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와 그 순변화형에 의한 기후지역 구분

        박현욱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1

        The seasonal variation and frequency of precipitation phenomenon of the Korean Peninsula over a period of 10 days during summer show strong local weather phenomena because of its mathematical location and geographic factor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daily precipitation over a period of 10 days of summer during the recent fifteen years (1991-2005) at 68 stations in Korea. It is divided into four class of no rain,1-10.0mm/day, 10.1-30.0mm/day, 30.1mm over/da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duce the entropy of climatic elements over a period 10 days during summer, clarify the variation patterns of their space scale, and study the classification of climatic reg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combinations of the entropy and variation pattern, using the entropy and amplitude coefficient (Rs) calculated on basis of the information theory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pattern over a period of 10 days during summer can be chief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Rs1, Rs2, Rs3, Rs4) and the accumulated contributory rate of this is 84.1%. The variation pattern of entropy during a period of 10 days in Korea classified into 9 types from A to j. And Climatic region established by the entropy of climatic elements during summer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14 types. 본 연구는 한반도의 수리적 위치와 지리적 요인의 영향을 명확히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날씨 및 기후특성을 잘 나타내는, 하계의 탁월일기 및 강수현상의 순별 다소 {강수 없음, 소우(0.1-10.0mm/일), 중우(10.1-30.0mm/일), 대우(30.1mm 이상/일)}와 그 변화에 대해, 정보이론과 주성분 분석법을 응용하여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와 주성분 진폭계수(Rs)를 추출하고 적용하여 그 공간스케일의 시간적 변동을 살핀다. 이를 토대로 한국 내 68개 관측지점 별 하계 순(1991-2005)의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의 기후대표성을 구명하고 기후지역 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의 순변화의 전형적 특징은 상위 4개의 순변화형(Rs1, Rs2, Rs3, Rs4)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 기여율은 84.1%이다. 또한 한국의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의 순변화형은 A-j형 까지 9개가 추출되었고 기후지역은 14개 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