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임혜련(Lim, Hyeryu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5

        본 연구는 ‘代理政治’를 통해 국왕권의 실제와 범주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리정치’는 국왕의 역할과 권한을 국왕이 아닌 존재가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국왕이 아닌 존재는 왕실의 초월성의 범위에 있는 존재로서, 유사시 국왕권에 근접하거나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왕실 구성원으로 한정하였으며, 곧 王世子, 王妃, 大妃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리정치’로는 왕세자의 叅決, 分朝, 代理聽政, 그리고 대비의 垂簾聽政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리정치’ 중 연속성과 제도적 완비를 갖춘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을 검토하였다. 대비의 수렴청정은 왕과 함께 정치를 하는 것으로 ‘수렴청정절목’에는 대비의 권한과 위상을 왕과 같은 것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수렴청정을 하는 대비가 선왕의 왕비로서 왕조를 계승하고 국가를 성장시킨 내조의 공이 있다는 역할론에 기인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대비는 왕이 될 수 없는 존재이므로 대비의 권한은 왕과 같지만, 왕권을 능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어린 국왕의 위상을 수렴청정을 통해 성장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세자의 대리청정은 국왕의 권한을 행사하며, 즉위할 준비를 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때의 세자의 권한은 현재 왕의 권한 범주에 속한 것이었다. 세자의 대리청정을 왕권을 대행할 수 없었으며, 더욱이 이때의 세자의 위상은 결코 왕과 같을 수 없었다. 오히려 국왕권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대리정치’와 왕권의 관계는 결국 ‘대리정치’는 왕권을 대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왕권은 결국 초월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곧 초월성은 왕권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대리정치’는 궁극적으로 왕권을 능가할 수 없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rack the reality and category of kingship through "Surrogate Politics". "Surrogate Politics" means the exercise of the king"s role by non-king. Non-king mean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king"s transcendence. Their existence was confined to the royalty members who can approach the royalty or give influence in case of emergency: the crown prince, the queen, and the queen dowager(大妃). Examples of such "surrogate politics" are approval of political affairs(叅決), division of royal court(分朝), agency ruling(代理聽政) of the crown prince and regency from behind the veil(垂簾聽政) of the former queen.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Surrogate Politics". Among them, the agency ruling and regency from behind the veil, which are continuous and institutionally equipped, were examined. regency from behind the veil of the former queen means to do politics with the king. In the ‘Implementation Regulations’(節目), th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former queen was defined as the same as that of the king. The former queen, who conducts regency from behind the veil, is the queen of the late king and has the merits of helping with the inheritance of the dynasty and growing the country. Due to her role, the authority of the former queen was defined as king. Nevertheless the former queen can not be king. The former queen has the same authority as the king, but does not surpass the kingship. Rather, the former queen served to grow the young king"s status through regency from behind the veil. Agency ruling of the crown prince has been understood to be the process of exercising the king"s authority and preparing to ascend the throne. However, the rights of the king at this time fall within the rights of the king. the agency ruling of the crown prince can not replace the kingship. Furthermore, prince"s status at this time could never be the same as that of a king. Rather, the agency ruling of the prince is thought to have played a role to strengthen the kingship. Therefore, the fact that surrogate politics can not replace the king w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ogate politics and kings. This shows that the king"s power is eventually transcendental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is characteristic was an important factor to form the kingship. Therefore, "Surrogate Politics" was ultimately unable to surpass the kingship.

      • KCI등재

        조선왕조의 궁궐건축과 정치

        이강근(Lee Kangg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8 美術史學 Vol.22 No.-

        궁궐건축은 정치의 장과 생활의 장을 특수한 형식으로 결합하고 있어서, 그 形制를 ‘前朝後寢’이라는 용어로 불러 왔다. 여기서 朝라고 표현된 앞쪽 영역에는 聽政을 맡은 正殿과 時事를 맡은 便殿을 질서있게 배치하였으며 이곳을 治朝라고 불렀다. 그 동쪽에는 東宮, 春宮, 淸宮 등으로 불리는 세자의 영역을 마련하였다. 하나의 영역에 방위와 계절과 색채가 한데 어우러진 명칭을 부여한것은 물론 오행적 사고의 산물이다. 세자는 왕위를 계승할 자격을 갖춘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정치 일선에 나서지는 않았다. 儒家的 官人인 스승들로부터 제왕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덕목을 배우고 익히는 입장에 있었을 뿐이다. 다만 세자에게 신하들이 예를 갖추어 진행하는 의례가 동궁에서 진행되는 경우, 이를 통해 세자와 신하 사이의 위계질서를 확인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政事에 대한 의논은 書筵의 장에서 교육적으로만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세자가 살아있는 왕을 대신하여 신하들의 朝賀를 받고, 신하들과 정사를 의논해야 할 특수한 사정에 이른 경우, 즉 代理聽政이 여러 차례있었다. 時王을 대리하여 정사를 聽斷할 자격이 세자에게 주어지는 특수한 경우이다. 세자궁에는 원래 세자 일가의 처소와 서연처만 준비되어 있으면 충분하였다. 그러므로 대리청정을 할 장소는 동궁 근처에 따로 새롭게 마련하여야 했으며, 이곳에서 聽政節目에 따라 세자의 정치 생활이 실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왕조의 세자와 세자의 왕위계승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나서, 조선전기와 조선후기로 나누어 각 궁궐별 동궁의 변화상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대리 청정기에 동궁 영역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Palace construction in Korea involves the unique combination of public quarters with private quarters, which was later institutionalized as the principle termed the “principle of jeonjohuchim (前朝後寢).” Here the space labeled “jo” was referred to as “chijo” as it was seated in between the buildings called “jeongjeon” and “pyeonjeon” reserved for political affairs. In the east of the buildings is the palace for the Crown Prince, which was called “donggung (東宮),” “chungung (春宮),” or “cheonggung (靑宮).” The names that imply direction, season, and color as suchthe concept of five elements in Chinese cosmogony. The Crown Prince is the royal heir to the throne. Rather than actively participating in politics, he was supposed tohimself for the throne by learning virtues from Confucian scholars- teachers. Nevertheless, the hierarchy between the prince and his subjects was confirmed by the ceremonies held in the princely palace. Any political discussions was done exclusively for educational purposes during the private lessons for the Crown Prince. There were several instances of politics by proxy(代理聽政) in which the Crown Prince as the proxy received morning greetings from the King's subjects and discussed political affairs with them. They were the special occasions when the prince was entitled to make political decisions on behalf of the King. All that was needed for theprincely quarters were the residential quarters of the prince and his family and the lecture room. Accordingly, a new place for the Crown Prince to carry out his duties as the proxy King had to be prepared near his quarters. This essay summarizes the Crown Princes and the process of their ascendancy to the throne and briefly examines changes in the princely quarters in each palace by dividing the Joseon dynasty into two periods; the early period and the late period.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代理聽政 移行을 위한 王命의 頒布와 節次 -1827년 대리청정절목 반포 사례를 중심으로-

        박철민 청계사학회 2024 청계사학 Vol.27 No.-

        이 글은 1827년(순조 27) 시행된 翼宗의 代理聽政節目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대리청정으로의 移行을 위한 王命 頒布와 節次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대리청정자는 國王의 庶務를 대행하는 인물이나, 국왕과 동일할 수 없었다. 그렇기에 조선에서는 세부 조항을 두어 국왕과 대리청정자의 差別을 두었다. 세부 조항은 대리청정절목으로 완성되었으며, 조선에서는 議政府를 통해 중앙관아와 지방의 감영 등지에 대리청정절목을 반포하였다. 의정부의 문서를 통해 왕명을 받든 지방의 감영에서는 군현제와 정비된 驛道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하위 계층의 관아로 왕명을 전달하여 왕명 반포를 완성시켰다. 절목의 원본은 중앙에서 보관하고, 문서에 절목의 내용을 등사하여 왕명을 전달하는 방식은 唐代 王言의 반포 과정과 동일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roclamation of royal decree for transition to daeri-cheongjeong (대리청정; 代理聽政; prince regenc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ocedure of its proclamation, focusing on Daeri-cheongjeong-jeolmok (대리청정절목; 代理聽政節目; Detailed Regulations for Prince Regency) for Ikjong implemented in 1827 (the 27th year of King Sunjo’s reign). The prince regent in the Joseon dynasty was one who carried out the king’s general affairs on behalf of the king, but was not allowed to be considered as the same as the king. Therefore, Joseon had detailed regulations to make distinction between the king and the prince regent. The detailed regulations were compiled into Daeri-cheongjeong-jeolmok, which was proclaimed to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s via Uijeongbu (議政府, the State Council of Joseon). Obeying the royal decree in the form of a document of Uijeongbu, provincial government offices delivered the royal decree promptly to government offices of lower ranks on the basis of gunhyeonje (郡縣制) system and well-maintained roads, thereby completing the proclamation of the royal decree. The system of keeping the original jeolmok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delivering the royal decree to provinces by copying the contents of jeolmok is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promulgating the emperor's edict during Tang dynasty.

      • KCI등재

        효명세자의 상장례와 代理聽政 세자의 위상

        이현진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5

        본고는 효명세자의 예장이 조선시대에 치른 세자 예장의 마지막이라는 점과 그가 대리청정을 하던 도중에 죽음을 맞이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선후기 주요 쟁점 중의 하나였던 복제 논쟁의 결과와 대리청정 세자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효명세자 상장례의 전반적인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핀 뒤 그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 복제논쟁의 결과, 대리청정 세자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식 절차면에서는 복제 및 국가 제사(대・중・소사)를 지내는 시점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반적으로 일반 세자의 예장과 거의 차이를 노정하지 않았다. 특히 복제는 영조대에 편찬한 『國朝喪禮補編』을 근거로 순조와 순원왕후가 삼년복을 입어, 조선이 건국된 이래 처음 있는 유일무이한 경우였다. 단, 대리청정을 하던 세자였기에 복제를 그렇게 정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문헌의 뒷받침이 부족하여 향후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용어에서는 국장에서 쓰는 단어가 등장하기는 하나 일시적으로 나올 뿐 전반적으로는 세자의 신분에 적합한 용어를 사용했다. 다만, 입묘도감의 설치, 예장도감이 아닌 장례도감으로 도감의 칭호를 정한 점 등은 여느 세장의 예장과는 다른, 효명세자의 위상을 보여주는 지점이었다. 도설에서는 欑室의 형태가 국왕이나 왕후의 欑宮과 형태적으로 유사성을 띠었기에 다른 세자의 그것과는 유난히 달랐다. 이 또한 효명세자의 위상을 보여주는 일면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빈궁과 혼궁을 설치한 공간과 그의 위상과의 관련성이다. 빈궁인 환경전과 혼궁인 통화전・문정전은 국왕이나 왕후의 빈전과 혼전으로 주로 사용된 전각이므로, 이 또한 그의 위상과 직결되는 일면이었다. 아버지 순조가 재위에 있는 동안 그의 예장을 치렀기에 父情의 반영이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 당시 신하들이 빈궁・혼궁으로 정한 전각을 두고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른 세자의 예장과는 다른 면모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숙종 45년, 국왕의 耆老所 入所의 정치적 의미를 세자의 대리청정과 연계하여 분석한 것이다. 국왕의 耆老所 입소는 태조 이후 처음으로 환갑에 이른 국왕이 태조의 기로소 입소 고사를 재현한다는 명분 아래 이루어진 것이었다. 하지만 이 행사의 명분이 된 태조의 고사는 선조대 기로소의 중건으로 생성된 신뢰성이 없는 사적이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로소 입소가 시행된 것은 전년에 시행된 세자의 대리청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경종의 대리청정은 ‘丁酉獨對’ 이후 노론 대신들의 동의에 따라 전격적으로 단행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은 대립하고 있던 少論 및 결정 과정에서 소외된 신료들 일반의 강한 비판을 초래하였다. 이에 숙종은 기로소 입소의 의례를 통하여 자신과 태조를 동일화함으로써 정계의 비판적 기류를 완화하고자 한 것이다. 즉 태조의 후계자인 숙종 자신과 일찍이 태조를 현창하는 데 앞장섰던 宋時烈의 권위를 재확인하고, 효종과 송시열의 ‘己酉獨對’ 고사를 부각시킴으로써 독대를 매개로 이루어진 숙종의 정국운영을 합리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political meaning of King Sukjong'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Gi'ro-so, 耆老所") in the 45th year of his reign, and how Sukjong's decision was related to the Crown-prince's overtaking of Joseon's general governing. Sukjong was the first to enter the Chamber of Elders ever since the Founder King Taejo's days. Sukjong reached the age of 60, and decided to enter the chamber to recreate the historical occasion and commemorate Taejo's own entrance into the chamber. Yet the belief that Taejo himself had once entered the chamber was never based upon verifiable facts. The Chamber of Elders was reconstructed during King Seonjo/世宗's reign, and the story of Taejo/太祖 entering the chamber seems to have generated at that time. So, there was a controversy regarding Sukjong's decision to relive that supposed moment. Yet Sukjong entered the Chamber nonetheless, because his decision was closely tied to the Crown-prince's takeover of general governing of the dynasty, which commenced a year ago. After the 'Private talk of the Jeong'yu year'(丁酉獨對), senior officials of the No'ron/老論 faction agreed to Gyeongjong's overseeing of the general governance in King Yeongjo's stead. Yet officials from the So'ron/少論 faction, as well as many others who were shut out from the decision making process, strongly criticized it. King Sukjong wanted to mitigate such criticism by entering the Chamber of Elders, and presenting himself as the same figure as the Founder king Taejo, throughout the entrance ceremony. He was the distant successor of the Founder king, and Song Shi-yeol/宋時烈, the most powerful being in the government at the time, was the person who led the task of commemorating Founder Taejo. Sukjong's actions were intended to have Song Shi-yeol's authority, and the authority of himself as well, duly recognized once again. He also wanted to justify his own past governing, which had been based upon private talks, by propagating the 'Private talks of the Gi'yu-year'(己酉獨對), which had been exchanged between Song Shi-yeol and former king Hyojong/孝宗.

      • KCI등재

        英祖代 思悼世子 대리청정기 종묘 의례시행 양상

        신진혜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8

        이 논문은 영조가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시기에 어느 정도의 의례적 권한을 세자에게 허용했는가에 대해 종묘의례 시행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영조 27년(1751) 정리된 『續五禮儀補』에 ‘왕세자 종묘섭사의주’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국왕의 친향 의주와 세자의 섭사 의주를 구분해서 설정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리청정 시기에 각종 종묘 의례가 시행되었던 양상을 검토해본 결과, 대부분의 주요 의례는 영조를 중심으로 시행되었고, 사도세자는 영조의 의례수행을 보조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영조와 의례를 공동으로 주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리청정기 사도세자의 의례적 권한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영조의 주요 의례수행을 보조하는 역할에 머물렀다고 정리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of ritualistic authority granted by King Yeongjo to Crown Prince Sado during his regency,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Jongmyo ritual. In the <Sok-Oruibo>, a ritual book compiled in the 2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51), the ‘Regulations for the Crown Prince's Proxy Participation in the Jongmyo Ritual’ were included. This confirms the distinction in the regulations between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king in the ritual and the proxy participation of the crown prince in the ritual. Moreover, upon examining the process in which various Jongmyo rituals were conducted during the regency period, it was observed that the majority of significant rituals were performed under the direction of King Yeongjo, while Crown Prince Sado either assisted King Yeongjo in the ceremonial procedures or temporarily co-led the ceremonies with him. Therefore, the ritualistic authority of Crown Prince Sado was highly limited, and it can be summarized that he remained in a role assisting King Yeongjo in the ceremonial procedures.

      • KCI등재

        정조의 성장과정을 통해 본 조선후기 왕위계승교육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7 No.-

        정조는 1752년(영조 28) 9월 22일에 탄강하여, 8세에 왕세손 책봉례, 10세에 입학례와 관례를 치르고, 11세에 아버지 사도세자가 薨逝하자 왕세손이면서 東宮으로 進封 되었고, 24세에 왕위계승자의 실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대리청정 수행을 거쳐 25세에 등극하였다. 조선왕실의 왕위계승교육은 성장과정에 따라 기관의 명칭과 위상을 달리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곧 보양청(보육기관)→강학청(조기교육기관)→세손강서원(왕세손교육기관)→세자시강원(왕세자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거쳐 왕으로 등극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과정 외에도 책례⋅입학례⋅관례 등과 같은 의례를 거행하게 되는데, 이는 왕위계승자들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지도자로서의 소명의식을 내면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책례는 왕위계승자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정국의 혼란을 막으려는 정치적 의도도 있었지만, 그보다도 일찍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예비 왕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과 덕목을 쌓아 군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려는 교육적 의미가 더욱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등극 전에 이루어지는 대리청정은 왕위계승을 위한 실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전기에 비해 왕위계승에 있어서 종법적 정통성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였으므로, 군왕으로서의 강력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료들을 제압할 수 있는 지적능력이 요구되었다. 때문에 특히 영⋅정조대에는 왕실교육을 확대 강화함으로써 왕실의 위상제고와 왕권강화에 주력하였으며, 의례정비를 통해 국가기강과 통치질서를 확고히 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It was ruled by Kings of the Royal family that had secured the orthodoxy of clan rules under Confucian ideas. Royal family was the main prop of Confucian culture and Kings were leaders who leaded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top. Therefore, Kings should complete more strict and intense education than noblemen.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establish prim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ystems to foster successors qualified for the throne.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es and educational ceremonies. Study on educational institutes could clarify the purpose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at were installed along the growth of throne successors and the educational courses that successors completed by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study on educational ceremonies could make it clear how were throne successors given with authority and did they internalize the duty of sense as the leader to lead next generation. In addition, by tracing the form with which politics and education had combined each other through ceremonies,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ceremonies of Joseon Dynasty had have a unique 'educational function'.

      • KCI등재

        損窩 崔錫恒 「請對」의 설득 전략과 의미

        윤재환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손와 최석항은 조선 후기 소론계열의 중심에서 당대 정국을 주도했던 인물의 한 사람이다. 그는 71년의 생애 동안 45년을 관직에 있으면서 소 론계열의 존립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와 같은 활동으로 인해 최석 항은 경종대의 소론 4대신 중 한 사람으로 꼽힐 만큼 높은 정치적 위상 을 누렸지만, 운명 이후 지속적인 곤경을 겪었다. 이 글은 최석항의 「청 대」를 대상으로 그의 설득 전략을 확인하고 「청대」가 지닌 의미를 살펴 보고자 한 것이다. 모두 9단락으로 구성된 「청대」는 경종의 대리청정 결정이 지닌 논리 적 문제점의 지적을 시작으로 경종에 대한 비판과 선왕과 왕세제의 마 음을 이용한 호소, 비판을 통한 도발과 자기감정의 토로를 거쳐 왕세제 청정요구 자체의 문제와 비망기 환수의 이익 제시로 마무리된다. 「청대 」의 논지 전개 방법은 대화의 상대인 경종의 반응에 따라 바뀌는데, 이 런 방법은 경종에게서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해 최석항이 선택한 대화 전 략이다. 최석항의 「청대」를 보면 당시 절박했던 최석항의 심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이후 이루어진 일련의 정치적 결정들을 살펴보면, 최석항의 「청대」는 그 스스로의 선택에 따른 것이지만 경종의 의도에 부합하는 것으로 경종의 행동 근거를 만들어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 석항과의 면대 이후 이루어진 경종의 과단한 정치적 결정들은 최석항의 「청대」가 경종에게 준 자신감을 읽을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최석항 의 「청대」는 정치적 설득 전략뿐만 아니라 당대 정치사의 이면을 이해 하는 중요한 자료로 의미를 지닌다. Sonwa Choi Seok-hang is one of the characters who l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day at the center of the soron fa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spent 45 years in office during his 71-year career trying to keep the existence of the soron faction. Due to these activities, Choi Seok-hang had a high political status as one of the four ministers of the Kyongjong era, but suffered a constant political plight even after his die. This study is to confirm his persuasion strategy through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Cheongdae(請對)」. The 「Cheongdae(請對)」 consisting of all nine paragraphs begins with the indication of the logical problems of the Daericheongjeong(代理聽政) decision of Kyongjong. And criticism of Kyongjong, appeal using the late king and crown prince's mind, provocation through criticism and self-emotion, and the error of raising the problem itself and the profit of Bimangi(備忘記) return are concluded. The development of the point of an argument in 「Cheongdae(請對)」 depends on the reaction of the conversation partner Kyongjong. This is the conversation strategy Choi Seok-hang chose to get the answer he wanted from Kyongjong. When you look at 「Cheongdae(請對)」, which records the stories that Choi Seok-hang met with Kyongjong, you can feel the feeling of Choi Seok-hang, who was desperate at the time. However,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was made by his own choice, but if you look at the series of political decisions made after this, this is in line with Kyongjong's intention and it can be said that Kyongjong has made a basis for his future action. The bold political actions after the meeting with Choi Seok-hang allow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to read the political confidence given to Kyongjong. In this regard,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is meaningful not only as a political persuasion strategy but also as an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the back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da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