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물존재 : 아브젝트에 대한 식물적 사유

        강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2 陶藝硏究 Vol.- No.31

        본 논문은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 위치한 아브젝트(abject)에 대한 사유를 식물존재라는 은유적 표현을 통해 작업한 연구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아브젝트는 주체에서 추방되어 타자와의 경계에 잔류하며 주체를 위협한다. 또한 해소되지 않는 불안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체와의 경계선을 명확히 그어두는 것이 불가능하다. 아브젝트가 주체를 매혹하고 끌어당기기에 주체는 혼란스럽고 두려운 감정까지 느끼게 된다. 주체가 아브젝트를 밀어내는 것은 자신으로부터 이질적인 것을 타자화하는 경험이다. 연구자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동체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규범 또한 이질적인 것들을 배제하고 동질적인 것들로만 사회를 구성하고 싶은 지배체계의 욕망에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개념에 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아브젝트를 표현한 예술을 살펴보았다. 아브젝트 미술(abject art)은 신체의 규범을 위반하는 것과 혐오감이 드는 대상을 소재로 한다. 신체는 주체의 경계가 드러나는 곳이기에 신체에서 벌어지는 아브젝트의 작용을 표현한 예술작품을 통해 주체의 경계에 있는 아브젝트를 감각할 수 있다. 아브젝트 미술은 우리의 전통적이고도 절대적인 미적 기반에 충격을 주어 관람자로 하여금 고정관념의 틀에서 탈피할 수 있게 하기도 하며, 종교의 희생제의와 유사하게 관람자가 작품의 상황에 몰입할 때 감정적인 동요를 불러일으키거나 숭고미를 느끼게 하기도 한다. 아브젝트와 주체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혐오와 차별 없이 소통하기 위한 시도로 식물존재를 제안하였다. 이는 관념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 타자에 대해 사유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존재로 대표하여 소개하는 연구자의 작업은 아브젝트와 주체에 대한 사유과정을 통해 우리 세계의 아브젝트를 감각하고, 타자를 차별이 아닌 차이로 수용하는 것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존재는 도자의 재료와 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식물존재의 언어에 대해 상상하는 것이 도자의 재료인 점토에서 느껴지는 비언어적인 감각을 감지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정체성의 범주와 공동체의 규범에는 절대성이 존재할 수 없으며 차이에만 매진하지 않고도 주체가 타자와 관계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모든 개인이 자신만의 고유성을 가진 존재의 의미를 찾기를 희망한다. 우리를 존재하게 하는 경계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차별과 혐오의 구조를 인식하며, 각각의 다름을 차이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가능성을 제시함에 본고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vers an research process of contemplating the abjec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using the metaphorical expression, The Vegetal Being. The abject is expelled from the subject, remains at the borderline with the other, and threatens the subject. The abject embeds unresolved anxiety, and it is impossible to draw a clear line with the abject and the subject. Since abject fascinates the subject, the subject feels confusion and even fear. The subject pushing out the abject is otherizing what is different from itself. The researcher regards that the regulations that solidify the community in which we live also arise from the desire of the system to organize the society only with a homogeneous identity. Further from reviewing concept of the abject, the research moved to abject art that expresses abjection. The abject art features violations on the borderline of body and various objects that evoke a sense of disgust. Since the body is the place where the boundary of subject is revealed, through artworks that expressing abjection we can sense what exists on the body. The abject art shocks so called traditional and absolute aesthetics and helps us to break free from their frame of stereotypes. Instead of religious sacrificial rite, the abject arts can provoke emotional agitation or state in a sublime when the audience immerse themselves in a situation that art presents. Exploring the abject and subject, the researcher proposed the Vegetal Being as an attempt to communicate without hatred and discrimination. This is the way to think about the other from a position that is not ideally fixed. The artwork of researcher represented by the Vegetal Being suggests to sense the abject in our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contemplating the abject and subject and also to practice accepting others as differences rather than discriminations. The Vegetal Being is made with clay materials and ceramic techniques. This is because imagining the language of the Vegetal Being was similar to detecting the nonverbal sensations felt in clay which is the material of ceramics. Throughout the exploration, the researcher recognized that absoluteness cannot exist in the categories of identities and the regulations of a community, and that the subject can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without being buried in differences. The researcher hopes that all individuals will find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their own unique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without denying the borders that make individuals exist, and to present possibility of a life that can accept each difference as a difference.

      • Rereading Bartleby : Social Abjection and the Culture of Capitalism

        Soo Jin Park Ewha Institute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2018 Journa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Vol.16 No.2

        This paper examines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 A Story of Wall-Street (1853) and attempts to locate the capitalism and its culture. Invoking from Julia Kristeva’s abjection theory, I read the protagonist Bartleby as the social abject who embodies the dual aspects of abjection—being an abject and the agent abjecting the society. His preference not to work and inability to be in line with the capitalist mode of work production ultimately casts him out not only from the lawyer’s office but also from the society as a whole. However, it is not the lawyer, per se, but the capitalist society governed by the law and orders that abjects him. By ejecting what is objectionable from the society—Bartleby as the social abject—the capitalist society can be thus sustained because abject helps define the subject more so while solidifying the subject, namely the law itself as the symbol of the capitalist society, all the more. I propose that lawyer too can be read as a social abject as he finds Bartleby or the other in himself.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blurs, as the dichotomy becomes deconstructed. The Lawyer—the figure first appears as the capitalist—disintegrates into the social abject and this transformation renders a specific lens for the readers to see the problems generated by the capitalism. This paper examines such paradox within the novella Bartleby.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 extrapolate a way to locate the contemporary capitalism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 KCI등재

        비체 되기의 즐거움: 『마음의 범죄』

        정귀훈 ( Kwi Hoon Je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5 No.3

        헨리의 『마음의 범죄』(Crimes of the Heart)는 맥그래스(Magrath)자매에게 가부장제에 의해서 공동체에 적합한 정결한 주체개념이 강요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비체는 주체의 경계를 위반해서 균열을 만들고 자아의 상징계 이전의 모성과의 일체감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이다. 크리스테바는 비체의 예로 오염된 음식, 사체, 그리고 어머니를 예로 들었다. 가부장제는 비체를 모성과 연관 지어 여성성을 불쾌하고 혐오스러운 것으로 금지한다. 맥그래스 자매는 주체 개념을 수용하고 그것에 부합되지 않는 자신의 자아로 인해서 우울감과 자기 파괴의 충동을 느끼는 고통스러운 자기 분열 상태에 이른다. 재생산을 위한 모성이라는 억압된 아버지의 법을 반복하기 보다는 모성을 너머서는 다양한 여성의 욕망을 탐색하며 생성하는 여성의 문화를 추구한다. 자매는 비체를 거부하는 대신 주체의 경계를 흐리는 비체를 수용하고 스스로가 비체가 되어 어머니와 행복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제한 없는 쾌락을 느낀다. 또한 상호 소통을 통해서 욕망 발산의 충동이 그로테스크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욕망을 허용하지 않는 정체성의 개념을 전복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Becoming abject’ within patriarchal community looks grotesque but it gives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a self. Though employing abject scheme risks reiterating and reinforcing patriarchal ideology of disgust towards maternal bodies, ‘becoming abject’ transgresses the law of Father to gain pleasure and gives subversive potentiality of abjection. Abject makes it im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subject and object. It makes the borderline between the conscious self and others ambiguous and uncertain and draws a self “a place-where meaning collapses”(Kristeva 2). According to Kristeva, abject is identified as maternal body but, to secure selfhood, maternal is a primary resource of abomination. Therefore, it has a limit transgressive potential to destabilize negative representation of women. Nevertheless, abject offers individuals pleasure to give off their repressed female desire toward food, sex and mother. It challenges the taboos. Instead of rejecting abject, Magrath sisters in Crimes of the Heart to choose to become abject to disrupts the social and cultural authority of patriarchy. Becoming abject offers depressed sisters a kind of an alternative language to articulate female desire and to embody unique female bodily experiences. Based on their mutual understanding, Magrath sisters build up female solidarity to unsettle patriarchal ideology which marginalizes women. Becoming abject gives pleasure to reject a fixed selfhood and explore fluid, mutable subjectivities.

      • KCI등재

        중세 여성 명상가와 비천함의 탐닉

        윤민우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0 중세르네상스 영문학 Vol.18 No.1

        In Powers of Horror, Julia Kristeva advances the term, “abjection,” to denot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self by casting off what is unpalatable and seems alien to him/her. The abject—what is cast off—is, therefore, neither a subject, nor an object, because it is not yet a separate other, but still a part of the originary self. In certain moments, the abject reveals itself as an unvoluntary but compulsive repetition to return to one’s self. A combination of alterity and repetition, the abject is, in this sense, similar to Freud’s “uncanny” (unheimlich or unhomely). Freud’s study highlights the unhomely as the flip side of the homely. So in a moment released from the control of the superego, the ego experiences the return of the repressed, making the unfamiliar familiar and vice versa. This concept of abjection is useful in explaining medieval female mystics in three aspects: the abjection of food and body, of language, and of space. First, female mystics often ate feces, worms, scab or pus of the leper’s sore, as if they were sweet and exquisite food. They ate the unclean and horrible things, because the abject food was comparable to Christ’s blood on the cross, and their eating of the leper’s body could also be identified with eating the eucharistic body of Christ. Their offering of their own body to the poor as food may be compared to an imitatio Christi who gave his body to sinners. Here, the leper’s body, the female body, and Christ’s body are all synonymous. Second, a female mystic’s unintelligible utterance in ecstasy, like Christ’s moan on the cross, embodies the abjection of language, the fragmentation of signifier detached from signified. Defiling its orderly function of signification, the mystic’s “polluted” lips make ruptures in the official male language. The fragmented word joins the fractured body in the abject language. Third, the abjection offers a way to make homely the “unhomely” space between God and human soul. The restoration of imago dei in the human soul is, for female mystics, made possible only through their bodily affinity to, and intimacy with, Christ’s abject body.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아브젝트 아트(Abject Art)에 나타난 타자성

        김도아(Kim, Do-A),김진아(Kim, Jin-A)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9 No.1

        본 연구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 나타난 아브젝트 아트 작품들을 파악하고 고찰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트를 더럽고 불결하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 그리고 주체가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억압하고 쫓아내야 하는 존재로 논한다. 그러나 쫓겨난 존재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우리 주변에 머물며 주체에 대립하는 타자가 된다. 아브젝트 아트는 주체에 의해 터부시되고 내던져진 이러한 타자들, 흔히 파편화된 신체, 시체, 피, 정액, 오줌, 침, 똥 등 우리가 혐오하고 불결하게 여기는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면서, 전통적인 ‘미’와 ‘미술’ 관념에 도전하며 주체가 타자를 어떻게 구분 짓고 몰아내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아브젝트 아트에 나타나는 타자(성)을 크게 세 가지유형―비천한 존재와 주체의 양가성, 길들여진/저항하는 여성, 포스트휴먼 주체의 탄생―으로 분류하고, 각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별해 그 주제적, 형식적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다. 한국 아브젝트 아트가 기존의 미술 장르나 재료 등을 어떻게 해체하고있는지, 그리고 타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추적함으로써, 아브젝트와 그에 대한 아브젝시옹 즉 한국 사회의 타자 혐오와 배척 현상을 들추어낸다. 이는 전통적으로 비정상또는 더럽고 비천한 것으로 치부되었던 것들에 대한 재해석이자 주체/타자라는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점화점이 될 것이다. Based on Kristeva s theory of the abject, this study identifies and examines the works of Abject art that have emerged in Korean art since the 1990s. Kristeva discusses the abject as dirty, filthy, and unclear, and as an object that must be suppressed and driven out in order for the subject to form an identity. However, the expelled existence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but rather becomes a batter who stays around us and “is being opposed to I”. Abject art often uses materials such as fragmented bodies, dead bodies, blood, semen, urine, saliva, and excreta, challenging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art’ and revealing how the subject distinguishes and drives out the other. We first classify Korean Abject art into three aspects: the ambivalence of the subject, tamed/resistant women, the birth of the posthuman. And we examine the way “Otherness” is dealt with in each case work that gives us access to the abject and abjec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what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bject, abnormal, dirty or vulgar, and to overcome the dichotomies of subject and object.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아브젝시옹 연구

        고은영(Eun Yo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본 논문은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앨리스, Neco Z Alenky: Alice>에 나타난 특징들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이론과 결부시켜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크리스테바는 주체가 애브젝트를 추방하고 배제하고 밀어내는 현상을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신체적이기도 하고 상징적이기도 한 강한 감정으로, 거리를 두고 싶은 어떤 외적 위협일 뿐만 아니라 우리 내부의 위협이다. 그리고 불학정적이고 유동적인 경계를 지닌 대상들에게서 유발된다. 이러한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에 관한 탐구들이 <앨리스>에서 어떻게 시각화 되었는지 추적해 보는 일은 유의미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검토한 후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작품 <앨리스>에 나타난 특징들과 결부시켜 분석해 봄으로써 작품의 불가해한 내용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으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관련 문헌을 1차 연구 자료로 삼았다. 덧붙여 선행 연구와 그 외 출판물들, 비평적 자료 등을 보조 텍스트로 참고하였다. 작품 분석결과, 슈반크마이에르의 <앨리스>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와 시각적 표현이 ‘아브젝시옹’의 개념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앨리스>는 20C 말, 크리스테바가 주창했던 ‘아브젝시옹‘에 대한 영상 보고서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eatures of Abjection in <Alice> directed by Jan Svankmaje reviewing them with a Julia Kristeva`s theories. The “Abjection” is termed the contradictory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the subject banishes and excludes the abject, but it concurrently fascinated with abject. The abjection is the physical and symbolic feeling and reaction of the subject to the abject and resistance of the subject to external threats the subject wants to put some distance.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how those explorations on “Abjection” are visualized in Svankmajer` <Alice> First, this paper looks at the concept of Julia Kristeva`s theory and analyzing visual features of Jan Svakmajer`s <Alice> based on “Abjection.” It intends to provide clues to understand inexplicable contents of the work by tracing the relations between Jan Svakmajer`s <Alice> and Kristeva`s concept of “Abjectio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books and periodicals about Julia Kristeva`s theories. Additionally, literatures including precedent studies, other publications and critics would be taken as a second t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ork, it has been found that the theme and visual expressions penetrating <Alic> are based on the concept of ‘Abjection``. In this point, they can be said to be the cinematic report of “Abjection” that was advocated by Julia Kristeva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애브젝트 미술의 성격으로 분석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붉은색

        김누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or red, which appears repeatedly in Louise Bourgeo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Abject art. Methods of this study are reference research and analysis on Abject art and works of Bourgeois. In dichotomized late modern value systems, women belonged to the passive minority group and have been regarded as the subject of reproduction rather than the independent creator throughout art history. Women artists finally began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ir own way entering modern times. The concept of abject was developed by Julia Kristeva. She reinstated the position of the mother, which was of little importance in the mainstream of psychoanalysis, and she convinced many to reconsider about the existence of females. The abject is the subject that is to be thrown out of the boundaries to make the subject itself more sustained. Phenomenon such as this is viewed as abjection. Abjects are mainly things that deviate from their original realm and are considered harmful to the subject and cause fear. Many female artists introduced the concepts of abject and used them in their artworks. This is called abject art. It goes far beyond boundaries and demonstrates the conflicting feelings of fear and attraction at the same time by visualizing the filthy and horrible objects. Abjects have been expressed in their own ways that differ from what mainstream artists have done before. At this time, color red, which is the color of blood and most familiar color in human life, was frequently used by many artists to create a strong visual effect. Bourgeois was an artist who used variety of medium and created various sizes of workpieces on sexuality, love, maternity and paternity based on her experiences. Color red was revealed repeatedly in her works. In conclusion, color red shown in Bourgeois’ work is not only the color of blood, but the means for intensifying visualization to express the abject. With the effect of red color used by Bourgeois, viewers can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works even more. 이 연구는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색채인 붉은색을 애브젝트 미술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애브젝트 미술과 부르주아의 작품세계에 대한 문헌연구와 작품 분석이다. 이분화 되어있던 근대의 가치관에서 여성은 비주류의 수동적인 존재에 속했으며 미술사에서 여성은 주체적인 창작자보다는 재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현대에 이르러 여성작가들은 그들의 생각과 경험을 여성들 자신의 방법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애브젝트는 크리스테바가 발전시킨개념으로 정신분석학에서 비중이 적던 어머니의 자리를 복권시키고 여성의 존재에 대하여 재고할 여지를 만들었으며 몸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했다. 애브젝트는 주체가 적절하게 존재하고자 경계밖으로 내보내지는 대상을 뜻하며, 이러한 현상을 애브젝션이라고 한다. 애브젝트는 주로 원래의 영역을 벗어나 주체에게 공포가 되는 것들이다. 많은 여성작가들이 애브젝트의 개념을 도입하여 조형 활동을 하였고 이는 애브젝트 미술이라고 명명된다. 애브젝트 미술은 경계를 벗어난 불결하거나 혐오스러운 대상들을 시각화하여 공포감과 함께 매혹적인 상반된 느낌을 준다. 애브젝트는 작품으로 다양하게표현되었으며 이때에 작가들이 빈번히 사용한 붉은색은 인간의 삶에 가장 밀접한 색으로 피의 색이며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일으킨다. 부르주아는 자신의 자전적 경험에서 우러나온 성과 사랑, 모성과 부성에 대하여 다양한 매체와 규모의 작품을 남긴 작가이다. 부르주아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작품에 등장하는 붉은색은 피의 색이자 성과 사랑, 위험과 공포, 질투와 폭력 등의 다층적이고 모순적인 의미를담은 색으로 작가가 표현하는 애브젝트를 강화하여 시각화하는 수단이 된다. 부르주아가 사용한 붉은색의 효과로 관람자는 더욱 작품을 보다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 KCI등재

        영화 속 ‘과정 중의 주체’에 관한 연구 -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크라이스트> 중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

        진빛남,변혁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는 영화 <Antichirst>에 나타나는 아브젝시옹 이미지들을 통해서 영화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다. 아브젝시옹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Powers of Horror : An Essay on Abjection』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주체는 아브젝트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경계를 위협받는다. 그리고 주체가 위협받는 상황을 아브젝시옹이라 부른다. 그녀에게 주체는 수시로 아브젝시옹을 겪는 ‘과 정 중의 주체’이다. 고정되지 못한 주체는 아브젝트를 몰아내는 행위를 통해서 경계를 형성하고, 다시 아 브젝트의 공격을 받게 되는 반복적 운동을 경험한다. 라스 폰 트리에(Lars von Trier)는 영화 <Antichrist>에서 이러한 주체와 아브젝트간의 반복되는 억압관계에 관심을 둔다. 특히 이러한 억압 속에 내재한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 사회인식의 바탕에 깔린 억압의 원리를 드러낸다. 오랜 시간 동안 인류 속에 있는 남성과 여성, 이성과 감성, 문명과 자연 같은 이분법이 그러한 예이다. 동시에 상징계 진입을 위한 분절과 억압의 기원을 성경 속 에덴설화에서 찾는다. 이 지점에서 크리스테바에게 경계가 붕괴하는 카오스의 장소인 코라는 성경 속의 에덴과 상응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시옹을 통해서 주체가 위협받 지만, 이를 통해서 새로운 주체로 재탄생할 수 있는 승화의 가능성에도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실패하고, 주체가 한쪽으로 치우칠 때 우리의 존재는 그 어느 때보다 위협받게 된다. 트리에의 <Antichirst>는 이러한 위험에 관심을 둔다. 영화 속에서 주체가 아브젝트를 억압하는 방식으로만 대응할 때, 아브젝트는 더욱 강력해진다. 결과적으로 강력해진 아브젝트는 주체를 지배하고, 트리에는 이러한 파 국을 통해서 이성적 억압만이 존재할 때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antichrist, which is done by analyzing its abjection image. Julia Kristeva explains that the boundary of the subject is threatened by the abject. This process is what she calls ‘subject in process’ in Powers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In addition, she refers to the process as abjection. Abandoning the abject, the subject creates a boundary and threatened by attacking the abject. This repeated process makes the subject unsettled. The main motif of Lars von Trier’s Antichrist is that the subject is against the abject and experiences abjection. Specifically, this film focuses on the presence and structure of social cognition and therefore reveals the principle which is hidden deep land. Dichotomies (such as man versus woman, rationality versus emotion) are the main principle in our traditional world, and they continue to exist even now. In my opinion, Von Trier wants to twist the division of the social constitution by using the motif of Eden in the Bible. Although Kristeva discusses abjection which threatens the subject, she also mentions the possibility of sublimation. However, a biased subject may be a danger to our existence when this process fails. In Antichrist, Von Trier shows interest in this type of risk. Thus, he shows us how a biased subject is a danger and warns us about this risk though an extreme situation.

      • KCI등재

        키츠의 「이사벨라, 혹은, 바질 화분」에 나타난 괴기한 여성성

        선희정(Heejung Sun)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9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23 No.1

        In this thesis, I attempt to investigate how Keats represents woman as monstrous, abject in his anti-romantic gothic tale of horror, Isabella; or the Pot of Basil. Based on theories of Barbara Creed and Julia Kristeva, I argue that Keats’s Isabella is a reworking of the monstrous-feminine, which has always been an abject creature. In her book The Monstrous-Feminine, a psychoanalytic study of the horror film, Creed focuses on the horror film’s figuration of woman-as-monster, drawing on Kristeva’s notion of the abject. The concept of the monstrous-feminine, as constructed within/by a patriarchal and phallocentric ideology, is related intimately to the problem of sexual difference and castration. I posit that Keats’s Isabella is linked to Kristeva’s and Creed’s theory through its abundance of abject imagery, its treatment of boundary crossing, and its construction of the maternal figure as the monstrous-feminine. Perhaps the most renowned of the Romantic retellings of Boccaccio’s tales, Keats’s Isabella is full of gothic excess—the femininity/maternity, mawkishness, and vulgarity—all the qualities we call the abject. For the reader, Isabella and her beloved but gruesome pot of basil inspire loathing and disgust, evoking the abject and the feelings Kristeva associates with ‘abjection.’ The head in the pot—the central image of the poem—stands as the essence of what Kristeva has called “the abject.” Isabella’s decapitation is a castration. From first to last Isabella is presented as the potential mother, and Lorenzo’s head can also be read as an abject fetus. The basil plant that Isabella later nurtures is in one sense Isabella’s external womb. In Isabella, the feminine appears as abject, both threatening and nurturing, fearful and desirable. Keats actually participates in his culture’s dominating ideology by conveying a patriarchal attitude toward women.

      • KCI등재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

        정연이(Chung Youn Yee),김남시(Kim Nam See) 현대미술학회 2018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2 No.1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트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목표를 둔다. 혐오와 매혹의 여성의 몸과 애브젝트한 모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상징계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미적 가치를 성공적으로 창출한다.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은 애브젝트 이론의 토대가 되는 어머니의 자리인 기호계(the semiotic)를 복원시키고, 새로운 언어, 여성의 언어로 말한다. 또한 가부장적인 체제에 저항하는 새로운 여성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훌륭하게 구현한다. 결과적으로 현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로서의 여성의 몸은 역사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존재의 경험을 수용하며 미와 추, 정상과 비정상, 정신과 육체 등의 이분법적 경계를 해체하는 다양성의 미학을 추구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emale body of abject in contemporary art focussing on Julia Kristeva"s concept of abject. The works which show the female body of disgust and attract and the abject maternity create successfully new aesthetic qualities which cause a crack the symbolic. The female body of abject in contemporary art restores the semiotic as a place of mother which is a basis of abject theory and explain a new language, a female language. Also it suggests a new possibility of a woman who resist in a patriarchal system and embodies excellently Kristeva’s theory. As a result, the female body of abject in contemporary art seeks aesthetics of diversity which embraces experience of beings who has been excluded historically and dismantle the binary boundary of beauty and ugliness, normal and abnormal, mind and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