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 신명으로 본 한국 춤의 시원에 관한 연구 -축(祝), 제(祭), 유(遊), 무(巫)를 중심으로-

        김운미(UnMi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6

        본 논문은 고대에서 사용된 문자인 축(祝), 제(祭), 유(遊), 무(巫)를 통해 한국춤의 특성인 한과 신명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은 일반의 정서인 한(恨)이 아니라 긍정적인 한이며 한풀이를 통해 나타나는 밝은 한이었다. 한국인은 춤을 통해서 밝음을 지향했는데 이것은 우리의 춤사위가 홍익인간의 ‘한’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둘째, 신명은 모든 창조행위의 원천적 기운으로 우리에게 광명(光明) 사상의 배후에서 민중예술과 민중예인을 탄생시키는 민중적 미의식의 모체였다. 이러한 신명은 노동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창작과 향수, 일과 놀이의 전일적 통일이라는 생명론적 미학의 기초개념이 되었다. 결국 ‘한’과 ‘신명’이 긍정적인 사고에서 출발하여 신과 대화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한국춤의 시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has its purpose to research the origin of Korean dance through 'Han' and 'Sin Myeong' around the ancient letters, 'Chuk', 'Je', 'Yu' and 'Mu'.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Han' is not the general regretting feeling Han (恨), but the positive 'Han' which turns up by working off one's bitter feeling. Korean people intended the being bright and it proves the dance connotes the idea of "Han of Hongik Human". Second,'Sin Myeong' is a source energy of all the creative action, and it has been the parent of the popular esthetic sense which births the poplar arts and artists as the back of the bright light philosophy. became 'Sin Myeong' the basic concept of the biological esthetics as it produces the value of working and unifi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and the labor and play. Eventually, ‘Han’ and 'Sin Myeong' departed 'from the positive thought of "Brightness" and became the origins of Korean dance in the movement trying to communicate with god.

      • KCI등재

        서울굿의 무구 연구

        최진아(Choi Jin-A)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서울굿에 사용되는 무구는 세습무 지역과 비교한다면 무당이 소지하는 무구가 월등히 많다고 할 수 있지만, 강신무들이 주로 활동하는 황해도나 평안도에 비해 그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당이 있고, 그 안에 무구들이 봉안되며 또한 의례에 사용하는 무구와 점사에 사용하는 무구를 지닌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하나의 무구라도 거리나 신격에 따라 종류가 하위 분류가 가능한 위의 지역과는 달리, 서울굿은 방울과 부채 하나만을 가지고 전거리 소화가 가능하다. 반면에 신당의 구조는 무신도로 일원화된 형태가 아니라 여러 다양한 형태들이 존재하며, 의례도구에 있어서도 다른 강신무 지역과는 그 사용 용도가 차별화된다는 특징도 지니고 있다. 무신도는 신령의 모습을 인격적인 존재로 형상화한 것인데, 서울굿 무당의 신당에는 이 외에도 위패형과 전발형이 나타난다. 위패형은 ‘강필(降筆)’된 경우나 도교류의 신을 모시는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특히 전발형은 일반적인 사례는 아니나 과거 사대문 안에서 활동하던 나랏무당이나 국무만이 이 형태를 유지한 것으로, 이는 서울굿 무속의 전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명도는 곧 신체이면서 신이 좌정되어 있는 대상으로, 일부에 한해 무신도 대신 명도를 걸어두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명도는 김유신의 어머니인 말명을 상징한다는 설과 최영장군을 상징한다는 설 두 가지 설을 지닌다. 방울은 청신(請神)의 의미와 함께 송신(送神)의 의미도 동시에 지니며, 조상을 상징하는 무구로도 사용된다. 그 기원을 고대의 소도와 부여의 영고에까지 두기도 한다. 서울굿에서 방울은 황해도 굿에 비해 사용빈도수가 높지는 않으며, 이 보다는 부채의 사용빈도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대감거리에서는 복을 주고 재수를 주는 의미를 지니는 부채는 삼불제석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 삼불제석은 불교적인 영향을 받아, 우리의 민간신앙인 삼신으로 변형된 사례이기도 하다. 제금 또한 불교의 의례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주로 무악기로 사용되지만 불사거리거리에서 명과 복을 기원해 주는 의미를 지닌다. 신장기 또한 재수와 재복을 주는 의미를 지니며, 운세를 점치는 무구로 사용된다. 신장기는 도교적인 영향과 함께 조선시대 군기 형태가 무속에 반영되어 영물의 그림, 신장이 보호해 준다는 믿음 등이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굿에서는 운세를 점치고, 명과 복 그리고 재수를 기원해주는 신장기ㆍ제금ㆍ부채와 같은 무구가 매개체가 되어 신도들이 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유도한다. 삼지창과 월도는 도교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그 형태는 조선시대 무기류와 더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 시기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 조선중기 이후에 무속에 수용된 것으로, 장군신의 위엄을 상징하는 무구로 사용된다. 즉 삼지창과 월도는 최영장군을, 삼지창은 별상을, 월도는 관운장을 상징한다. 이 두 무구를 들고 춤을 추고 공수를 내리는 경우는 서울굿에서만 나타난다. 또한 월도를 들고 의례를 진행하는 거리는 서울굿의 전안거리에만 나타나는데, 이는 관제신앙이 서울굿에 미친 영향력이 컸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hamanic materials used for the Seoul gut (굿) can be said that they are not varied when compared to those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where the Gangsin-mu shamanic ritual are usually active. The facts that the hall for a god are provided, preparing shamanic materials for the ritual and fortune-telling are commonly found in such provinces. A shamanic material of Hwang'hae and Pyeong'an shamanic ritual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itual stage and the sort of gods, however, only a bell and fan in the Seoul gut can cover all stag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gut are that the hall for a god are variously constituted over the stereotyped form dominated shamanic paintings, and the purpose of using ritual tool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Gangsin-mu ritual in other provinces.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musin-do, that embody a shamanic god as a personal effigy, the forms of wipae (위패) and jeonbal (전발) are used in the Seoul gut. The former can be seen in the case of gang-pil (降筆) and of worshipping Taoist immortals. The latter, a model of the Seoul gut, could be conducted only by national shamans working in the inner spaces of the Four Gates (sadae-mun). Myeong-do (명도) is the ‘body’ and the object in where a god is staying. In some shamanic halls, it is hanged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The symbolic meanings concerning Myeong-do are broadly fallen into the followings; one is General Kim Yu-sin’s mother, Malmyeong, and the other is General Choi Yeong. The bell (방울) means the call for a god and farewell to a god as well. It also symbolizes an ancestor, that its origin is far back to Sodo and Yeonggo, rituals in Buyeo Kingdom. In the Seoul gut, the bell is less used than the fan is. The fan (부채) in Daegam geori that means to convey happiness and bliss usually plays a role as Sambul jeseok-sin, influenced by Buddhism, that alters the myth of the three gods in folk religion. Same as influenced by Buddhist ritual tools, Jegeum (제금) usually used as a shamanic instrument, however, it symbolizes to bless one’s life and in Bulsa geori. The flag of guardian that means to convey the massage of happiness, being used by a shamanic tool for fortune-telling.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aoism, the flag was probably acknowledged as the sacred object and myth of protection by accepting military flags of the Joseon dynasty. As mentioned earlier, in the Seoul gut, such shamanic materials as flag of guardian, jegeum and fan symbolizing happiness and fortune play their role to lead believers t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tual. Samji-chang (삼지창) and weoldo (월도) (semicircled moon-sword), originally influenced by Taoism, their forms are more related to those of Joseon military tools. Though the date is unclear, the military image was mixed with shamanism in the middle Joseon period, symbolizing general god’s majesty; they embody General Choi Yeoung. Specifically Samji-chang symbolizes byeolseong, god of epidemic, and weoldo means General Kwanun. It is the scene can be seen in the Seoul gut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these tools and mimics the god’s voice. The scene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weoldo can be seen only in jeonan geori of the Seoul gut, it is assumed that military aspects on religion have greatly affected to the Seoul gut.

      • KCI등재

        조선 초기 公主․翁主의 封爵과 禮遇

        차호연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7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초기 公主․翁主의 봉작과 예우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國王의 딸은 모친의 지위에 따라 嫡庶가 구분되어 王妃의 소생은 公主로, 後宮의 소생은 翁主로 책봉되었다. 고려시대 국왕의 딸은 嫡庶의 구분이 없이 모두 公主로 봉작되었으며, 일부 公主들은 자기 소유의 宮을 가질 수 있었으므로 宮主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후 조선이 건국되자 제도의 정비를 통해 국왕의 嫡女와 庶女를 구분하여 公主와 翁主로 부르게 되었다. 公主․翁主는 下嫁하는 시기에 맞추어 봉작되었다. 실록의 기사를 분석해 본 결과 公主․翁主의 가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때에 작호를 받고 某公主․某翁主로 책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公主․翁主가 하가할 때 책봉되는 것은 혼인 이후에도 公主․翁主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駙馬와 관계없이 국왕의 딸로서 갖는 고유한 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이었다. 정식으로 公主․翁主가 된 왕의 딸은 외명부의 일원으로 인식되었다. 외명부는 양반 신료의 부인들로 구성되었는데, 公主․翁主 또한 駙馬의 부인으로서 양반여성으로 인식되었기에 하가한 이후 외명부 품계를 받았다. 그러나 公主․翁主는 국왕의 직계가족이었으므로 그 품계를 산정할 수 없어 품계가 없는 ‘無品’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므로 公主․翁主의 품계는 駙馬의 품계와 전혀 관계가 없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公主․翁主는 다른 여성들과 달리 유일하게 남편을 간택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국왕과 신료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16세 이하의 남성 중 몇 명의 후보를 정한 뒤 이 중 한 사람이 駙馬로 선정되었다. 太宗 15년(1415) 넷째딸 정선공주의 남편으로 남휘를 선정한 것을 계기로 공신의 자제가 아닌 국왕의 신임을 받는 신료의 자제들이 駙馬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世祖의 등극 이후 駙馬를 간택하는 조건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太宗의 집권 초기와 마찬가지로, 世祖의 등극에 협력한 일부 공신의 자제들로 駙馬를 선정하게 된 것이다. 시기적으로 駙馬의 간택 성향이 달랐던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조선시대 公主․翁主는 왕비․후궁 및 양반여성 등과 다른 차이점을 갖고 있었다. 바로 남편의 위치에 부속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公主․翁主는 하가하기 이전에 봉작받은 고유의 지위를 사망할 때까지 유지하였다. 오히려 駙馬의 경우 公主․翁主의 남편으로 간택된 경우 姻戚이 되어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는 제약을 겪어야 했다. 公主․翁主는 혼인하여 자신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公主․翁主는 하가한 이후 국왕이 지급하는 토지와 노비 및 물품을 받았다. 公主․翁主는 자신의 명의로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문서로는 「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과 「鄭眉壽 別給文記」를 들 수 있다. 즉, 公主․翁主는 外命婦 무품으로 인정되는 동시에 다양한 경제적 혜택이 보장되어 부유한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公主․翁主는 駙馬에게 부속된 존재가 아니라 독립된 지위를 갖고 있었다. 각종 제도와 사례 분석을 통해 公主․翁主가 남편의 위치에 따라 변동을 겪지 않고, 자신의 태생적 지위에 따라 높은 위상을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시대 여성 중에 오직 公主․翁主만이 갖는 특수성으로, 公主․翁主 연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하게 다뤄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social statuses of Gongju(公主) and Ongju(翁主) in the early the Joseon Dynasty(朝鮮). Daughters of a king in the Joseon Dynasty were classified either as legitimate or illegitimate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ir mothers. Whereas the queen’s daughters were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Gongju(a king’s daughter by a queen), royal concubine’s daughters were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Ongju(a king’s daughter by a royal concubine). King’s daughters during the Goryeo Dynasty(高麗) were all assigned with the titles of Gongju without classification of being legitimate or illegitimate, with certain king’s daughters called as Gungju(宮主, palace-owners) since they could own their own palaces. Afterwards,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and through the rearrangement of institutions, King’s daughters were divided into legitimate daughters and illegitimate daughters, and came to be called as Gongju and Ongju respectively. The titles of Gongju․Ongju were invested before their marriag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ronicles of the Joseon Dynasty reveals the fact that Gongju․Ongju were invested with their own titles before the discussions over their marriages took place. The reason they were invested with the title before their marriages was to officially acknowledge their status as a king’s daughter even after marriage regardless of their husbands who would be Buma(駙馬, sons-in-law of the king). King’s daughters who became officially Gongju․Ongju were recognized as members of an outsiders’ list(外命婦, Oe Myeong Bu). Members of outsiders’ list consisted of wives of Yangban class, and as Gongju․Ongju also were recognized as women of the Yangban class as wives of buma. However, since they were lineal family members of a king, their rank could not be assigned, and they were instead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no-rank(無品, Mu-pum). Therefore the rank of Gongju․Ongju was not dependent on the rank of their husbands. Gongju․Ongju were also different from other women in that their husbands were selected. After sufficient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s between the king and his vassals, several men at the age of less than 16 were identified as suitable candidates for the Gongju or Ongju, and one man was finally selected among them as the son-in-law of the king. When Namhwi(南暉) was selected as the husband of Jeongseon gongju(貞善公主), who was the 4th daughter of King Taejong(太宗), in the 15th year of his reign(1415), it set the precedence for the sons of trusted vassals of the king, not the sons of vassals who established merits. However, when King Sejo(世祖) ascended to the throne, the terms of selecting the sons-in-law of the king began to change. Just as the early period of King Taejo(太祖)’s ascension to the throne, sons of vassals who helped King Sejo’s seize the throne were selected as sons-in-law of the king. The different selection standards according to time perio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Gongju․Ongju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garded differently from queens, royal concubines, and Yangban women, etc., in that they were not subject to the status of their husbands. Gongju․Ongju maintained the status assigned before marriage up until death.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Buma, once selected as the husbands of Gongju․Ongju, they faced restrictions in that they were not allowed to take state exams to become public officials since they became relatives of the king. Gongju․Ongju could enjoy various economic benefits to maintain their status. After marriage, Gongju․Ongju received land, slaves and commodities that the king granted. Gongju․Ongju could own properties under their names. Related documents demonstrating this include 「Suksinongjugadaesageubseongmun」(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 and 「Jeongmisu Byeolgeummungi」(鄭眉壽 別給文記). In other words, Gongju․O...

      • KCI등재

        회재(晦齋) 잠명(箴銘)의 내용과 성격 및 문학사적 의미

        김윤규 ( Kim Yun-kyu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晦齋 李彦迪(1491~1553)의 잠명은 동아시아 고대로부터 전해진 잠명문학의 전통을 이어 고려시대에 왕성하게 창작된 한국 우의적 잠명문학을 성리학적으로 전환시킨 선도적 업적이다. 이 논문은 회재의 잠명을 검토하고 그 문학적 특성을 살피며 한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점검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회재의 잠명은 그가 27세 되던 해에 지어진 「元朝五箴」으로부터 그가 강계 유배지에서 57세에 지은 「定靜銘」까지 3잠 3명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 「元朝五箴」은 畏天·養心·敬身·改過·篤志의 다섯 잠문을 포괄하고 있어서 실제로는 7잠 3명이 회재 잠명의 전량이다. 회재 잠명을 일관하는 주제는 克己復禮이다. 그는 성실하게 공부하는 학자이면서 이를 일상의 삶 속에 실천하는 수련자로서, 자신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유혹과 위험에 대해서나 내부에 일어나는 사사로운 욕심과 게으름 등에 대하여 단호하게 배격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마음을 기르며 몸을 공경하고 허물을 고치면서 뜻을 독실하게 하겠다는 것이 「元朝五箴」에서 천명한 삶의 태도이다. 그의 「立箴」은 30세에 공자의 三十而立 고사에 비추어 자신이 철학적으로 인격적으로 자립하였는가를 반성하고 다짐하는 잠문이며, 「自新箴」은 日新又日新의 盤銘을 본받아 날마다 새롭게 되기를 다짐하는 글이다. 이렇게 세 잠문은 제목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해가 바뀔 때나 유념할 만한 나이가 되었을 때에 反省과 自警을 목표로 지어진 글이다. 회재의 명문은 3편이 있다. 그 중에서 「定靜銘」과 「知恥銘」은 제목에서 내세운 바와 같이 고요함에 안정되리라는 소망과 부끄러움을 알아야 하겠다는 다짐을 밝힌 글이다. 특히 염치를 알지 못하는 이에 대한 확실한 배격을 담고 있는 「知恥銘」은 여러 가지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장문으로 쓴 명문이다. 회재의 명문 중에서 유교적 덕목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자아를 드러내고 있는 작품은 「無絃琴銘」이다. 이 작품에서는 번거롭고 시끄러운 세상의 포폄을 벗어나 태고의 천진에 노닐고 싶다는 자아의 소망이 드러나 있다. 문학적으로 회재의 잠명은 克己復禮를 최종 목표로 하는 유교적 성격의 교술문학이다. 작중에서 자아에게 가해지는 세계의 압박은 대부분 사욕이나 태만 등의 내부적 放心 상태이다. 이렇게 내부적 방심에서 자신의 바른 마음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다 보면 지나치게 교훈적 서술로 흐르게 되어 문학적 긴장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회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어를 달리하거나 창의적으로 반복하기도 하고, 반증을 들거나 문답체를 사용하여 글의 생동감을 높이기도 하였다. 회재 잠명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기물명류의 잠명문학이 주로 우의적 풍자적 성격을 가지고 창작되던 것이, 조선 후기 잠명에서는 거의 대부분 自警類 또는 警世類의 교훈적 성격으로 변화하는 계기점에 회재의 잠명이 자리 잡고 있다. 조선 후기 학자들에게 회재가 존경받은 크기만큼 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창작된 잠명문학의 성향에도 회재의 영향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Hoejae Lee Eonjeok(晦齋 李彦迪, 1491~1553)'s proverbs and mottos(Jamyeong, 箴銘) carried out a leading role in transforming Korean allegorical Jam-myeong literature, which was actively created in Koryeo Dynasty in accordance with Jam-myeong tradition passed down from ancient East Asia, into Neo confucianism way. This study is done to examine Hoejae's Jam-myeong, evaluate its literary properties and its significance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mong Hoejae's Jam-myeong, there are 3 Jams(箴) and 3 Myeongs(銘) remaining, from 「Won-jo-o-jam(元朝五箴)」 written at his age 27 to 「Jeong-jeong-myeong(定靜銘)」 written at his age 57 during his exile in Gang-gye. 「Won-jo-o-jam」 contains five Jams, Woe-cheon(畏天, reverence to heaven), Yang-shim(養心, cultivate consciousness), Gyeong-shin(敬身, honor my body), Gae-gwa(改過, repentence), and Dok-ji(篤志, resolute will), so actually 7 Jams and 3 Myeongs are the total remaining Hoejae's Jam-myeong. The consistent theme of Hoejae's Jam-myeong is ‘suppressing one's greed and abiding by the courtesy[克己復禮].’ He was an earnest scholar and man of discipline who practiced his understandings in life. He strongly opposed personal inner greed and idleness, or external temptations and dangers. Based on such attitude, he declared his life attitude in 「Won-jo-o-jam」 to fear the heavens, introspect the mind, respect the body, mend the flaws, and establish his will. 「Ip-jam(立箴)」was written when he was at the age 30, and there he introspects and determines to be more philosophically and morally independent according to Confucius' teaching ‘on 30 years old I established myself(三十而立)’, and in「Ja-shin-jam(自新箴)」 he determines to follow ‘be the new person each and every day emulating[日新又日新]’ admonition. These three Jams, as they imply in their titles, were written to introspect and self-warn when he reached certain age or at new years. There are 3 Myeongs written by Hoejae. Among them, in 「Jeong-jeongmyeong(定靜銘)」 and 「Ji-chi-myeong(知恥銘)」, as it is implied in the title, he expresses his determination to acknowledge his shame and his hope to settle in peace. Especially in 「Ji-chi-myeong」, a lengthy Myeong that uses various expressions, he strongly opposes ones who don't know any shame. Among Hoejae's Myeongs, in 「Mu-hyeon-geum-myeong(無絃琴銘)」 he expresses his ego relatively free from Confucianism virtues. In this work, he shows his hope to be liberated from all the compliments and evaluations of cumbersome and troublesome world and to live freely in the primordial nature. In literary aspect, Hoejae's Jam-myeong is Confucianism didactic essay with Geuk-gi-bok-rye(克己復禮) as its ultimate goal. In his writings, most of the sufferings arose by the world around him are mostly caused by inner carelessness state, such as personal greed or idleness. When a work has a goal to grow upright heart against inner carelessness, writings become to have less literary tension because they usually have excessively didactic character. In order to avoid this, Hoejae used different terms, or repeated terms in creative ways, or he used counterevidence or interlocutory to enhance writing's vitality. Hoejae ha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Koryeo Dynasty, Ki-mul-myeong style (proverbs written at daily necessities)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mostly with allegorical and satirical property,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st of Jam-myeong literature was created with didactic property of vigilance and warning, and Hoejae's Jam-myeong lies at the transition. As much as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s respected Hoejae, their following Jam-myeong literature were highly influenced by Hoejae.

      • KCI등재

        김유영론(2)- 구인회 구상 배경과 결성 의도

        현순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3 No.-

        Guinhoe(nine people club) can be understood as sort of a movement in whichnot only the club's principle members but also other literary figures with diverseartistic talent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lub. The movement was sparkedoff when there was contradictory in the intentions of setting up Guinhoe betweenthe one circle of Kim Yu-yeong, Lee Jong-myeong, and Cho Yong-man and theanother circle of Lee Tae-jun and Cheong Ji-yong. Once Guinhoe being approached as series of movements, there should followdiscussions for the meanings attached to this movement by important figures. Inthis end, the initial thoughts for envisioning the establishment of Guinhoe by KimYu-yeong, Lee Jong-myeong, and ChoYong-man must be first studied. However, suchstudies have never been fully undertaken so far. In this aim, this paper studiedKim Yu-yeong, first. The background that led him to envision Guinhoe and his intentionto establish it were the focus of this paper. First, Kim Yu-yeong tried to go beyond the limitation that was embedded in theproletariat cinema's movement at those days; and to improve Chosun's proletariatcinema. This is the background for his envisioning for Guinhoe. Second, his intentionto establish Guinhoe emerged from his uneasiness with the contents of scenariosof Chosun's proletariat cinema. This paper suggested that Kim Yu-yeong was aimedto establish a collaboration network through Guinhoe including professional scenariowriters, translating writers (one who turns novels into cinema scenarios) and cinemadirectors who have full awareness of proletariat ideology in his/her mind. Also, itseemed that he tried to develop scenarios that reflect the real faces of Chosun's rural society. 구인회는 개성과 지향이 다른 여러 예술적 주체들이 입․탈회하면서 만들어진 일련의 움직임이었다. 그 움직임은 김유영․ 이종명․ 조용만이 처음에 구인회를 만들려고 했던 의도와 구인회 결성에 반영되었으며 구인회 결성으로 실현된 이태준․정지용의 의도가 충돌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구인회를 일련의 움직임으로 보고 그 움직임의 의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김유영․이종명․ 조용만이 처음에구인회를 만들려고 했던 의도를 가장 먼저 연구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그것은 온전히 연구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김유영, 이종명, 조용만 중 먼저 김유영을 주목했다. 즉 그의 구인회 구상 배경과 결성 의도를 추론했다. 프롤레타리아영화 운동의 한계를 타개하려는 생각과 조선 프롤레타리아영화의시나리오에 대한 문제의식이 김유영이 구인회를 구상하게 된 배경이었다고 말할수 있다. 또, 김유영의 구인회 결성 의도는 조선 프롤레타리아영화의 시나리오에대한 문제의식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김유영은 구인회를 통해 계급적 이데올로기를 파악한 전문적인 시나리오 작가, 각색자, 감독의 연대를도모하고 조선 농촌 또는 농민의 현실을 사실적‧객관적으로 반영하는 시나리오를얻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처용과 처용설화가 시문학에 수용된 양상 연구

        이진규(Lee Jingyu)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본고는 처용과 처용설화가 문인들의 시문학에 수용된 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삼국유사≫에 소개된 처용과 설화는 후대로 전승되어 고려후기 이제현 ‘소악부’에 <처용>으로 의역되어 재창작되었고, 이숭인의 시에는 우국에 대한 심경이 태평성대를 구가하며 불렸던 신라 <처용가>에 대비하여 표현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예전의 악보인 ‘구보(舊譜)’대로 전해온 노래를 들었다는 시어로 인하여 새 노래 ‘신보(新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였다. 이후 이색의 시들은 국가행사・군신연・나례의식 등의 행사에 묘사되어 나타났다. 고려시대 문인들의 작품에 처용이 등장하기까지 사료를 통하여 그 추이를 부연해 보았다. 조선시대에는 처용과 설화가 영사악부 문인들에 의해 수용되었다. 영사악부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소재로 ‘제목-사화-작품(인식)’라는 구성을 통하여 포폄(褒貶)을 가하는 특징이 있는데 그들의 작품에도 인식, 곧 사평이 투영되어 있었다. 그들에게 처용과 설화가 수용된 양상은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먼저 처용의 부정과 신라 위정자 비판, 다음은 처용은 긍정하되 신라 위정자의 비판, 그리고 처용의 예찬 등이다. 첫 번째는 처용무를 궁중에 만연하게 하여 어지럽게 만든 처용이 부정되고, 이에 빠져 탐락을 일삼았던 위정자들 또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처용에게 벼슬을 내릴만한 자격이 있었는지 의문을 제시하고 또 벼슬을 내린 위정자의 인사등용에 대한 부정의식을 드러낸 작가도 있었고 처용만을 부정하고 정치현실에 대해서는 표현하지 않은 작품도 있었다. 두 번째는 임금의 성덕을 축원하고 또 경계를 일러주었던 처용은 긍정되되 신라의 정치상황과 현실은 풍자 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신라의 정치상황이 자신들의 현실상황에 비유되거나 한탄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세 번째는 처용이 태평성대에 구가(謳歌)되었기에 전승되어야한다는 인물로 예찬되거나 우리 음악의 전승에 의미를 두기도 하였다. 처용과 설화를 수용한 작품들을 발췌하여 본고에서 새롭게 영사악부로 인정하여 살펴보았다. This is a study on how Cheoyong and Cheoyong Story have been accepted by writers for their poetry. Cheoyong and his stor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ere handed down to posterity, translated liberally and rewritten as <Cheoyong> in the song of ‘So-ak-bu’ by Yi Je-hyun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period, and regarded in the poem of Lee Sung-in as an expression of patriotism compared to <Cheoyong-ga> of Silla dynasty which was sung to enjoy the reign of peace. And they even assum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Shin-bo’, a new music, considering there was the poetic word that people listened to the song which was passed down as per the old music of ‘Gu-bo’. Afterwards, Lee Saek’s poems appeared with description in the ceremonies such as event of state, banquet for the ruler and the ruled, Na-re rite (a ritual held to drive out the ghost since the Silla era), and so forth. Through historic records, this study attempted to add its development until the appearance of Cheoyong in the works of the writers in Goryeo era. Cheoyong and his story was accepted by the writers of Yeong-sa-akbu(a music administrative office) in the dynasty of Joseon. As Yeong-saak-bu has characteristics to criticize through the formation of ‘title historical story-work(awareness)’ based on our history, awareness, i.e. history evaluation, was reflected in their works as well. The types that they accepted Cheoyong and his story are featured in three kinds, and the first one goes to both the denial of Cheoyong and criticism on the politicians of the Silla dynasty, and next one to acceptance of Cheoyong but criticism on the politicians of the Silla dynasty, and admiration for Cheoyong, and so on. The first was that Cheoyong who made Cheoyongmu(a kind of dance) prevalent in the court and messed it up was denied, and the politicians who were trapped in the dance and greedy habitually for seeking pleasure were also the target to be criticized. And more, there were writers who questioned whether Cheoyong was qualified to be entitled with government post, and they showed negative opinions on the personnel appointment made by the politicians who bestowed the post on him, and there were works as well which denied only Cheoyong but did not express anything on the reality of politics. The second was that the flourishing virtues of king were prayed, and Cheoyong who gave the king pieces of advice for wariness was accepted, but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politics of Silla came to the target of satire and criticism.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was compared to their situation of reality, or expressed as their regret. The third was that they admired Cheoyong as a person who had to be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due to the reason that he was sung in the reign of peace, or they emphasized it as a transmission of our music. We collected and studied the works that had accepted Cheoyong and his story after newly recognizing them as ‘Yeong-sa-ak-bu’ in this study.

      • KCI등재
      • 이명박 정부의 외교통일정책

        박형중(Park Hyeong Jung) 경기연구원 2008 경기논단 Vol.10 No.1

        The foreign policy of the Lee administr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vows to intensify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first of all, the strengthening of the ROK-US alliance. As to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e new administration’s central terminology is ‘unification,’ while that of the previous two administration has been ‘peaceful coexistence’. The Lee administration’s policy implementation environment would be much better in comparison of that of the previous Roh administration. Currently and seemingly for the time being, the US-China-Japan trilateral relations, the central relations of East Asia, would remain stable. In addition, the consensus about how to denucleariz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mong South Korea, the US, China and Japan has increased especially since the start of 2007. The Lee administration should strengthen the ROK-US relations, while taking the changing structure of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s well as the decreasing compatibility of America’ intention and its capability in East Asia into account. It should supply more concrete blueprints for unification and Vision 3000.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