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조선어독본』과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을 중심으로

        천매화 ( Qian Meihua ),정이붕 ( Zheng Yipe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 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 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 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1923),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the sake of assimilation through education, and were taught at regular schools and public schools. As everyone knows, even though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were language textbooks for Koreans, there were a lot of contents which talked about China. In particular, the desires of Japanese for the resources and territory of China, and the Open Door Policy are completely described. In terms of the time of compilation, it took ten years from the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until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 If we take the time into consideration, we may think, as time went on, the ideas of Japanese about Great Japanese Imperial and the ambitions of establishing Greater East Asia Sphere may be more directly expressed, so there may be more expressions which denounced China in later compiled version of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However, if we examine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it is quite the opposite. In this cas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follow aspects, to examine the Chinese Images of Japanese in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to find out the changing trend which the two textbooks experienced and the reasons why these changes occurred. Although the two textbooks were for the Koreans, the reason why I pay attention to them is because two textbooks expressed the desire and ambition of Japanese for China and I would like to help understanding the dreams Japanese of invading China from the early stage. On the basis of the above arguments,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 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과 일본어 교육내용의 변화

        팽영일(Paeng, Yeong-I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5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Japanese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Japanese was first taught as “the national language” as a course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tention of compiling the Japanese textbook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vol. 1-8, published in 1911) and its content. First, as for the formal characteristics, volumes 1-4 contain Japanese used in daily communication and are composed of basic sentence structures of beginner’s course having word- phrase- sentence forms. Volumes 5-8 clearly show the intention of assimilation with Japanese by containing names and illustrations regarding the subject.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34 chapters of the book contain contents of business and natural science, which accounts for most parts of the book, and contents of messages to the people comes in second. However, in reality the message to the people contains moral virtue and practical living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of assimilation. Also, by distributing new knowledge and knowledge of practical life, the book justifies the colonial rule under the perspective that underdeveloped Chosun needs distribution of modern knowledge and culture. Third,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 is not a revision of 『日語讀本』(1907) but rather a book issued and used as a purpose of educational policy of assimil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hanges the book title from “日語讀本” to “國語讀本”, and carries out education having the goal of assimilating the Chosun people with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천매화,정이붕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어’ 교과서의 형성과 일제 식민주의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강진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6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Language Reading Book』(1907)and 『Chosun Language Reading Book』(1911). The updated ‘Korean Language Reading Books’ is based on the new curriculum which is more organized than the existing one. Also, it is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based on the design and policy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Moreover, this book is mainly on nationalistic awareness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life like today’s ‘Korean Language’. As modernization is being progressed, Koreans have clear consciousness as an independent country, getting out of Sinocentrism. Also, their life and figures in the past became meaningful when they found the unique tradition of the people. Unfortunately,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coils itself as a stubborn form on the contrary to this nationalism. This means that standardization works on Chosun had already begun under Japanese imperialism before Chosun was forcibly occupied by Japan. For instance, Japanese says that Chosun people are dirty and easily get ill because they do not take a bath; a traditional house in Chosun is much smaller than foreign one; Many Chosun people have been naturalized as Japanese citizens because they look up to Japan from time immemorial. Through this work, the Japanese Empire overset Chosun nationalism and tried to spread the ideology of the country centered by emperor of Japan. In this point,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show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which coexisting the value and ideology of Japanese Empire. The “Chosun Language Reading Book”(1911) represents the improper coexisting of the Korean and Japanese empire centered by Japanese emperor. Like Korean Language was downgraded ‘Official Language’ to ‘Chosun Language’,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osun was included into Japanese subculture and lost its uniqueness. This “Chosun Language Reading Book” is good method to understand the culture policy and ideology of Japanese empire because it was the basic element of “Chosun Language Reading Book” which was published four times after. Moreover, through this textbook, we can know the shapes of people that Japanese empire was tried to train, and ultimately,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birth of textbook which was country policy subject. 이 글은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고찰 대상으로 한다. 『국어독본』은 그 이전에 간행된 ‘국어독본’보다 한층 정비된 교육과정에 바탕을 두고 있고, 또 당대 구한국 정부의 이념과 정책을 근거로 한 국정 교과서이다. 더구나 이 『국어독본』은 오늘날의 ‘국어’처럼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에 대한 민족주의적 인식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중화 중심의 화이관에서 벗어나 자주 국가로서의 의식이 분명해졌고 또 민족 고유의 전통이 발견되면서 과거의 삶과 인물들이 중요하게 의미화되어 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런 민족주의의 한편에는 일제의 식민주의가 완고한 형태로 똬리를 틀고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이는 강점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벌써 일제에 의해 조선에 대한 정형화 작업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곧, 조선 사람은 목욕을 하지 않아서 불결하고 병에 자주 걸린다거나 조선의 가옥들은 외국에 비해 왜소하다는것, 먼 옛날부터 조선 사람들은 일본을 선망해서 귀화한 인물이 많다는 것등이 일제가 구사한 대표적인 정형화의 사례들이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일제는 조선의 민족주의를 전복하고 궁극적으로 일본의 천황제를 중심으로한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자 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 『국어독본』은구한국과 일제의 가치와 이념이 공존하는, 이를테면 국가 차원의 이념과 가치가 상충하고 길항하는 구한말의 특수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구한국과 일제의 부적절한 동거는 『조선어독본』(1911)에 오면 일제의 천황제를중심으로 전일화되어 나타난다. 우리말이 ‘국어’에서 ‘조선어’로 격하된 것처럼 조선의 역사와 문화는 일제의 하위문화로 편입되고 고유의 독자성을 상실한 것이다. 이 『조선어독본』은 이후 4차례에 걸쳐 간행된 『조선어독본』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향후 본격화될 일제의 문화정책과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나아가 이들 교과서를 통해서 일제가양성하고자 했던 국민의 모습을 알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국책 과목으로서 한권의 교과서가 탄생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국어독본』의 비교 - 제1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1·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윤주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questions of how Japanese educational policy had been implemented during colonial era by looking at Botonghakgyo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Botonghakgyo Gugeodokbon. For this end, I tried to find out main objectives of two textbooks, Korean language textbook (Joseoneogeuphanmundokbon) and Japanese language textbook (Gugeodokbo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Japanese language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while Korean language was downgraded as foreign language, I analyzed internal structures of textbooks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and ideology education. About Gugeodokbon, I argued that the structure of textbook is similar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since Korean children were not familiar with Japanese language even though it had heightened status of national language. The textbook contains dialogues, song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intended to deliver messages of beautification of coercive colonial policies. With regard to Joseoneogeuphanmundokbon, my analysis is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 lacked language educ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fact that the textbook had limited pages, contents, and illustrations comparing to Gugeodokbon.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n ideology education not in language education itself where Japanese language was used limitedly as a tool of everyday communications. This argument can be further supported by the fact that two textbooks shared same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and, in some cases, Korean language textbook dealt with more advanced ideology education materials.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제1차 조선교육령기의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과『보통학교국어독본』을 비교 분석하여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제에 의해 '국어' 의 지위를 부여받게 된 일본어와 '외국어' 로 전락하게 된 조선어, 이 두 교과에서 각각 추구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이를 위해 각 교과서는 어떤 내적 구성 체제를 취하고 있는지, 언어교육과 사상교육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지 등을 고찰하였다.『보통학교국어독본』의 분석을 통해, 그 위상이 '국어' 로 격상되기는 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조선의 아동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언어교육이라는 점에서 외국어교수법에 기반한 다면적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찾아낼 수있었다. 또한 무단정치를 미화하거나 왜곡해 전달하는 내용, 황민화 정책 및 식민 정책과 관련한 제재들을 대화법, 노래, 삽화, 연습문제 등의 장치들을 통해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때론 암시적으로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통학교조선어급한문독본』은 『보통학교국어독본』에 비해 단원, 삽화의수가 현격히 적은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언어교육적인 측면이 약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조선어 교과의 위상이 조선어의 교육에 있다기보다 아직 일본어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교육현장에서 임시적 보조수단으로서 조선어를 사용한 사상교육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는 까닭이라 하겠다. 동일한 내용들이 두 교과서에 반복 수록되었거나 그 내용이 심화된 경우들을 통해서도 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국어과 교과서의 검정과 검열 -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

        강진호(Kang, JinHo)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그동안 교과서 검정과 검열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다. 식민지시기 검열에 대한 제도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에 대한 검열 양상과 결과 등이 그동안 검열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그 대상을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국어과’ 교과서로 한정한다. 곧,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1909)과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1911)이다.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은 대한제국 시절 일인 학정참정관이 교육 실무를 총괄하면서 ‘검정’한 교과서이고,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은 강제병합 직후 조선총독부에서 ‘검열’한 교과서이다. 두 교과서를 통해서 ‘검정’과 ‘검열’의 형태로 시행된 식민지 차별화정책과 그 특성을 알 수 있다.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은 「사립학교령」과 「교과용 도서검정 규정」의 규제를 받은 ‘검정’ 교과서이다. 학교는 인재를 양성하는 기관이고, 교과서는 학교의 정신을 만드는 그릇이지만, 검열과정에서 ‘애국, 독립, 자주, 의협 등의 글자와 구절’ 등이 엄격하게 통제되면서 대한제국의 교과서는 결국 ‘노예를 만드는 교육’의 교재로 전락한다.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을 통해서 일제는 외견상 조선의 민족주의를 허용하는 듯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것을 일제를 중심으로 위계화하고 왜곡해서 문화적 통합을 시도하였다. 1910년 강제병합과 함께 간행된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에서는 조선과 일본의 위계적 서열이 한층 강화된다. 조선교육령에 의거해서 “충량한 국민을 양성”하기 위해 “시세와 민도에 적합한 교육”을 추진하면서, 조선은 일본과 달리 근대화되지 않았고 또 정치적 자각도 미숙하다는 이유로 일본과는 다른 차별주의적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수상의 주의병 자구 정정표」를 만들어 각종 교과서를 검열하면서 조선의 민족주의를 억압하고 일본에 동조하는 충량한 국민을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1911년판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에는 조선의 역사와 인물이 삭제되고 대신 일본의 천황이 그 중심을 차지한다. 대한제국 정부가 과거의 역사와 인물을 호명해서 민족과 국민의 이미지를 만들어냈듯이, 일제는 충량한 신민을 창출하기 위해서 일본의 역사를 호명하고, 일제의 이념과 정책을 제시한 것이다.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과 『보통학교학도용 조선어독본』은 ‘검정과 검열’의 형태로 강제된 식민지화 프로세스의 초기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일제 침탈을 증언하고 고발하는 실증적 사료이다.

      • KCI등재

        법, 국어, 교육

        조윤정(Jo, Yun-j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이 논문은 제 2차 조선교육령-편찬취의서-보통학교 국어독본 사이에 존재할 수밖에 없는 ‘균열’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식민지에서 제국의 언어를 국어로 가르치는 과정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모순은 일본이 식민지 조선을 상대로 차이화와 동일화 전략을 차용한 교육을 실시하고, 정형화를 도모하는 원인이 된다. 기본자료인 제 2차 교육령기 『보통학교국어독본』과 『보통학교국어독본편찬취의서』는 일제 강점기에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국어교육’의 실상을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 발행 교과서에 투영된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 법령과 교과서 사이에서 실제적 법의 역할을 했던 취의서를 바탕으로 조선인에게 효과적으로 일본어를 학습시키기 위해 시도된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고찰한다. 문화통치기 일본은 ‘일시동인’을 표방하며 식민지 조선인에게 감정 교육을 실시한다. 정신의 교화를 중심에 둔 제 2차 교육령기의 교수법은 지속적으로 마음의 문제를 환기하고 진정성을 확인하는 방식을 취했다. 역사적 진실보다 감정이 더 중요하다는 발상은 객관적 사실의 발견보다 개인의 감정과 신념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이 시기의 국어독본은 그 점에서 우리가 현재 근대적 문학 혹은 문학적 감성이라는 차원에서 이해하는 주체의 문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근대 조선에서 행해진 보통학교 국어교육의 가치는 아동을 감성이나 상상의 주체로 부각하되, 국가주의 안에서 불평등하고 협소하게 상상이나 인간적 공감을 체험하게 했다는 점에서 결함을 갖는다. This paper reveals the possibility of inevitable ‘crack’ among the second Chosun educational ordinance, Hensan-Shuishyo(編纂趣意書) and Hutsuugakkou Kokugo-Tokuhon(普通學校 國語讀本). The crack or contradiction, which happened while Japan tried to teach Japanese language as first language in Chosun colony, led Japan to use both strategies of differentiation and unification in educational area and try to make stereotypes in the area. The basic materials, which are ‘Hutsuugakkou Kokugo-Tokuhon(普通學校國語讀本)’ of the second educational period and ‘Hensan-Shuishyo(編纂趣意書)’ help us restore the real situation of ‘first language education’ which was don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is paper analyze the ideology of the textbook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Chosun and consider what kinds of educational methods were adopted to make Chosun people to learn Japanese language effectively based on Hensan-Shuishyo which played role as a practical law between real law and textbook. In the 1920s, Japan executed emotion education for Chosun people while claiming ‘universal benevolence’. The teaching method of second educational period, oriented to reform the mentality of Chosun people, continuously aimed to recall problems of mind and check sincerity. It was the idea in which emotions are more important than historical facts that made people concentrate on personal emotions and faith rather than discovery of objective facts. In this point, Kokugo-Tokuhon(國語讀本) of this period can be connected to the problem of the subject which we understand in the point of view of current modern literature or literal emotion. But the value of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f primary school in modern Chosun, has a defect because it made the students experience imagination or humane sympathy in unequal and narrow ways under nationalism while highlighting children as the subject of emotion or imagination.

      • KCI등재

        일제강점초기 초등학교 ‘조선어(朝鮮語)’와 ‘일본어(日本語)’ 교과서(敎科書)에 서사된 지지(地誌) 표상 -조선총독부 편찬『정정보통학교학도용조선어독본(訂正普通學校學徒用朝鮮語讀本)』과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을 중심으로-

        장미경 한국일본어문학회 2014 日本語文學 Vol.60 No.-

        本硏究では日帝强占初期に朝鮮總督部で編纂になって初等學生用の‘朝鮮語敎科書'である『訂正普通學校學徒用朝鮮語讀本』(1911)(以下『朝鮮語讀本』)と'日本語敎科書'である『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以下『國語讀本』)に地理的'部分を分析することにより、日帝が植民地人の創出の手段としてそれぞれの敎科書でどうアプロ一チしようとしたのかを考察しようとする。『朝鮮語讀本』と『國語讀本』は樣タな敎科の內容が包含された綜合敎科書といわる。特に、朝鮮と日本の地理と山水、地形的特性の內容が收錄されて'地誌'と同樣の役割をしていた。 『朝鮮語讀本』では、朝鮮の象徵としては、<券4>から<券7>まで、日本の象徵部分では、<券2>から<券8>まですべて課にわたって出ている。『國語讀本』では、朝鮮を象徵するものが<券3>から<券6>まで出ているが、日本を中心的に說明するために朝鮮を補助的としたものに過ぎない。日本を象徵する部分が<券3>から<券8>に出ているのに高學年の對象として地理敎育になったことが知られる。 揷繪の部分には『朝鮮語讀本』では<券4>から<券8>まで萬遍無なく出ており、日本を示す部分は<券8>に集中的であった。<券5>に地理の內容と揷畵中心となったのは當時の4年制で3學年に短縮した學校が多いからだ。 『朝鮮語讀本』と『國語讀本』で、京城は朝鮮總督府がいる所というのは一致した。 『國語讀本』では、日本では7番目の都市に過ぎないことを話した。二つの敎科書では日本中心に世界史に關する內容も入っていた。特に淸國で國名が變わった支那に對する言及が多かったが、惡いイメ一ジをしきりに刻印させようとする姿が見えた。

      • KCI등재

        학부 발간 『보통학교용 국어독본』(1907) 연구 -`교과서의 위상`에 따른 특징을 중심으로

        박치범 ( Park Chi-beom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이 글은 1907년 학부가 발간한 『普通學校學徒用 國語讀本』(이하 『국어독본』)이 교과서로서 갖는 특징을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독본』은 『신정심상소학』(1896)의 뒤를 잇는 국정 국어교과서이자, 동시대 발간된 다양한 사찬(私撰) 국어교과서들과 경쟁적·대립적 성격을 갖는 교과서이다. 여기에서는 대상이 교과서로서 갖는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교과서의 내적 체제와 본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 중 『국어독본』만의 특징이라 판단되는 내용을 모아 `교과서의 위상`에 따라 정리한 뒤, 이를 이전 시대의 국정 국어교과서 및 동시대의 사찬 국어 교과서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국어독본』은 수업 자료로서 한글 깨치기 학습이 강화된 교재라는 특징을 갖으며, 교육 공동체의 신념의 산물로서 교과서 구성이 체계화되고 다양한 서술 방식이 구현된 교재인 동시에, 당대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의 반영물로서 친일(親日) 세계관이 심화되고 견고화된 교재로 평가될 수 있다. 이는 곧 『국어독본』이 일제가 대한제국의 교육을 장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편찬한 교과서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일본식 계몽 혹은 근대화의 단면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 as the textbook of《Guk-uh-Dok-b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meant Korean Language Reader) that was published by Hak-bu(the Korean Empire Ministry of Education) in 1907.《Gukuh- Do-kbon》 is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which was after《Sim- Sang-So-Hak》(meant basal reader), and has the competitive and oppositive position against the privately published textbooks by various publisher in the same period. In this article, to reveal the feature of《Guk-uh-Do-kbon》 as a textbook clearly, I analyzed a system and body of this textbook, then I organized the results following `the status of a textbook` and compared it with a textbooks that was published by government early and a textbook that was published by private in the same period. As a result,《Guk-uh-Do-kbon》 has a developed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to read relatively, has a sytematic system to organize the unit, and has the deepen and strong perspective of pro-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근현대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의 국어교육사적 의의

        김경남 ( Kim Kyungnam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2

        독본(讀本)은 `본`, 곧 `모범`이 될 만한 글을 읽기 목적으로 모아놓은 책을 말한다. 근대식 학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본은 교과용 도서의 하나로 편찬되기 시작했다. 근대 계몽기 독본이라는 명칭은 국어나 일본어 또는 한문과 같이 언어 교과의 교과서명으로 사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독본이 등장했다. 이 논문은 근대 계몽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저술된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의 내용과 기능을 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살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출발했다.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은 `소년`, `아동`, `아이들`, `어린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명칭은 엄밀한 의미 구분이 없이 사용되었으며,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은 대부분 소학(초등학교) 수준의 필수 교양과 정서를 내용으로 하였다. 소년 독본이 처음 등장한 것은 『소년』 창간호(1908.11)이며, 일제강점기에는 다수의 잡지와 신문에 `소년`, `어린이` 독본이라는 명칭의 교육용 재료가 수록되었다. 특히 『동아일보』에 등장하는 `세계 동무들의 독본`(고장환역, 1928.8.4~8.24), 이은상의 `아동(소년) 독본`(1933.9.1~9.17)은 세계 여러나라의 교과서를 번역하거나, 1930년대 조선학 풍토를 반영한 전기문 중심의 독본이어서 국어 교육적인 가치가 높다. 또한 새벗사(1928)의 『어린이 독본』(회동서관)은 전기문과 동시, 동화 중심의 독본이어서 어린이의 정서 함양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밖에도 단행본으로 문일평(1940)의 『소년역사독본』(조선일보사 출판국)이나 원동로력학교(1928)의 『새독본 붉은아이 뎨삼권』(하바롭쓰크ㅡ브라지보쓰또끄) 등의 독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제강점기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은 그 당시 제도 교육에서 담당할 수 없었던 국어 교육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tendency of publishing Sonyeon-Dokbon(Reading books for young people or childre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ag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Dokbon(讀本) meant the essential articles of reading were textbooks. These type of books appeared during the Modern School System in 1895. The meaning of Dokbon extended particular readers`s essential knowledge and refinement. The named of `Sonyeon(少年)`, `Eorini(어린이)` or `Aideul(아이들)` books published for young people or children. These articles published various mediums, including magazine, newspaper, and books. Dokbon type books made up for the weak points of systematic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pecially, Korean education was not practiced properly. The function of Sonyeon Dokbon afforded essential knowledge and suitable refinement or emotions to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