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주의의 개인차에 따른 한국어 어절의 표상 및 처리 방식의 차이

        김상엽,김준우,이솔빈,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2

        The current investigation sought to examine the potential influence of alerting, which pertains to the level of readines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presentation and visual recognition processing of Korean Eojeols in the mental lexicon, and whether these effects vary at the individual level. Words in Korean consist of two or more morphemes, and three information-processing hypotheses have been proposed: the decomposition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each morpheme that makes up a word is stored and processed independently in the mental lexicon; the full-list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the entire word itself is represented in the mental lexicon and processed; and the hybrid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both the decomposition and full-list hypotheses can be followed. To explore these hypotheses, a representative method is to investigate frequency effects in behavior responses during lexical decision tasks, which depend on whether Eojeol frequency or root frequency has a significant effect, and can support on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hypotheses.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lerting would exhibit effective attentional allocation, which could facilitate the segmentation of Eojeol roots and postpositions, consistent with the decomposition hypothesis. To address this research question, both an attentional network task and an Eojeol decision task were administer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Eojeol roots exhibited a facilitative effect on Eojeol decision times exclusively among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lerting.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alerting may be associated with the units of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in Korean Eojeols, thereby supporting a hybrid hypothesis in the processing of these linguistic units. 본 연구는 각성과 관련된 주의 능력인 경계주의(alerting)의 개인차가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에 저장된 한국어 어절의 표상 및 처리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어절은 둘 이상의 형태소를 지닌 복합어(compound word)로서 세 가지 정보처리 가설이 제안되었는데, 첫째는 완전분해가설(decomposition hypothesis)로 어절을 구성하는 각 형태소가 심성어휘집에 독립된 형태로 저장되어 정보처리된다는 것과, 둘째는 전체목록가설(full-list hypothesis)로 어절 자체가 심성어휘집에 표상되어 정보처리된다는 것과, 셋째는 혼합가설(hybrid hypothesis)로 완전분해가설과 전체목록가설의 두 가지 정보처리 방식을 모두 따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어절의 정보처리 가설을 탐구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어절 재인 시에 행동 반응에서 나타나는 빈도 효과(frequency effect)를 탐구하는 것인데, 어절빈도(Eojeol frequency)와 어근빈도(root frequency) 중 어떠한 빈도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위 정보처리 가설 중 어느 가설을 지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계주의가 높을수록 하위 어휘 단위로의 높은 주의 할당(attentional allocation)으로 인해 어절의 어근(root)과 조사(postposition)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완전분해가설에 기반한 정보처리를 수행하여 어절 판단 시간에서 어근 빈도의 유의미한 효과가 관측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주의망 과제(attentional network task)와 어절판단과제(Eojeol decision task)를 수행하였으며, 실험 집단은 주의망 과제에서 측정된 경계주의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뉘었다. 실험 결과, 경계주의가 높은 집단은 경계주의가 낮은 집단과 달리 어절판단시간에 대한 어근빈도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경계주의가 어절을 심성어휘집에 어근과 조사의 분리된 형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경계주의의 개인차가 어절의 심성어휘집 내의 표상 및 처리 단위에 영향을 미쳐 어절의 정보처리가 혼합가설(hybrid hypothesis)에 기반한 정보처리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 KCI등재

        주의(主意) 개념을 통한 불교의 작의(作意) 심소 고찰 - 작의의 불교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

        박재용 ( Park Jae-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디지털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주의가 산만해지고 집중력도 약화되고 있다. 불교 수행은 번뇌를 없애고 마음을 집중시킨다는 점에서 이러한 현대인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의’에 해당하는 불교 용어인 ‘작의(作意)’를 고찰하여 불교에서 주의집중의 종류와 방식을 알아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 심리학 및 현상학의 주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불교의 경론들에 나오는 작의(作意)의 다양한 용례를 고찰한 결과 작의에는 두 가지 의미가 혼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초기경전에 나타난 작의의 의미는 수행시 ‘주의집중’의 의미로 주로 사용된다. 둘째, 부파불교와 유식불교에서는 초기불교의 용례인 주의집중 외에도 ‘인식과정의 일부’로 나타난다. 특히 유식불교에서는 대상이 우리 마음속에 들어오는 인식과정을 작의를 통해 언급하기도 한다. 작의의 용례를 서구의 주의 개념과 비교해보면 수행시의 작의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초점적 주의 및 지속적 주의 개념과 유사하다. 다른 한편으로 인식과정에 등장하는 작의는 현상학에서 다루는 주의 및 지각 과정과 내용에 있어 상통한다. 이를 통해 불교 경론에서 작의는 다의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인들은 주의집중력이 점점 약해지므로 작의를 포함 주의집중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manaskāra,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Buddhist tradition, by studying the Buddhist historical changes and their applications of manaskāra. As a result, I have confirmed that manaskāra has two meanings. First, there is a meaning of 'concentrating the mind'; in the second, manaskāra means 'turning attention'. In order to grasp the concept of manaskāra more clearly, I examined the meaning of attention used in Western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y, and philosophy (phenome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there are two kinds of attention, one is sustained attention and other is focused attention. When in the meditation practice, the meaning of manaskāra is mainly sustained attention. Manaskāra is mainly used with sati in the Buddhist texts. In Abhidharma and Yogacara Buddhism texts, it is suggested as one of the mind functions of the recognizing process for objects as well as the same meaning of early Buddhism. When we first encounter the object, the mind function toward the object is manaskāra. In this case manaskāra corresponds to focused attention.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cognitive processes described in phenomenology. Thus,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and apply the various applications about manaskāra in a modern way, and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academic research on the subject. With the use of digital devices, modern people are becoming less and less focused, so continuous research on manaskāra and attention is needed.

      • KCI등재

        교부철학의 주지주의와 주의주의 대립 -아우구스티누스와 다마스케누스를 중심으로-

        김영진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교부철학에 있어서는 주지주의와 주의주의란 용어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중세 후기 스콜라철학에서 주지주의와 주의주의란 용어가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면서 양자 간의 격렬한 대립과 논쟁이 되었다. 주지주의란 이성이 의지보다 먼저 이거나 우위에 있음을 주장하는 반면 주의주의는 의지가 이성보다 먼저이거나 우위에 있음을 주장하는 이론적 용어이다. 이러한 양자 간의 대립이 교부철학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면서 전통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토마스 아퀴나스는 주지주의의 대표자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교부 철학자들에게 주지주의나 주의주의 우위성을 주장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책임성의 문제를 다루면서 이성과 의지의 조화와 이 양자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신앙의 합리성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1270년 이후 심리 결정주의 등장으로 이성과 의지의 우위성에 대한 대립과 논쟁이 첨예화되면서 주지주의와 주의주의를 대변하는 옷을 입고 중세철학 이전과 이후의 철학사 전반에 양자 간의 관계가 논의점으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논자는 먼저 주지주의와 주의주의의 대한 개념적 정의와 철학사 전반에 유입되었던 양자 간의 배경과 논의을 살펴보고 아우구스티누스와 교부철학 최후의 인물이었던 다마스케누스의 사상을 비교 분석하면서 이 두 사람이 생각했던 이성과 의지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아우구스티누스를 주의주의라고 여기는 근거를 살펴보고 아우구스티누스를 단순히 주의주의자라고 규정하는 것이 부당함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또한 다마스케누스가 스콜라철학의 원천을 제공하는 선구자 되었다면 어떤 근거를 통해 이성 우위의 단초를 제공했는지를 살펴보고 양자 간의 대립된 입장의 일치점과 차이점 그리고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면서 교부철학의 대립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In patristic philosophy, the terms intellectualism and voluntarism do not appear directly. However, during the late Middle Age, intellectualism and voluntarism appeared in history, which sparked fierce opposition and arguments between the two ideologies. Intellectualism argues that the intellect precedes or is superior to the will, while voluntarism regards the will as preceding or being superior to the intellect. The opposition between the two ideologies goes back to Augustinus, who is the most well-known voluntarism philosopher while Thomas Aquinas represents intellectualism of the medieval philosophy. However, to patristic philosophers, superiority between intellectualism and voluntarism was not important. Rather, they were more concerned with discussing freedom and responsibility of humans, harmony between reason and will, and rationality of faith based on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However, argument regarding superiority of reason and will become intensified after 1270 when psychological determinism appeared, and it developed into arguments relating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based on intellectualism (reason) and voluntarism (will). Therefore, I will look at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intellectualism and voluntarism, and the backgrounds and main arguments of the two ideologies that were adop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philosophy. Specifically, the ideas of Augustinus, who is defined as a voluntarist in patristic philosophy, and those of Damascenus, who was the last figure of patristic philosophy will be compared before I discuss the reason and will according to these two philosophers as well as the reason Augustinus is categorized as a voluntarist and how this is not completely justified. Also, I will look into the basis on which Damascenus, who was a pioneer of scholastic philosophy, provided the ground to argue that reason is superior, and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chools of thought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discussing what this contrast in patristic philosophy was really meant to imply.

      • KCI등재

        고구려후 ‘騶’ 재고

        박찬규,문성휘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re-discussion on the Goguryeo marquis ‘Chu’. The Goguryeo Marquis ‘Chu’, which 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such as “Han History”, is a general of Goguryeo who succeeded the status of King of Bi’ryu state Da’mul marquis in Kim Bu-sik's “Samguk Sagi”. I first compiled the achievements of Chinese scholarship on the “Border Commanderi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which was set up during the Martial emperator of Han Dyrasty period, such as ‘Four Commandments of Han’. Based on this, the ruling method implemented by the Early Han Dynasty in the southwestern Border Commandery was interpreted as an indirect ruling method, the so-called “ruling according to old customs”, delegating local tribal chiefs to ‘kings’ and ‘marquis’. As an example, we analyzed Zhang-ke Commandery Gou-ding county marquis among the Border Commanderi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set up during the Martial estimator of Han Dyrasty. Such an attemp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considering the governance style implemented in Xuantu Commandery in the same period. Next, a literatur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Xuantu Commandery Goguryo County and Goguryeo revealed that Xuantu Commandery was also taking a kind of indirect control by delegating county marquis to Goguryeo County and recognizing him as the head of Goguryeo society. And I assumed Goguryeo county marquis iss the King of Bi'ryu state centered on Yeon'no Tribe in “Samguk Sagi”. In conclusion, Goguryeo marquis ‘Chu’ was Xuantu Commandery Goguryo County marquis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ang-mang, and was a general Yeon’bi of the Goguryeo Kingdom with the dual status of receiving the Yeon'no Tribe(Bi'ryu state). 본고에서는 고구려후 ‘騶’에 대한 재고를 통해, 『漢書』 등 중국문헌에 등장하는 고구려후 ‘추’는고구려의 縣候로서, 곧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수록된 비류국왕 多勿候 송양의 지위를 계승한 고구려 장수 延丕로 파악하였다. 필자는 우선 漢四郡과 동시대 前漢 武帝시기에 설치된 서남지역 ‘邊郡’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성과를 종합해, 전한이 서남변군지역 변군에서 시행한 지배방식을 현지 부족장들을 ‘왕’이나 ‘후’ 에 위임함으로써, 이른바 ‘옛 풍속에 따라 다스리’는 일종의 간접지배방식으로 이해하고, 그 일예로 한무제 시기 설치된 서남 변군 중의 牂牁郡 句町縣의 縣候(王)에 대해 살폈다. 이러한 시도가같은 시기 동북지역 변군인 현도군에서 시행한 지배방식을 고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된다. 다음으로, 현도군 고구려현과 고구려와의 관계에 관한 문헌 기록 분석을 통해, 현도군 역시 고구려현에 현후를 위임하고, 그를 고구려 사회의 수장으로 인정함으로써, 일종의 간접지배방식을 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구려현의 현후를 『삼국사기』에 보이는 연노부를 중심으로 한 비류국왕으로 비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후 ‘추’는 왕망 시기 현도군 고구려현의 현후임과 동시에 고구려 연노부(비류국) 수장이라는 이중적 신분을 가진 사람이고 고구려국 장수 延丕 일 것이라는 추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몰입 및 철회와 우울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나세영,양재원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원)생 94명을 대상으로 주의 판단 과제 및 우울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의 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주의 판단 과제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가 이동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 지시에 따라 주의 몰입과 주의 철회로 구분되었다.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주의가 정서 자극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과 주의가 정서 자극에서 벗어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SPSS Process Macro 4를 이용하여 주의 편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경유하여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우울한 사람들에게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을 더욱 훈련하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면, 우울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al bias to emotional stimuli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9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ttentional assessment task, an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ngage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attending to positive emotions on the pathway from depression via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at further training depressed individuals in engaging to positive emotions and us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차리석의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1942)」과 안창호의 대공주의

        장석흥(Jang, Seok-he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9

        이 글은 차리석이 작성한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1942)을 통해 1920년대 후반 안창호가 주창한 대공주의의 실체를 규명한 것이다. ‘이론체계 초안’을 작성한 동암 차리석은 도산이 제창한 대공주의 정신을 적통으로 계승한 인사였다. 신민회 이래 20여 년을 넘게 동고동락한 동암과 도산은 평생의 동지였다. 동암은 1932년 도산이 피체될 때 도산의 역사를 최초의 기록으로 남긴 『도산선생약사』를 남겼고, 1938년 도산이 서거하자 「한국혁명영수 안창호선생 40혁명분투사략」을 통해 도산의 혁명사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세상에 밝힌 바 있었다. 동암의 서술은 1920년대 후반 도산이 민족대혁명당 건설을 제창할 때의 주장과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비록 대공주의라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도산 사상의 본질과 핵심을 짚어내고 있었던 것이다. 1942년 8월에는 ‘이론체계 초안’을 통해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을 체계화했는데 그 요체 역시 1926년 삼일당 연설에서 도산이 민족대혁명당을 제창 때와 1938년 「분투사략」때의 것과 맥을 같이하고 있었다. 다만 한국독립당의 당의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이제까지의 것보다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이며 이론적 성격을 지니는 것이었다. 그것은 삼균주의의 논리와 달리 주권독립, 건설균등, 세계공영이 불변의 당의라 규정했다. 이는 곧 도산이 민족대혁명당을 주창할 때 내세운 정신과 주의에 다름 아닌 것이었다. 대공주의란 ‘민족독립’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된 사상이자 주의였다. 도산의 대공주의는 국민대표회 때 창조파와 개조파의 논리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모아지고 있었으며, 명실공히 민족세력의 통합을 위해 새로운 방도를 제시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새 지평을 열어간 민족대당운동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무렵 도산에게는 민족세력을 포용하여 통합으로 이끌어내는 자체가 주의와 사상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대공주의의 본질이자 실천이었다. 도산의 대공주의는 1930년 한국독립당이 결성될 때 당의·당강에 반영되었다. 그리고 대공주의는 1938년 동암이 작성한 「분투사략」을 거쳐 1942년 ‘이론체계 초안’에 이르러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uth of Ahn Chang Ho’s Daegongjueui(大公主義) in the late 1920s through The draft of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s policy(1942) written by Cha Lee Seok. Dongam Cha Lee Seok who wrote to ‘The draft of theoretical system’ was direct inherited Dosan’s Daegongjueui.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w People’s Association(1907), Dongam and Dosan have been great feeling of camaraderie for over 20 years. In the arrested Dosan in 1932, Dongam wrote 『Dosan’s Summary History』what the book that Dosan’s history at first. At Dosan died in 1938, He illuminated value what Dosan’s revolutionary ideas through the book that 『The Korean revolutionary leader, Dosan Ahn Chang Ho 40 revolution vigorous history』. Dongam’s description accorded with Dosan’s opinion that he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 National Party in the late 1920s. Even if the named Daegongjueui was not, Dongam’s description accorded with the essence and point of Dosan’s idea. He systematized theor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s policy through The draft of theoretical system in 1942. 8. Also The key point was accor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 National Party in 1926 and the idea of 『vigorous history』 in 1938. Simply speaking, It means more detailed systematizd process that theor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s policy. It defined Independent Sovereignty, Equality Construction, Public Management to the World was unchangeable party policy differentiate from Samgyunjueui (三均主義). Daegongjueui was Dosan’s idea for achie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Dosan’s Daegongjueui combined the logic behind politics of The creationist and The Reconstructionist in The Representative of the Nation Conference. Also it suggested The New Way for national unification. Consequently, The Great National Party Movement achieved good results. Dosan’s idea embraced national power be integrated. It was the essence and action of Daegongjueui. Advanced, Dosan’s Daegongjueui was reflected in party policy and principle at the establishment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1930. And Daegongjueui suggested more detail in The draft of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s policy in 1942 through 『vigorous history』by Dongam in 1938.

      • KCI등재
      • KCI등재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ㆍ과잉운동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사건관련전위 비교 연구

        신성웅,박진형,김희찬,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집중 과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3명의 남자 환자와 8명의 정상 남자아이에게 청각적 주의집중 과제를 제시하고 사건관련전위를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분석법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각 군 아동의 표준자극과 표적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파형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차원에서 서로 비교하였고, 각 군 안에서 표적자극과 표준자극을 주었을 때의 진폭을 비교하였다. 표준자극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주파수와 좌측 위치에서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아동보다 의미 있게 높은 전압을 나타내었다. 반면 표적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더 높은 전압은 보이는 경우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정상 아동이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보다 큰 진폭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미 있게 증가하였나. 이런 결과는 주의집중을 반영하는 Nd파형의 푸리에 변환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즉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지나치게 강한 반응을 보이지만 정작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더 약한반응을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주의력결핍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정상 아동 보다 표적자극에 의한 진폭 증가를 보인 전극과 주파수 영역이 적었을 뿐 아니라 일부 파형은 표준자극을 주었을 때보다 표적자극을 주었을때 오히려 진폭이 의리 있게 감소하여서 이들이 표적 자극에 대해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정상 아동들은 표준자극보다 표적자극에 대해서 거의 모든 전극 위치와 주파수 대역에서 의미 있는 진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전극에서는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더 큰 진폭을 보이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웨이브렛 분석 결과 표준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력곁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자극이 제시된 후 0∼300msec 사이에 일어나는 전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컸다. 이런 차이는 주로 전전두엽과 전두엽 앞쪽, 그리고 측두엽 일부와 후두엽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두정엽과 중앙 영역의 전극들은 특히 300∼370msec 이내에 일어나는 전위에서 정상 아동이 더 활발한 전기 활동을 나타내었다. 표적 자극에 대해서는 두 군 모두 표준자극보다 전기 활성이 더 증가한 양상이었다. 표적자극에 대해서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아동은 전전두엽과 전두엽 영역에서는 여전히 정상 아동보다 더 활발한 전기 활성을 보였으나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정상 아동이 더 큰 진폭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지나친 반응을 보이며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저하된 반응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푸리에 변환 등 주파수 차원 분석법과 웨이브렛 분석 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중심 단어 :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ㆍ사건관련전위 ㆍ푸리에 변환 ㆍ 웨이브렛 분석.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and wavelet analysis, we compared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of the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bbr. ADHD, 13 boys) and normal control children (8 boys) Amplitudes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s which were calculated via Fourier transform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d between conditions (non-target versus target) in each group. To the non-target stimuli, the patients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mplitudes across almost all of the electrode sites and frequencies. To the target stimuli, the incidents which ADHD patients showed much higher amplitudes than normal control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reverse resul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comparison results about negative difference wave (abbr. Nd wave)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In summary, it was proved that non-target stimulus which should be ignored elicited more robust electrical response from the patients with ADHD than normal children, but the target stimulus which required active processing did much less electrical activity in the patients. For the patients, they showed much inhibited electrical response to the target stimuli in some electrodes and frequency ranges. Normal children were more strongly stimulated by the target stimuli in almost all electrodes and frequency ranges than the patients, but less in prefrontal leads and frontal leads. Wavelet analysis results proved that early responses (0-300msec) to the nontarget stimuli of th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normal controls in prefrontal, anterior frontal, some parts of temporal, and occipital lobes and that late response (300-370msec) were significantly lesser than normal children in parietal and central electrodes. Target stimuli elicited significantly higher electrical activity in both group than non-target stimuli did. Prefrontal and frontal lobes showed stronger responses in the patients than normal children irrespective of stimulus condition, but parietal and temporal lobes did higher activities in normal children than the patients only to the target stimuli. In conclusion, the patients wish ADHD showed much greater responses to the stimuli which should be ignored, but failed to activated the necessary processes to the target stimuli. Also, we found that the frequency-dimension analysis and wavelet analysis were useful for the signal processing such as event-related potentials. KEY 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ㆍ Event related potentials ㆍ Fourier transformation ㆍ Wavelet analysis.

      • KCI등재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골프 수행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효경 한국골프학회 2022 골프연구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ttention focus, that is,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affect golf performance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group or control group, and performed a pitch shot toward a target from 15m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18m in the retention test. [Result]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internal focus and control condition, whereas in the retention phase, the holistic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internal focus of attention and control condition, and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control condition. [Conclusion] This means that only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whereas holistic and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It was confirmed that holistic attention was valuable as another possible attention strategy that could be used in addition to external focus of atten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초점의 유형, 즉 전체적 주의초점, 외적 주의초점, 내적 주의초점이 정확성을 요하는 골프 수행 및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참가자들은 전체적, 외적, 내적 주의초점 그룹 또는 통제조건 그룹에 무선 배정되어 습득 단계에서는 15m, 파지 및 전이 검사에서는 18m 거리에 있는 지름 50cm의 표적을 향해 피치 샷을 수행하였다. [결과] 습득 단계에서는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서만 유의한 주효과가 발견된 반면, 파지 및 전이 단계에서는 전체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 그리고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통제조건에 대해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수행에 있어서는 외적 주의초점만 영향을 미친 반면, 학습에는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전체적 주의초점은 외적 주의초점에 더해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주의초점 전략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