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전함을 향한 신학

        박준양 신부(Prof. Fr. Junyang Park) 신학과사상학회 2017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9

        ‘온전함’은 ‘영적 돌봄’의 핵심 개념이자 최종 목표다. 이 논문에서는 ‘온전함’의 개념에 관해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우선 성서적 성찰에 기초한 접근이 이루어지는데, 구약성경에서는 창세기 1~3장에 대한 해석을, 그리고 신약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와 바오로 서간에 대한 해석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그리하여 기본적인 성서적, 신학적 성찰의 맥락에서 ‘온전함의 신학’을 제시한다. 그리고 보건의료 배경의 맥락에서 이러한 성서적, 신학적 성찰과 개념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의 의미에서, ‘온전함을 향한 신학’에 관해 설명한다. 따라서 종교성과 영성의 관계를 다루는 동시에 온전함을 향한 초월적 ‘의미 체험’으로서의 영성 개념을 정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치유’는 무엇보다도 온전함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임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과제로서 ‘영적 성장’에 관한 측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측정 도구의 개발은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영적 돌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제다.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영적요구’에 관한 측정 도구는 이미 개발된 바 있지만, ‘영적 성장’ 개념과의 관련성 안에서 더욱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Wholeness’ is the key concept and the ultimate goal of ‘spiritual care’.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idea of ‘wholeness’. It thus offers a ‘theology of wholeness’ which deals with the perspectives in Genesis of the Old Testament, the synoptic Gospels and the Pauline epistles of the New Testament. Moreover, this paper presents a ‘theology toward wholeness’ which demonstrates that a theological, biblical reflection on wholeness can be aptly applied to the context of spiritual care. This article also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defining spirituality as transcendent ‘meaning experience’ toward wholeness. In this context, healing is explained as ‘making whole’. In conclusion, assessing ‘spiritual growth’ is presented as the task at hand. This points to the task of developing a workable scale to measure and assess such ‘spiritual growth’ in the context of healthcare. These assessment tools will prove to be far more effective, if supplemented in relation to the idea of ‘spiritual growth’. This is because the scale to assess ‘spiritual growth’ focuses on the aspect of experience while requiring a more precise assessment of the qualitative aspect of spiritualty.

      • KCI등재

        야고보서의 τελ-어군(語群)의 사용과 '온전함'의 의미

        채영삼(Chae, Young Sa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1

        To anyone who reads carefully the Greek text of the letter of James, it can hardly be missed that James indeed favors the terms of τελ-cognates. They occur, except in chapter 4, total 9 times in the letter. First, the adjective τέλετος in 1:4 modifies the 'endurance' (4a) which must run its course to its fullness, and also 'the man' (4b; cf. 3:2) who thus reaches the goal of its whole process of the endurance. Then, the ideas of the goal and its process are expressed again by ἀποτελεσθεῑσα in 1:15, yet now vividly and strikingly in the negative direction. In contrast with the case above, James describes 'God's abundant giving or gifts from above' using the adjective τέλετος in 1:17. In what sense in 1:25 is the law perfect (τέλετος)? Likewise, when James says, 'if you fulfill (τελεῑτε, 'not keep/observe') in 2:8, τελέω cannot, without difficulties, be equated with τηρέω in 2:10. Again, James applies this tel-concept as he presents what he really means by 'faith is perfected (ἀποτελεσθεῑσα) by its works' in 2:22. Lastly, James uses the noun τέλος 'of the Lord' in 5:11. To conclude, it is likely that the ideas of 'the intended goal' and 'the necessitated process' involved in his concept of perfection, play significant roles to help the readers understand what James really means by the endurance, God's gifts, law, faith and the final outcomes. With the beginning of faith presupposed, James lays much emphasis on the goal of the faith and its process to fulfill, yet he makes sure that the outcome is always God's gracious prefect gift.

      • KCI등재후보

        욥에게 배우는 자기 주도력 지혜

        이명기(Lee Myoung-k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욥기 지혜에 근거한 자기 주도력의 참된 원리를 제시해 봄으로써 신앙인들이 고통스런 상황에 직면하여 제기하는 리더십의 근본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자기 주도력의 개념과, 이 개념이 성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제2장에서는 욥이 자기 주도력을 발휘하게 되는 배경으로, 그의 착함과 경건함의 동기를 시험받는 것을 다룬다. 그리고 일종의 시험관 자격으로 욥의 아내와 세 친구들이 욥을 동반하는 리더십의 일면을 본다. 그러나 욥기에서 자기 주도력은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성공적 수행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이미 개인을 위해 준비해 두신 선행(에페 2,10 참조)을 완수해야 할 영적 투쟁의 길임을 밝힐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3장에서는 욥이 이 투쟁 과정에서 얻게 되는 지혜를 다음 다섯가지로 제시할 것이다. 첫째, 하느님께 비전을 얻는다. 욥기에서 비전은 공동체를 더욱 발전시키거나 성공적으로 이끌려는 개인의 원의보다 훨씬 광대한 비전이다. 이는 인간이 하느님의 행위나 그분의 동기를 자세히 밝히고 그리하여 하느님의 행위를 예견하고 조종하는 일이 불가능함을 뜻한다. 둘째, 모험을 할 용기를 갖는다. 욥이 보여 주는 용기는 두 가지 면에서 의의가 있다. 하나는 자기 내면에 도사린 두려움과 공포에 맞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느님의 일(계획)을 완성하려는 확신에서 나온 용기이다. 셋째, 기꺼이 변화하도록 자기를 개방한다. 욥이 고통에 직면한다는 것은 도저히 변화시킬 수 없는 것 곧 자기보다 훨씬 강한 존재 앞에 굴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굴복은 패배주의적 자세가 아니라, 그가 보다 높은 자존감(自存感)에 이르러 더욱 강해지는 ‘극복’을 의미한다. 넷째, 남을 섬기는 사람으로서 자기를 낮춘다. 하느님께 대한 욥의 겸손한 고백이 끝나자, 그의 상황이 완전히 뒤바뀌는데, 그것은 자기를 모욕했던 친구들을 중재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영적 투쟁을 거친 사람은 지고의 체험을 통해 변화되어 더 이상 자신의 고통에만 갇히지 않고 영적 기쁨을 누리며 남을 섬기는 사람이 된다. 다섯째, 온전함을 유지한다. 욥의 자기 주도력이 비전, 용기, 자기개방, 그리고 겸손으로 나타났다면, 그런 특성들 아래 숨은 부분은 바로 욥의 온전함이라 할 수 있다. 온전함은 부단한 시험에도 전혀 변질됨이 없이 욥 내면에서 견고해졌다. 왜냐하면 그는 옳다고 믿는 것을 거리낌 없이 말했고, 자기의 순수함을 잃지 않고 하느님을 거짓되게 말하지 않았으며, 하느님이 줄곧 자기 편이셨음을 끝까지 붙들었기 때문이다. 직업과 직위에 상관없이 우리 모두는 크리스천 리더다. 우리는 욥의 고통에서 끌어올린 이 지혜로 용기를 얻는다. 그리고 이 지혜는 우리가 실존적 고통에 직면함으로써 마침내 생명을 지켜 낼 구체적 답변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inciple of the selfleadership, based upon the wisdom in the Book of Job, and give an answer to the christians bringing up the question of the leadership while they are facing the difficulties. In chapter 1, I will deal with the general concept of the self-leadership and how it is applied in the Bible. In chapter 2, I will try to show how Job’s goodness and piety are tested in the background, where Job’s self-leadership is shown. But it makes clear that the self-leadership of Job does not have a chance of success for the personal end, rather the ways of the spiritual fight to accomplish his good works, which God hath before ordained for the person(cf. Eph. 2,10). Accordingly, in chapter 3, the wisdom of the self-leadership that Job comes to obtain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five ways. Firstly, he finds the vision from God. The vision of Job is not the personal intentions to develop one’s community or lead it successfully. Rather it is much wider one, which means it impossible to disclose, forsee and control God’s works or motives. Secondly, he has the courage to take a risk. It is meaningful in two aspects. One is to face the fear and dread inside, and the other is his courage originating from the faith to complete God’s plan. Thirdly, he opens his mind to change willingly. Job’s surrender is understood to succumb to the even more mighty One ― the One who he can’t change at all ― than himself. Surrender is not the defeatism, but it means to overcome ‘to reach his high self-esteem’. Fourthly, he lowers himself as a servant. His situation is totally reversed after he makes a confession to God. That is, he becomes a mediator for his friends who used to insult him. He who goes through a spiritual fight is changed by the sublime experience and becomes the one who is not stuck in his own suffering, but enjoys the spiritual pleasure and serves others. Fifthly, he keeps his integrity. Job shows his self-leadership with vision, courage, open mind, and humility. Job’s integrity lies at the bottom of the four elements. The integrity becomes firmer in spite of the constant tests. That is because he speaks what is right, keeps pure, tells the truth about God, and strongly holds that God is on his side. We are all Christian leaders, no matter which job or position we have. Job’s wisdom, stemmed from his sufferings, makes us brave. This wisdom is the very answer to save our life when we face our sufferings.

      • KCI등재

        삶의 사실성과 의사소통적 이성

        이진오(Lee Jin-oh)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야스퍼스는 사실성의 양상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첫째, 경험적이고 강제력 있는(zwingende) 사실성. 이것은 지식의 대상이 된다. 둘째, 경험적 사실성의 경계선을 이루는 개별적 인간 실존의 현전하는 생생한 사실성. 셋째,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사실성. 그리고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인간의존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차원들을 지닌다. 첫째, 구체적 시공간을 차지하는 현존(Dasein)의 차원. 둘째, 칸트적 지성(Verstand) 개념에 상응하는 의식일반(Bewußtsein überhaupt). 셋째, 역사와 문화 등 의미의 영역을 전개하는 정신(Geist). 넷째 각자 자기 존재인 실존. 인간은 이러한 여러 존재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존재의 여러 의미 영역들이 모여 인간의 온전함(das Ganze)을 구성한다. 온전하게 되고자 하는 실존적 사유가 지향하는 사실성은 사실성의 모든 단계들을 포괄하는 사실성이며 이를 우리는 “삶의 사실성(Lebenswirklichkeit)”이라고 표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우리는 “삶의 사실성”이라는 표현을 현사실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이 그의 전체성에 있어서 만나게 되는 사실성의 모든 양상들을 포괄하는 사실성 개념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삶의 사실성이라는 차원은 지식의 대상인 경험적이고 강제력 있는(zwingende) 사실성을 절대화하지 않는 사유방식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삶의 사실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역적 한계를 넘어서려는 사유태도가 요구된다. 넘어섬의 관점에 서게 될 때 부분적 국면들을 절대화하려는 시도의 위험성이 뚜렷해진다. 온전함을 향한 실존적 사유가 전개하는 넘어섬의 사유는 주-객-분열(Subjekt-Objekt-Spaltung)을 관통해 나아가며 총체성을 향해 움직이기 때문이다. 학문이란 그 의미와 수행방식 등을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인간의 삶 속에서 획득한다는 사실을 야스퍼스는 강조한다. 이와 동시에 그는 의식 일반(Bewußtsein überhaupt)에 의해 학문이 수행되기에 자연과학을 포함한 학문을 출발시키는 기본적 사유 틀은 상이한 문화적 배경들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 나아가 야스퍼스는 사실성의 내용들이 더 이상 자명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강제력을 잃을 때나, 서로 다양하고 이질적이며 대립적인 “믿음의 진리들(Glaubenswahrheiten)”이 더 이상의 의사소통도 불가능하게 보이게 할때라도 이성이 지닌 “논리적 공동성(logische Gemeinsamkeit)”이 “전달가능성을 위한 틀”을 확보해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인류역사에서 발견되는 인간이성의 이러한 통일성(Einheit)은 학문적 지식처럼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징이나 암호의 형태를 띠고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운동성 속에서도 통일성을 지니고 작용하는 의사소통적 이성에 의해 서로 다른 존재영역 중 어느 하나가 절대화되거나 간과되지 않으면서 온전함(하나의 전체)으로서 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행하는 인간 존재의 성격이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 인간의 존재 자체가 전체 존재의 온전함을 지향하는 의사소통으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이 보다 분명히 밝혀져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사유하고 인식하는 자인한 그의 존재 자체가 전달 즉 의사소통적이다. 또한 이런 인간에게 있어서 진리란 하나의 완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은 의사소통으로서 존재하다가 의사소통을 통해 사실성(Wirklichkeit)을 얻는다. 야스퍼스에 있어서 의사소통이란 의식 일반이 획득한 지식의 세계에나 지성적 차원의 사실성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념적이거나 실존적이고 초월적인 진리나 사실성에서도 제 각각 고유한 타당성 양상을 지닌 채가능하다. 즉, 비대상적 존재의 차원도 비록 일상에서는 경험과학적 지식들처럼 “모든 이들”에게 주관적으로나 객관적으로 충분한 확실성을 지닌채 통용되지는 않지만 그 나름 고유한 타당성 양상을 띠고 타자에게 전달(Mitteilung)가능하며, 나아가 무조건적 타당성을 지닐 수도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인(仁)의 확장에 관한 교육학적 탐구: 주자 인사상의 이론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우버들 한국교육철학학회 2024 교육철학연구 Vol.46 No.1

        본 논문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고, 인의 대상이 특정 지도자에서 일반인으로 확대되는 측면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교육학적 함의를 논구하였다. 즉, 인의 영역과 대상의 확장에 따른 교육학적 탐구가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먼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는 양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초기에 인은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등과 같은 위계의 개체적 덕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과도기를 거쳐 점차 다른 덕목에 우선하는 보편 덕으로 모습을 보이며 주자에 이르러 인은 불교와 도교의 우주본체론을 흡수하여 온전한 덕성으로 확립되었다. 인이 우주자연의 태극의 지위와 대응되는 리일분수(理一分殊)의 양상을 통해, 온전한 인이 개별 덕을 통합하고 근본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이 내재된 대상이 소수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는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자 이전의 인은 높은 계층의 사람에게만 보이는 폐쇄적이고 제약적인 특징을 보였지만, 공맹에 이르러 점차 일반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재되어 있는 본성으로 확립된다. 그리고 주자에 의해 사람의 본성은 곧 하늘의 이치[性卽理]라는 개념을 통해 보편성을 획득하며, 성과 정을 통합하는 마음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의 영역 및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온전성, 내재성을 가지게 된 인의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모든 덕을 포괄하는 인의 온전성으로 인해 교육이 필요하게 됨을 서술하였다. 일반 사람은 혼자서 온전한 인을 실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먼저 깨달은 자인 선각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 또한, 인을 가질 수 있는 대상이 일부에서 모든 사람으로 확대되어, 인이 교육의 영역에 포함되고 마음만 먹으면 인을 발현할 수 있다는 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인 자발성을 가질 때 자신을 위한 공부인 위기지학을 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교육의 대상이 소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고, 교육의 목적이 지도자 양성에서 자기 완성을 위한 것으로 변화됨에 따라 교육 기회의 평등적 의미를 가지게 됨을 논의하였다. A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Ren, the integrity and immanence of Ren were discussed. In the beginning, the integrity of Ren as an exte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amined. Ren(仁) was used to imply only individual virtues before Confucius,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it can be seen that i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omplete virtue that encompassed several individual virtues. Then, we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n(仁). The inherent subject of Ren(仁) was limited to a special leader,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the subject has been universalized to ordinary people with virt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ntegrity of Ren(仁) as seen abov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Ren(仁) alone, the role of teachers as pioneers is necessary. A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mmanence of Ren(仁). It was discussed that when learners have independence, they can do wigijihak(爲己之學), which is self-organiz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growth of integrity and the expansion of immanence of humanity are examined. The target of education was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changed to self-completion. This ha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quality.

      • KCI등재

        온전한 스포츠

        지동철,유기현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4

        The ideal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placed physical education in human curriculum. The renewal of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was the meaning of this case in that the ideal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stressed the possibility of the liberal education for the completion of humanity as brought from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was overturned in the current of times as instrumental and mechanical view of body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The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was being hazy, especially when physical education would regard as sports in same thing. Competitive sports in today have rationalized the formation of instrumental human relation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motor skill and cultivated men who have physically biased craft. The whole man who met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life should understand the essenc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nd reflect on himself based on that understand and display his whole rationality based on that reflection. Competitive Sports in today had lost the capacity as the revelation of pure human activity and the original consciousness of existence because it had included in the class of labor. The humanistic teachings of Confucianism was high significant to the rightly establishment of the essential experience and thought for sports agents because Confucianism had presented that the critical meanings in human life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process not the consequence. And Confucianism had presented that the position of human life was given from metaphysical heaven and human life could be good together with all creatures. Confucianism made us aware of that human as a good being should not lose his original nature and be a whole man. 20세기 초 신체를 통한 교육의 주장은 체육을 인간의 교육과정으로서 새롭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체육을 통해 신체활동을 매개로 얻어 질 수 있는 인간완성을 위한 인문교육의 가능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체육의 가치를 재조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체육은 도구적・기계적인 인간관의 흐름 속에서 그 가치가 전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체육이 스포츠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됨으로 인해 그 정체성에 혼란이 더해지고 있는데, 오늘날 스포츠는 운동기능의 효율적인 향상을 위해 신체중심의 도구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합리화시키고 신체적으로 편향된 한 가지 기예를 가진 전문성을 갖춘 인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질적인 삶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온전한 인간은 스포츠참여의 본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를 반성할 때 제 모습을 찾게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삶을 주체적으로 사유하고 행동할 수 있는 온전한 이성이 발휘되어야 한다. 현대스포츠는 순수한 인간행동의 발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노동의 범주로 몸을 던지게 됨으로서 본래적인 존재의식을 망각하게 되었다. 유학사상에 내포된 인문적인 가르침은 인간의 삶이 목표 지향이 아닌 과정을 통해 지혜를 넓혀 삶을 음미 한다는 점에서 스포츠행위자들의 본질적인 경험과 사고를 바르게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유학은 인간의 삶의 의지는 형이상의 天(하늘)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간의 삶은 모든 자연만물과 더불어 선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선한 존재로서 인간은 본성을 잃지 않는 온전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존재질서를 합리적으로 일깨워 주고 있다.

      • 치유의 신학

        박준양(Junyang Par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이 글은 치유의 의미에 대하여 신학적 관점의 접근을 통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가톨릭 교회의 최근 가르침을 분석하면서,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진정한 치유의 의미를 신학적 차원에서 조명한다. 어떤 의미에서, 이는 하나의 ‘치유의 신학’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로서, 주로 그리스도론적인 접근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오늘날 우리는 과학주의 시대의 인간학적 위기 및 정보화 사회의 인간 소외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의미체험을 통한 고통의 치유가 요청되며, 이는 사랑이신 하느님과의 관계성 안에서 실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 열쇠는 하느님의 연민 가득한 자비의 체험에 있으며, 이는 온전함을 향한 전인적 차원의 치유 체험에로 우리를 인도한다. 나아가, 오늘날 생태적 차원의 위기 시대에, 치유 개념은 생태적 차원의 회심과 모든 피조물의 치유에로 확장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볼 때, 인간 고통의 치유는 궁극적으로 진리 개념과 연관된 것이며, 이는 그리스도론적 기억을 통하여 실현된다. 이처럼 그리스도론적 진리에 의해 관통된 인간은 온전함을 향해 되어가는 존재로서, 다른 이를 치유하고자 하는 우리의 헌신 속에서 스스로 치유 받게 됨을 마침내 깨닫게 될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meaning of healing by approaching the concep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recent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on the subject, the paper tries to illuminate the true meaning of healing that this modern society needs. In a certain sense, this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theology of healing, concentrating on Christological approaches and reflections. Today we are experiencing an anthropological crisis in the time of scientism and the phenomena of human alienation in the midst of information society. In this situation, we need some experiences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is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who is love. The most important key for this lies in the experience of the compassionate love of God, and this leads us to the experience of healing in the holistic dimension toward wholeness. Moreover, in this age of ecological crisis, the concept of healing should be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ecological conversion and the healing of the whole creation. In conclusion, the healing of human suffering i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truth, and this healing by truth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hristological memory. Human beings penetrated by the Christological truth can finally realize that we ourselves can be healed by our commitment to heal others, as a human becoming toward wholeness.

      • 신학적인 전인건강의 의미와 기독교교육

        오성주(Sung Joo Oh)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기독교교육이란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전인적 교육을 목표로 삼는다. 성경은 기독교교육의 텍스트이며, 그 중심은 창조자이신 하나님의 사랑이 온전히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다. 그의 가르침의 핵심은 사랑과 정의와 평화의 하나님 나라가 실현되는 삶이다. 한마디로 샬롬을 이루는 온전한 거룩한 삶, 즉 전인건강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길이다. 이글에서 필자는 전인건강의 삶이란 말의 의미를 샬롬 혹은 온전한 거룩한 삶이란 뜻을 함축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기독교적으로 그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먼저 전인건강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지금까지 연구해 온 선행연구들을 간단하게 조사해보고, 전인건강에 대한 일반적 정의로부터 출발하여 어떻게 신학적 인간이해와 맞닿아 있는지 살펴보면서 신학적으로 전인건강을 위한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전인건강에 대한 신학적 정의를 통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 전인건강을 기독교교육과 연관시켜 어떻게 전인건강을 위한 교육을 할 것인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 goal of Christian education is the wholistic approach to human life. The Bible is a textbook for Christian education. Its key is Jesus’ teaching of God’s love which is completely revealed in Jesus’ life. Jesus taught people the kingdom of God for peace, justice and love, transforming humanity and community. We call it the life of salvation or shalom. Shalom as God’s gift, usually translated as “peace”, means health or wholeness in the faith community. Thus, Christian education helps people take happiness of life in this world which dwells within shalom,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the World Happiness Report, it shows the tendency of considerable decline in most countries’ happiness index. In this article, in order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person health movement and Christian education, the writer tries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salvation and shalom as wholistic health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ical theology, and uses a term “shalom” as the key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istic discipleship. To achieve the goal, the writer introduces what wholistic health means in general, and deals with its meaning in light of the biblical perspectives. In particular, Abraham Maslow’s theory of needs applies to the process of shalom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istic discipleship, and Howar Clinebell’s theory of 7 spiritual needs for wellbeing is used for its contents. Finally, the conclusion is connect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omas Groome’s sharing faith, which has 5 movements as an approach to the shared Christian praxis.

      • KCI등재

        야고보서의 tel-어군(語群)의 사용과 ‘온전함’의 의미

        채영삼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1

        To anyone who reads carefully the Greek text of the letter of James, it can hardly be missed that James indeed favors the terms of tel‒cognates. They occur, except in chapter 4, total 9times in the letter. First, the adjective te,leioj in 1:4 modifies the ‘endurance’ (4a) which must run its course to its fullness, and also ‘the man’ (4b; cf. 3:2) who thus reaches the goal of its whole process of the endurance. Then, the ideas of the goal and its process are expressed again by avpotelesqei/sa in 1:15, yet now vividly and strikingly in the negative direction. In contrast with the case above, James describes ‘God’s abundant giving or gifts from above’ using the adjective tel, eioj in 1:17. In what sense in 1:25 is the law perfect (tel, eioj)? Likewise,when James says, ‘if you fulfill (telei/te, ‘not keep/observe’) in 2:8,tele,w cannot, without difficulties, be equated with thre,w in 2:10. Again, James applies this tel-concept as he presents what he really means by ‘faith is perfected (avpotelesqei/sa) by its works’ in 2:22. Lastly, James uses the noun te,loj ‘of the Lord’ in 5:11. To conclude, it is likely that the ideas of ‘the intended goal’ and ‘the necessitated process’ involved in his concept of perfection, play significant roles to help the readers understand what James really means by the endurance, God’s gifts, law, faith and the final outcomes. With the beginning of faith presupposed, James lays much emphasis on the goal of the faith and its process to fulfill, yet he makes sure that the outcome is always God’s gracious prefect gift.

      • KCI등재

        야고보서에 나타난 교회의 세속성 문제

        이승호(Lee, Seung Ho)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1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야고보서를 어떤 신학적 선입견이나 교리적 요구가 아닌, 야고보서 나름대로의 특정한 상황 속에서 전개된 그의 독특한 메시지를 읽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야고보서의 특정한 상황이 수신 공동체 안으로 침투해 들어 온 세속화 경향이었고, 그 결과 자신의 정체성과 사명을 망각한 교회 공동체를 향해 참 종교성(경건)를 회복시키려는 것이 야고보서 저자의 독특한 메시지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하나는 본문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야고보서의 구성과 수사학적 전략을 살펴봄으로서 교회의 세속성 문제가 저자의 일관된 의도임을 고찰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그러한 세속성 문제를 회복하기 위한 저자의 핵심 주제들이 무엇이며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야고보서의 문학적, 수사학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야고보서가 서술방식에 일관성이 없고 사상의 연관성도 없다는 주장은 수정되어야 한다. 2) 야고보서의 양극적 대조 형태 및 1장의 도입 기능과 같은 수사학적 전략은 저자가 수신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분명한 의도가 있음을 보여 준다. 3) 특히 양극적 대조 형태는 독자들로 하여금 세속성에 오염된 공동체의 현실을 진단해주고, 그러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동체의 세속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야고보서 저자가 제시한 주요 주제로는 성결과 온전함과 지혜를 들 수 있다. 야고보서에서 성결 어휘 및 주제(특히 1:21, 1:26-27, 3:6, 3:17, 4:4-8)는 하나님의 관점에서 무엇이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지 분명한 경계선을 그음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선택의 결단을 요청하는 기능을 한다. 온전함의 주제 역시 이러한 세속화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하나님과 세상과의 연합 사이에서 흔들리는 불온전함은 세상의 가치관과의 분리를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지혜의 주제 역시 성결의 주제와 긴밀하게 연관된다. 야고보는 위로부터 오는 지혜와 땅으로부터 오는 세속적 지혜를 날카롭게 대조시킴으로써 성결과 지혜의 주제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성결, 온전함, 지혜의 주제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공동체의 사상과 행동을 오염시키고 있는 주변 문화의 한 복판에서 하나님의 가치관을 고수하도록 요청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to liberate James from Paul’s and Luther’s shadow and to hear his own voice. This means that we should read James in its particular concerns and context.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dealt with both the compositional aspect and thematic aspect of James. As regards to the text-centered approach, we may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1) James must be interpreted as a letter addressed to Jewish Christians living in the diaspora-a context where the identity of the communities can be threatened through the ambient Greco-Roman society and culture. 2) James uses polar oppositions as a rhetorical strategy to present two sharply contrasting choices before readers and to lead to a point of decision. 3) James 1:2-27 play the special role as an introduction to the themes and oppositions throughout the letter. Therefore not only the theory that there are no coherence of structure and thought in James should be corrected, but also we may find that the prevailing problem in the church is the tendency of secularity of the church. With respect to thematic aspect of James, we may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s the main problem in the communities is the tendency of secularity, the language and theme of purity have a priority in James (1:21, 1:26-27, 3:6, 3:17, 4:4-8). They are used to mark the boundary between two different world-views (the one associated with God and the one associated with “the world”) and to bring the reader to a decision as to which world-view they will adhere to. 2) The theme of purity integrally is related to a another major theme of perfection (wholeness) in James. The incompleteness and doubleness of vacillating between association with God and the world is a dilemma which must be resolved through disconnecting from the world-view associated with “world.” 3) The theme of purity has a close connection with a major theme of wisdom in James. While “the wisdom from above” is first “pure” and then “without doubleness”, the earthly wisdom associated with “the world” is not pure and can’t bring the wholehearted, undivided commitment to God. Thus the themes of purity, perfection and wisdom are James’ paradigm that seek to cure the danger of secularity of the community and to recover the identity and responsibility of God’s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