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긴 인문정신 :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5

        본 논문은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창세신화의 기본적 서사 전개 방향과 그 의미, 그리고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창세원리와 거기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이나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가 보여주는 기본적인 서사 전개의 방향은 창세물에 대한 정보량를 증가시키는 쪽이다. 거기에는 창세물(또는 창세상태)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전달도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최초의 창세신격이 창세물이라고 하는 구체적 현상뿐만 아니라 거기에 담겨져 있는 본질적 원리까지 창세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창세신화가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서사 전개 방향의 저변에는 창세신화 특유의 원리가 깔려 있다. 서사 전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인공의 행위라고 할 때, 창세신화의 주인공인 창세신격의 창세행위를 기준으로 그 서사과정을 살펴보면, 창조(창조한 것 : 창조된 것), 조판(조판한 것 : 조판된 것), 발견(발견한 것 : 발견된 것)이라는 세 가지 원리가 거기에 깔려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창조행위는 조판행위의, 창조행위와 조판행위는 발견행위의 타자화된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점에서 창세신화는 창조, 조판, 발견이라는 창세의 원리를 순차적이 아닌, 역동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신화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창세신화는 ‘창세’에 관한 인간의 정신적 탐구의 결과라는 점에서 볼 때, ‘창세신화’는 곧 ‘창세’에 관한 인류 정신문화에 관한 최초의 서사이기도 하다. 인문정신의 관점에서 창세신화를 분석할 여지가 있는 셈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살피고 두 가지로 요약하였는바, 창세원리는 창세행위와 그로 인하여 창세된 모든 창세물의 불균일적인 상대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 창세에 관한한 인간의 위대함과 무지함은 공존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창세기 5장 1-3절의 한글 번역과 기능에 관한 고찰

        하계상 한국구약학회 2015 구약논단 Vol.21 No.4

        창세기 5:1-3은 대부분, 본질적으로 창세기 1:26-28의 반향(反響, echo)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처럼, 한글 성경 역본들은 창세기 5:1-3을 미흡하게 번역해 놓았거나 그 번역에 일관성이 없다. 따라서 한글 성경 역본들에서 창세기 5:1-3의 번역을 바람직하게 고치고 그 번역에 일관성을 부여하며, 그 과정에서 창세기 1:26상, 27에 대한 한글 성경 역본들의 번역에도 부분적인 수정을 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째 목표이다. 따라서 논자는 BHS의 히브리 본문에 비추어 특히 히브리어 명사 첼렘(~l,c,., “형상, image”)과 더무트(tWmדְּ, “모양, likeness”), 히브리어 전치사 버(בְּ, “in”)와 커(כְּ, “after, according to”),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아싸(hf'[', “만들다, make”)와 바라(ar'B', “창조하다, create”)에 대한 번역과 그 번역의 일관성 여부에 주목하면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창세기 1:26상, 27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고려하면서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둘째 목표이다. 본 연구는 이 두 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시적/문학적 관점에서 창세기 1:26상, 27과 5:1-3의 최종 형태의 본문을 가지고 진행하며, 그 본문들에 대한 상세한 주석은 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연구의 결과로 ~l,c,.과 tWmדְּ, בְּ와 כְּ, 그리고 hf'['와 ar'B'의 번역들 및 그 번역들의 일관성, 그리고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평행대구 및 교차대구의 문학적인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여섯 한글 성경 역본들의 창세기 1:26상, 27과 5:1-3에 있는 여덟 종류의 미흡한 번역들이 지적되었다.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본문이 창세기 1:26상, 27과 갖는 밀접한 관련성 및 그 관련성의 본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들은 ~l,c,.과 tWmדְּ, 그 단어들과 결합되어 있는 בְּ와 כְּ, 그리고 hf'['와 ar'B'가 이루고 있는 절묘한 구조들에 확연히 나타나 있다. 그런데 창세기 1:26상, 27과 5:1, 3에서 ~l,c,.과 tWmדְּ이 만드는 교차대구는, 창세기 5:1, 3이 창세기 1:26상, 27과 연속성 및 불연속성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불연속성은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거의 잃어버렸다는 것이고, 연속성은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에게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다. 그 불연속성의 근거는 무엇보다도 창세기 5:3과 그 후에 이어서 전개되는 창세기 5장의 내용 자체이다. 하나님이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신 것뿐만 아니라 그들을 축복하신 것은 창세기 5장의 주제가 근본적으로 생식/번식을 지향하고 있음을 지적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른 것(5:2)은 “자기 모양 곧 자기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고 하”는 아담의 역할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담의 바로 이 생식과 작명의 행위는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 그분 자신의 모양으로 사람을 만드시고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르셨던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5:1b-2). 그러나 이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불연속성도 나타나는 곳이 바로 여기 창세기 5:3인데, 그것은 창세기 5:1중-2이 교차대구적 상응을 그 시작과 끝에서 함으로써 독립적인 단락의 경계를 정하는 듯이 보이는 것에 이미 암시된 사실이다. 그 불연속성은, 창세기 5:3에서 언급되는 “셋”이라는 이름이 가인에 의한 아벨의 죽음과 관련하여 작명되었기에(4:25) 죽음을 암시하는 바, 아담의 범죄의 결과로 초래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 Genesis 5:1-3 is, for the most part, essentially an echo of Genesis 1:26-28. As if never percieving it, however,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undesirably render Genesis 5:1-3,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translations. So this paper first aims to correct the undesirable renderings in the Korean versions, to give consistency to the translations, and also to correct the renderings of Genesis 1:26a, 27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n light of the Hebrew text in the 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I proceeded with this study specifical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translation of ~l,c,. (“image”) and tWmדְּ (“likeness”), בְּ (“in”) and כְּ (“after, according to”), and hf'[' (“make”) and ar'B' (“create”), and also to the consistency of their respective translations.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function of Genesis 5:1-3 in consideration of it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Genesis 1:26a, 27. I proceeded with this research from a synchronic/literary perspective, with Genesis 1:26a, 27 and 5:1-3 as the texts in their final form, and a detailed exegesis of the texts was exclud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pointed out up to eight kinds of unsatisfactory renderings in Genesis 1:26a, 27 and 5:1-3 occurring in six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which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l,c,. and tWmדְּ, בְּ and כְּ, and hf'[' and ar'B', to the consistency in translations, and to the literary aspects of parallelism and chiasm. A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Genesis 5:1-3, both perceiving its close relationship with Genesis 1:26a, 27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are needed, as is clearly shown in the exquisite structures made by ~l,c,. and tWmדְּ, by בְּ and כְּ coupled with ~l,c,. and tWmדְּ, and by hf'[' and ar'B'. The chiastic structure that ~l,c,. and tWmדְּ in Genesis 1:26a, 27 and 5:1, 3 make, however, hints at the latter’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the former. The discontinuity is that the image of God is almost lost through the Fall, and the continuity is that the trace of the image still remains in humans, and the basis for the discontinuity lies in Genesis 5:3 and the following verses of Genesis 5. Not only God’s creating mankind male and female, but also His blessing them, points to the basic theme of Genesis 5 as procreation, because the calling of Adam as “their name” (5:2) connotes the role of Adam to beget “in his likeness, according to his image” and to call “his name Seth” (5:3). Adam’s activities of procreation and naming are in the same vein with God’s activities of making mankind “in the likeness of God” when He created them (5:1b-2). In spite of this continuity, discontinuity also appears in Genesis 5:3, which is already hinted at in that Genesis 5:1b-2 seems to delimit itself as an independent pericope by the chiastic correspondence of its beginning to its end. As the name “Seth” itself in Genesis 5:3 hints at death because of his being named in relation to Abel’s death by Cain, the discontinuity is the ‘death of mankind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the consequence of Adam’s Fall. The discontinuity begins to be made clear in the record of Genesis 5 that “Adam ... died” (5:4-5) and is made very clear in the death of his son Seth (5:8) and of all his succeeding descendants. Last but not least is the significance of Genesis 5, which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broader context of Genesis—more specifically in the structural and thematic correspondence of the Genesis record of Noah with that of Abraham, and the similarity of Genesis 5:32 to 11:26. Just as Noah is the remnant (7:23b)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World,’ having come from the corrupt ‘Old World,’ so Abraham is the remnant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people Israel (cf. 12:1-5), having come from the rebellious nations. Especially Genesis 5:32 which ...

      • KCI등재

        중국 소수민족 이족 창세서사시의 자료 존재양상과 특징

        권태효 ( Tae Hyo Kwon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중국 서남부 지역은 각 소수민족별로 풍부하고 다양한 창세서사시를 전승시키고 있는 지역이다. 그 중에서도 이족은 거주지역마다, 지파(支派)마다 신화적 내용이나 성격에 있어 큰 편차를 보이는 창세서사시를 전승시키고 있어 자료의 다양성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아울러 각각의 자료가 담고 있는 신화소 또한 천지창조와 인류기원, 홍수범람, 문화기원, 혼례 및 제례의 기원 등 아주 다양하고 풍부하며, 전체적인 짜임새 또한 잘 갖춰진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인간의 진화과정을 눈이나 다리의 변화과정을 통해 잘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신화양상을 함유하고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족의 창세서사시는 채록지역별로 볼 때 윈난성의 『이족창세사(彛族創世史)』, 『메이꺼[梅葛]』, 『차무[査姆]』, <먼미지엔쨔지[門米間札節]>, 『아시드시엔지[阿世的先基]』, <니쑤두어지[尼蘇奪吉]>, 구이저우성의 『서남이지(西南彛志)』, 쓰촨성의 『러어터이[勒俄特衣]』, <인류기원의 신화전설에 관하여[關于人類起源的神話傳說]> 등의 자료가 전승되고 있다. 이런 이족 창세서사시의 전승상 특징은 주로 피모라는 사제자에 의해 기록되거나 구비되면서 전승된다는 점, 피모가 상층계급이면서 이문(彛文) 전승의 주체적 역할을 했기에 창세서사시는 기록전승의 양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었다는 점, 가창시기는 새해를 비롯한 중요 명절과 관혼상제, 곡식의 수확 등 중요한 절기나 행사가 있을 때마다 불려졌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이족 창세서사시의 다양한 자료 양상 및 구성은 우리의 창세서사시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지침을 된다. 천지창조나 인류기원, 일월조정, 죽음의 기원 등 우리 창세서사시와 비교해 유사한 신화 구성요소들도 다양하게 발견되며, 우리의 경우 창세서사시와 분리되어 별도의 자료 형태로 전승되는 여러 무속서사시가 하나의 짜임새로 묶여질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기도 하다. The Southwestern region in China is the place where the Creation epics of ethnic people are being transmitted. Among the ethnic people, the Creation epic of Yizu (Yi ethnic) is academically highly valuable because Yizu has rich and diverse Creation epics of the regions they reside in and lineages they belong to. The Creation epics are very colorful in their mythica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Due to its feature of diversity, the Yizu’s Creation epics can be regarded as invaluable sources in the academia. In addition, each Creation epic has varied of flavors in mythical elements, the Creation, origin of mankind, flood, origin of civilization, and origin of wedding ceremonies and rituals which the Creation epic conveys and they are also well-organized. Especially, since the human being’s evolution process with the evolution of humankind’s eyes and legs is conveyed in the Creation epics, they could be regarded as a source having the unique mythical aspects. According to the regions where the Creation epics of Yizu are being recorded, the Creation epics of Yizu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Yizuchuangshishi』, 『Meige』, 『Chamu』, 『Menmijianzhajie』, 『Ashidexianji』, 『Nisuduoji』 in Yunnan, and 『Xinanyizhi』 in Guizhou, 『Leieteyi』 and 『On myth of Human beings’ origin』 in Sichuan have been transmitted. The three features can be deducted from the Creation epics of Yizu. First, the epics have been recorded and transmitted by Bimo, the priest class in the Yizu class system. Second, even though Bimo people belong to the upper class in the hierarchy of the society, they play an essential and subjective role carrying out to transmit the Yi literature. In this regard, the Creation epics of Yizu have the aspect of recording and transmission. Third, people used to sing the Creation epics of Yizu on the important occasions such as New Year, national holidays,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ial rites, and harvest. These kinds of diverse aspects and contents which the Creation epics of Yizu have essentially help us to understand the Creation epic of Korea as well. Compared the Creation epics of Yizu with the Creation epic of Korea, they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mythical elements with those of Korea in terms of the Creation, the origin of human kind, rearrangement of Sun and Moon, and the origin of death, Accordingly, it could be possible that the diverse shamanic epics, as independent sources, which have been transmitted separately from the Korean Creation epic, can be grouped into a structure.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신과 신적 영웅, 그 변별적 자질의 분석과 의미-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엘랄 작품군을 중심으로 -

        최원오(Choi, Wo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4

        본 논문은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창세신화 엘랄 작품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군에 등장하는 신들을 창세신과 신적 영웅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 신적 영웅은 ‘영웅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 등을 아울러 밝힌 것이다. 엘랄 작품군 은 테우엘체 원주민에게 창세신화의 범주에서 전승된 것이기 때문에, 이 작품군의 주인공인 코츠와 엘랄이 창세신으로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논문은 코츠는 창세신, 엘랄은 신이면서 영웅, 즉 신적 영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창세신화는 시초의 것, 원형적인 것 등을 제시하여 현실적 세계 의 당위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코츠와 같은 창세신의 주된 자질은 영속적인 것들의 창조로, 엘랄과 같은 신적 영웅의 주된 자질은 비영속적인 것들의 조정과 경계 획정으로 그 당위성이 설명되는 것이다. 그 점에서 코츠는 우주 및 자연의 기원이 되는 창세신의 원형에 해당한다면, 엘랄은 문화영웅이나 인간적 영웅의 기원이 되는 ‘영웅의 원형’에 해당한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의 창세신화에서처럼 복 수의 창세신이 등장하는 경우, 그 변별적 자질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뿐만 아니라, 신적 영웅 및 영웅의 비교문학적 연구를 시도하는 데에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creation myth(Elal Cycle) of Tehuelche Aborigines of South America, that the gods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on gods and divine heros, and that the gods show the prototype of the heroes. In Elal Cycle, Kóoch argues that creation gods and Elal can be distinguished as divine heroes. The main qualities of the creation god, such as Kóoch, are the creation of perpetual things, and the main qualities of the divine hero, such as Elal, are explained by the adjustment and boundary delimitation of non-perpetual things. In that respect, if Kóoch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creation god, which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e Elal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hero,’ which is the origin of a cultural hero or human hero.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distinctive qualities and meanings of two creation gods as they appear in the Korean mythology.

      • KCI등재

        창세기 2장5-6절의 번역/해석 및 기능에 관한 고찰

        이충열,하계상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3

        창세기 2장 5-6절은 한글 성경 역본들과 외국어 성경 역본들, 그리고 구약학자들 간에 그 번역/해석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서로 모순되기도 한다. 따라서 창세기 2장 5절의 시아흐 핫사데(hd,F'h; x;yfi)와 에세브 핫사데(hd,F'h; bf,[e), 그리고 6절의 에드(dae)에 대한 어휘 연구, 창세기 2장 5-6절의 본문 자체에 대한 면밀한 연구, 그리고 상호관련성이 있는 다른 본문들 속에서 살펴보는 창세기 2장 5-6절의 간본문적 해석(inter-textual interpretation)을 통하여 창세기 2장 5-6절을 보다 정확하게 번역/해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째 목표이다. 창세기 2장 5-6절의 기능에 관해서도 대부분의 학자들이 부분적으로만 이해하고 있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창세기 2장 5-6절이 그 협의의 문맥과 광의의 문맥에서 갖고 있는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둘째 목표이다. 논자는 이 두 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시적/문학적 관점에서 BHS(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의 히브리어 본문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연구를 진행했다. 창세기 2장 5절의 시아흐 핫사데(hd,F'h; x;yfi)는 구약에서 유일하게 사용되었으나, 시아흐(x;yfi)가 나오는 창세기 21장 15절과 욥기 30장 4, 7절을 참조하고, 창세기 2장 5a절와 창세기 3장 18절이 만드는 평행대구 및 창세기 3장 17ba-bb절, 18a절, 그리고 19aa절이 이루고 있는 평행대구를 통해 그 의미를 밝혀냈다. 창세기 2장 5절의 에세브 핫사데(hd,F'h; bf,[e)는, 창세기 3장 18절과 출애굽기 9장 22, 25절[2x], 그리고 10장 15절의 용례를 참조하되, 특히 창세기 2장 5절에서 처음으로 히브리어 아바드(db;[', “경작하다”)를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창세기 3장 23절에서 사용함으로써 구약에서 바로 그 두 곳에서만 나타나는 의미심장한 표현 라아보드 에트-하아다마(hm'd'a]h'-ta, dbo[]l;)에 주목하고, 창세기 2장 5절 바로 그 다음으로 에세브 핫사데(hd,F'h; bf,[e)가 나오는 창세기 3장 18절이 그 전후의 17b절 및 19aa와 이루는 평행대구를 살펴본 후 시편 104장 14절과의 관련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했다. 창세기 2장 6절의 에드(dae)는 구약에서 욥기 36장 27절에 단 한 번 더 사용되었으나, 그 곳에서의 번역/해석도 그 문맥에서 유추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창세기 2장 6절의 에드(dae)에 대한 정확한 번역/해석을 위한 정보는 창세기 2장 6절의 주어(主語)인 에드(dae)의 술부(述部)들 및 비교 언어학으로부터 얻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비교 언어학에 기초한 기존의 주장들은 게르하르트 하젤과 마이클 하젤에 의해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심지어 하젤 부자(父子)가 새롭게 부각시켜 강화한 주장도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것은 창세기 2장 6절 자체를 주도면밀하게 살펴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본문들과의 상호관련성 속에서 간본문적 해석을 신중하게 하지 않은 결과이다. 창세기 2장 6절의 술부에 있는 두 개의 히브리어 동사 중 알라(hl'[', “올라가다”)는 민수기 21장 17절에서 우물의 용출과 관련되어 사용되었고, 샤카(hq'v' Hiphil: “적시다, 물을 대다”)도 요엘 4장 18절[H 3:18]에서 샘으로 인한 급수와 관련해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보다 더 결정적인 것은, “창조 서사시”로 일컬음을 받는 시편 104장에서 창조 주간의 셋째 날에 해당되는 문맥에서 물과 뭍을 분리하시는 하나님의 행위 및 그 분리가 이루어진 상황에 대해 “주께서 [물의] 경계를 정하여 넘치지 못하게 하시며 다 ... Korean Bible versions, foreign language Bible versions, and Old Testament scholars do not agree on the translation/interpretation of Genesis 2:5-6, and their translations/interpretations are even contradictory. Thus, this paper first aims to translate/interpret Genesis 2:5-6 more correctly through a terminological study on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and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in verse 5 and 'ēḏ (dae) in verse 6, a close study on the text of Genesis 2:5-6 itself, and an inter-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text done in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texts. Further, most studies have provided little or no help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Genesis 2:5-6. Therefore,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function that Genesis 2:5-6 has in the broader context, as well as in its immediate context. Keeping these two goals in mind, we proceeded with this research from a synchronic/ literary perspectiv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Hebrew text in the 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Taking Genesis 21:15 and Job 30:4, 7, where ś○aḥ (x;yfi) occurs, into account, even though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in Genesis 2:5 is used only once in the Old Testament,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ś○aḥ haśśāḏeh (hd,F'h; x;yfi) through the parallelisms in Genesis 2:5a and 3:18, and in Genesis 3:17bα-bβ, 18a, and 19aα. We identified the meaning of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in Genesis 2:5 in relation to Psalm 104:14, first taking into account its usage in Genesis 3:18, Exodus 9:22, 25[2x], and 10:15. Attention was then paid to the significant expression la'abōd 'et-hā'adāmāh (hm'd'a]h'-ta, dbo[]l;), where the Hebrew verb 'ābaḏ (db;[', "till") is first used (in Gen 2:5). It appears once more, in 3:23, these two verses being its only occurrences in the Old Testament. In addtion, we took notice of the parallelism which Genesis 3:18, where 'ēśeḇ haśśāḏeh (hd,F'h; bf,[e) occurs right after 2:5, forms with 3:17b, 19aα. The term 'ēḏ (dae) in Genesis 2:6 occurs once more (in Job 36:27) in the Old Testament, but its translation/interpretation there is nothing but a deduction from its context. Thus, the information for the exact translation/interpretation of 'ēḏ (dae) in Genesis 2:6 seemed to have to be obtained from the predicate which corresponds to 'ēḏ (dae), the subject ofGenesis2:6,andfromcomparativelinguistics. However,theexisting views, based on comparative linguistics, were proven to be unconvincing by Gerhard F. Hasel and Michael G. Hasel, and even the view that they newly highlighted and reinforced is not clearly persuasive. The reason is that they neither meticulously read Genesis 2:6 itself, nor carefully did inter-textual interpretation of it in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texts. The Hebrew verb 'ālāh (hl'[', "go up"), which is one of the two Hebrew verbs in the predicate of Genesis 2:6, is used for the going up of a well in Numbers 21:17, and the other Hebrew verb レāqāh (hq'v' Hiphil: "cause to drink water, give to drink") is also used for the water supply of a spring in Joel 4:18[H 3:18]. A much more decisive fact is that, in the context corresponding to the third day of the Creation week in the so-called "Creation epic" (Ps 104), God's activity separating the dry land from the water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paration is completely done is vividly portrayed in verses 9-10 (ESV): "You [God] set a boundary that they [the waters] may not pass, so that they might not again cover the earth. You make springs gush forth in the valleys; they flow between the hills." In regard to the text of Genesis 2:5-6 itself, verse 5a is differentiated by the conjunction k○ (yKi) from verses 5b-6, but verse 6 is a clause which is dominated by the conjunction just as verse 5b is. And it is logically proper to regard the clause of Genesis 2:5b, which starts with the conjunction k○ (yKi), not as a causal clause but as a tempora...

      • KCI등재

        중국 우주개벽신화 속 혼돈과 빅뱅이론의 유사성

        김홍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3 No.-

        신화에는 문자가 생겨나 역사가 기록되기 오래전부터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아주 오래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화를 통해 세계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의 근간을 탐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신화에 내재된 이야기들이 표면적으로는 비과학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화를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허황된’ 이야기들의 나열이라고 여긴다. 이것은 아직까지 신화에 담겨져 있는 내용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나 신화학과 과학의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생성된 편견과 오해이다. 우주만물은 혼돈과 같은 카오스의 상태를 지나 빅뱅의 순간을 거쳐 우주 대폭발과 같은 순간적 충격에 의해서 반고가 알을 깨고 나오면서 음과 양의 기운이 외부로 방출된 것처럼, 우주가 팽창을 하게 된다. 빅뱅에서 결국 어느 시점, 반고신화에서 말하는 1만8천 년 후에는 지구와 같은 별이 생성되고 천지만물이 생겨나며 이후 인류가 출현하게 된다. 즉, 신화의 내용은 황당무계한 허구의 사실만을 나열한 것은 아니라 인류가 당시의 지식수준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자연 현상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지혜의 총체이다. 신화는 일상적인 문학작품이 아니라 한 민족 정신문화의 유아기에서 아동기를 거치며 인간으로써 불가항력적인 환경과 그로 인해 직면해야 했던 운명적 상황에 대한 나름대로의 설명을 정리해 놓은 기록물이다. 따라서 신화를 원시인류가 기본적으로 당시의 모든 지식을 총동원하여 개별적인 사물과 현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만들어낸 해답임을 인지하고, 중국 문헌 속에 나타난 창세와 관련된 ‘혼돈’의 의미와 현대과학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살펴보는 노력은, 신화의 창작 원리(상상력 또는 신화사유)를 찾아내고, 나아가 과거 인류가 가지고 있던 지혜를 통해 우리가 찾지 못하는 우주와 자연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받게 될 것이라고 본다. 人類生來就有了好奇心, 就有求知的欲望, 探索宇宙和人類誕生之神秘. 世界上大部分國家或民族擁有自己的創世神話, 可是中國的創世神話過去給人的印象似乎不多. 但是現在看來, 中國的創世神話不但豊富, 而且還有內容上接近現代科學硏究成果物. 不論任何發展階段上的民族, 一定有代表他們的宇宙觀和人類起源觀(創世神話). 中國是一個多民族的國家, 許多小數民族都擁有了各自的創世神話. 特別漢文古籍中的創世神話是, 『三五歷記』所記載的‘盤古開天地’與『述異記』中的‘盤古之化生萬物’; 『山海經』中關於‘天柱和天梯神話’; 『淮南子』中的‘女?補天’和『風俗通』中的‘女?搏黃土造人’; 『獨異志』中的‘伏羲、女?兄妹結婚’等等. 創世神話特別是宇宙起源神話, 産生較晩, 因而神話內容中融化了當時人類對宇宙或大自然之觀念. 其中‘混沌’之觀念?現代天文學家喬治·加墨(George Gamow)提出形成宇宙的 「大霹靂」理論類似. 「大霹靂」理論是我們生存的宇宙在一次大霹靂後, 經過暴漲和相變的過程將超巨大的能量轉變成輻射和粒子, 終於形成了目前的宇宙. 此大霹靂的理論依據是 「從一點爆炸」、「宇宙膨脹」和「宇宙背景輻射」等三個論點. 盤古孕育在黑暗‘混沌’的大鷄蛋裏, 經過了1萬8千年, 有一天忽然破裂了鷄蛋, 其中有些輕而淸的東西??上昇而變成了天, ?外有些重而濁的東西沈沈下降而變成了地. 所以, 中國宇宙開闢神話傳說中的‘混沌’意象代表和傳達的是原始先民對理想生活狀態的想像和憧憬, 老子和莊子正是在這個意義上重新解析. 中國創世神話中有關‘混沌’的內容不但用以當時人類智慧解剖宇宙開闢和天地創造之神秘, 還似乎現代科學發現的宇宙誕生秘密之硏究結果. 宇宙是什磨時候誕生的?是즘磨誕生的?타又是如何演變成今天的浩瀚無際??這些在니我心目中的疑問, 一直到兩千多年前, 中國人已經以神話的方式而告訴我們了.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긴 인문정신 -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narration is developed in creation myths of Korea and North America Indian, what the meanings, the principles and human ethos are embodied in them.It is a point of sameness that the narrations are added to show informations-also they include how to preserve the whole creations-of the Creation in two nation’s creation myths. This shows that the creation gods created not only all things, but also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narration movements underlie as the following principles; the creation, the settlement, the discovery by creation gods. Also these tell that the creation is objected by the settlement action, and these two things are again objected by the discovery action. On that point, I think that two nation’s creation myths are telling not in consecutive order but dynamic. All creation myths show to us human ethos. As in generally known, all creation myths are invented by human’s own, and reflected human’s thought. Therefore, I try to analyze human ethos in the three principles. As the result, I presented two points; (1) the three principles are explaining of unequal relativities in the whole creations. (2) human’s greatness and ignorance about the whole creations are coexisting in the three principles. 본 논문은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창세신화의 기본적 서사 전개 방향과 그 의미, 그리고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창세원리와 거기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고찰한 것이다.한국이나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가 보여주는 기본적인 서사 전개의 방향은 창세물에 대한 정보량를 증가시키는 쪽이다. 거기에는 창세물(또는 창세상태)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전달도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최초의 창세신격이 창세물이라고 하는 구체적 현상뿐만 아니라 거기에 담겨져 있는 본질적 원리까지 창세하였음을 말해준다.그런데 창세신화가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서사 전개 방향의 저변에는 창세신화 특유의 원리가 깔려 있다. 서사 전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인공의 행위라고 할 때, 창세신화의 주인공인 창세신격의 창세행위를 기준으로 그 서사과정을 살펴보면, 창조(창조한 것 : 창조된 것), 조판(조판한 것 : 조판된 것), 발견(발견한 것 : 발견된 것)이라는 세 가지 원리가 거기에 깔려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창조행위는 조판행위의, 창조행위와 조판행위는 발견행위의 타자화된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점에서 창세신화는 창조, 조판, 발견이라는 창세의 원리를 순차적이 아닌, 역동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신화라 말할 수 있다.그러나 창세신화는 ‘창세’에 관한 인간의 정신적 탐구의 결과라는 점에서 볼 때, ‘창세신화’는 곧 ‘창세’에 관한 인류 정신문화에 관한 최초의 서사이기도 하다. 인문정신의 관점에서 창세신화를 분석할 여지가 있는 셈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살피고 두 가지로 요약하였는바, 창세원리는 창세행위와 그로 인하여 창세된 모든 창세물의 불균일적인 상대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 창세에 관한한 인간의 위대함과 무지함은 공존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서사로서 <셍굿> 연구

        황윤정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4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myth <Senggut>, which mediates the northern region‘s <Genesis> and the Jeju local creation myth and intends to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enggut>. <Genesis>, <Senggut>, and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were compared based on common narrative elements and narrative arrangements such as the phase of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phase of competition for royalties, and the insertion of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When examining the phase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process of creation of the universe was concretely embodied in <Genesis>, as seen by Kim Ssang-dol, and the imagery was relatively inconspicuous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In the case of <Senggut>, a part of the creation process was simpl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akyamuni performed the creation work. In the context of the competition for royalties, Kim Ssang-dol's <Genesis> showed the justification for Maitreya and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the absolute god who cannot be judged by value. Compared to this, in <Senggut>, the right and affirmation were given to the Sakyamuni. Regarding the insertion of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there is no such story in <Genesis> that Kim Ssang-dol saw, and the resistance of the old order against the new order remains. In contrast,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was distinct and was linked to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In <Senggut>, the “Jangja-pond tale”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creation myth, and within the creation myth, the resistance of the old order and the response and wisdom of Sakyamuni are revealed in detail. Considering these factors, <Saenggut> can be positioned as a mediating narrative between Kim Ssang-dol and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Senggut> shows a comparatively idealized narrative method about the moment of creation in the narrative aspect. In the logical aspect, unlike <Genesis>, it affirms interest in civilization and shows a favorable description of wisdom, agriculture, and the power of culture. In this way, <Senggut> can be said to mediate the gap between the logic of each myth in a way that intersects the idealistic and flexible narratives. 본고에서는 창세신화 <셍굿>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검토를 통해 이것이 북부 지역과 제주 지역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성격의 서사임을 말하고, 이로써 <셍굿>의 서사적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우주 창조의 국면, 인세 차지 경쟁의 국면, 장자 징치담의 삽입 여부 등 서사적 공통 요소 및 서사적 배치를 기준으로 북부 지역의 창세신화, <셍굿>, 제주 지역의 창세신화를 견주어 보았다. 우주 창조의 국면을 살펴볼 때,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는 우주 창조의 과정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고 제주 지역 창세신화에서는 그 형상화가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다. <셍굿>의 경우 일부 창세의 과정은 모호화되었고 석가가 창세의 작업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세 차지 경쟁의 국면에 있어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서는 ‘미륵’에게 당위성을 드러내었고, 제주 지역의 창세신화에서 가치 판단의 대상이 되기 어려운 ‘천신(天神)’으로 형상화하였다. 이에 비할 때, <셍굿>에서는 ‘석가’에게 당위와 긍정을 부여하고 있었다. 수명장자 징치담의 삽입 여부에 대하여서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는 장자 징치담이 없고, 구질서가 새질서에 대하여 저항한 바가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에 비해 제주 지역 창세신화에서는 수명장자 징치담이 뚜렷하고 전체 서사와 구조적, 내용적으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셍굿>에서는 창세신화 외에 장자못형 설화가 삽입되어 있고 창세신화 안에는 구질서의 저항과 이에 대한 석가의 대응과 지혜가 비교적 상세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들을 살펴보았을 때 <셍굿>은 김쌍돌이 본과 제주 지역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서사로 자리할 수 있게 된다. <셍굿>은 서술적 측면에서 창세의 순간에 대해 비교적 교술화된 서술 방식을 보이고 있다. 논리적 측면에서는 <창세가>와 달리 문명에 대한 관심을 긍정하여 지혜, 농경, 문화의 힘에 우호적인 서술을 보인다. 이렇게 <셍굿>은 북부의 창세적 가치의 강조와 제주의 윤리적 가치의 강조 사이 문명에 대한 관심과 긍정으로 각 신화가 내세우는 논리의 간극을 교술적인 성격의 기술과 유연한 서사의 방식을 교차하는 것으로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교회의 지향점: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 : 창세기 18:16-20:18에 대한 칼빈의 성경 해석 방법의 적용

        강규성 ( Kyu Sung K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09 성경과신학 Vol.51 No.-

        논문 목적은 칼빈의 성경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창세기 18-20장을 해석하여 본문의 역사와 교회의 맥락에서 그 기능을 고찰하는 것이다. 칼빈은 성경 해석에 있어서 `맥락`(context)을 매우 중요시 했다. 필자는 칼빈이 주목한 `문맥`에 주목하여 창세기 18-19장과 20장이 한 본문으로 연구되지 않고 두 본문으로서 각기 다른 방면에서 연구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문학적 전략상 창세기 18:16-33은 서론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창세기 19장과 20장은 그 문제를 해결한다. 창세기 18:18에서 제기된 모든 족속이 아브라 함을 통하여 복을 받게 된다는 약속은 창세기 19장과 20장에서 롯의 구원과 아비멜렉이 구출되는 이야기에서 해결된다. 또한 창세기 18:22b-33에서 제기된 하나님의 정의 문제는 창세기 19장 소돔의 심판과 롯의 구원과 창세기 20장에서 사라와 아비멜렉의 구원과 아브라함에 대한 간접적 책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창세기 18:20-22에서 제기된 소돔의 죄는 창세기 19장에서 그들의 죄가 집단적이며 동성애적이며 폭력적인 죄임을 폭로함으로 해결된다. 결과적으로 창세기 19장과 20장은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가 무엇인지를 독자들에게 말한다. 필자는 창세기 18:16-20:18의 역사적 맥락이 출애굽 시대라고 주장했다. 또한 창세기 18:16-20:18은 출애굽 독자와 현대 교회의 독자들에게 세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첫째, 창세기 18:16-20:18은 언약 백성의 정체성과 사명을 일깨운다. 둘째, 창세기 18:16-20:18은 언약 백성이 하나님 앞에서 취할 태도에 대해 교훈한다. 셋째, 창세기 18:16-20:18은 모든 민족 가운데서 언약백성의 위치를 규정해 준다. 그러므로 창세기 18:16-20:18은 두 본문이 아니라 하나의 본문이며 그것은 아브라함의 후손으로서 교회의 궁극적인 사명을 일깨운다. 즉 그것은 교회의 지향점은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를 행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Genesis 18:16-20:18 using the Calvin`s method of biblical interpretation. Calvin considered seriously the `context` in biblical interpretation. The contexts are three dimensions. One is literary context, another is historical context, and last one is context of church. I tried to solve a difficulty of Genesis 18-19 and 20. All the while, these texts did not deal with together but deal with two parts. Genesis 18-19 studied to research about a nature of in Sodom. Also these texts studied as one part of the triadic story of Lot (Gen 13:1-18, 14:1-24, 18:1-19:38). Genesis 20 studied as one part of the triadic story of wife as sister (Gen 12:10-20, 20:1-18, 26:1-17). But I studied as one text but two texts by using the principle of literary context. Genesis 18:16-20:18 deal with God`s righteousness and Justice as one text. In the literary strategy, Genesis 18:16-33 proposed the problem of God`s Justice and the answer was gave us in Genesis 19 and 20. First, the Promise that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shall be blessed in Abraham achieved as deliverance of Lot and Abimelech through the role of Abraham in the Genesis 19 and 20. Second, The problem of God`s Justice proposed in Genesis 18:22b-33 achieved through the story of judgment of Sodom and deliverance of Lot in Genesis 19 and deliverance of Sarah and Abimelech in Genesis 20. Third, the problem of sin in Sodom proposed in Genesis 18:20-22 founded as collective and homosexuality and violent. As a result, Genesis 19 and 20 speak to reader about God`s righteousness and justice. I studied historical context of Genesis 18:16-20:18 and suggested as a time of exodus. Also, I suggested three functions of these texts for reader of exodus and today`s church. First, Genesis 18:16-20:18 awaken the identity and mission of covenant. Two, Genesis 18:16-20:18 teach the attitude before God as the people of covenant. Three, Genesis 18:16-20:18 awaken the position as covenant people in the nations. Finally, I supposed that Genesis 18:16-20:18 is not two texts but one text and the mission of church as descendant of Abraham is to do righteousness and justice of God. It is a seeking of the church.

      • KCI등재

        멤피스 창세신화 - 발화를 통한 창조행위의 비교종교학적 의미 -

        유성환 ( Yoo Sung Hwa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종교와 문화 Vol.0 No.31

        『멤피스 창세신화』는 고대로부터 전승된 이집트의 종교 문서 중 가장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멤피스창세신화』는 이집트의 종교를 다룬 여러 문서를 통해 단편적으로만 소개된 것이 사실이다. 이집트로부터 전승된 창세신화 중 『헤르모폴리스 창세신화』는 창조이전의 상황에 초점을 두고 태초의 대양이 보유한 본질적인 속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집트의 가장 기본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는 『헬리오폴리스 창세신화』는 태초의 대양을 배경으로 창조주이자 원발자인 아툼이 자신의 몸을 발현하여 우주를 창조하는 창조과정을 기술하는데 여기서 아툼은 자위 혹은 체액 방출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우주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신들과 다른 모든 대상을 창조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두 창세신화보다 비교적 후대에 창작된 『멤피스 창세신화』는 기존창세신화에 제시된 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멤피스의 주신 프타의 창조행위를 설명하는데 이 창세신화에 따르면 프타는 태초의 대양과 동일한 신격을 보유한 창조주로서 아툼에 선행하며 창조과정 역시 심장을 통한 창조적 인식과 혀로 대표되는 조음기관을 통한 창조적 발화가 핵심을 이룬다. 『멤피스 창세신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원론적인 창조과정이다. 요컨대 창조주의 창조행위를 통해 현상계에 발현되는 모든 개별자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성한 말씀” 혹은 “성각문자”가 동시에 창조되는데 따라서 창조행위를 통해 창조된 모든 개별자는 창조주가 원래 의도했던 창조적 인식의 형상, 즉 완벽한 이미지로서의 “성각문자”에 기인한다. 프타를 인식과 발화를 통해 모든 것을 창조한 창조주로 상정한 『멤피스 창세신화』는 향후 그리스 철학에 등장하는 신성한 데미우르고스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의 “말씀” = “로고스”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멤피스 창세신화』에 따르면 “성각문자”는 그리스 철학의 에이도스와 조응하며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이 가지고 있던 사물과 완벽한 기호 간의 관계는 그리스의 이원론 개념이 독자적인 신화를 통해 표현된 탁월한 지적 성취로 평가 받을 만하다. There were a number of creation myths in ancient Egypt. The Hermopolitan Theology, which is one of those myths, focuses on the conditions before creation. Ancient Egyptians believed that the Primeval Ocean existed before creation, which was composed of four elements such as Wateriness, Infinity, Darkness and Lostness. According to the Heliopolitan Theology, which was the most dominant and widely accepted creation myth, the god Atum created the world through masturbation or the ejaculation of his body fluid and ruled the created world as the creator god/divine king. As such, the Heliopolitan Theology is not only the cosmogony that explains the creation of the world but also the “cratogony” that shows how the divine kingship was transferred from the divine domain to the human sphere. In comparison with the two aforementioned creation mythos, the Memphite Theology was composed in the later period and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tah and Atum. In this creation myth, Ptah is the creator of all other deities and equated with the Hermopolitan Ogdoad. The Memphite Theology places Ptah on the top of the Heliopolitan Ennead in order to establish his primacy in the Egyptian pantheon. The so-called “mythological reversal”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Twenty-Fifth Dynasty that sought to justify their rule by designating Memphis that was the capital of Old Kingdom as their new power base. However, the active intellectual movements witnessed during New Kingdom also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new idea such as the Memphite Theology. The Memphite Theology describes Ptah as a creator god that uses the heart that is the seat of the Divine Perception (“Sia”) and the tongue that represents the Divine Annunciation (“Hu”). Then the creation myth moves on to Atum and his Ennead of the Heliopolitan Theology. In this regard, the Memphite Theology makes it clear that Atum`s “seed” and “hand” are in fact Ptah`s “teeth” and “lips” and that, unlike Atum who uses the physical means for the creation for world, Ptah uses teeth and lips to use the power of the creative speech. The creation myth stresses that the heart and the organs involved with the divine speech have the creative power and explains that what has been perceived by sensory organs are reported to the heart, which then generates knowledge with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m and delivers commands through the tongue. The next is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smos created by Ptah.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Memphite Theology equates the creation of everything with the creation of hieroglyphs, which also means the divine speech. The hieroglyphic writing has a dual nature as they are images of things in the real world and representations of idea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reation account signifies that everything that was created is itself a kind of hieroglyph of the creator`s original concept. Identifying Ptah as a creator god that made everything happen through perception and annunciation is a remarkable intellectual achievement that predates the notion of demiurge in Greek philosophy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earlier and this also influenced the concept of Word (Logos) in Christian philosophy.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Ptah created everything and every hieroglyphic signs at the same time. If hieroglyphic signs can refer to all of the concepts and things in the real world,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ideal images and its infinite copies and this reminds us of Plato`s dualism. According to the Memphite Theology, the hieroglyphic writing corresponds to “eidos” in Greek philosophy and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s and things in ancient Egyptian world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ancient version of the Greek du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