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俗節의 명칭과 인식체계

        김효경(Kim Hyo Gy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陰曆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陽曆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이중 자연력이 아닌 생활상의 혹은 종교상의 필요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담은 날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양하다. 이중 속절은 한 시대의 시간성을 담아 文語體로 표현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俗은 마음이 안정되고 고요한 상태로 이미 내제화된 상태로, 한 시대에 활용되었던 시간의 의미를 이해할 때에 적합한 용어가 속절이다. 이외에 국가적 경축일을 의미하는 令節, 시간의 흐름만을 언급하는 歲時,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기념일을 의미하는 節日, 아름다운 시간만을 강조하는 佳節 등이 있다.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음력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양력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조선은 새로운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두어 건국된 나라였기에 그에 걸맞은 다양한 제도 개혁을 이루어졌다. 속절에 대한 관심은 명종 대에 씨름과 각저 등의 놀이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다. 인심과 풍속이 각박해지고 五倫常綱이 무너지는 일을 금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였다. 이러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16세기 중반 『주자가례』 중심의 생활규범서인 제례서가 출현하면서부터 『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면서부터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속절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 이는 이이와 윤선도이다. 두 사람 모두 하늘의 도를 계승하여 인간 세상에 실현하는 도구를 속절로 보았다.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해서 天人合一의 입장에서 천도와 인사를 연관 지어 계절의 변화를 알수 있는 것은 괴이한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것의 실행에 있어 『주자가례』의 입장을 중시하였으며, 그 이외의 것은 군자가 언급할 필요가 없다거나, 妄知나 妄言이므로 입에 올리지는 않았다. 이 시기에는 속절은 여전히 정부차원에서나 사회적으로 활용되었다. 정부에서는 관료의 휴가일, 宴享, 朝賀, 시험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사회적으로는 유교적 이념의 실천을 위해 四名日(한식, 단오, 단오, 중추)에 조상숭배를 하는 묘제가 그것이다. 이 시기에는 고려적 모습이 유지되었다. 『주자가례』가 중시되면서 그에 준하는 四時祭를 설행하기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구습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인식론과 공존했다. 이러한 인식론이 시대적 조류속에서 변모하지만 여전히 그 가운데서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은 俗節이 지닌 기본적인 안정되고 평안한 俗의 성질이었다.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mong them, there are various terms which indicate days including special meaning according to necessities for daily lives or religion, not natural calendar. Ancestor-memorial days are mainly used in expressing in literary style along with temporality of an era. Sok(俗) means an internalized state where mind is stable and calm.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re terms proper when understanding meaning of time used in an era. Besides, there are several other terms such as Yeongjeol(令節) meaning national holidays, times and seasons(歲時) mentioning flow of time only, holidays(節日) meaning not only domestic anniversaries but also foreign anniversaries, beautiful season(佳節) emphasizing beautiful time only etc.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s Chosun was founded based on new ideology, various systematic reforms fit to this were made. Interest in ancestor-memorial days(俗節) began when negative opinion about play culture such as ssireum( Korean wrestling), Gakjeo etc. appeared i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isaimed to prevent heartless people and customs, and fall of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s such recognition was emphasize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book which is manual for daily lives norms focusing on《Jujagarea朱子家禮》 written by Zhou Dunyi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So with start of academic study on《Jujagarea朱子家禮》, interest highly increased. In the process, Yi I and Yoon Sun-do showed recognition about ancestor-memorial days(俗節). Two people all regarded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s a tool to cherish way of heaven and realized it in the world. They considered that to predict change of season by linking way of heaven and human affairs from position of oneness of heaven and human based on Confucian justification is not strange. They put importance on position of《Jujagarea朱子家禮》in its practice. They did not speak other things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man of virtue to mention it, or it is wrong knowledge or thoughtless words. Then times,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d been still used in daily lives. An example is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for respect of ancestor on four festive days such as Hansik, Dano, Dongji, and Mid-Autumn day. Then, state of Goryeo maintained. As《Jujagarea朱子家禮》is regarded as important, some insisted to hold Four seasons memorial service equivalent to《Jujagarea朱子家禮》. But on the other hand, a recognition coexisted_ reality cannot be neglected regarding change of old customs. Such recognition had changed in the midst of flow of era but character of stable and peaceful Sok(俗) which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s, suggested directionality of change even in the situation.

      • KCI등재

        조선 전기 俗節의 명칭과 인식체계

        김효경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3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mong them, there are various terms which indicate days including special meaning according to necessities for daily lives or religion, not natural calendar. Ancestor-memorial days are mainly used in expressing in literary style along with temporality of an era. Sok(俗) means an internalized state where mind is stable and calm.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re terms proper when understanding meaning of time used in an era. Besides, there are several other terms such as Yeongjeol(令節) meaning national holidays, times and seasons(歲時) mentioning flow of time only, holidays(節日) meaning not only domestic anniversaries but also foreign anniversaries, beautiful season(佳節) emphasizing beautiful time only etc. Every era has a method to think and use time. In premodern society, ancestor-memorial days(俗節) including syzgyy based on lunar calendar were used conventionally.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based on solar calendar etc. played the role. As Chosun was founded based on new ideology, various systematic reforms fit to this were made. Interest in ancestor-memorial days(俗節) began when negative opinion about play culture such as ssireum( Korean wrestling), Gakjeo etc. appeared i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is aimed to prevent heartless people and customs, and fall of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s such recognition was emphasize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book which is manual for daily lives norms focusing on《Jujagarea朱子家禮》 written by Zhou Dunyi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So with start of academic study on《Jujagarea朱子家禮》, interest highly increased. In the process, Yi I and Yoon Sun-do showed recognition about ancestor-memorial days(俗節). Two people all regarded ancestor-memorial days(俗節) as a tool to cherish way of heaven and realized it in the world. They considered that to predict change of season by linking way of heaven and human affairs from position of oneness of heaven and human based on Confucian justification is not strange. They put importance on position of《Jujagarea朱子家禮》in its practice. They did not speak other things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man of virtue to mention it, or it is wrong knowledge or thoughtless words. Then times,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d been still used in daily lives. An example is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for respect of ancestor on four festive days such as Hansik, Dano, Dongji, and Mid-Autumn day. Then, state of Goryeo maintained. As《Jujagarea朱子家禮》is regarded as important, some insisted to hold Four seasons memorial service equivalent to《Jujagarea朱子家禮》. But on the other hand, a recognition coexisted_ reality cannot be neglected regarding change of old customs. Such recognition had changed in the midst of flow of era but character of stable and peaceful Sok(俗) which ancestor-memorial days(俗節) has, suggested directionality of change even in the situation.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陰曆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陽曆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이중 자연력이 아닌 생활상의 혹은 종교상의 필요에 따라 특별한 의미를 담은 날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양하다. 이중 속절은 한 시대의 시간성을 담아 文語體로 표현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俗은 마음이 안정되고 고요한 상태로 이미 내제화된 상태로, 한 시대에 활용되었던 시간의 의미를 이해할 때에 적합한 용어가 속절이다. 이외에 국가적 경축일을 의미하는 令節, 시간의 흐름만을 언급하는 歲時,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기념일을 의미하는 節日, 아름다운 시간만을 강조하는 佳節 등이 있다. 어느 시대나 시간을 관념하고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전근대사회에는 통념적으로 음력에 기초한 朔望을 비롯하여 俗節을, 양력에 기초한 24절기 등이 그 역할을 했다. 조선은 새로운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두어 건국된 나라였기에 그에 걸맞은 다양한 제도 개혁을 이루어졌다. 속절에 대한 관심은 명종 대에 씨름과 각저 등의 놀이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다. 인심과 풍속이 각박해지고 五倫常綱이 무너지는 일을 금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였다. 이러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16세기 중반 『주자가례』 중심의 생활규범서인 제례서가 출현하면서부터 『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면서부터 관심이 더욱 증폭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속절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 이는 이이와 윤선도이다. 두 사람 모두 하늘의 도를 계승하여 인간 세상에 실현하는 도구를 속절로 보았다.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해서 天人合一의 입장에서 천도와 인사를 연관 지어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는 것은 괴이한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것의 실행에 있어 『주자가례』의 입장을 중시하였으며, 그 이외의 것은 군자가 언급할 필요가 없다거나, 妄知나 妄言이므로 입에 올리지는 않았다. 이 시기에는 속절은 여전히 정부차원에서나 사회적으로 활용되었다. 정부에서는 관료의 휴가일, 宴享, 朝賀, 시험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사회적으로는 유교적 이념의 실천을 위해 四名日(한식, 단오, 단오, 중추)에 조상숭배를 하는 묘제가 그것이다. 이 시기에는 고려적 모습이 유지되었다. 『주자가례』가 중시되면서 그에 준하는 四時祭를 설행하기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구습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인식론과 공존했다. 이러한 인식론이 시대적 조류속에서 변모하지만 여전히 그 가운데서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은 俗節이 지닌 기본적인 안정되고 평안한 俗의 성질이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중세 우도론(友道論)에 대한 고찰 Ⅱ -절교론(絶交論)과 우도론(友道論)의 향방(向方)-

        姜玟求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9

        조선 초기의 士人들은 友道의 사회·윤리적 기능과 가치에 대한 견고한 신념이 있었으나 조선 중기부터 격화된 정쟁은 우도의 이상과 절교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였다. 趙憲은 李潑 형제에게 절교의 의사를 밝히는 두 편의 시를 보내 절교를 통보하였지만 시의 문면에서는 절교의 의미를 찾기 힘드니, 당시에 절교론이 대두되었어도 직접적인 절교의 통보를 꺼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은 윤리적 이상과 관계를 빠른 속도로 파괴하였으며, 그중 交友의 양상은 ‘友道’라고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세속화·통속화 되었다. 李德懋는 친구 사이에 욕을 하고 모욕하는 것을 친밀하다고 생각할 정도로 교우가 통속화 되었고 친구 사이에 공갈 협박까지 하는 등 교제의 도리가 심각하게 타락하였다고 하였다. 조선 중기의 붕우론에서 윤리성이 강조된 이면에는 정치적 상황과 목적이자리 잡고 있다. 조선 중기에 점철된 사화는 절교론에 대한 논란으로 확산된다. 朴淳의 「讀嵇中散絶交論, 有感.」은 시의 형식이기에 논리성이 약하지만 당대의 절교론에 대한 인식의 단초를 보여준다. 吳長의 「續絶交文」은 朱穆이 지은 「절교론」의 부연을 표방한 글로 절교에 대한 본격적 논술인데, 당대의 겉치레에 치중하고 날조하고 공허하며 객기 부리는 교제에 깊은 우려를 표하였다. 조선의 교우가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세속화·통속화 되었으나, 절교라는 극단적 상황까지 가서는 안 된다는 신념은 「절교론」 비판의 논리를 형성케 하였다. 절교에 대하여 신중하게 접근하는 논리는 李瀷의 「反絶交詩」에서 볼 수 있으니, 그는 교우에 대해 포용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申最도 「非絶交論」에서 「절교론」을 비판하였는데, 이익의 「반절교시」 보다 논리적일 뿐 아니라, 현실적인 측면이 강하다. 신최는 유준이 「광절교론」에서 세속적인 교제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비판하였지만, 그것들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되었기에 소위 ‘세속적 교우’는 모든 사람의 본능이라고 인정하였다. 절교의 유형과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조선 후기 사인의 절교에 대한 관념을 선명히 보여준 것은 崔漢綺의 「絶交」이다. 최한기는 절교가 다양하다고 전제하면서 유형과 원인, 결과를 대별하였다. 조선의 절교론에서 절교의 결과에 대한 분석은 최한기 외에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fucian scholars had a firm belief in the social and ethical functions and values of the Friendship, but the political strife which intensified from the middle of Joseon caused controversy about the Friendship’s ideals and the Breaking Off Relations. Although Jo Heon(趙憲) sent two poems to Lee Bal(李潑) brothers expressing his intention for the breaking off relations,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meaning of the breaking off relations in the letter. So, at that time, even if the theory of Breaking Off Relations was developed,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reluctant to give direct notice of the breaking off relations.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destroyed the ethical ideals and relations at a rapid pace. Among them, the aspect of friends was so secularized and popularized that it could not be described as ‘friendship’. Lee Deok-mu(李德懋) said that the friendship became popularized that they thought it was intimate to swear and insult among friends, and the friendship was seriously corrupted by threatening between the friends. The Theory of Friendship in the mid-Joseon Dynasty, the political situation and purpose were placed on the back of the emphasis on ethics. The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which was dotted in the mid-Joseon Dynasty, widespread into a controversy over the theory of Breaking Off Relations. Park Sun(朴淳)’s 「Reading Hyejungsan’s breaking off relations, having feeling(讀嵇中散絶交論, 有感.)」 is a form of poetry, so its logic is weak, but it shows the beginning of the perception of the theory of Breaking Off Relations. Oh Jang(吳長)’s 「Sokjeolgyomun(續絶交文)」 is a full-scale essay which claimed to stand for amplification of Joo Mok(朱穆)’s 「Jeolgyolon(絶交論)」, that represents his deep concern over the ostentatious, faked, empty and demoralizing relationship of the day. Although the friendship of Joseon have became secularized and popularized to an irreversible extent, the belief that they should not go so far as to the extreme situation of the breaking off relations formed the logic of criticism of the breaking off relations. The logic of carefully approaching to the breaking off relations could be seen in Lee Ik(李瀷)’s 「Banjeolgyosi(反絶交詩)」, and he maintained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companionship. Shin Choi(申最) criticized 「Jeolgyolon(絶交論)」 in 「Bijeolgyolon(非絶交論)」, not only is it logical but it has a more realistic aspect than Lee Ik(李瀷)’s 「Banjeolgyosi(反絶交詩)」. Although Yoo Joon(劉峻) criticized the secular friendship by dividing it into five ways in 「Gwangjeolgyolon(廣絶交論)」, Shin Choi acknowledged that the so-called “the secular friendship” is everyone’s instinct, because the ways were derived from the desire to pursue their own interests. It was Choi Han-gi(崔漢綺)’s 「Jeolgyo(絶交)」 that clearly demonstrated the concept about breaking off relation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resenting the type and condition of breaking off relations. Choi Han-gi presupposed that the breaking off relations were diverse, and he broadly classified types, causes, and results. The the analysis about the result of the breaking off relations in Joseon’s the theory of Breaking Off Relations doctrine is noteworthy in that it can not be found only except Choi Han-gi.

      • KCI우수등재
      • 산업용 고속절단기의 기동 시 충격완화에 대한 연구

        김두환(Doohwan Kim),임형빈(Hyungbin Im),정진태(Jintai Chung)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In this paper, an impulse of an industrial chop Saw is identified by experimental method and the impulse is reduced by structural modification. For the impulse identification, vibration signals are measured by an accelerometer when the chop saw is operating. From some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the impulse occurs when there is slip between spindle and the wheelwasher and contact area is small between the wheelwasher and cutting discs. The design of the wheelwasher for optimization is performed by the FEM and experiments and the prototype is manufactured. It is verified that considerable amount of impulses are reduced by the structural modification.

      • KCI등재

        절리의 빈도 및 길이분포가 이차원 DFN 시스템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지수,엄정기,이다혜,Han, Jisu,Um, Jeong-Gi,Lee, Dahy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1

        본 연구는 절리의 빈도 및 길이분포가 절리암반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차원 불연속절리망 (DFN; discrete fracture network) 유체유동 해석을 바탕으로 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두개의 절리군을 사용하여 절리의 빈도와 길이분포를 달리하며 추계론적으로 생성한 총 51개의 DFN 시스템에 대하여 $0^{\circ}$부터 매 $30^{\circ}$ 간격으로 총 12 방향으로 구현한 총 612개의 $20m{\times}20m$ DFN 블록에서 방향에 따른 블록수리전도도가 산정되었다. 또한, 각각의 DFN 시스템에서 이론적 블록수리전도도와 더불어 주 수리전도도텐서, 평균 블록수리전도도 등이 산정되었다. 절리군의 빈도의 증가 또는 길이의 평균 및 표준편차 증가에 따라 임의 방향으로의 블록수리전도도는 증가하며 DFN 시스템에 대한 등가연속체 취급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절리군 간의 빈도 차이가 커지면 블록수리전도도의 이방성 증대로 인하여 등가연속체 취급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두 절리군의 교차각이 작을수록 등가연속체 특성은 빈도 및 길이분포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등가연속체로 취급하기 어려울 정도로 두 절리군의 교차각이 작아도 절리군의 빈도 또는 길이 분포가 증가하면 등가연속체 취급 가능성은 높아진다. The effects of joint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on the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of jointed rock masses are address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based on the 2-D DFN (discrete fracture network) fluid flow analysis. Using two joint sets, a total of 51 2-D joint network system were generated with various joint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Twelve fluid flow directions were chosen every $30^{\circ}$ starting at $0^{\circ}$, and total of 612 $20m{\times}20m$ DFN blocks were prepared to calculate the directional block conductivity. Also, the theoretical block conductivity, principal conductivity tensor and average block conductivity for each generated joint network system were determined. The directional block conductivity and chance for the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of the 2-D DFN system were foun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joint density or size distribution. However, the anisotropy of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density discrepancy between the joint sets, and the chance for the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were found to decrease. The smaller the intersection angle of the two joint sets, the more the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were affected by the change of joint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Even though the intersection angle is small enough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the chance for anisotropic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increases as joint density or size distribution increases.

      • KCI등재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삼차원 DFN 시스템의 강도 및 변형계수 추정

        류성진(Seongjin Ryu),엄정기(Jeong-Gi Um),박진용(Jinyong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20 터널과지하공간 Vol.30 No.1

        본 연구는 개별요소법을 이용하여 삼차원 불연속절리망 시스템의 강도 및 변형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을 소개하였다.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시스템에서 개별 절리는 유한 길이의 정사각 평면으로 취급하였다. 해석영역은 무결암과 유사한 거동을 하도록 설정된 가상절리와 실제 개별 절리의 조합으로 형성된 다면체로 이산화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확정적 및 추계론적 삼차원 DFN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한 변이 10m인 정육면체 해석영역에 대하여 개별요소법에 의한 강도 및 변형계수를 추정하는 수치실험이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DFN 시스템의 강도 및 변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안된 기법은 삼차원 DFN 시스템의 이방적 강도 및 변형 특성을 효과적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this study, a procedure was introduced to estimate strength and deformation modulus of the 3-D discrete fracture network(DFN) systems using the distinct element method(DEM). Fracture entities were treated as non-persistent square planes in the DFN systems. Systematically generated fictitious fractures having similar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intact rock were combined with non-persistent real fractures to create polyhedral blocks in the analysis domain. Strength and deformation modulus for 10 m cube domain of various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3-D DFN systems were estimated using the DEM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suggested method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cture geometry on strength and deformability of DFN systems. The suggested procedures were found to effective in estimating anisotropic strength and deformability of the 3-D DFN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절리성 암반의 이차원 균열텐서 파라미터와 수리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엄정기(Jeong-Gi Um),한지수(Jisu Han)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2

        균열텐서 파라미터는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결합된 효과를 지시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연속절리망(DFN)에서 유체 유동통로의 연결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차원 DFN의 균열텐서 파라미터와 수리적 특성 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DFN에서 임의 방향으로의 수리전도도는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정된 균열텐서성분과 강한 비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로 다른 규모의 이차원 DFN 블록에서 방향에 따른 균열텐서의 일차불변량(F0)을 방사형 도표로 나타내었을 때, 방향에 따른 F0 값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원형의 플롯은 절리성 암반을 대표요소체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될 수 있다. DFN 블록에서 임의 방향으로 개별체 해석기법으로 산정한 수리전도도와 이론적 수리전도도 사이의 상대오차(ER)는 F0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Fㄴ는 평균 블록수리전도도와 강한 함수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a measure of the combined effect of fracture geometry, the fabric tensor parameters could quantify the status of the connected fluid flow paths in discrete fracture network (DF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bric tensor parameters and hydraulic properties of the 2-D DF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exists a strong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al conductivity and the fabric tensor component estimated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direc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The circular radial plots without significant variation of the first invariant (F0) of fabric tensor for different sized 2-D DFN block are a necessary condition for treating representative element volume (REV) of a fractured rock mass. The relative error (ER) between the numerically calculated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theoretical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F0. A strong functional relation seems to exist between the F0 and the average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 KCI등재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절리성 암반의 이방적 변형 특성에 미치는 영향

        류성진,엄정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3

        본 연구는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절리성 암반의 변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삼차원 불연속절리망(DFN; discrete fracture network) 시스템에 대한 개별요소법 기반의 응력-변형 해석과 관련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1~2 개의 확정적 방향성을 갖는 절리군을 사용하여 절리의 빈도와 길이분포를 달리하며 추계론적으로 생성한총 12개의 1000m3 정육면체 DFN 블록에 대하여 삼차원 직교좌표계의 축 방향에 따른 변형계수가 산정되었다. 또한, 일부 DFN 블록은 삼차원상에서 매 30° 간격의 선주향 및 선경사 방향을 축차응력 방향으로 설정하고 변형계수를 산정하였다. 절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DFN 블록의 변형계수는 더욱 저감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절리의 빈도 증가는절리의 길이가 짧아서 상대적으로 암교 효과가 큰 경우 DFN 블록의 변형계수 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할가능성도 있지만 절리길이가 길수록 절리빈도의 증가가 DFN의 이방적 변형계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절리의 길이와 빈도 변화에 따른 이방적 변형계수의 변화는 DFN에 분포하는 절리군의 개수 및 방향성에크게 좌우된다. DFN 블록의 변형 특성은 삼차원상의 방향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본 연구는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이 고려된 응력-변형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현장규모의 실무 적용을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