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子どもの身近な生活から始まる世界市民教育(GCED) - 世界市民教育の観点に基づく生活科の再評価 -

        김종성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2

        UNESCO say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ach learners early, in their formative early childhood stages of development.” However, in Japan’s “Life Environment Study,” which is a subject that teaches student’ competencies for everyday life,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the worl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nvironment Stud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search analyzed current “Life Environment Study’s” Gakusyusidouyouryo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and a textbook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discover the fact that there is no spatial scale called world in “Life Environment Study.” However, the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of and respect for key universal values,” “problem-solving,” “identity,” “openness to experiences and other perspectives,” “interacting with people and service activity,” were pursued commonly in “Life Environment Stud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lso, (1) newly interpreting the current contents of “Life Environment Study” and giving new meanings to them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2) teaching the effect and results of globalization that have already been reflected in students’ everyday life would mak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loser. For realiz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starts from students’ everyday liv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valu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practice active gatekeeping of their “Life Environment Study” lessons. ユネスコは, 発達の初期段階である幼児期から世界市民教育を奨励している。 しかし, 子どもの身近な生活を学習対象とする日本の生活科では, 世界と関わる内容はまったく登場していない。 このように向かう方向が一見すると異なるかのように見える生活科と世界市民教育の関係性を再構築するために, 本稿では世界市民教育の観点から現行の生活科の学習指導要領と教科書を分析した。 その結果, 世界という空間スケールは存在しないものの, 「普遍的価値の認識と尊重」 「問題解決のプロセス」 「帰属意識」 「多文化共生」 「交流・サービス活動」 のような資質・能力は両者が共通に育成を目指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 さらに, 両者の関係性を緊密にするためには, (1)世界市民教育の視点から既存の生活科の内容を新たに意味付けること, (2)子どもの生活に反映しているグローバリゼ─ションの影響を学習対象に取り入れることが重要である。 子どもの身近な生活から始まる世界市民教育のためには, すなわち 「世界なき」 世界市民教育から 「世界ある」 世界市民教育へ変革するためには, 教師が世界市民教育の価値を認識し, 積極的に生活科授業をゲートキーピングしていく姿勢が求められる。

      • KCI등재

        韓国の大学生の海外就職のための大学教育の現況と展望 -大学での海外就職及び外国語教育のケーススタディ-

        朴江訓 한국일본어문학회 2021 日本語文學 Vol.88 No.-

        본고의 목적은 ‘해외취업 인재 양성 교육을 위한 현황과 전망'이라는 기획주제 하에 한국 대학생의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위한 대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을 J대학의 해외취업과 외국어교육의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밝히는 것이다. 한국의 청년 실업난은 특히 인문계 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청년 실업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한국에서의 취업난을 극복하고자 많은 청년들이 해외취업 특히 일본 취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의 이동조차 제약이 심한 요즘, 해외취업을 위한 온라인 화상 면접에 많은 인원들이 몰리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의 청년실업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우리 청년들이 해외취업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라 생각된다. 필자는 J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에서 2015년도 K-MOVE스쿨을 직접기획 및 운영한 이래로 매년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3년간 평균 두 자리 수의 해외취업 및 인턴십생을 배출하고 있다. 본고는 약 6년간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쌓아온 노하우, 시행착오 그리고 효율적인 외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밝힘으로써 본고의 목적을 달성시키겠다. 본고의 주된 구성은 ‘2절: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3절: 해외취업처(=일본기업체)의 니즈조사 및 중도귀국자의 인터뷰 결과 분석, 4절: J대학의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사례, 5절: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위한 대학 교육에서의 제언'으로 이루어져 있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status and prospects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overseas employmen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pecial Issue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Education for Overseas Employment Talents.” The youth unemployment crisis in Korea has turned for the worse, especially for graduates of humanities colleges. Although this crisis has intensified with the COVID-19 pandemic, many young Koreans manifest interest in working abroad, especially in Japan. Even nowadays, despite the severe restric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movem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numerous people are crowded in online video interviews for overseas employment.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a testament to how serious the youth unemployment crisis is in Korea and how much interest our youth is experiencing toward overseas employment. Since I directly operated the K-MOVE School in 2015 at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at J University, I have been running an overseas job training program every year. This study achie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cusing on the know-how, trial and error, and effici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ccumulated through my operating overseas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for approximately six year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일본적 수용 -2017 학습지도요령과 세계시민교육 지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명실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2

        In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World Citizenship 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he basic philosophy for coexistence of people all over the globe. In particular, I will analyze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s and discuss about the Japan’s accep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multi-layer mean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xt, I discuss the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n researchers. And finally, we will look at how the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ve been reflected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se discussions, I was able to confirm the gap between Japan’s National Curriculum and Indicato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in determin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is a matter of how to harmonize between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special circumstances in each country and global universality, and shows that ideals and contents of both can be collided with each other. Nevertheless, second, it is worrisome tha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ometown education emphasized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may be inclined to patriotis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ove of humanit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contrary to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ventually violates the rights of its citizens. Third, i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he tendency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Active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skills as individuals’ creative, collaborative and self-reliant capacity in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In order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Japan’s Curriculum Guidelines to be linked to the indica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crete analysis of what kind of 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continue.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바이러스의 공포는 의도치 않게 국가를 넘어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절감케 한다. 중국의 한 지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바이러스가 지금은 아프리카와 남미의 오지에 이르기까지 퍼지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우리’라는 인식의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는 모양새다. 바이러스로 인한 높은 치사율이 노령층에 집중되어 있다는 자료는 젊은 층의 모랄 해저드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곧바로 그러한 해이함이 결국은 내 가족의 피해로 돌아온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지금의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세대나 계층, 혹은 국가를 초월해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 지구인의 공존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세계시민성’ 혹은 ‘세계시민교육’에 주목해 논의를 전개 한다. 특히, 일본의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 세계시민교육 지표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의 다층적 의미를 검토한다. 둘째, 국제기구 및 한국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지표에 관해 논의한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지표가 일본의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일본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일본 국민의 역량이 세계시민교육의 지표와 괴리되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또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나 준거가 분명히 제시되었다.

      • KCI등재

        소카대학(創価大学)의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신현정,전민호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ceptual recognition and practi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focussing on Soka Universit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Soka University is a combination of global education based on English-oriented communication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called social justice or rights and accountability. Soka University’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said to be social competency education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Currently, many universities in Japan, including Soka University, tend to equa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global education that focuses on enhancing learners’ global competencies. This may lead to a tendency to focus on the content itself rather than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global citizens mass-produced through such education will exhibit qualitatively different patterns from global citizens based on humanism. Th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we should pursue should be education that cultivates and practices a sense of global responsibility to overcome the crisis faced by mankind through global solidarity.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an education that anticipates various problems that the global society will face in the future, analyzes them from various angles, and seeks solution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is should be systematized. 본 연구의 목적은 소카대학을 중심으로 일본 고등교육기관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개념 인식과 실천내용이 가진 교육적 함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고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소카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은 영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중점의 글로벌교육(global education)에 사회정의 혹은 권리와 책무성이라고 하는 시민성교육(citizenship education)을 일부 가미한 형태의 세계시민교육이다. 이러한 소카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은 존슨(Johnson)의 세계시민교육 담론의 범주에서 보면 경제적 관점에, 브릭스(Briks)의 세계시민역량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적 역량에 치중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소카대학을 비롯한 일본의 많은 대학들은 세계시민교육을 학습자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는 글로벌교육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자칫하면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성보다는 컨텐츠 자체에 치중하는 경향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세계시민교육으로 양산된 세계시민은 휴머니즘에 입각한 세계시민과는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농후하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세계시민교육은 국제경쟁력 강화를 넘어서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대해 지구적 연대를 통해 극복해 나가려고 하는 범지구적 책임의식을 배양하고 실천하는 교육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래지구사회가 직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를 예견하고, 그 문제들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SDGs를 연계한 세계시민교육 -국공립 IB 인정 소학교의 실천 사례를 통하여-

        이정희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by examining educational practices in collabor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conducted in Japa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practice of the curriculum and SDGs as a case study in Japan's first national public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accredited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d how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The case school developed and managed a curriculum that introduces Primary Years Programme(PYP)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n particular, it was attempting to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subject “Inquiry” that integrates Social Studies, Science, Living Environment Studies, and the Period for Integrated Stud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lass practice in connection with SDGs from the aspect of global citizenship,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First, it wa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ould broaden their perspective horizons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child to the global scale. The class was designed and practiced so that children could practice and act on the SDGs with a sense of ownership. The children approached problem-solving by critically recognizing through discussions about resource awareness and the practicability of solutions. The cases examined in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where interest in IB is gradually increasing. 이 연구는 일본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한 교육 실천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본 최초의 국공립 IB 인정교를 사례로 커리큘럼과 SDGs를 활용한 수업 실천을 검토하여 세계시민적 자질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사례 학교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하면서 PYP를 도입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사회과, 과학과, 생활과, 종합적인 학습시간을 융합한 ‘탐구과’를 신설하여 운영함으로써 세계시민성 함양을 시도하고 있었다. SDGs를 연계한 수업 실천을 세계시민성 함양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밝혀졌다. 먼저,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주변에서 지구 규모로 시야를 넓혀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SDGs를 당사자 의식을 가지고 수용하고 실천․행동해 나갈 수 있도록 계획, 실천된 수업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원에 대한 문제 의식과 해결 방안에 대한 실천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화, 토론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문제 해결에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사례는 IB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