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등신화(剪燈新話)』와 『요재지이(聊齋志異)』의 한일(韓日)에의 전래 그 변화와 수용의 궤적(軌跡)

        김정숙 ( Jeong Suk Kim )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0 No.-

        This study investigated a part of traces of 『Jeongdeungshinhwa』 and 『Yojaejiee』 being transmitted, received, and changed in Korea and Japa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Jeongdeungshinhwa』 both in Korea and Japan. However, they mostly sporadically covered its later course with few full-scale research efforts. Thus the study examined the circumstance of 「Morandeunggi」 of 『Jeongdeungshinhwa』 being adapted as 「Morandeungrong」 series, gained popularity and settled down as a Chinese novel in Japan in early Meiji and being adopted as a major theme of the historical romance movement including 『Wolganyadam』 in Chosun after the 1930s. The traces of 『Jeongdeungshinhwa』 being received in Japan and Chosun were followed. In Japan, 「Morandeunggi」 was adapted as 「Morandeungrong」, having grotesque colors added to it to fit the taste of the Japanese. Not only did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s change in a Japanese style, but it was combined with traditional Japanese tales to continue in the loop of reproduction till this day. In Chosun, the 『Jeondeungshinhwaguhae』 by Lim Gi was published in 1549 and had huge impacts on the entire nation, being used as a scripture for learning Chinese sentences. Its impacts lasted till its translated versions into Korean after the 17th century and the Hyeonto version in print in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Jeong -deungshinhwa』 appeared as one of the main materials of 『Wolganyadam』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the tru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The earliest record of 『Yojaejiee』 being transmitted to Japan is found in 1791, but it does not match its publication in China in terms of timing. It later became an interesting book to Japanese literary figures, especiall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There were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that created a Chinese novel based on 『Yojaejiee』 in early Meiji. Since 1887, many modern poets enjoyed translating it into Japanese, being fascinated by its rich imagination and splendid writing style. In Chosun, the 『Yojaejiee』 record came up earlier than Japan; it was the 『Heu-myeong』 by Yu Man-ju in 1786. Then Lee Gyu-gyeong`s 『Ojuyeonmunjang-jeonsango』 mentioned it, but it is difficult to find records left by common literary people. Although it was not a direct mention, the royal list of books often contained 『Yojaejiee』 since the 19th century. Its translation versions made constant appearances after 1935 as well as 『Wolganyadam』. Thus it is estimated that it had been read in an ongoing manner since its transmission in Chosun.

      • KCI등재

        메이지 시대 일본 한문소설집 ??夜窓鬼談??의 한 연구

        김정숙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Yachangguidam is Japanes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by Ishikawagosai. It contains traditional tales of Japanese and romantic stories similar Gyodengshiwha, Yojaejiee. When he wrote a ghost story, he checked up the truth into referring to sundry records, or added a similar stories. 「Morandeng」 is a related story with 「Morandenggi」 since the Edo period, he wrote new story with Yencho's 「Morandengrong」. 「Hwasin」, 「Sokwhangrang」 was made of Yojaejiee, but a marked change proved author's true character. Ishikawagosai put various view of ghost together, Etozinsai and Ogwusorai, but he holded strongly to his objective point of view about a ghost. In Meiji periods, Chinese classics advanced by private schools and publications. After Chinese popular novels were imported,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wrot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 談海, 談叢,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昔昔春秋,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夜窓鬼談은 이시카와 고사이(石川鴻齋, 1832-1918)가 편한 것으로 작자가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며 전해들은 奇文異談을 기록한 한문소설집이다. 작자는 전통 설화를 모으면서도 그에 대한 객관적 고증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대해서는 중국 소설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설가의 태도로 변개시킨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모란등은 에도 시대 이후 상당히 유행한 모란등기 유화의 일부로, 당시 라쿠코가였던 산유테이 엔쵸의 라쿠코 모란등롱을 듣고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기록한 것이다. 화신과 속황량은 요재지이에서 모티브를 차용하되 상당한 변개를 한 것으로 저자의 소설가적 면모가 두드러진다.鬼字解나 鬼神論을 통해 드러나는 이시카와 고사이의 귀신관은 전대 유학자들이 지닌 귀신론의 종합으로 보인다. 즉 귀신은 인간 세계의 밖에 위치하여 알 수 없는 존재이기에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이토 진사이의 귀신관의 일면이 보이는 한편 이를 비판하고 귀신제례의 의의를 주장했던 오규 소라이처럼 국가를 수호하는 성인 군자의 혼령과 그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야창귀담이 창작되던 시기에는 이와 유사한 한문소설집이 활발하게 출판되었는데 그 대표작으로는 요다갓카이(依田學海, 1833-1909)의 談海, 談叢이나 갓카이가 평을 한 키구치산케이(菊池三溪, 1819-1891)의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미키아이카(三木愛花, 1861-1933)의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등이 있다.‘귀신 이야기 모음집’인 야창귀담은 앞으로 동아시아 문헌설화집에 나타난 유학자의 귀신관에 대한 비교 연구나 중국 문학의 수용과 변개라는 수용사적 측면에서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중 문헌설화에 나타난 귀신담 - 18세기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진성국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본 논문에서는 한‧중 18세기 이전의 문헌에 나타난 귀신담을 바탕으로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작업으로 한국의 귀신담은 『용재총화(慵齋叢話)』, 『어우야담(於於野談)』, 『천예록(天倪錄)』을 대본으로 하였으며, 중국의 귀신담은 『요재지이(聊齋志異)』에 수록된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귀신담의 분류기준을 귀신과 사람의 관계에 따라 애정형・은정형・복수형・퇴치형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한・중 귀신담을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한・중 애정형 귀신담에서 여주인공은 대부분 귀신 신분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여귀형상은 당대 남성들이 추구한 미인 형상이다. 또한, 여성귀신은 남자주인공과 성관계를 맺고 애육의 금기를 깨서 현실사회에서 드러낼 수 없는 갈망을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애정형 귀신담에서 여자주인공은 전란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는 반면, 중국의 여귀는 사람으로 환생하여 남자 주인공과 결혼하는 이야기가 많다. 둘째, 한・중 은정형 귀신담 중에 귀신과 사람은 서로 은혜를 주고받는데 귀신이 사람에게 은혜를 주는 것은 한・중 은정형의 공통점이다. 은정형 귀신담은 시은형(施恩形)・보은형(報恩形)・청은형(請恩形)으로 세분 할 수 있다. 시은형을 보면, 한국의 귀신담에서는 돌아가신 조상이 자손에게 은혜를 베풀고 위험을 해소해 주는 반면에 중국의 귀신담에서는 조상이 등장하지 않는다. 보은형에서는 한국의 귀신담에서는 귀신이 사람의 은혜를 받고 가문을 일으키거나 벼슬길을 도와준다는 보답을 하였다. 중국의 귀신담에서는 귀신이 아들로 환생하여 보답하거나 인연을 맺는 차이점이 나타난다. 청은형은 한국의 귀신담에서는 제사문화에 대한 묘사가 많은 반면에 중국의 귀신담에서는 귀신은 저승세계의 처벌을 면제하기 위해 이승세계의 사람을 청한다는 차이점을 드러난다. 셋째, 한・중 복수형 귀신담은 원한(怨恨) 때문에 사람을 공격하고 한을 푼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요소이다. 한국의 귀신담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의 묘지나 제사를 중시하지 않고 귀신의 복수를 받는다는 특징이고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의 귀신담에서는 주로 권선징악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차이점이 나타난다. 넷째, 한・중 퇴치형 귀신담은 제사를 통해 성공적으로 귀신을 퇴치하는 것과 도사, 승인 등의 도움을 받아 귀신을 퇴치한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 퇴치형 귀신담에서는 사람의 성품에 중점을 두고 정직한 사람이 귀신을 두렵지 않는 반면에 귀신이 사람의 성품을 두려워서 사라지는 점을 보인다. 중국 퇴치형 귀신담에서는 남주인공은 죽은 후에 도사의 도움을 받고 사람으로 환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중 귀신담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살피면, 한국의 귀신담은 제사와 사람의 성품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다. 제사를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은 이유는 조선전기의 사회적인 여건에 기인한다. 조선전기에는 전란이 잦았기 때문에 제사를 통해 전란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을 위로하고 추모하던 분위기가 만연했다. 또한 한・중 귀신담은 사람들에게 권선징악의 교훈을 주고 금기를 깨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귀신담이 유교사상 위주에 불교, 무교 사상이 그 속에 타협하여 이야기 속에 투영된 반면, 중국의 귀신담은 불교사상 중 환생...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ghosts in the literature of the pre - 18th century. As a concrete work, the ghost fence of Korea was written as a script of <Yong Jae Chong Hwa>, <Eowoo-Yadam>, <Cheon-Ye-Rok> and the Chinese work <Yojaejie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ghost fe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hosts and people: affection type, silver type, plural type, and extermination type. First, in the Korean-Chinese affectionate ghost fence, the heroine appeared in common as a ghost identity. The shape of the female figure is a beautiful figure pursued by contemporary men. In addition, female ghosts have commonality in that they have sexual relations with the male protagonist and break the taboo of childhood and express the desire that can not be revealed in the real society. However, while the heroine in the affectionate ghost fence of Korea is dying unfairly due to the war, there are many stories of the Chinese fake wife being reincarnated as a person and marrying the male character. Second, among gods of Korea and China, the gods and men exchange grace with each other. Ghosts give grace to man is the common point between Korea and China. Eunjeong-ghosts can be subdivided into poems, poems, and poems. In the case of Shi Eun, the ancestors who died in the ghosts of Korea give grace and relieve their descendants, while the ancestors do not appear in the ghosts of China. In Bo-eung, the ghosts in Korea gave a reward that the ghost received the grace of man and raised the family or helped the road. In the ghost wall of China,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demon reincarnates as a son and rewards or bonds. Qing tell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other and the soul of the Korean ghosts, while the ghosts of China reveal the difference that the ghosts ask the people of the world to exempt the punishment of the afterlife. Third, the plural form of ghost faction in Korea and China is a common factor in attacking people and solving Han because of grudge. In the ghost fence of Korea, people are characterized by receiving the revenge of the ghost instead of paying attention to graveyard or sacrifice after death, whereas in the ghost fence of China, the focus is mainly on winding conspiracy. Fourth, the anti-demographic ghost faction in Korea and China shows the common point of successfully defeating demons through sacrifices and fighting demons with the help of donations and endorsements. However, in Korean destruction ghost fencing, focus on human character and show that honest person is not afraid of ghost, while ghost is afraid of person 's character and disappears. In the Chinese eradicate ghost fence, the male character appears after the death to be helped by the teacher and reincarnated as a pers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ghost fences as a whole, there are many works on the theme of Korean ghost festival sacrifices and personality. The reason why many works on the theme of sacrifice is due to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warriors were frequent, so there was an atmosphere of memorializing and comforting thos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war through ceremonies. In addition, the people of Korea and China have a common point in teaching people the discipline of warring and breaking taboos. However, while the ghost fence in Korea is dominat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Buddhist thought are compromised in the story, while the Chinese ghost Buddhism is different in that the reincarnation of Buddhism is revealed in the story.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at the open attitude toward Chinese sexuality and the free thought are reflected in the story.

      • KCI등재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김정숙(Kim Jeong-Suk)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인격적 존재로서의 귀신은 종종 문학적 소재로 등장하곤 했는데 우암의 문인이었던 임방의 〈천예록〉은 조선후기 문언단편집으로서 전체의 반 이상이 귀신담과 관련된다. 그중 많은 것이 제사와 관련된 귀신담으로 제사를 통해 만난 귀신을 통해 제사의 중요성, 장지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무당이나 마마신, 관왕묘 등 무속적 귀신에 대해 그 존재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귀신이나 奇異를 인정했던 우암과 그의 영향을 받았던 임방의 유연한 귀신관에서 기인한다.<BR>  〈요재지이〉에서 귀신담은 서사적 흥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로서의 귀신담과 강한 성적 욕망의 투사로서의 귀신담이다. 전자는 〈요재지이〉가 포송령의 처지에서 기인하는 孤憤之書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며 후자는 〈수신기〉 이래로 귀신과의 성적 결합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학적 전통의 영향과 작가의 억압된 욕망의 분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BR>  〈야창귀담〉 속 요괴와 귀신은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구체적이며 기괴한 모습을 지니는데 이는 에도시대 이후 출판물의 발달과 연극 등 예능의 성행으로 인해 귀신이 가시화된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다. 작가 이시카와 고사이는 근대의 한문학자로서 전래의 귀신담을 수록하되 귀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귀신설〉과 〈귀자해〉를 통해 귀신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 However, Gui-Shin as a personal existence was often utilized as a literary matter. 〈Cheon-Ye-Rok〉 by Imbang, a pupil of Uam Song, Si Yeol, is a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re than a half of its contents is related with Gui-Shin story. Many parts out of the Gui-Shin story are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and show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and burial place’s selection through Gui-Shin seeing in ancestral rites for the most part. Also, it has an attitude to recognize existence of shamanist custom’s Gui-Shin as Mudang, Mamashin and Gwanwangmyo. Such an attitude is caused by a flexible Gui-Shin view of Uam recognizing Gui-Shin or mysteriousness and Imbang getting an influence from Uam.<BR>  Gui-Shin stories in 〈Yojaejiee〉 imply various meanings as well asdescriptive interest. Representative things out of them are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criticize an unreasonable reality and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show strong sexual desire. The former has a meaning of Gobunjiseo (孤憤之書) which 〈Yojaejiee〉 is caused by Posongryeong’s position and the latter got an influence from Chinese literary tradition with sexual combination with Gui-Shin as its subject matter since 〈Sushingi〉 and is analyzed to expose the writer’s suppressed desire.<BR>  Monsters and Gui-Shin in 〈Yachangguidam〉 has more concrete and strange features than those in the above two works. It is caused by cultural backgroundwhich people made Gui-Shin visible by publications’ development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prevalence as play and more after the Edo age. A writer Isikawa Gosai kept an objective attitude about Gui-Shin though he collected traditional Gui-Shin stories as a modern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Specially, he had an attitude to objectify and systematize Gui-Shin through 〈Gui-Shin Theory 鬼神說〉 and 〈Gui-Shin Analysis 鬼字解〉.

      • KCI등재

        메이지 시대 일본 한문소설집 『 야창귀담(夜窓鬼談)』의 한 연구

        김정숙 ( Jeong Suk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夜窓鬼談)』은 이시카와 고사이(石川鴻齋, 1832-1918)가 편한 것으로 작자가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며 전해들은 奇文異談을 기록한 한문소설집이다. 작자는 전통 설화를 모으면서도 그에 대한 객관적 고증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대해서는 중국 소설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설가의 태도로 변개시킨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모란등」은 에도 시대 이후 상당히 유행한 「모란등기」 유화의 일부로, 당시 라쿠코가였던 산유테이 엔쵸의 라쿠코 「모란등롱」을 듣고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기록한 것이다. 「화신」과 「속황량」은 『요재지이』에서 모티브를 차용하되 상당한 변개를 한 것으로 저자의 소설가적 면모가 두드러진다. 「鬼字解」나 「鬼神論」을 통해 드러나는 이시카와 고사이의 귀신관은 전대 유학자들이 지닌 귀신론의 종합으로 보인다. 즉 귀신은 인간 세계의 밖에 위치하여 알 수 없는 존재이기에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 이토 진사이의 귀신관의 일면이 보이는 한편 이를 비판하고 귀신제례의 의의를 주장했던 오규 소라이처럼 국가를 수호하는 성인 군자의 혼령과 그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야창귀담』이 창작되던 시기에는 이와 유사한 한문소설집이 활발하게 출판되었는데 그 대표작으로는 요다갓카이(依田學海, 1833-1909)의 談海)』, 『談叢』이나 갓카이가 평을 한 키구치산케이(菊池三溪, 1819-1891)의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미키아이카(三木愛花, 1861-1933)의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등이 있다. ``귀신 이야기 모음집``인 『야창귀담』은 앞으로 동아시아 문헌설화집에 나타난 유학 자의 귀신관에 대한 비교 연구나 중국 문학의 수용과 변개라는 수용사적 측면에서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Yachangguidam』 is Japanes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by Ishikawagosai. It contains traditional tales of Japanese and romantic stories similar 『Gyodengshiwha』, 『Yojaejiee』. When he wrote a ghost story, he checked up the truth into referring to sundry records, or added a similar stories. 「Morandeng」 is a related story with 「Morandenggi」 since the Edo period, he wrote new story with Yencho`s 「Morandengrong」. 「Hwasin」, 「Sokwhangrang」 was made of 『Yojaejiee』, but a marked change proved author`s true character. Ishikawagosai put various view of ghost together, Etozinsai and Ogwusorai, but he holded strongly to his objective point of view about a ghost. In Meiji periods, Chinese classics advanced by private schools and publications. After Chinese popular novels were imported,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wrote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 『談海』, 『談叢』, 『奇文觀止 本朝虞初新誌』, 『昔昔春秋』, 「新橋八景佳話」, 「情天比翼緣」.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