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명절 쇠는 방식의 방향성

        김용갑(Kim, Yong-Kab),박혜경(Park, Hye-Gye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1

        이 연구는 한(韓)민족 고유의 명절 쇠는 방식 중 하나가 의례보다는 절식(음식) 위주임을 밝히고, 이 전통을 부활시켜 명절 환경의 변화와 과도한 가사노동 등으로 퇴색해 가는 명절 문화를 유지·계승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문제 제기는 한국의 명절 기념 환경이 농업 중심에서 산업·정보화 시대로 바뀌는 등 생산과 정치·경제·사회·문화의 구조 및 제도는 물론 지향가치마저 크게 변화된 것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남성 중심과 유교가 바탕이 되는 현재의 명절 쇠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한국 사회가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 사회 진입 등으로 실질적 명절 기념인구도 크게 줄고 있어 이를 극복하는 한 방향으로써 의례를 생략하고 절식 위주로 명절을 쇠는 것이 요구된다. 이 같은 방향성은 동지 팥죽과 대보름의 오곡밥(찰밥)에서 나타나듯, 유교의 차례 이전은 물론, 현대까지도 다수의 한국인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한민족 고유의 명절 기념 방식 중 하나라는 것에서도 기인한다. 본 연구는 절식 중심의 명절 쇠는 방식을 제시하고 팥죽 뿌리기 등이 한국 고유의 의례형식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명절 기념 방식의 패러다임을 재고하고 명절에 따른 스트레스와 과도한 가사노동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one of Korean’s unique and traditional way of celebrating traditional holiday is based on Jeolsik (representative food) rather than ritual, and to maintain and inherit the holiday culture that is fading due to changes in the holiday environment and excessive domestic work through the resurrection of this tradition. This topic is raised because Korea’s economic structure, social system, and political system as well as Koreans’ value directionality have changed greatly, with the holiday environment in Korea shifted from the agriculture-centered era to the industrial and information-centered one.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current way of celebrating holidays, based on male and Confucianism-centered. As one of the way of overcoming this, it is required to omit the holiday ritual and to commemorate the food (Jeolsik) -centered holiday because the number of actual celebrating holiday populations in Korean society has been greatly de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ntry into the aging society. Such directionality also comes from because Jeolsik -centered holiday commemoration is one of the Korean’s unique way of celebrating traditional holiday, which is practiced by many Koreans, not only before the influx of Confucianism but also in modern times, as shown in Patjuk (red bean porridge) of Dongji and Ogokbap of Daeboreum,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way of food-oriented holiday celebrating and reveals that sprinkling red bean porridge etc. are the Korea’s unique ritual for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reconsider the paradigm of the holiday celebration way and to relieve the stress and excessive domestic work of the holiday.

      • KCI등재

        적산(赤山) 법화원(法華院)의 8월 15일 명절 연구

        김인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8월 15일 명절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신라에만 있었는데 그 이유는 이 명절이 신라의 오묘제(五廟 祭)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이다. 8월 15일 명절이 형성되고 정착되는 과정에는 오묘제, 천신의례, 달숭배 , 고구려정복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하였는데 적산 법화원의 노승들이 고구려정복만을 말한 것 은 타국에서 생활하는 재당신라인들이 영광된 역사를 통하여 타국에서의 고단한 삶을 극복하고자 하 는 심리적 의도가 담겨 있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 음식 중 가장 중요한 음식은 박돈(餺飩)이다. 한국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박돈을 수제비로 번역하고 있으나 박돈은 제조방식이나 이후의 문헌자료로 보아 국수로 번역하는 것 이 옳다. 당시 국수는 보편화된 음식이 아니어서 사신접대, 제사음식, 잔치음식으로 사용되는 매우 귀 한 음식이었다. 귀한 박돈을 8월 15일 명절에 먹었다는 것은 8월 15일 명절이 매우 중요한 명절이었음 을 말한다. 박돈뿐만 아니라 매우 많은 음식을 설(設)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잔치의 규격과 형식에 맞게 음식을 체계적으로 안배한 것으로 8월 15일 명절이 이미 체계를 갖춘 명절이었음을 말한다. 그리고 8월 15일 명절은 전문적인 공연단에 의해 3일 동안 밤낮으로 공연이 이루어지는 열정적인 축제였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이 체계를 갖춘 명절로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적산 법화원이 나당간의 국제교류와 무역의 중심지이며, 중국 중추절이 전승기념일적 요소가 있는 것은 중국 중추절의 기원이 신라의 8월 15일 명절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송나라 시기 중추절과 신 라 8월 15일 명절의 내용상에 있어 나타나는 현저한 차이, 엔닌(圓仁)의 기록 후 364년이 지난 후에 중 추절이 정식 명절로 지정된다는 시간적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The reason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existed in Silla only in East Asia was this holiday was oriented from Omyoje (五廟祭) of Silla. As for the proces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formed and settled, various factors were worked such as Omyoje, offering the first harvest of the season to the gods, the moon worship and Goguryeo conquest etc, but the reason that old Buddhist priests of Jeoksan Beophwawon mentioned Goguryeo conquest only had a psychological intention that the people of Silla who resided in Tang would overcome their exhaustion in a foreign land through the glorious history. Jeoksan Beophwawon’s most important food among foods of holiday on August 15 is Bakdon (餺 飩). Korean scholars translated Bakdon into sujebi (clear soup with dumplings) but it is proper to translate into noodles by considering its making method or literature materials afterwards. At that time, noodles were not generalized food, so it was very important and precious food which were used to treat ambassadors and as the ritual foods and feast foods. The thing to eat precious Bakdon on the holiday on August 15 mean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very important holiday. Not only Bakdon but “It was prepared plenty of foods”, and this arranged foo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onvention of the feast, so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the one to have its own system already. And it was an enthusiastic festival to deliver performances three days and nights due to professional performance group.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of Jeoksan Beophwawon was held magnificently with its system and Jeoksan Beophwawon was a center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de between Silla and Tang, and the Mid-Autumn Day in China has an element as an anniversary of a victory shows that it would have the possibility the origin of the Mid-Autumn Day was a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However, to verify this, it should have overcome the noticeable difference appeared in the contents between the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and the Mid-Autumn Day of Sung, and the temporal difference that the Mid-Autumn Day was designated as an official holiday after 364 years after the record of yennin (圓仁).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아동도서에 나타난 명절음식의 서술내용 분석

        주영하(Joo Young-Ha)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19 No.-

        본고는 2007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최근에 간행된 아동서를 중심으로 명절음식의 서술에 대해 살피는 데 목표를 두고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서 명절음식이라는 민속의 표상(表象, representation)과 실재(實在, Reality)에 대해 조망하려 한다.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아동서에서 묘사된 명절음식 중에서 오늘날도 가정에서 소비하는 것은 설날의 떡국, 정월대보름의 부럼, 복날의 삼계탕과 개장국, 그리고 추석의 송편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사회교과서와 아동서에서는 과거의 명절음식을 모두 언급하고 있다. 책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명절음식에 대한 묘사는 상당히 과거형에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이 사회교과서와 아동서에 나타난 명절음식의 첫 번째 표상이다. 그런데 사회교과서와 아동서에서는 마치 현재에도 그러한 명절음식이 소비되고 있는 것처럼 묘사를 하였다. 실재와 다른 이러한 표상은 과거를 아름답고 좋은 시절이라는 이미지를 독자에게 제공해준다. 특히 사회교과서에서는 옛날 조상들이 계절에 따라 갖가지 음식을 먹었다고 묘사한다. 하지만 오늘날 왜 이런 명절음식을 먹지 않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이로 인해서 아동들이 이 지식을 시험을 위해 외워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많다. 아동서와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명절음식의 서술내용은 민속의 전국적인 획일화(standardization)와 관련이 있다. 민족적 혹은 국민적 정체성을 표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해야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문화의 다양성보다는 전국적인 획일화가 이루어진다. 교과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초등학교 사회과목에서 지역사회와 지역문화에 대한 부분이 상당한 양 포함되기 시작했지만, 그 묘사의 내면에는 명절음식처럼 현재의 실재보다는 과거의 표상이 더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그 과정에서 명절음식의 서술내용에 획일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대안을 민속학 연구자들은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종 민속 현상에 대한 20세기의 변화과정을 추적하고 설명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1920~30년대, 1960~70년대, 그리고 1980~90년대에 진행된 민속의 변화?소멸?변용 양상을 면밀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가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집필자는 물론이고 매스미디어와 출판사의 편집자와 작가들에게 제시되어야 그 서술 내용이 실재와의 괴리를 좁힐 수 있다. 아울러 교과서 집필에 민속학 연구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seasonal food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and children’s book in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 prospect the korean seasonal foods, of its role as a folklore representation(表象) and of its reality(實在). Among those described in textbook, the food that are still consumed at home are Tteokguk (rice cake soup) on the New Year’s Day, Bureom(bite on the nut to ward off boils) on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Samgyetang(chicken broth with ginseng) and Gejanggook(dog soup) on one of the three dog days and Songpyeon (half-moon-shaped rice cake) on Korean Thanksgiving day. However, the textbooks mention all traditional seasonal foods. Although the description of seasonal foods differs in each textbook, it is described as past tense. It is the first representation. Indeed, the book presumes continuous consumption of traditional seasonal foods today. These representation remote from reality provides fantasy of good old days to the readers. Especially, the textbook describes that our ancients enjoyed the various foo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season. However, it does not explain the reason of not consuming traditional seasonal foods today. Therefore it gives away the possibility of children recognizing the knowledge as dead facts for the exam. The description is related to the nationwide standardization of the folklore.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nation’s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emphasizes nationwide unique standardization more than diverse tradition of the local community. Textbook faithfully reflects these properties. Even though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has begun to contain the local community and culture section in the textbook, its contents highlight style of the past than the reality of the present. This leads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description. Folklorist should find the alternatives. It is necessary that researchers trace, explain and interpret the variation of folklore in the 20th century. The variation, extinction and transformation of folklore in the 1920’s and 1930’s, 1960’s and 1970’s, 1980’s and 1990’s are in particular. Thus, overcoming the gap between the description and the reality is our first concern. And it is only achieved by the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authors and editors of textbook and mass media. In addition, preparing the way for an active participation of folklorist is needed.

      • KCI등재

        북한의 양력설과 음력설 –북한의 민속정책과 국가의 ‘민속명절’ 만들기-

        안주영(An, Ju-young)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이 논문은 북한의 명절 중 해방 후 민속명절과 사회주의명절의 이중적 정체성을 갖게 된 ‘양력설’, 1980년대 이후 전통 민속명절로 재창조된 ‘음력설과 정월대보름’이라는 두 개의 설을 중심으로 북한의 명절문화와 세시풍속의 변화, 민속전통의 의미 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해방 후 북한사회에서ᅟᅳᆫ 음력설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 민속명절은 부정되거나 비판받았던 반면, 새로운 국가의 양력 시간체제 내에서 양력설은 국가의 중요한 민속명절로 부각되며 진보적이며 인민적인 명절, 새로운 사회주의국가의 민속명절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1986년에 김정일이 제기한 ‘조선민족제일주의’에 따라 북한의 민속정책은 전환되었고, ‘민족의 설’이라는 민속전통의 정체성은 음력설과 정월대보름에 이전되어 재생산되었다. 해방 후 북한에서 대두된 양력설, 1980년대 이후 부활한 음력설과 정월대보름은 모두 국가에 의해 ‘만들어진 전통’이다. 1980년대 이후 국가가 내세우는 ‘민속전통의 설’이 양력설에서 음력설로 이전되었으나, 양력설과 음력설 모두 내면적으로는 사회주의명절의 함의가 내포되어 있다. 음력설에 내재된 ‘전통 민속명절’ 역시 전통의 세시풍속을 함의하는 것과 더불어 사회주의 국가체제의 결속과 유지를 위한 민속적 전통의 부활과 재창조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북한사회에서 지속·변용되는 이러한 ‘만들어진 전통’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인민 대중은 양력설과 음력설의 세시풍속과 국가의례 등을 실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를 내면화하게 된다. The Solar New Year’s Day is one of North Korea’s folk holidays that has acquired a dual identity as a folk holiday and a socialist holida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The Lunar New Year’s Day and Jeongwol Daeboreum(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have been reinvented as traditional folk holidays since the 1980s. Focusing on these seasonal customs, this paper examines North Korea’s holiday culture, changes in seasonal customs, and the meaning of folk traditions.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n society, existing traditional folk holiday, including the Lunar New Year’s Day, were denied or criticized, while in the new national calendar system, the Solar New Year’s Day wa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national folk holiday. The Solar New Year’s Day was transformed into a progressive and people’s holiday, a folk holiday of a new socialist state. However, in 1986, North Korea’s folklore policy was reversed under Kim Jong Il’s “the Chosun people’s nationalism” and the identity of folk tradition as “the New Year’s day of the people” was transferred and re-produced in the Lunar New Year’s Day and Jeongwol Daeboreum. The Solar New Year’s Day, which emerged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and the Lunar New Year’s Day and Jeongwol Daeboreum, which have been revived since the 1980s, are all state-invented traditions. Since the 1980S, “the New Year’s day of folk tradition” of the state has shifted from the Solar New Year’s Day to the Lunar New Year’s Day, but both the Solar New Year’s Day and the Lunar New Year’s Day are inherently socialist holidays. This is because “the traditional folk holiday” inherent in the Lunar New Year’s Day also implie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s well as revival and re-creation of national traditions for the cohesion and maintenance of the socialist state system. In this ideology of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at is perpetuated and transformed on North Korean society, the public naturally internalizes it by practicing seasonal customs and national rites of the Solar New Year’s Day and the Lunar New Year’s Day.

      • 코로나19 확산 이후 추석 명절 경험 및 명절 문화 변화 전망

        손서희(Seohee Son),서찬란(Chanran Seo)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상황에서 처음 맞이한 추석 명절 경험과 향후 명절 문화 변화 전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님 중 최소 한 분 이상 생존해 계시고 혼인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55세 이하의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6일부터 23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평균차이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맞이한 추석은 이전 추석과 다른 모습이었다. 떨어져 생활하는 부모님 방문이 감소하고 가족이 집에서 휴식을 취한 경우가 증가하였다.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과 함께 명절을 보낸 경우에도 방문 시기 및 기간 조정, 모임 규모 축소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그동안의 명절에 대한 경험은 성별 및 연령대별, 가족관련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 연령대가 높을수록, 본인이나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 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명절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차례 등 명절 문화의 간소화, 개인 중심의 시간 활용 증가 등과 같이 향후 명절 문화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구체적인 변화 방향에 대한 응답은 연구참여자의 연령대별, 가족 관련 특성에 따라 상이하였다. 앞으로의 명절 문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가족관계 강화와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문화 조성이 필요하며, 모든 가족구성원이 가족 간의 정을 느끼고 휴식을 경험할 수 있는 명절을 위한 가족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2020 Chuseok holiday experiences in the face of social confus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rospect of changes in the culture of holidays such as Chuseok and New Year’s Da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1,100 adults between 20 and 55 years who had ever been married and had at least one parent or parent-in-law.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one-way ANOVA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020 Chuseok holida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ffered from previous Chuseok holidays. The number of visits to parents living apart decreased, and cases of families staying at home increased. Even when spending time with parents living apart, there were changes, such as adjusting the visit time and duration, and reducing the size of gatherings.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holiday differed by gender, ag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equality within the family. Being male and older,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nd a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equality within the family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holiday. Third, a significant number of the participant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holiday culture. However, the responses to the specific directions of change differed by gender, age,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For the change of the holiday culture to flow in a positive dire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mily services that strengthen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and make an effort to foster a democratic and gender-equal family culture.

      • KCI등재

        중국 7대 전통명절 상징색채 특성 연구

        유우훤,남용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3

        명절은 민족 문화계승의 중요한 매개물 역할을 한다. 전통명절 의식에는 특유의 의미를 가지며 색채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7대 명절 심벌디자인에 나타난 중국인의 색채 의식을 통하여 명절 상징색채 특성의 방향을 연구했다. 첫째, 전통색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전통색에 대한 의미를 조사하였다. 둘째, 중국 명절 풍속과 전통색채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국의 전통색채는 2010년 출판한『중국전통색채도감』을 참고로 153색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셋째, 7대 명절 심벌디자인을 중심으로 색채를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 하였다. 결론으로 첫째, 색채는 채도와 명도 차이가 높고 강한 배색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적색을 많이 선호한다고 문헌 연구에서도 조사 되었듯이, 본 연구에서도 7대 명절 심벌디자인의 색채 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 특징 또한 중국의 전통 색채이미지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Holidays act as important mediums of cultural inheritance. The thoughts present in these traditional holidays have special meanings and are usually expressed through colors. And so in this study, colors that can represent Chinese holidays as well as the Chinese people's perception about color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ogo designs used in 7 traditional holidays in China. For the methodology,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meaning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color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e 'traditional colors' of China us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book published in 2010 (Chinese Traditional Color Picture Book), which described a total of 153 colors. After determining the color meanings, customs observed in Chinese holiday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s were also studied. Focusing on the 7 holiday logo designs, colors were then analyzed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ogo designs utilize fancy and bright color schemes, and these have been used by Chinese people for a long time now. Thus, these colors symbolically used in holiday logos display strong color schemes which extensively differ in their chroma and brightness. Moreover, like w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observed, this study was also able to confirm from its color analysis that Chinese people prefer the red color. This color was also revealed to be an important feature in the image production of Chinese traditional colors.

      • KCI등재

        전통명절 주제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드러난 유아의 전통명절에 대한 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반응

        이길동,이은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responses of five–year-old children when their teacher reads aloud picture books that are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holidays. For this purpose, children’s reaction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data from observations for five weeks of their reading activities of picture books. The picture books had stories of four main Korean holiday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experienced the holiday traditions at home. Second, children had experiences of seasonal customs in their local holiday festivals. Third, children experienced the holiday traditions through the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Last, children showed analytical, inter-textual, personal, and performative responses to the picture books. These findings can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planning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on traditional holidays. It is suggested that tradi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planned in a consideration of children’s family and their enjoyment with its local festivals.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전통명절을 주제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하여 명절에 관한 유아의 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대 명절에 해당되는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5주간 실시하면서 유아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통 명절에 대한 유아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면, 첫째, 유아는 가정생활 속에서 명절에 대한 경험을 하였다. 둘째, 유아는 지역 명절 축제의 장에서 명절과 세시풍속에 대해 경험하였다. 셋째, 유아는 교육과정 속에서 명절에 대한 경험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적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 개인적 반응과 연행적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전통명절에 대한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그 기반이 되는 연구임을 시사한다. 이에 전통교육은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유아가 축제의 장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

      • KCI등재

        종교적 명절을 통해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

        문선영 ( Sun-young Moon ) 한국신종교학회 2021 신종교연구 Vol.45 No.-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종교적 명절은 신앙공동체를 이해할 수 있는 종교문화의 요소이다. 본 논문은 기독교계 신종교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기념해 오는 독자적인 종교적 명절을 통하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해 나간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8대 명절은 각 명절이 종단의 역사 속에서 제정되어 기념되어 온 순서와 달력을 기준으로 기념되는 명절의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종단의 역사 속에서 명절로 제정되어 기념되어 온 순서를 고려하여, 각 명절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어떤 신앙적 의미를 지니며 계승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명절은 기독교의 명절이 예수의 탄생과 그의 십자가 죽음 이후 부활 사건을 중심으로 기념되는 것과 확연히 다른 신앙의 양상을 보인다. 그 이유는 근본적으로 성서에 나타난 신과 인간 그리고 만물에 관한 세계평화통일가 정연합의 해석적 관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종교적 해석상의 차이는 신앙의 차이를 불가피하게 초래한다. 종교적 명절을 통해 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적 특성은 첫째, 종교적 이상의 원형인 인간에게 주어진 3대 축복의 완성을 회복해 나가는 신앙이다. 이러한 신앙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하여 초래된 신과 인간, 남성과 여성, 인간과 만물의 상실된 관계를 회복해 나가는 것을 함의하기도 한다. 둘째, 종교적 이상세계의 실현을 위해 인간의 책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신앙이다. 이상세계는 신의 권능으로 인간에게 주어지는 세계가 아니라 지상으로부터 인간의 책임적인 실천적 삶에 의하여 창건해 나가야 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앙은 구약과 신약을 이루는 성약(成約)의 사명을 지닌 신앙공동체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The religious holy days that have been periodically repeated are the factors of religious culture through which faith communities can be understood. This paper extends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about the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religious holy days which have been commemorated by it, a Christian new religion. The temporal order of main eight holy day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which have been established and commemorated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us order does not correspond to that of the holy days commemorated based on the calendar. By considering the former, this paper examines what religious meaning each holy day has had, which has been succeeded by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holy day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ave definitely different aspects of the faith from those of the Christian ones commemorated around Christ’s birth and the resurrection after the crucifixion, because the former reflect its interpretative perspective on God, human beings and all things, which appear in Scriptures. Differences in religious interpretations inevitably result in different faith. The faith characteristic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viewed from the religious holy day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aith that restores the completion of three blessings given to human beings, the archetype of a religious ideal. Such faith also implies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between men and women, and between human beings and all things, which was lost due to the fall of human beings. Second, it is the faith in which human beings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for realizing a religious ideal world. The ideal world is not given to human beings by the power of God, but is created by human responsible practical life on the ground. Such faith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premised on the faith communities’ recognition on the mission of completing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 KCI등재

        설·추석 명절 공휴일의 계보학 - 20세기 한국 ‘국민문화’ 형성의 한 경로에 대하여

        백광열 ( Baek Kwang Ryeol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7

        이 글은 한국 현대 사회에서 전통의 의미가 무엇인지 질문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통 명절인 설·추석이 오늘날 근대국민국가의 시간관리체계의 일환인 법정공휴일에 포함되기까지의 과정을 장기사적 시야에서 살펴본 것이다. 왜 많은 명절 중에 설·추석이 공휴일 체계에 들어가게 되었고, 또 어떤 명절은 배제되게 되었는가. 짧은 시기에 대한 분석으로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통명절과 현대 공휴일이 가지는 교집합을 중심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또, 명절과 공휴일에 대한 공식제도적 측면만이 아니라 그것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주체의 상호작용에도 주목하였다. 조선후기 시간관념(세시)과 그에 관련된 실천(풍속)의 제도화로서 명절의 존재는 근대전환기를 통과하면서 다양한 주체가 작용하는 경로를 거쳐서 오늘날 ‘민족의 명절’이라는 ‘국민문화’의 기원이 되었다. 한말 근대국가로의 개혁과정에서는 서구식 달력체계가 수용되고 국가적 기념일 제도가 형성되면서 대민적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민간의 명절 관념이 공휴일 체계와 조우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국가부재의 상황에서도 민간의 명절 관념은 공공화, 제도화되어 갔으며, 이것은 해방 이후 공휴일 체계로 이어지게 된다. 이같은 과정 속에서 많은 대중으로부터 수평적인 참여를 구가하던 실천들, 예컨대 단오 명절의 실천은 공휴일 체계 속으로 편입되지 못하였고, 반대로 설, 추석의 가족적 실천이 공휴일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사회의 일상문화를 담당하는 주체가 누구인가, 그리고 그러한 주체의 형성에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남긴다. This article is a way of asking about the meaning of tradition in modern Korean society, and takes a long-term historical view of the process of the traditional holidays, Lunar New Year and Chuseok, which are part of the time management system of modern people today. Why did the Lunar New Year and Chuseok fall into the holiday system during many holidays, and some holidays were excluded?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analysis of the local area of the short period of time, the long-term perspective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intersec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holidays.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not only to the official institutional aspects of holidays, but also to the practices of the masses responding to the system. As an institutionalization of time-concepts (sesi) and related practices (trend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xistence of holidays was the origin of the ‘national culture’ of today’s national holiday through the path of various subjects as they passed through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s the Western calendar system was accepted and the national holiday system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reform into the modern stat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public-private holiday concept came to encounter the public holiday system. Japanese colonial era Even in the absence of a state, the concept of a private holiday became public and institutionalized, which led to a public holiday system after liberation. In this process, the practice of horizontal participation from many people, especially the custom of Dano holiday, was not incorporated into the holiday system, while the family practice of Lunar New Year and Chuseok, was included in the holiday. This phenomenon leaves the question of who is responsible for the daily culture of Korean society and what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such a subject.

      • KCI등재

        한국 기혼 여성의 명절 스트레스: 검진센터 방문여성을 중심으로

        강동수,김종성,김성수,정진규,박한주,정숙영,임철순,최상욱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3

        Background: The Korean traditional national holidays commonly produce several physical symptoms related to str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stress from the married women during their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Methods: The subjects were 99 married women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evaluating the str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subjects were allowed to write in subjective stress score based on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es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 SD) score of the married women's str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was 38.7 (± 21.9). The score was widely distributed from the 0 to 100. The cases with hobbies to cope with stress showed significantly (P <0.05) lower stress score than those without hobby. The stress scor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family APGAR score (r =-0.346, P < 0.01).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stress score was related to family APGAR score and hobby to cope with stress (overall R2 = 0.171, P < 0.001). Conclusion: The stress score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was widely distributed from 0 to 100 in Korean married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act as a stressor for individual with a range of variable extent.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는 기혼 여성들이 명절 스트레스로인해 갖가지 신체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명절이 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에서 7월까지 대전의 한 대학병원 종합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99명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Holmes와 Rahe의 사회 재적응 척도의 점수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이 명절로 인한 스트레스 점수를 주관식으로 기입하게하였다. 명절 스트레스에 관련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가족 상황 및 명절과 관련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기혼 여성의 명절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SD) 38.7(±21.9)점이었고 점수의 범위는 0-100점으로 다양하였다. 명절스트레스 점수는 스트레스를 푸는 취미가 있는 경우가 없는경우에 비해 유의하게(P=0.029) 낮았고, family APGAR 점수와유의한(P=0.001) 음의 상관관계(r=-0.346)를 보였다. 다단계다중 회귀 분석 결과 family APGAR 점수와 스트레스를 푸는 취미 유무가 명절 스트레스 점수에 대해 17.1%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기혼 여성이 명절 때 받는 스트레스 점수는 0점에서100점을 보여 명절은 기혼 여성에게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스트레스로 작용한다고 사료되며, family APGAR 점수와스트레스를 푸는 취미 유무가 스트레스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