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世語 ‘ㅆ, ㆅ’에 대한 考察

        정인호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This study aims to set up a hypothesis that ‘ㅆ, ㆅ’ in the Middle Korean are not ejectives but geminates and to verify this hypothesis on the basis of some evidences. And the evidences are as follows; (1) The ‘CC’ in the sequence of ‘l-CC’ i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of geminate. (2) When the ‘ㅉ’ is interpreted as geminate, a word-internally confused writing between ‘ㅉ’ and ‘ㄷㅈ’ can be understood easily. (3) The ejective system that have ejective stops and ejective fricatives except for ejective affricates is far from perfect phonetically. (4) In some parts of the Gyeongsang dialect where /s’/ is not qualified as a phoneme, geminate /ss/ is generated by means that a stem-final /h/ combines with ending-initial /s/. (5) If ‘ㆅ’ is a ejective, then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the /h’/ is dephonologized when ejective system is about to be constructed firmly, and how the ejective /h’/ is changed into the aspirate /kh/. On the basis of evidences mentioned above, I carefully conclude that ‘ㅆ, ㆅ’ in the Middle Korean are, as the letters reveal, geminates. 본고에서는 ‘ㅆ, ㆅ’을 비롯한 중세어의 각자병서가 경음이 아닌 중자음을 표기한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하고 다음 몇 가지 근거를 통해 이 가설을 검증하려 하였다. 첫째, 지금까지는 중세어에서 보이는 ‘ㄹ-각자병서’형 표기에서의 각자병서를 주로 경음으로 해석하였으나 이는 중자음으로 해석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둘째, 중세어에서 선어말어미 ‘-’이 결합할 때 어중에서 보이는 ‘ㅉ’과 ‘ㄷㅈ’의 혼기는 ‘ㅉ’을 중자음으로 해석할 때 그 설명이 보다 용이하다. 셋째, 음운체계와 관련하여 폐쇄음과 마찰음의 경음이 존재하는데 파찰음의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음체계가 얼마나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넷째, 현대 ‘ㅆ’이 음소로서 존재하지 않는 일부 경상방언에서는 어간말음 ‘ㅎ’과 어미두음 ‘ㅅ’이 결합할 때 중자음 [ss]를 형성하는바, 이는 동일한 환경의 중세어에서 보이는 ‘ㅆ’도 중자음이었을 가능성을 지지해 준다. 다섯째, 음운사적으로 ‘ㆅ’은 경음체계가 완성되어가는 시기에 비음운화하며 그 변화 방향도 ‘ㆅ>ㅋ’이 일반적인데 만약 중세어 시기의 ‘ㆅ’을 경음이라고 한다면 이 두 가지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모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