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正倉院藏 ‘第二新羅文書’의 正解를 위하여

        權仁瀚(Kwon In-han) 구결학회 2007 구결연구 Vol.18 No.-

        이 글은 日本 正倉院에 所藏되어 있는 ‘第二新羅文書’에 대한 正確한 判讀 및 解讀을 目標로 한다. 이 文書에 대한 判讀 및 解讀에서 國語學界와 國史學界 사이에 많은 見解差를 드러내고 있음을 勘案히여 되도록 客觀的인 姿勢로써 이에 대한 正解를 試圖하는 한펀, 이 文書의 [앞면] 첫 글자로 登場하는 新羅 俗字 ‘?’의 正體를 究明하기 위한 論議도 겸함으로써 新羅의 吏讀 내지 字形 硏究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第二新羅文書’의 正確한 判讀에 焦點을 맞추었다. 그 결과. ①‘接五’([앞면] 1行). ②'馬於內’([앞면] 2行). ③‘永忽知乃末’([뒷면] 2行), ④‘六互大舍’([뒷면] 2行), ⑤‘契米山大舍’([뒷면] 3行) 등 그 동안의 論議들에서 論難을 빚은 部分들에 대하여 唐代 字形 資料와의 比較를 바탕으로 字形 判讀을 어느 정도 確定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解讀面에서는 ①‘馬於內’를 ‘*마?나’[蒜地]로 解讀할 수 있는 地名임을 確忍한 점, ②‘汚去如’의 ‘-去’가 吏讀吐라기 보다는 ‘-了’ 즉, 完7相 表示의 語助辭 機能을 지니는 漢文 文法的 要素임을 指摘한 점, ③‘失’과 ‘丑’에 대하여 韓國漢字音의 觀點에서 各各 ‘實’과 ‘楸’의 假借 表記가 될 수 없음을 指摘한 점 등 從前과는 새로운 主張을 펄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新羅 俗字 ‘?’에 대해서는 雁鴨池 出土의 207번 木簡에서의 쓰임과 「世宗實錄地理志」에서 ‘~尾’로 나타난 貢物의 分布 등을 綜슴的으로 考慮하여 ‘豹’=‘土豹’ 즉, 스라소니(제l 후보) 또는 ‘孤’ 즉, 여우(제2 후보)를 의미하는 글자일 可能性이 높음을 論議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