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고전서총목제요」 유서류의 서지기술 분석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9 N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bibliographical description of jaeyo (description) and jonmok (catalogue) in youseoryu of Sagojeonseochongmokjaeyo (Sikuquanshuzongmoktiyao). Both jaeyo and jeonmok of Sagojeonseochongmokjaeyo provides bibliographical explanation in addition to title, volume and literature sources which are basic bibliographical items. The items drawn as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are 9 but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ased on division of those items into title and author, version and publication year, and other bibliographical items (literature sources, volume, preface and postscript, organization, and reference). As a result of overall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are lots of historical research on publication year, author, version and volume in the area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ound out some differences in some contents of historical research.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ersons in charge of explanation and the relevant literatures themselves.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of jaeyo and jeonmok proves that historical research on 8 items, aside from literature sources, consist of total 121 part of which there are 73 jaeyo (accounting for 60.33%) and 48 jeonmok (39.67%), which means description outnumbers historical researches. In terms of investigation items, there are more historical researches conducted in the order of author, publication year, volume in case of Jaeyo, while in case of jeonmok, more historical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ublication year, organization, and version. 이 연구는 「사고전서총목제요」 자부 유서류를 대상으로 제요와 존목의 서지기술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제요와 존목 모두 기본적인 서지사항인 서명과 권수사항 및 문헌출처 외에 해제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서지기술로 추출한 항목은 9개이나 이를 서명과 저자, 판본과 발행년 그리고 그 외 서지사항(문헌출처, 권수사항, 판본, 발행년, 서와 발 기록, 체제, 인용서목)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서지기술 조사항목 중 발행년, 저자사항, 판본 및 권수사항에 대한 고증이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부 각 조사항목의 고증 내용 정도의 차이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각 해제 담당자와 문헌 자체의 차이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제요와 존목의 서지기술 비교 결과, 문헌출처 이외의 8개 항목에 대한 고증은 총 121개 부분으로 그중 제요가 73개(60.33%), 존목이 48개(39.67%)로 제요가 보다 더 고증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조사항목 중 제요는 저자, 발행년, 권수사항 순으로 고증을 많이 하였고, 존목은 발행년과 체제, 판본 순으로 고증을 하여 고증 대상 항목에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 KCI등재

        「사고전서총목제요」 유서류의 내용기술 분석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1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analyze contents description of total 282 kinds of literature including 65 kinds of Jaeyo (description) and 217 kinds of Jonmok (catalogue) in Youseoryu of Sagojeonseochongmokjaeyo. The investigation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12 sub-categories under four major categories including subject of Yuseoryu, review on the contents, analysis of contents, and historical research of contents. 1) On the subject of Youseoryu, both Jaeyo and Jonmok have more comprehensive Youseo and writing style Youseo than any other categories. 2) Of twelve sub-categories of investigation items, the editing of existing literature and the description of book titles were more investigated than any other sub-categories. 3) Jaeyo has mainly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research by records of official history and bibliographical catalogues and national and individual catalogues and the description of book titles. 4) Jonmok has more editing of existing literature than any other categories and contents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of book stores and book sellers. In other words, Jaeyo is literature in neat handwriting with concrete explanation, review, and historical research, while Jonmok has description of why it is not taken as handwritten text. 이 논고는 「사고전서총목제요」 유서류 제요 65종과 존목 217종의 총 282종 문헌의 내용기술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서류의 주제, 내용의 고찰, 내용의 분석, 내용의 고증 등 네 개의 대분류 이하 열 두 개의 세분류로 항목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1) 유서류의 주제는 제요와 존목이 공통적으로 종합적 유서와 문구 유서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2) 열 두 개의 세분류 조사항목 중 기존 문헌의 편집과 서명의 설명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3) 제요는 정사와 사지목록의 기록 인용 고증, 국가와 사가목록의 기록 인용 고증, 서명의 설명 등이 많이 조사되었다. 4) 존목은 기존 문헌의 편집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서점과 서적상 등의 상술과 같은 내용의 기술이 조사되었다. 「사고전서총목제요」 유서류의 내용기술 분석을 통하여 제요는 「사고전서」에 선사 수록된 문헌이므로 구체적으로 내용의 설명과 고찰 및 고증이 이루어졌고, 존목은 사고본으로 수록되지 않는 이유 등이 주로 기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사고전서(四庫全書)≫와 ≪존목(存目)≫에 수록(收錄)된 한국인(韓國人) 저작(著作)과 그 문화의의(文化意義)

        김호 ( Ho Kim ) 한국중문학회 2010 中國文學硏究 Vol.40 No.-

        目前爲止, 國內有關≪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的數量問題, 沒有得到一致的看法。而且國外學者亦對於此問題的看法, 因爲篇幅的關係, 難免有所簡略, 加上學界對於≪四庫各省採進書目≫收錄的韓國人著作問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之文化內涵等, 均沒有進行討論。鑑於前人硏究的不足, 本文擬要對這些問題, 進行一番探討。本文經過一番討論,得到以下幾點結論: 第一、當編纂≪四庫全書≫時,向中央政府進程的韓國人著作共有五種, 就是≪朝鮮史略≫、≪朝鮮志≫、≪高麗世系≫、≪朝鮮國志≫、≪徐花潭集≫。第二、≪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的韓國人著作共有六種: ≪朝鮮史略≫、≪朝鮮志≫和≪武英殿聚珍版程式≫三種收錄於≪四庫全書≫; ≪高麗史≫、≪朝鮮國志≫和≪徐花潭集≫三種收錄於≪存目≫。第三、≪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的原則, 可分爲「以資參考」、「以資考證」、「取技能」和「表彰儒術」等。第四、≪四庫全書≫及其≪存目≫收錄韓國人著作有其獨特的文化內涵。首先,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的事實可證明韓、中兩國的書籍交流倂不是只從中國流入韓國的單方面的,而是雙方面的。其次, 幾種韓國人著作收錄於≪四庫全書≫及其≪存目≫,這意味著幾種韓國人的著作引起傳統中國知識分子的關注,這種現象甚値得予以重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