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틴, 청년 영화와 행위의 기능성: 스펙,계발 담론을 넘는 영화 <족구왕>을 중심으로

        김만석 ( Manseok Kim ),김필남 ( Feelnam Kim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5 아시아영화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청년영회에 나타난 청년 재현이 역사적 변화 양상을 대표적으로 살펴보고2010년대 청년을 대표히는 영화<족구왕〉을통해 청년 재현에 있어서 ``행위``의 가능성을 드러내고자했다. 1970년대 청년문화와 청년담론들이 자기 진술보다는 기성세대에 의해 정체성을 특정한 방식으로 규정되는 서사적 흐름을 갖는다면,<족구왕〉은 기성의 관념이나 가치보다 오히려 ``쓸모없는 것``에 관섬을 가짐으로써 기성세대의 욕망과 논리로부터 벗어난다. 스펙으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적 기능들이 인간의 조건을 노동과 제작에 적합한 노예화로 나아가고있다면,<족구왕〉에서는 그러한 현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면서도 그러한 수동적 노예화와는 달리 능동적 행위를 통해 새로운 조건을 창안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는 청년들을 포착해낸다.이를 통해서 청년들은 무용한 행위들은 열정적 공동체를 조직하는 데에 성공하게 되고, 그것은 기성세대의 제도에 일정한 방식의 파열음을 내면서 정치적 힘으로 작용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sought to reproduce in youth through youth reproduce the historical changes of typically look at the film to represent the 2010s youth <The King of Jokgu> appeared in youth film reveals the possibility of ``doing``. If the 1970s youth culture and youth with the narrative flow of the discourse are defined in a particular way by the older generation, rather than self-identity statements, <The King of Jokgu> is by having an interest in the ideas and values rather than off-the-shelf ``dud`` desires and deviate from the logic of the older generation. If the neo-liberal features, represented by the specification proceeds to enslave the human condition and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abor, <The King of Jokgu> The way to create new conditions through proactive action unlike those passive enslavement while exposing the reality that actively recalls capture a naahganeun youth. Through which young people are useless actions are successful in organizing a passionat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explosive throwing the institutions of the older generation in some way act as a political force.

      • KCI등재

        대학 캠퍼스 영화의 장소성 변모와 대학생 주체의 현실 대응

        우현주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e goal is to review the identity of the people who are formed through the study on the sense of placeness in the University Campus Movie, and compare them with their responses to reality. So we're going to refer to the space theory of Yi-fu Tuan and Edward Relph. In addition, a university student Subject who was a member of the university campus chose the most popular movie, the origin of Young film was ≪The March of Fools≫ (Ha Gil-jong, 1975), and the most recent work was ≪The King of Jokgu≫ (Woo Moon-Gi 2014). In the ≪The March of Fools≫, the university in the 1970s is a place to differentiate and defend itself against the outside repression of military politics, industrialization and older generations. In a society that prohibits resistance, the university is a place where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of resistance is infused. This possibility is in the context of “Our Future” where the characters talk and the place where this dream is to be is the university. In the film, the characters are competing against the world in a melancholic manner. One choose death which dream eternal is, another enlist in the army. The army is a space reserved for the future in a rite of passage. On the other hand in the ≪The King of Jokgu≫, the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 isn’t a place to differentiate and defend. The university is transformed into a typical place in established societies. In neo-liberalism, universities are inherent to the principle of exclusion about class, tastes, and gender, etc. The characters are now pitted against spontaneous and chronic quest for reality and the exclusion of Others inside university students instead of the social system or older generation. In the movie, Jokgu propagated the condition of having no purpose about 'Fun' and 'What do you want to do' and it was made of deterritorialization alienated the placelessness. Jokgu goes out of school regulations and makes most of the university campus is converted into vacant lots. It calls on those excluded and gives meaning that I'm doing what I want to do with the Others, now - in here. In the end, Man-Seop`s decision to "I'd prefer not to!"(like Bartleby the Scrivener) about prepare for civil servants exam then there is transversal potential to change love and Jokgu. It can be seen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to reality is not change to signified in the neo-liberalism and that it to be changed with inoperative force that imposes cracks on strong system. 본고는 영화에 드러난 “대학”의 장소성 연구를 통해 구성되는 인물들의 정체성을 재고하고 이들의 현실 대응력을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푸-투안과 렐프의 공간이론을 참고하면서 대학 캠퍼스의 구성원인 대학생 주체들이 공간에 대한 인식을 잘 드러내는 텍스트로 1970년대 청년 영화의 대표작인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과 가장 최근작인 <족구왕>(우문기, 2014)을 선정하여 “대학 캠퍼스 영화”로 명명하고 분석했다. <바보들의 행진>에서 1970년대 대학은 군부정치, 산업화, 기성세대의 계도성이라는 외부 억압에 맞서 차별화하고 지켜내야 할 장소로 언급된다. 저항을 금지하는 사회 현실은 영화적 표현조차 검열로 불허하고 감독이 이를 가시화하는 과정에서 대학은 저항의 불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배태하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가능성은 영화 속 인물들이 언급하는 “우리들의 시대”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희망으로 뒷받침되며 이를 꿈꾸게 하는 장소가 대학인 것이다. 멜랑콜리적인 방식으로 세상에 맞서던 인물들은 영원한 꿈을 꾸는 죽음을 선택하거나 꿈을 향한 통과의례적인 군입대에 선별됨으로써 미래를 대비하게 된다. 이에 반해 21세기 영화인 <족구왕>에 등장하는 대학은 외부에 저항하고 변별되는 장소가 아닌 기성 사회의 전형을 이미 시현하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계급, 취향, 젠더 등의 신자유주의적 현실에 의해 배제의 원리가 내면화된 대학 내에서 만섭 일행이 대결하는 대상은 이제 사회 체제나 기성세대가 아닌 대학생들 내부에 만성화된 자발적인 현실 추종과 타자 배제의 원리이다. 영화 속에서 족구는 ‘재미’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무목적성을 전파하면서 소외되었던 무장소성을 탈영토화한다. 규정에서 벗어나며 대학 캠퍼스를 공터화하는 족구는 배제되었던 것들을 호출하고 타자와 어울리면서 하고 싶은 것을 현재, 이곳에서 한다는 의의를 부여한다. 결국 만섭은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할 것이냐 말 것이냐의 이분법적인 선택의 경계를 흐리고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함”을 주장함으로써 그 자리에 연애, 족구를 치환해 가면서 잠재성을 이동해가는 횡단적 잠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는 대학생들의 현실 대응력이 신자유주의적인 현실에서 의미로 환원되지 않으며 그 견고함에 균열을 가하는 무위의 힘으로 변모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 놀이의 타락과 무용성에 대한 고찰 - 영화 〈종이달〉과 〈족구왕〉을 중심으로 -

        신성환(Shin, Sung-Hwa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79

        본 논문은 요한 호이징가와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놀이의 독특한 본질과 양상을 통찰하고자 하였다. 놀이의 기술적 토대를 획기적으로 혁신한 디지털 사회에서 놀이가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개인과 사회를 어떻게 호명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특히 놀이의 타락과 무용성에 대한 천착이 우리 시대의 문제적 현실과 놀이의 관계를 해명하고, 주체적으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 호이징가와 카이와는 경쟁과 보상만이 중심 가치가 되는 자본주의의 삶 속에서 놀이의 존재방식 역시 놀이를 가장한 자본이나 권력에 의해서 타락하고 변질되었다고 주장했다. 악랄한 조롱과 혐오로 점철된 인정투쟁이 놀이로 오인되고, 공격성과 적개심이 놀이의 유일한 동력과 목적이 되는 최근 한국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는 시각이다. 조승희의 총기 난사 사건과 세월호 참사 당시 폭식투쟁의 사례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에너지, 언어와 정서 분열의 극단적인 형태로 분출되는 타락한 놀이가 공감적 관계의 마비라는 우리 시대의 정신적 지형을 고스란히 체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화 〈종이달〉은 경쟁이 사회적 관계의 일반적 형태가 되고 생존만이 지상 과제가 된 사회에서 ‘놀이하는 삶의 불가능성’을 체화한 인물들을 형상화한다. 놀이와는 상반되는 가치들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삶의 조건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 없이는 제대로 놀이하는 삶 역시 불가능하다. 영화 〈족구왕〉은 놀이의 무용성에 대한 흥미로운 인식을 보여준다. 공동체성에 의거하여 자발적인 동의와 합의를 이루고 놀이의 참여가 즐거울 수 있다면, 이는 어떤 실질적인 유용성보다 큰 가치이다. 놀이의 무용성이야말로 모든 것을 유용성의 가치로만 폭력적으로 재단하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완곡한 저항이 될 수 있다. 기능/실용성의 영역과 경험/재미의 영역, 즉 일상의 세계와 놀이의 세계는 일방적인 대립 관계가 아니라, 상호 긴장 관계나 보완 관계가 되어야 한다. 놀이 없는 일상은 황폐하고, 일상과 유리된 놀이는 자폐적이다. 놀이 자체가 아니라 놀이에 참여하는 주체적인 정신과 태도가 중요하다. 디지털 문화의 공동체성에 의거하여 자율과 공감과 연대를 창출하고 표현하는 새로운 놀이 정신이 필요한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sizing the diverse aspects of the unique nature and essence of contemporary play with Johan Huizinga and Roger Caillois. In particular, this study could present an insight into the corruption of play and uselessness of play, it gives us a vision that can enjoy in dependent play. As a using of digital technolog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bor and the play, and modern peoples can meet with experiences of playing at any time. But, in the life of capitalism, where only competition and rewards have become central values, the existence of play has been said to be corrupt by the capitalism or power. 〈Pale Moon〉 features characters who experience impossible of play in society where competition and survival have become a major priority. It disclose that without epochal improvements in life conditions, life of play is also impossible. 〈The King of Jokgu〉 shows an interesting perception of uselessness of play. It can be a oblique resistance for capitalistic society, which is a violent measure of everything in the value of usefulness. It is important to play the role of self-reliance and attitude that participate in play rather than play itself. New playing spirit needs to be created to create autonomy and solidarity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digital culture.

      • KCI등재

        영화 〈족구왕〉에 드러난 의미 없는 행위의 정치성과 상상적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

        권현정(Gwon, Hyeon-Je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족구왕〉은 2010년대에 개봉한 한국 영화중에서 신자유주의라는 지배질서에 맞서 대항할 방법으로 의미 없는 행위를 제시하고 나아가 새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런데 영화에서 제시한 새 연대의 모습은 지금 이곳에서 실현 가능한 연대가 아닌 상상적 연대이다. 이는 새 연대가 신자유주의라는 체제에 맞서기 위해 결성된 것임에도 정작 그 체제와 중첩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는 전혀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그 질서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새 연대는 연대의 시발점에서부터 젠더 위계를 나누는 등 배제를 기본 질서로 규정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연대는 어떤 변화를 위한 과정 중의 하나가 아니라 그 자체가 달성되어야 할 고유한 가치이다. 이를 가장 최우선의 목표로 두고 그것이 달성되는 과정에서는 어떤 구별 짓기도, 차별도, 위계도 나누지 않아야 할 것이다. 배제하는 것 자체를 배제할 때 새 연대의 가능성은 먼 미래 혹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실현 가능한 것이 될 것이다. Among Korean movies released in the early 2010s, The King of Jokgu is significance for describing the possibility of a new solidarity, by presenting meaningless acts as a way of countering the dominant order of neoliberalism. However, the image of the new solidarity presented in the film is not one that can be realized here, but is rather an imaginary solidarity. This is because it was meant to confront neoliberalism, but was prevented from doing this by the existing patriarchal ideology which followed the neoliberal system without objection. Accordingly, new solidarity regulates its exclusion as a basic order, such as sharing the gender hierarch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oalition. However, solidarity is not one of the various processes for change, but a unique value that must be achieved by itself. Thi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goal and there should not be any discrimination, or hierarchy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olidarity. When excluding exclusion itself, the possibility of the new solidarity is not limited to distant future or the imagination, but can be realized here in the present.

      • KCI등재

        현대 놀이의 타락과 무용성에 대한 고찰 - 영화 <종이달>과 <족구왕>을 중심으로 -

        신성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78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sizing the diverse aspects of the unique nature and essence of contemporary play with Johan Huizinga and Roger Caillois. In particular, this study could present an insight into the corruption of play and uselessness of play, it gives us a vision that can enjoy independent play. As a using of digital technolog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bor and the play, and modern peoples can meet with experiences of playing at any time. But, in the life of capitalism, where only competition and rewards have become central values, the existence of play has been said to be corrupt by the capitalism or power. <Pale Moon> features characters who experience impossible of play in society where competition and survival have become a major priority. It disclose that without epochal improvements in life conditions, life of play is also impossible. <The King of Jokgu> shows an interesting perception of uselessness of play. It can be a oblique resistance for capitalistic society, which is a violent measure of everything in the value of usefulness. It is important to play the role of self-reliance and attitude that participate in play rather than play itself. New playing spirit needs to be created to create autonomy and solidarity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digital culture. 본 논문은 요한 호이징가와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놀이의 독특한 본질과 양상을 통찰하고자 하였다. 놀이의 기술적 토대를 획기적으로 혁신한 디지털 사회에서 놀이가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개인과 사회를 어떻게 호명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특히 놀이의 타락과 무용성에 대한 천착이 우리 시대의 문제적 현실과 놀이의 관계를 해명하고, 주체적으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 호이징가와 카이와는 경쟁과 보상만이 중심 가치가 되는 자본주의의 삶 속에서 놀이의 존재방식 역시 놀이를 가장한 자본이나 권력에 의해서 타락하고 변질되었다고 주장했다. 악랄한 조롱과 혐오로 점철된 인정투쟁이 놀이로 오인되고, 공격성과 적개심이 놀이의 유일한 동력과 목적이 되는 최근 한국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는 시각이다. 조승희의 총기 난사 사건과 세월호 참사 당시 폭식투쟁의 사례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에너지, 언어와 정서 분열의 극단적인 형태로 분출되는 타락한 놀이가 공감적 관계의 마비라는 우리 시대의 정신적 지형을 고스란히 체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화 <종이달>은 경쟁이 사회적 관계의 일반적 형태가 되고 생존만이 지상 과제가 된 사회에서 ‘놀이하는 삶의 불가능성’을 체화한 인물들을 형상화한다. 놀이와는 상반되는 가치들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삶의 조건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 없이는 제대로 놀이하는 삶 역시 불가능하다. 영화 <족구왕>은 놀이의 무용성에 대한 흥미로운 인식을 보여준다. 공동체성에 의거하여 자발적인 동의와 합의를 이루고 놀이의 참여가 즐거울 수 있다면, 이는 어떤 실질적인 유용성보다 큰 가치이다. 놀이의 무용성이야말로 모든 것을 유용성의 가치로만 폭력적으로 재단하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완곡한 저항이 될 수 있다. 기능/실용성의 영역과 경험/재미의 영역, 즉 일상의 세계와 놀이의 세계는 일방적인 대립 관계가 아니라, 상호 긴장 관계나 보완 관계가 되어야 한다. 놀이 없는 일상은 황폐하고, 일상과 유리된 놀이는 자폐적이다. 놀이 자체가 아니라 놀이에 참여하는 주체적인 정신과 태도가 중요하다. 디지털 문화의 공동체성에 의거하여 자율과 공감과 연대를 창출하고 표현하는 새로운 놀이 정신이 필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