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석상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2000년대 초반 학계에 ‘한국선도’라는 새로운 학술 개념어와 학문분야가 등장하였 다. 본고는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중국도교 및 한국도교와의 상호간 개념과 영역을 비교 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의 선도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교문화 내지 서구인 시각으로 규정되어 저급한 샤머니즘[巫]으로 폄훼받기 일쑤였으나,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및 연구 성과는 선도문화가 샤머니즘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신선문화⋅신선사상[仙]이라는 사실 및 동북아 신선문화의 시원과 전파의 주체가 한민 족에게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근대 이후 한국선도 연구는 두 경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신채호 이래 한국선도가 중국도교와는 차별화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라는 주체적 입장에서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이능화 이래 한국선도를 한국도교의 범주 속에 포함시켜 연구하는 입장이었 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양적으로는 학계의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전자의 학풍을 계승하고자 하는 선학들의 연구가 이어져 왔고 이에 힘입어 ‘한국선 도’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선도는 기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 및 철학(사상), 역사 등을 포괄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신선장생사상을 기반으로 노장 사상 및 유교⋅불교와 여러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이다. 전자는 삼원오행론 철학을 기반으로 성통⋅공완하여 홍익인간⋅재세이화한 연후에 조천한다 는 신선문화, 곧 ‘신선공완사상’을 갖고 있다. 후자는 음양오행론 및 불로장생하여 우화 등선하려는 ‘신선장생사상’을 갖고 있다. 한국선도는 선도철학의 정수를 담은 경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수행, 강인한 역사의식 등을 기반으로 선도사관이 형성되었 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도장이라는 방대한 경전을 갖고 있을 뿐 역사의식이 미비하고 사회적 실천의식도 없어서 도교사학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한국도교는 중국도교와 거 의 비슷하다. 2000년대 초 이래 ‘한국선도’ 학문분야가 신생하여 분립하고 있다. 한국도교는 한국 선도의 분립을 수용하지 않고 한국도교의 도장 편찬을 위해 한국선도의 경전 및 사서를 끌어안고 있다. 반면에 그간의 한국선도의 연구성과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교는 한국선도 연구성과를 대범하게 인정하고 한국선도의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를 제안한다. 이유는 동북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선도 문화를 한국선도 및 한국도교 연구자들이 상호 조화롭게 연구하여 유라시아 전역 상고 문화사가 선도적 역사의식의 관점에서 서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오랜 동안의 문화사대주의 특히 중화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it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hinese Taoism. The Korean Sundo culture was hitherto viewed as being similar to Shamanism especi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lens. However,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1980’s are revealing that the Korean Sundo is the ShinSun (神仙) Thought which embodies a highly cultivated ways of life and a world view distinct in its qualities to shamanism and it also explains the origins of the North-east Asia ShinSun (神仙) Cultu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tendencies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Sundo since the modern era. One takes on the thoughts of Shin Chae-ho, that Korean Sundo is a thought system indigenous to Korea, distinguished from Chinese Taoism. The other follows on Lee Neung-hwa who understands Korean Sundo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Korean Taoism. The latter has been the mainstream point of view, at least in terms of the numbers of its researchers. However, the former school has continued to thrive, culminating in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Korean Sundo’. Korean Sundo is an indigenous Korean system of thought that embraces the balance of the mind and the body based on training by way of the philosophy of energy (氣) that further extends to an awareness of social values and its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oism is a religion formed of Shinsun Long-life thought, Laotzu, combination as a Confucianism, Buddhism and various folk religion. The former is a Shinsun culture with active sense of humanitarian cause with endeavor to establish Hongik Ingan (弘益人間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Jae Ihwa (在世理化 Creating a peaceful world) by way of Seongtong (性通 Connecting with heaven)⋅Gongwan (功完 Serving to the society) on a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 Chun(天)⋅Ji(地)⋅ In(人,) doctrine. The latter, Chinese Taoism, on the other hand, has its base on Shinsun Long-life thought by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to ascen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way of staying young and living long. Korean Sundo has also formed its way of viewing the history with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al training accompanied by the scriptures that contain the essence of Sundo philosophy. Whereas Chinese Taoism has a massive scripture, called Dojang (道藏), it lack historical consciousness or awareness to serve the society, and therefore there isn’t a branch of study in history in Taoism. Similarly, the same applies to Korean Taoism. Since the early 2000’s,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emerged and is standing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the Korean Taoism is embrac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Sundo in order to publish their own scriptures. Meanwhile, they do not accredit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We propose that the Korean Taoists should acknowledg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and that they should also study into the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the Korean Sundo. This will enable the two fields to research more harmoniously as the Korean Taoism adopts the historical viewpoint from Korean Sundo, whereby the ancient cultural history that spread throughout Eastern Asia and Eurasian continent has its central philosophical origin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the Korean philosophe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last free of the prolonged cultural toadyism, especially Sino-centrism.

      • KCI등재

        동북아 고고학에 나타난 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와 민족종교의 원형 회복

        정경희 ( Jung,Kyu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1 No.-

        1980년대 이후 등장한 동북아 상고문화의 표지인 ‘단(제천단)·묘(모신사당)·총(무덤)’ 유적 및 ‘옥기’ 유물은 B.C.4000년∼B.C.2400년경 요동∼요서지역 신석기 후기∼동석병용기 문화가 맥족(예맥족, 한민족)에 의한 배달국의 선도제천문화였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현재의 한국학계에서는 배달국시기나 배달국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한국사의 출발점을 단군조선, 또 한국문화의 요체를 샤머니즘으로 바라보는 경향이다. 샤머니즘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후대 한국사회의 민속 · 무속, 또 민족종교에 준하고 있다. 그러나 민속ㆍ무속, 또 민족종교는 선도제천문화의 후대적 변형태일 뿐, 선도문화의 원형은 아니다. 배달국시기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이 등장하였다면 이것이 후대에 이르러 민속ㆍ무속화하였고, 또 이렇게 변질된 민속ㆍ무속문화를 계승한 것이 근대 이후의 민족종교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동북아 고고학 성과에 의거하여 배달국 선도제천문화의 원형을 제시한 후 이것이 후대에 이르러 민속ㆍ무속화하고 근대 이후 다시 민족종교화하는 대체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배달국 선도제천문화를 ① 선도제천을 통한 천인합일 수행[성통], ② 선도정치(선도 천자제후제)를 통한 홍익인간ㆍ재세이화적 사회실천[공완] 두 방면으로 나누어 보았고 그 계승형태로서의 민속ㆍ무속문화도 이러한 양대 기준을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한국의 민족종교나 민속ㆍ무속문화가 그 첫출발점으로서의 배달국시기 선도문화의 원형성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더 나아가 그 원형성을 회복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보았다. Altar(壇)·Shrine(廟)(the Great Mother Goddess Shrine母神廟)·Tomb (塚) and jade tools(玉器) that is the sign of Hungshan Culture were clearly shown that the ancient culture of Late Neolithic Age∼Chalcolithic Age that lasted in Liaodong(遼東)∼Liaoxi(遼西) area around B.C. 4000∼B.C. 2400 was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Culture of Baedalkook(倍達國) led by Maek(貊) race(Yemaek濊貊, Korean). In the current korean academia,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Sundo Culture of Baedalkook, and the tendency to view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history as Dangun-Chosun(檀君朝鮮) and the essentials of korean culture as Shamanism rather than Sundo Culture. Regarding the contents of Shamanism, the perception of korean academia is based on Folk-Shaman Culture and Ethnic Religions of later korean society. However, Folk-Shaman Culture and Ethnic Religions of later korean society were just a later transformation of ancient Sundo Culture, not a prototype of ancient Sundo Culture. The prototype of Sundo Culture was formed during Baedalkook period, and as time passed, it changed into Folk and Shaman Culture, and again Folk and Shaman Culture changed into Ethnic Religions since the modern era.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Northeast Asia, I first presented the prototype of Sundo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and then suggested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Folk-Shaman Culture and Ethnic Religions in the later period. Particularly, I considered Sundo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in two ways, ① Sundo discipline for Cheonin-Habil(天人合一, unification with heaven) through Sundo Heaven Ritual [Sungtong性通], ② Sundo social practice for Hongik-Ingan(弘益人間, Benefiting the world) Jase-Ihwa(在世理化, Edifying with reason) through Sundo Politics(Sundo Emperor天子-Feudal lords諸侯 system) [Gongwan功完].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we can understand that korean Folk-Shaman Culture and Ethnic Religions had the task of accurately recognizing the originality of Sundo Heaven Ritual Culture as the first starting point of korean history and restoring the originality.

      • KCI등재

        요서지역 조보구문화~홍산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변화와 배달국의 ‘마고제천’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요서지역 최초로 마고여신상이 발견, 마고제천이 시작된 곳은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대이다. 흥륭와문화의 후속문화인 조보구문화기에 이르러 이 일대의 마고여신상에서 척추선이 강조되고 백회혈이 표시되는 등 선도수행적 표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조보구문화의 후속문화인 홍산문화기에는 선도수행적 표현이 더욱 분명해졌다. 흥륭와문화기 이래 홍산문화기에 이르기까지 서랍목륜하 일대는 마고제천이 시작되어 선도수행적 방향으로 변화 · 발전해간 마고제천의 초기 중심지였다. 홍산문화기에는 소조상 제작이 일반화되면서 소조 여신상이 널리 제작되었는데 반가부좌 상태로 양손으로 배 하단전을 감싼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하단전에서 시작하여 중단전, 다시 상단전으로 생명력이 회복되어가는 선도수행의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당시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간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홍산문화기 여신상에는 선도적 세계관인 仙道氣學까지 표현되었으니 3명의 여신이 합체된 형상의 ‘마고3여신상’, 또 인체의 3배 · 2배 · 1배 크기로 3구분된 총7기의 여신이 십자형으로 배치된 ‘마고7여신상’의 경우가 그러하며, 여기에서 홍산문화기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가고 있었던 배경에 선도기학에 대한 진전된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이렇듯 홍산문화기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간 모습은 선도사서중 배달국시기 역대 환웅들의 ‘敎化 · 師道’에 의해 마고제천문화(선도문화)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어간 모습과 합치된다. 중국학계는 요서지역의 여신상 전통을 기본적으로 조상숭배로 바라보며 그 사상 · 종교성은 ‘샤머니즘’으로 인식하기에 여신상에 나타난 선도수행적 의미에 전혀 주목하지 않았다. 단지 좌법에만 주목, 기왕에 중국의 전통 정좌법으로 인식되어온 ‘궤좌’ 대신 ‘반가부좌’를 전통 정좌법으로 변개하였다. During Xinglongwa(興隆窪) Culture, the central area of Liaoxi area that the very first ‘Mago Goddess statues’ were excavated and Mago Heaven Rituals had started was just XarMoron River area. Toward Zhaobaogou Culture, the follow-up culture of Xinglongwa Culture, ‘Sundo-discipline marks’ in Mago Goddess statues such as spine mark and Baekoe meridian-point(百會穴) mark were indicated. Toward Hongshan Culture, the follow-up culture of Zhaobaogou Culture, these kind of marks were become more clear. From Xinglongwa Culture to Hongshan Culture, XarMoron River area was the initial pivot that Mago Heaven Rituals was started and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Sundo-discipline. During Hongshan Culture, as clay statues production was common, ‘clay Goddess statues’ were made widely. The most distinctive posture of clay Goddess statues was sitting with her legs half-crossed and with her hands around the bottom-Danjeon(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This posture is the indication on the process of Sundo-discipline recovering human’s vitality in order of the bottom-Danjeon, the mid-Danjeon(中丹田), and the top-Danjeon(上丹田). It shows that Mago Heaven Rituals of Hongshan Culture was changed and deepened into the direction of Sundo-discipline. Also in ‘clay Goddess statues’ of Hongshan Culture, Ki philosophy of Korean Sundo was indicated. Two exemplary cases were ‘Mago 3Goddess statues’ shaping a complex of three Goddess and ‘Mago 7Goddess statues’ that are arranged crosswise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3times-sized, 2times-sized and life-sized of human in Uharyang(牛河梁) Shrine(Goddess Shrine) remains. ‘Mago 3Goddess statues’ and ‘Mago 7Goddess statues’ shows Hongshan people’s understanding level on Sundo philosophy(Ki philosophy) and Mago Heaven Rituals which was heading deeper into the Sundo-discipline direction. Researching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n Sundo, the aspect that Mago Heaven Rituals in Hongshan Culture was heading deeper into the Sundo-discipline direction is a natural result that a line of Whanwoong(桓雄) of Baedalkook educated in Mago Heaven Rituals at the state level.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interpret Goddess statues in Liaoxi area as the ancestor worship and understand a religious background as Shamanism. So they don’t attend Sundo-discipline marks of Goddess statues at all. Only attending sitting position, they alter the formal sitting position of ancient China from sitting on feet to sitting with legs half-crossed.

      • KCI등재

        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와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

        정경희 ( Jung Kyu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본고는 B.C.4000년~B.C.2400년경 동북아에서 만개한 상고문화를 ‘맥족-배달국-선도문화’로 바라보는 시각으로써 한민족의 기원을 ‘[맥족(환웅족 + 웅족)] + 예족(호족) →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으로 정리한 연구이다. 1980년대 이후 동북아 고고학의 발달로 한국사의 진정한 출발점이 되는 배달국사가 복원되면서 한국인의 종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분명히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방향은 대체로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한민족(예맥족)의 성립기는 배달국이며 배달국문화의 요체인 선도제천문화로 인해 토템족에서 천손족으로의 정체성 전환이 있었다. 전기 신석기 웅족·호족은 토템족 단계에 머물렀지만, 후기 신석기·금석 병용기 배달국 개창을 계기로 환웅족과 웅족·호족의 결합으로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이 형성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선도제천문화’가 민족문화의 요체가 되면서 한민족은 토템족에서 천손족으로 변모되었다. 둘째, 배달국시기 정립된 한민족의 선도제천문화는 주변 지역으로 널리 전파, 주변민족까지 천손족으로 변모시켰다. 배달국 이후 단군조선 시기에 이르기까기 한민족의 선도제천문화와 천손사상은 중원지역으로 전파, 중국문명을 개도하였을 뿐아니라 북방제족을 매개로 동·서·남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 일대로 전파되었다. 배달국 선도제천문화와 천손사상은 인류문화의 발전 방향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시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차원을 넘어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Korean people(Han韓 race), i.e. ‘[Maek貊 race(Hwanung桓雄 race + Ung熊 race)] + Yeh(濊) race(Ho虎 race) → Han race(Yemaek濊貊 race·Saepark새밝 race·Maek race)’, according to a research perspective that recognizes the ancient culture between 4000B.C.~2400B.C. in full bloom in Northeast Asia as ‘Baedalkook-Sundo(仙道) culture’ As Confucian historical recognition became popular in Korean society,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eople in early Baedalkook and the history of Baedalkook, Dangun Chosun(檀君朝鮮), and Buyeo(夫餘), which embraced the northern peoples with Sundo Heaven Ritual(祭天) Culture, were forgotten. 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n archeology, the ‘Baedalkook-Sundo culture’, the true starting point of Korean history, has been restored, and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of Koreans. First,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the Ung race and Ho race were only Totems, but after the opening of the late Neolithic and Chalcolithic periods, the Korean people were newly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Hwanung·Ung·Ho races and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became the na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Korean people changed from Totem people to Chunson(天孫) people. Second,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and the Chunson(天孫) thought of the Korean people during Baedalkook and Dangun Chosun periods spread beyond the East, West, and South Asia through the northern peoples to Eurasia, forming the basic framework of the world’s ancient civilizations and elevating the dignity of human history.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and the Chunson thought of Baedalkook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beyond the national culture by presenting deep understanding and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f human culture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와 백두산의 ‘선도(仙道) 제천(祭天)’ 전통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요하문명론의 요체인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은 애초 중원이나 요서 지역에 대한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요하문명의 동쪽, 곧요동·한반도 지역으로도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요하문명의 동진 이론으로서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였다. 장백산문화론의 기본 구도는 한민족(예맥족)계의 종족적, 문화적 의미를 철저히 배제한 위에 종족적 주체로 숙신계(후금·청대 이후 화하족(한족)화하였기에 화하계로 인식), 문화적 주체로 화하계를 드는 방식이다. 요하문명론의 ‘홍산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문화’ 계통론은 장백산문화론에 이르러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하가점하층문화→은상〕→(연·)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고구려·부여→발해’ 계통론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계통 인식은 요하문명론의 은상족 중심의 역사인식을 확장한 것으로 연과 기자조선은 물론 고구려·부여까지도 은상계국가임이 강조되었고, 이로써 한국사가 뿌리에서부터 말살되었다.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른 모든 부면의 주제들이 실상 ‘홍산문화(예제문화·선상문화)론’의 확대·부연이기에 그 오류 교정에 있어 ‘홍산문화(선도문화·배달국문화)’의 기준점은 한결같이 중요해진다. 1990년대 후반 중국측은 장백산문화론을 입증하기 위해 백두산 일대에서 발견된 고제단들에 ‘홍산문화(예제문화, 선상문화) 계통론’을 투영하였다. 결국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이 확인,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오류가 드러났다. 홍산문화기 요서 홍산문화 일대와 요동 백두산 일대를 관통하였던 제천 문화의 양대 중심에 대한 문헌 기록으로는 배달국의 양대 중심지로 신시(백두산 지역)와 청구(홍산문화 지역)를 제시한 한국측 선도사서가 있다. 중국측은 장백산신앙을 화하계 문화로 몰아가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장백산신앙의 중심을 숙신계 샤머니즘으로 변경한 후, 숙신족이 중원왕조화한 금·청대 이후 장백산신앙이 샤머니즘의 차원에서 중원왕조의 산악숭배 차원으로 변모되어갔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장백산신앙의 중국적 귀속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숙신계 샤머니즘은 단순한 숙신계 고유의 샤머니즘이 아니라 배달국·단군조선 이래 선도문화권이었던 동북아 일대의 보편적 선도 제천 문화가 숙신화한 형태였다. 중국측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도 불구하고 결국 예맥족계의 선도 제천 문화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The co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theory’ started as a historical theory on Zhongyuan中原 and Liaoxi遼西 region in the first place. It was gradually expanded to the east region of Liaoxi, Liaodung 遼東 and Korean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was emerged as the easting theor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is that the ethnic center is Manju people(prescribed as a Chinese people since Jin and Qing dynasty) and the cultural center is Chinese people excluding the primary status of Korean people in terms of ethnic group and culture. The genealog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had broadened to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Yen dynasty·)Kija Chosun箕子朝鮮→Wiman Chosun衛滿朝鮮→ Four Commanderies of Han dynasty→Goguryeo·Buyeo→Balhae’. This genealogy is the extansion of the historical awareness focused on Shang dynasty, the basic historical aware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awareness, Goguryeo, Buyeo and Balhae as well as Yen dynasty and Kija Chosun were emphasized as a descendant of Shang dynasty. With this, Korean history was abolished from the root. As the starting point for all distortions by China is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he starting point for all correction of it is just ‘Hungshan Culture(Sundo仙道 Culture, Baedalkook倍達國 Culture) theory’. In the late 1990’s, chinese scholars began to apply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o the ancient altars that were found in the region of Mt. Baekdu to prove their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At la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Hungshan Culture region and Mt. Baekdu region has come into view and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is exposed to error. He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tradition of Sundo Heaven rituals was diffused from Liaoxi to Liaodung since Hungshan Culture. According to history books of Korean Sundo, Sinsi神市(Mt. Baekdu region) and Cheonggu靑邱(Hungshan Culture region) were ju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during Baedalkook period. When chinese scholars got to know that they were unable to drive Mt. Changbai culture - especially ‘Mt. Changbai Faith’ to the chinese culture, they changed the center of ‘Mt. Changbai Faith’ to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as the next best thing. And they advocated that the ‘Mt. Changbai Faith’ belongs to chinese culture because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changed to chinese Mountain worship(Ritual Culture) since Jin and Qing dynasty. But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not merely their inherent shamanism, just but a type of the universal Sundo Heaven rituals of northeast asia since Baedalkook period. In spit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China just got to meet Korean Sundo Culture.

      • KCI등재

        홍산문화의 祭天 유적·유물에 나타난 ‘韓國仙道’와 중국의 ‘先商문화’적 해석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4 No.-

        본고는 홍산문화의 표지인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을 ‘선도 제천’ 유적 유물로 분석함으로써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선도문화임을 밝히고 선도문화의 시각에서 중국측의 예제문화적 해석이나 선상문화적 해석을 비판한 연구이다. 홍산문화가 한국선도에 기반한 배달국의 문화임은 단·묘·총 유적과 옥기 유물이 오직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 기·화·수·토·천부론, 천부조화론, 마고신화)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시각을 통해서 비로소 해석가능한 ‘선도 제천’ 유적·유물이라는 점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반면 중국측은 중국의 오랜 음양오행론 전통에 따른 ‘현상적’ 접근법을 취하였던 때문에 단·묘·총과 옥기의 이면에 자리한 삼원오행론적 세계관과 선도수행적 상징성을 읽어내지 못하고, 주로 겉으로 드러난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하게 되었다. 단·묘·총과 옥기에 대한 중국측의 해석은 대체로 ‘禮制문화’로 정리되는데 이는 후대 중국왕조의 예제를 투영한 것으로 내용적 실체가 분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중국측이 제시한 예제문화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실상 은상문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곧 중국측은 홍산문화의 주된 흐름을 ‘홍산문화 → 하가점하층문화 → 은상문화’로 보았는데, 은상문화가 기준이 되었기에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 양대 문화는 ‘先商문화’로 개념화되었다. 후대문화를 선대문화에 투영함으로써 얻어진 ‘선상문화’라는 개념의 부적절함은 중국측이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홍산문화나 하가점하층문화가 선도문화에 기반한 배달국·단군조선문화로 중원지역을 비롯한 수많은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 만개하였고 그중 하나가 은상왕조였다면 ‘선상문화’라는 개념은 마땅히 폐기되어야 한다. Altar•Shrine•Tomb and jade tools that is the sign of Hungshan Culture are the remains and relics for Heaven rituals of Korean Sundo. And those can be made an interpretation only by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the idea of ‘Ki氣•fire火•water水•earth土•Chunbu天符’氣•火•水•土•天符論, the Chunbu harmony theory天符調化論] that is the core theory of Korean Sundo. So we get to know that Hungshan Culture is Baedalkook倍達國 Culture based on Korean Sundo.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make an interpr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ungshan Culture as ‘Ritual Culture’, but they can’t adduce the core of ‘Ritual Culture’.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has many interpretative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Sundo. Factually chinese interpretation of ‘Ritual Culture’ is complied with the ‘Shang Culture’. That is, chinese scholars consider the main spreading route of Hungshan Culture as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As chinese scholars think that the central axis is Shang Culture in these rout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Pre-Shang Culture’. ‘Pre-Shang Culture’ is a inappropriate concept because it is generalized by reflecting the later culture(Shang Culture) to the early culture(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On this account we get to know that chinese scholars don’t go to the core of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Hungshan Culture and Xia Jia Dian Lower Culture are the culture of Baedalkook and Dangun Chosun檀君朝鮮 based on Korean Sundo culture, and those culture are diffused throughout many regions including China and flourished. As Shang is just one of many regions, the concept of ‘Pre-Shang Culture’ have to be discarded as a matter of course.

      •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 ‘옥벽류(벽.환.결)’의 요서지구 흥륭와문화 ‘결’로의 전파:유라시아 신석기 선도제천문화의 계승과 확산 사례

        정경희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5 No.-

        후기 구석기 바이칼 일대에서 성행했던 벽류는 모신상⋅신수상 등과 함께 당대인들 이 느꼈던 생명을 표현한 대표적인 생명(영기) 표상이었다. 원형과 원각방형을 기본형 으로 각종 다양한 변형태가 나타났고 소용돌이문 등의 생명 문양이 표현되기도 했다. 이러한 벽류는 오랜 잠복기를 지나 B.C.7000년경 동북평원 오소리강 일대에서 발흥 한 소남산문화의 옥벽류(벽⋅환⋅결)로 이어졌다. 소남산문화기 ‘적석단총(적석 제천 단 겸 무덤), 모신상, 옥기’를 표지로 하는 선도제천문화가 새롭게 등장하게 되는데 제천의기였던 옥기 중에서도 선도제천의 요체이자 신격인 생명을 형상화한 옥벽류가 가장 중시, 집중 제작되었다. 옥벽류는 이즈음 새롭게 개화한 선도제천문화의 상징과 같은 존재로 흑수백산지구의 대표 옥기 기종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소남산문화 옥벽류를 위시하여 흑수백산지구의 옥벽류는 약 1천여년의 시차를 가지 고서 B.C.6000년경 무렵 요서 흥륭와사회로 전파되는데, 흑수백산지구에서 성행한 옥벽류 3종 중에서 결만이 전파되거나 또는 결⋅비 위주로 전파되었다. 이는 선도제천 문화 전파시 상대적으로 개인 위세품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결 또는 결⋅비를 해당지역 의 통치세력에게 전달하였던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파 경로를 보면, 먼저 서랍목륜하 일대의 흥륭와문화 백음장한유형을 거쳐 대릉하 일대의 사해유형으로 전파, 서요하⋅ 서랍목륜하 초원길이 흑수백산지구와 요서지구 교류의 일차 루트였음을 보여주었다. 소남산문화의 주역은 환국의 환인족으로 훗날 배달국의 맥족(환웅족+웅족, 한민족의 원형)으로 이어졌다. 흑수백산지구에서 성행한 옥벽류 3종 전체는 홍산문화 후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요서사회에 등장하였다. 백두산 서편에서 배달국이 개창된 이후 맥족의 요서 진출 과정 에서 맥족의 옥벽류가 비로소 온전하게 요서지구로 전수된 것이다. 이렇듯 본고에서는 소남산 옥기문화로 상징되는 동북아 신석기 선도제천문화의 시 원이 후기 구석기 동시베리아 바이칼지구로 소급되며, B.C.7000년경 이래 요서지구⋅ 중원지구 등지로 서진(西進)해갔음을 확인하였다. 동북아 신석기 선도제천문화의 계승 과 확산 방향에 대한 연구는 유라시아 선사시대 제의문화에 나타난 동⋅서 문화 교류의 문제를 풀어갈 실마리이다. The Byeog(璧) types that were prevalent in the Paleolithic Baikal areas were representative ‘Ki(氣)-energy’ symbols that expressed Ki-energy felt by the people of the time, along with Great Mother Goddess(母神) statues and holy animal(神獸) statues. The circular shape and the square shape with a cut edge were the basic types, but various variations had emerged. In addition, Ki-energy patterns such as vortexes were expressed on its surface. After a long incubation period, these Byeog types led to Ogbyeog types(Byeog, Hwan, Gyeol made of jade) of Xiaonanshan Culture that emerged in Ussuri(烏蘇里) River on Dongbei Plains(東北平原) around B.C.7000. By Xiaonanshan Culture,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represented by ‘stone-mound AltarㆍTomb, Great Mother Goddess statues, jade tools’ had emerged and among jade tools, which were the major indicators of Sundo Heaven rituals, Ogbyeog types(ByeogㆍHwanㆍGyeol) were the most important and intensively produced. Ogbyeog types were established as the representative jade tool of Heilongjiang River(黑龍江)-Mt.Baekdusan(白頭山) areas as a symbol of the newly developed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Ogbyeog types of Heilongjiang River-Mt.Baekdusan areas, led by Xiaonanshan culture, had a time difference of about 1,000 years and spread to Xinglongwa Culture in Liaoxi(遼西) areas around B.C.6000. Among the three types of Ogbyeog prevalent in Heilongjiang River-Mt. Baekdusan areas, only Gyeol type was spread, or Gyeol and Bi(匕) types were spread to Xinglongwa Culture. These phenomena can be analyz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Gyeol type or Gyeol and Bi types, which had relatively strong tendency as personal prestige items, were delivered to the local ruling forces as being spread the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route, Gyeol or Bi types were first introduced to Baiyinzhanghan(白音長汗) type of Xinglongwa culture around Xilamulunhe(西拉木倫河) River, and then to Chahai(査海) type around Dalinghe(大凌河) River. This showed that the grassland roads along west-Liaohe(遼河) River and Xilamulunhe River were the primary route of propagation between Heilongjiang River-Mt. Baekdusan areas and Liaoxi areas. The people who led Xiaonanshan culture were Hwanin(桓因) tribe of Hwankuk(桓國) and they later led to Maek(貊) tribe(Hwanung桓雄 tribe + Ung 熊 tribe, the origin of Korean people) of Baedalkuk(倍達國). It was not until the late period of Hongsan culture that all three types of Ogbyeog were introduced to the Liaoxi areas. Since the opening of Baedalkuk on the west side of Mt.Baekdusan, the Ogbyeog types of Maek tribe had been spread to the Liaoxi areas intact in the process of Maek tribe’s advancement into Liaoxi areas. As such, this paper revealed the direction of the westward propagation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that emerged in the Heilongjiang River-Mt.Baekdusan areas. In the next step, we have access to the very important research topic, the westward propagation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passed through the Altai grasslands and spread to the Black Sea coast and Europe in succession. We have found clues to solve the East-West negotiation of the Eurasian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in the neolithic period.

      • KCI등재

        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4 No.-

        최근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아무르강과 오소리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맥족계 선도제천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구릉성 적석단총’유적이 발굴되면서 중기 신석기문화(서기전 7200∼서기전 6600년 경)의 내용적 성격이 드러나게 되었다. 아무르강 하류-연해주-한반도 동해안의 문화가 서로 관련된 문화임이 고고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한반도 동남해안 에 나타나는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과 아무르강과 백두산을 사이에 둔 흑수백산지 구의 구릉성 단총간에 형태적⋅내용적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은 그 문화의 내용성보다는 입지, 묘제, 장법, 두향, 부장품 위주로 연구되어 왔기에 단순히 사자의 무덤이란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시작된 선도제천문화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면 단순한 무덤의 의미를 넘어 제천시설로 바라보게 된다.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는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선도제천문화임이 드러난 바 본고에서는 한반도 남부 신석 기시대 구릉성 석단총유적 중 흑수백산지구 선도제천문화의 전통을 반영한 전형적인 유적으로 울진 후포리유적을 조명해 보았다. 울진 후포리유적은 야트막한 구릉상의 야산 정상부에 7개의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 구덩이를 이용하여 40여 구의 인골을 순차적으로 세골장한 집단 매장유적이다. 토기는 1점도 없이 180여 점의 장대형석부와 비, 관옥 등 옥⋅석기만을 부장하여 ‘구릉성 석단총’을 조성하였기에 ‘구릉성 석단총-옥⋅석기문화’로 볼 수 있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계통의 선도제천문화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남산문화에 나타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은 사방에서 조망이 좋고 하늘과 가까운 탁 트인 공간 즉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무덤 조성시 돌을 이용하여 ‘적석’의 방식을 채용한 점에서 선도제천을 위한 구릉성 적석단총으로 바라보고, 단총내 제천 의기인 ‘옥⋅석기를 부장’한 측면에서 ‘구릉성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바라본다. 울진 후포리유적 역시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구덩이를 무덤으로 이용한 점, 제천 의기인 ‘옥⋅석기만을 부장’한 점 등을 들어 ‘구릉성 석단총- 옥⋅석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후포리 석단총의 묘주들은 후포리 지역사회에 선도제 천문화를 알리고 보급한 중심 인물들로 제천 의기인 마제석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이자 선인층(仙人層) 즉 사제 계층의 일원이었으리라 미루어 짐작하게 된다.

      • KCI등재

        고유사상으로서의 풍류도(風流道)와 한국선도(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실체(實體)에 관한 연구

        민영현 ( Young Hyun M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반만년 한민족문화와 한민족사에 있어 그 뿌리 되는 생각과 의식이 없을 수 없다. 곧, 한국 자생의 전통과 고유철학의 존재가 그것이다. 대개 집단 속에서 무의식적 정신 에너지로 자리해 온 것을 ‘사고의 原本’, 즉 정신의 ‘Arche-type(原型)’이라 하고, 이와 같이 한국문화의 심층에 자리하면서, 그 정신적 고유성과 자생성의 사상을 여기서는 일단 고유사상이라 하는 것이다. 사실 하나의 문화에 내재된 정신적 토대를 점검하는 것은 또 다른문화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는‘한류의 本質’과도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固有思想과 전통사상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상사에서 고유사상은 곧바로 전통사상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최치원이 언급한 ‘玄妙한 道로서의 風流’에서 한민족 고유사상의 존재를 확인한다. 바로 이 풍류도의 언급 덕분에 자생적인 민족 고유사상의 존재를 말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는 한민족문화의 정신적 특성이 되어 중국이나 몽골 또는 일본과 다른한국적 성격을 추적하는 단초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韓國仙道 역시 이와 같이 고유한 玄妙之道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며, 사실상 한국 선도의 전개에서도 신선낭가의 흐름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이제 이 둘은 만나야만 한다. 기본적으로 <仙道>란 개념의 의미와 명칭은 단군신화에서 비롯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나라에 원래 현묘한 도가 있다는 지적은 한국문화의 사상적 모티브와 근원성이 자생적이며 동시에 이는 민족의 고유성 속에서 발견되어야 함을 말하는 것으로, 국조 단군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풍류를 통해, 이것이 신선과 같은 소요유의 경계를 보며, 밝은 마음과 정신으로 즐긴다는 의미에서 風月이라 가차한 것임을 추측해본다. 이 경우, 고유성으로서의 仙道란 또한 민간의 순수사유요, 생활의 관념이라 할 한민족 ‘살림살이의 문화’를 만들어 온 ‘그 무엇, 곧 정신적 토대’로 변형되어 온 것은 아닐까 한다. 그야말로 한민족의 전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고유사상은 각각의 시대와 상황마다 새롭게 이해되어 왔고, 이는 오늘에 있어 다시금 재분석 재파악 되어야 할 ‘그 무엇’으로 변형 계승되어 왔다. 그리고 한민족이 지닌 활달성과 역동성은, 민족의 고유한 기상이 민초들과 더불어 ‘신(神)바람’을 만났을 때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실로 오늘에 있어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韓流의 신바람역시 고유한 風流.神仙郎家의 세계와 만나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제 三敎를 포함하고 조화시킨 風流道와 인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요구해온 韓國仙道의 수련과 수행의 정신세계 및 그 실체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잃어버린 고유한 사상들을 다시 찾게 해 줄 것이라 기대해보는 것이다. There is the ancient Korean thoughts and the traditional system of culture with the originality. In brief, the Sun means the good man at the same time the outlook on the human in Korea. The thoughts of Sun or Sun-ism is the Korean philosophy with originality. The short history of Sun is same to the next. Long long time ago, there is a man in Korea. His name was Tankun Wangkeom(檀君 王儉; the Royal ancestor of Korea above mentioned). He defined himself as a Sun. So the Sun was a concept of self-definition. From this the thoughts of Sun was started. As the result of it, it made a philosophical system of Koreans’ outlook on the man and world. We call it the Kooksun(國仙) or Sundo(仙道).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t is called by the Ko-Shinkyo(古神敎; the ancient Korean religion of believing the divine spirits) or Ko-Sundo(古仙道; the ancient Korean Tao of Sun). It became the spirits that binds all Koreans together in ancient period. Kowoon-the other name of Choi, Chiwon(857-?), said the history of Korean Sun. He said that there is a miraculous Tao in Korea originally. The Rhanlang-biseo(鸞郞碑序; the inscription of Rhanlang which Kowoon recorded) described the Fungryudo(風流道; the Tao of Fungryu-that is Baedal and the ground of light, which means the earth of promise). Also in the Rhanlang-biseo, it records that there is a miraculous thoughts which creates the life at any point of contact with other beings in Korea. This means that the natural philosophy had operated as a life theory in ancient Korean society. It is a principle which makes the various heterogeneity to the One of homogeneity. Later the Sun have specialized two ways. The one is a series of the training thoughts as the philosophy. We call it the Tan-hak(丹學; the study of Tan, bio-essence which is located in abdomen) or Sundo(仙道). The other is the folk faith and customs or shamanism as the religion. In this case, the shamanism means the white shaman of east Asia and it is called by Mu(巫) in Korean.

      • KCI등재

        ‘신유림(낭산)’의 선도제천문화와 그 성격 변화 과정 연구

        박주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4 선도문화 Vol.36 No.-

        본 연구는 신라 천년고도 경주 낭산을 한국선도적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초기 낭산(신유림)은 신라의 대표적인 소도(蘇塗)로 나타나는데, 삼산오악제가 시행되면서 중악, 삼산과 같은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된다. 진평⋅선덕여왕대에는 제석신앙의 성행 으로 제석신앙의 성소인 수미산으로 전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 ‘선도제천문화’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낭산(신유림)은 소도신앙인 전불시대칠가람지 중 하나였는데, 실성왕대에 이르러 김씨왕족의 성산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낭산은 중고기 김씨왕실의 왕경오악의 중악으로 기능하였고 중대에는 삼산의 핵심이 되었다. 삼산오악제는 한국선도기학의 ‘삼원오행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며 홍산문화 우하 량 모신묘의 십자형 구도를 제도적 원형으로 하는 ‘선도제천산’제도였다. 배달국의 선도제천에서 출발하여 단군조선-북부여-신라로 이어진 ‘선도제천문화’가 중고기 이후 김씨왕실에 이르러 김씨족의 삼신산이었던 낭산에서 그대로 체현되었다. 김유신의 ‘호국삼신녀’설화는 선도제천의 신격이 우주의 근원적 생명력을 의미하는 마고삼신에서 호국적 의미의 삼신녀로 비소(卑小)화한 전승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호 국삼신녀’전승은 낭산이 ‘선도제천산’임을 알려주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 기록이다. 또한 김씨족의 왕권강화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한 제석신앙은 배달국 이래 ‘선도 제천문화’의 상징인 삼성신앙(환웅신앙)이 불교 내 호법천신신앙으로 화한 선⋅불습합 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선덕여왕의 장지가 조영되고, 통일 후 낭산에 창건된 사천왕사는 ‘선⋅불습합적 제석 신앙’의 성전사원으로 호국사찰의 중심터전으로 자리매김한다. 제석신앙의 원형을 선도제천으로 규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석 신앙이 성행한 진평왕대∼신문왕대와 ‘선도제천산’제도인 삼산오악제의 시행 시기가 동시대라는 점이다. 둘째, 제석신앙의 신격인 제석이 선도제천의 신격인 삼성(환웅)의 불교적 변형태라는 점이다. 셋째, 사천왕사의 가람배치에 나타난 오방사상이 한국선도 기학의 핵심인 삼원오행론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낭산에 나타난 ‘선도제천 산’제도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의 배후에는 한국선도의 삼원오행사상에 기반한 ‘선도제천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is on Mt. Nangsan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Shilla Kingdom, viewed from Korean SunDo. At the beginning of Shilla, Mt. Nangsan(ShinYooRim, a forest where the gods played) seems to have been a representative sanctum. It was upgraded to the supreme status like the Middle Rugged Mountain and Three Major Mountains with the practice of the Samsan Oak (Three Major Mountains and Five Rugged Mountains)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Queen SeonDeok, Mt. Nangsan transformed into Mt. Sumisan, a sanctum of Indra belief by its prevalence. This paper probed that there ar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dra SunDo-Buddhism fusion’ behind belief of by way this and transformation. Mt. Nangsan(ShinYooRim) was one of the seven temples, sanction belief,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settled as the royal family Kims’ sacred mountain during the reign of King SilSung. It functioned as the Middle Mountain of Kims’ royal family’s Five Rugged Mountains in Gyeongju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became the center among the Three Major Mountains. The Samsan Oak system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of Korean SunDo energy study. It is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system which has taken the cruciform of Uharyang goddess’ shrine of Hongsan Culture as a systemic archetyp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started from BaeDal country and has passed down through DanGunJoSeon, North BooYeo and Shilla. Then it was embodied in Mt. Nangsan, the royal family Kim’s mountain. The Indra belief functioned as an ideology for strengthening royal family Kim’s sovereignty, it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ransformation from Samsung belief (Hanwoong belief), the symbol of ‘SunDo Heaven Ritual culture’, to buddhistic heaven’s gods belief, Korean SunDo-Buddhism fusion. Kim YooShin’s legend of ‘three guardian goddess for the kingdom’ shows that divinity in ‘SunDo Heaven Ritual’ was diminished from MgGo Mt. Samsin which meant the original life force of the universe to three Mt. goddesses which only defense the country. However, it is a record that has an important value which says Mt. Nangsan is a ‘mountain for SunDo Heaven Ritual’. Besides, Queen SeonDeok’s burial ground was made there. After the Three Kingdom-unification, SaCheonWangSa Temple built in Mt. ‘Indra of for belief of has had holy temple Nangsan status a SunDo-Buddhism fusion’ and the central temple of defense of the country. I finalize the elements which can be prescribed as the prototype of Indra belief is SunDo Heaven Ritual as follows. First, it is the same period that Indra belief was prevailing from King JinPyeong to King ShinMoon falls the same time with the period of performing Samsan Oak system, ‘SunDo Heaven Ritual system’. Second, Indra, the divinity of Indra belief is the Buddhistic transform of Samsung (Hanwoong), the divinity of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Third, Korean traditional Five Direction Idea which appeared in the placement of SaCheonWangSa temple is based on the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the essence of Korean SunDo energy study. To sum up, in the background of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system’ shown in Mt. Nangsan and ‘Indra belief of SunDo-Buddhism fusion’, there was SunDo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the world view of SamWon Ohaeng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