담고 있다. ③ 은근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연담의 성품과 일치한다. ④ 여섯 수의 시가 독립적으로 의미를 지닌다. 이들 시 전체를 두고 보면 서로 인과관계(因果關係)를 지닌다. 내용면에서 보면, ① 『주역』을 공부하는 까닭 ② 『주역』공부를 시작과 그에 대한 보람. ③ 『주역』을 공부를 통한 공자(孔子)와의 서로 교감. ④ 『주역』을 마음의 고향으로 여김. ⑤ 진리의 보고(寶庫)인 『주역』 ⑥ 자신의 위상과 『주역』에 몰두하는 이유에 대해서 읊조리고 있다. 이 「독역」시의 문학사적 의의는, ① 『주역』의 도통 계보를 세운 시로는 전무후무하다. ② 『주역』이 상수학(象數學)이 아니라, 이학(理學)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③ 연담이 송대(宋代)부터 싹트기 시작한 신유학의 계승자라는 것을 확인했다. ④ 조선 시대에 유행할 이학(理學)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⑤ 문학 속에 철학이 있어, 그의 시가 당시풍(唐詩風)이 아니라 송시풍(宋詩風)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This thesis is an inquiry into Making Six Stanzas after reading the Book of Changes by Lee Se-in(李世仁 1452∽1516), a scholar and a statesman in former period of Chosun. He writes these poems for some reasons; he likes to teach younger scholars the theory of the Book of Changes, and knowing the principle of the Book of Changes, he can feel his mind open, and he can know the methodology of study. His thinking is based on the Ree(理) among Sangsuree(象數理). He set the taoistic lineage of the Book of Changes into Bokhui(伏義), Munwang(文王), Jugong(周公), Gongja(孔子), Jeongja(程子:程이), Juja(朱子:朱熹). This setting corresponds to the opinion of Neoconfucians, that is that of Seongreehakja(性理學子) which is popular from at the end of the Koryeo dynasty. He mainly accepts the contents of Yeokjeon(易傳) by Jeongja(程子) and Juyeokbonui(周易本義) by Juja(朱子:朱熹). In the construction of Making Six Stanzas after reading the Book of Changes, some important points are found out. First, the taoistic lineage of the Book of Change is set. Second, the principle of Yukhap(六合) is contained. Third, his poetic style, seven-line stanzas which have a long breathing, corresponds to his disposition which pushes his point courteously. Fourth, the six poems have an independent meaning each, and also, in general, they have a causal relation. Viewing from the content, he recites some points; a beginning of study of the Book of Changes and its gains, a communication with Gongja(孔子) through the study of it, regarding the Book of Change as a mind`s home, a thesaurus which is the Book of Changes, his status and the reason he is immersed in the Book of Changes. The significances of the work in literary history should be pointed out. First, it is the only work that set the taoistic lineage. Second, the Book of Changes is not Sangsuhak(象數學) but Ihak(理學). Third, he is a successor to the Neoconfucianism which begins to bud from the Sung period. Fourth, he takes an pioneer role of Ihak(理學) which will be popular in the Chosun Dynasty. Fifth, judging from his poetic philosophy, his poem is not a style of Tang poetry but that of Sung poet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