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철론』(鹽鐵論) 수사학적 분석

        김지연,나민구 한국수사학회 2023 수사학 Vol.- No.47

        This study examined to understand at the Pre Han Dynasty in China, that between the court officials and the civilian intellectuals argued in the discussions by using a rhetorical methodology whether or not to abolish the iron and steel monopoly. First of all, with a brief introduction to “Yantielun”, and the cause of this discussion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 situation of China at the time. In addition, various rhetorical arguments and strategies of persuasion were examined which used to carry through their arguments by the best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ey developed their arguments with the rhetorical methods and the way of persuading strategy. To give authority and a sense of stability to their claimss, they quoted the words of old sages and used metaphors and analogies to emphasize what they argued. In addition,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he state and the people in the pre-Han period, and also could look back on the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논문(論文) : ≪춘추(春秋)≫의 인용과 정치화 試論 -≪염철론(鹽鐵論)≫을 중심으로

        ( Sung Jin Park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鹽鐵論≫是出現於西漢宣帝時期的一部散文著作,是當時汝南人桓寬在鹽鐵會議議文的基礎上加工而成的。≪鹽鐵論≫的出現,從西漢政治形勢的衍變及中國思想史的發展來說,有其必然性。≪鹽鐵論≫共六十篇,全文採用語錄體辯論的方式闡述觀點,語言精練,環環相구,層層遞進,大量引用先秦漢初文獻,是後人深入了解當時文獻的重要參考資料。會議中的兩派爲了自身所主張的政見旁稱博引,引經據典,通過引用了經傳充實自己的論據,由此有助於分析其引用情況,掌握文獻流傳和演變。經漢武獨尊儒術,到昭帝時期,儒家典籍已成爲朝野士人한熟運用≪春秋≫經傳。尤其是武帝對公羊的奬掖扶持,≪公羊傳≫在春秋三傳中的地位遠勝≪左≫ㆍ≪穀≫,足見當時≪公羊≫普遍受到了重視。≪鹽鐵論≫旣證明≪公羊≫的顯學地位及優勢,又反映西漢春秋學捨經從傳的傾向。拙文力求在吸收前人硏究成果的基礎上,提出自己的見解。不過,本人讀書日少,缺漏必多,以上雲雲,只能說有些探索。

      • KCI등재

        문학적 관점으로 본 《염철론(鹽鐵論)》

        박성진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2

        《鹽鐵論》是出現於西漢宣帝時期的一部散文著作, 是當時汝南人桓寬在鹽 鐵會議議文的基礎上加工而成的. 鹽鐵論的出現, 從西漢政治形勢的衍變及中 國思想史的發展來說, 有其必然性, 但從中國古代散文的發展來說, 却不能不 說是一個흔奇異的現象, 郭沫若早已說這部《鹽鐵論》是一部處理歷史題材的對 話體小說. 而且要求文學史家應該予以適當的地位. 本文試從以下三個方面進 行論述其文學價値: 一、 人物數目調整二、 形象化的語句三、 引經據典方法. 的確桓寬曾對辯論內容進行編排, 對記錄文字進行推衍, 對文章語言作過加工 潤色, 這是確定無疑的. 但雖有剪裁, 基本上則保存了雙方的主要論點和論據. 這個作法是比較客觀公允的. 總之其文平易鴻博, 與西漢文不類. 無論如何, 在西漢時期能出現這樣形式優美的散文, 確實可以算是一個奇迹.

      • KCI등재

        한 무제(漢 武帝) 「독존유술(獨尊儒術)」 재론(再論) -《염철론(鹽鐵論)》을 중심으로-

        박성진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1

        《漢書》云 「孝武初立, 卓然罷黜百家, 表章六經」, 如此以來, 世人盛稱的武帝「獨尊儒術」之說法早已流行. 然而從《鹽鐵論》的記錄來看, 武帝昭帝時期朝廷大臣言論行事, 無處不與儒術相反, 其實武帝對儒生, 大體來說尊而不用, 故到昭帝時儒家文學賢良公開評擊武帝失政, 愚案武帝「罷黜百家, 獨尊儒術」之旣成說法不合歷史事實而且不免誇大其詞.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 KCI등재

        ≪春秋≫의 인용과 정치화 試論 ― ≪鹽鐵論≫을 중심으로

        박성진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鹽鐵論≫是出现於西汉宣帝时期的一部散文著作,是當时汝南人桓宽在盐铁会议议文的基礎上加工而成的。≪盐铁论≫的出现,从西汉政治形势的衍变及中国思想史的发展来说,有其必然性。≪盐铁论≫共六十篇,全文採用語錄體辯論的方式闡述觀點,語言精練,環環相扣,層層遞進,大量引用先秦漢初文獻,是後人深入了解當時文獻的重要參考資料。 會議中的兩派爲了自身所主張的政見旁稱博引,引經據典,通過引用了經傳充實自己的論據,由此有助於分析其引用情況,掌握文獻流傳和演變。經漢武獨尊儒術,到昭帝時期,儒家典籍已成爲朝野士人嫺熟運用≪春秋≫經傳。尤其是武帝對公羊的獎掖扶持,≪公羊傳≫在春秋三傳中的地位遠勝≪左≫⋅≪穀≫,足見當時≪公羊≫普遍受到了重視。≪鹽鐵論≫旣證明≪公羊≫的顯學地位及優勢,又反映西漢春秋學捨經從傳的傾向。拙文力求在吸收前人硏究成果的基礎上,提出自己的見解。不過,本人讀書日少,缺漏必多,以上云云,只能說有些探索。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吳炫受)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염철론』의 ‘조선’ 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 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 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 KCI등재

        한대(漢代) 《사기(史記)》의 전파(傳播)에 대한 고찰

        박성진 한국중문학회 2014 中國文學硏究 Vol.0 No.54

        《漢書》云, 遷旣死後, 其書稍出. 宣帝時, 遷外孫平通侯楊운祖述其書, 遂 宣布焉. 《鹽鐵論·毁學》大夫引司馬子云, 天下穰穰, 皆爲利往. 此引貨殖傳 語, 愚按桑弘羊有諸般條件能讀見《史記》, 故此語必出於弘羊之口, 不必待桓 寬潤色. 是足徵班固之以信傳信. 武帝死後民間漸有其書, 諸儒相繼補續史遷. 可見前漢之末, 傳世已不止一二本矣. 由《史記》卷帙浩大, 往往有單篇別行. 其 間楊운借機《史記》公開面世, 對《史記》傳播積極推動作用. 故若云前漢皇室禁 錮《史記》, 恐非是也. 後漢皇室雖惡史遷, 其流播已成歷史定局. 只有無可奈何 地接手. 以上所云庶幾符合《史記》流傳的眞相. 《易》云仁者見仁, 智者見智. 有 些問題仍需要商量.

      • KCI등재

        고대 중국의 ‘夷’ 개념에 관한 유교사상사적 고찰

        원용준(Won, Yong-Joo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夏’ 혹은 ‘中華’와 ‘夷’ 혹은 ‘東夷’에 대한 사유는 문화적, 윤리적 사유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점에서 사상사적 고찰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고대의 사상을 이해하지 목하였기 때문에 ‘중화를 높이고 이적을 멸시한다(尊夏卑夷)’는 사고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이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夷’와 ‘華夷論’이 지니는 다양한 의미를 사상사, 특히 유가 사상의 역사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중화를 높이고 이적을 멸시한다(尊夏卑夷)’는 사유가 공자를 중심으로 하는 유가사상에서 비롯하였다는 등 기존 연구가 ‘이’와 유가사상의 관계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이’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공자는 이민족이 예의를 갖춘다면 그들의 열등함은 자연스럽게 사라지며 동이를 교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특별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맹자는 이적의 야만인이라도 본성은 선하며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성인이 될 수도 있다고 하여 순과 문왕을 그 대표적인 인물로 존숭한다. 순자는 중국과 이적의 차이란 교육, 교화의 기회가 많고 적음에 따른 것으로 근본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즉 고대의 유가들은 중화와 이적을 정치적으로 구별하여 이적을 배척하지 않았다. 전한시기의 공양전은 수용의 논리와 권계주의를 통해 이적도 중국이 될 수 있음을 설파하였다. 그렇지만 이때부터 이적을 바라볼 때 정치적인 시각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에는 한과 흉노와의 관계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후한시기가 되면 염철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더 이상 교화의 대상이나 문화 상대주의적 시각으로 보지 않고 완전히 분리하여 중국에 대비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가사상이 동이를 비하하고 화하를 높인 것이 아니었으며, 이 같은 사유는 한대 이후의 역사적 정치적 이유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It is essential that they are achie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ideas since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 between ideas of culture and ethics just like in Xia(夏)/Zhong-Hwa(中華) and Yi(夷)/Eastern Yi(東夷). However, there have been few case studies trac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Being aware of this problem, this thesis is going to survey the various views of Yi and Sinocentrism or Hwa Yi Lun(華夷論) by mainly applying a Confucian ideology. Those who supported this perspective were Wang Xiantang(王獻唐) and Feng Zhengao(逢振鎬) and they criticized the existing Sinocentrism or Hwa Yi Lun - of respecting Zhong-Hwa while disdaining the Barbarian tribes(尊夏卑夷) - by blaming the Confucian ideology from Confucius for the spawn of this wrong idea. But, this view, if you look through history of the Confucianism, was faulty. After all, could it be that the origin of Zhang Fuxiang’s(逢振鎬) perspective of ‘respecting Zhong-Hwa and disdaining the Barbarous tribes(尊夏卑夷)’ might have originated from the salt-steel meeting(鹽鐵會議) in the Later Ha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