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대중 정부간경제협력의 정책결정

        손기섭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4 국제지역연구 Vol.13 No.3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decision-making style of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Japan’s ODA policy to China is very interesting in that it has maintained multi-annual pledge, package aid called ‘Enshakan Aid’, political decision guided by ‘Kantei’, foreign and domestic pressure, and so on. Throughout the analysis of such characteristics in Japan’s aid policy to China, this paper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and assertion that Japan’s aid policy to East Asia, in particular China, is ‘Political Aid’. This assertion is based on two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oreign aid to China. One is political decision of great size and multiple years’ pledge of those aid contents. The other is aid policy decision given by ‘Kantei’. Japanese giant aid packages to China have maintained such various characteristics as multi-annual pledge, three political principles like considerations to ASEAN and America, projects highly related to Japan’s resource diplomacy, strong support for Chinese Government to pursue openness and reform of its economic system. Since the Post Cold War in 90s, Japan’s aid policy to China shows a few new important factors.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projects have increased and ‘3+2 years method’ has been adopted gradually. Furthermore, Japan has emphasized their national interests much more than they did in the 80s. 본 논문은 일본정부의 오오히라 내각 이후의 대중 정부간경제협력의 공여 및 동결을 둘러싼 정책결정과정과 엔차관 패키지의 공여내용을 실증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주된 분석범위는 79년에서 98년에 이르기까지의 약 20여 년간이다. 대중경협의 정책결정은 수상관저 주도의 정치결정에 의거했지만, 미국과 중국의 외압과 일본 자민당과 재계의 내압이 적절히 투사된 ‘내외압조정적 정치결정’으로 파악하며, 또한 일본의 대외원조론에 대한 새로운 가설로서 기존의 ‘상업원조론’, ‘전략원조론’, ‘자조지원 원조론’을 넘어선 ‘정치원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인한다. 하나는 엔차관 원조의 규모와 방식이 거액의 복수년도 총액결정이란 점에서 정치성을 띤 점이고, 또 하나는 정책결정이 관저중심의 정치적 조정이 많았다는 점이다. 거액의 엔차관 패키지의 복수년도 총액결정방식, 내외압을 조정하기 위한 ‘대중경제협력 3원칙’의 설정, 중국의 요청이나 압력에 대한 유연한 반응, 자원 및 통상외교와의 높은 관련성, ‘등소평체제’의 개혁·개방노선 지지, 서구에 대한 배려 및 아세안과의 균형 등 대중원조는 항상 복합적인 요소의 조정을 요하는 수상관저의 ‘정치적’ 판단을 필요로 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Does Aid Effectiveness Differ per Political Ideologies?

        Vincent Konadu Tawiah,Evans John Barnes,Abdulrasheed Zakari 한국국제경제학회 2019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33 No.2

        Despite the extensive empirical literature on aid effectiveness, existing studies have not addressed directly how political ideology affects the use of foreign aid in the recipient country. This study, therefore, uses a unique dataset of 12 democratic countries in Africa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olitical ideologies on aid effectiveness. Our results indicate that each political party uses aid differently in peruse of their political, ideological orientation. Further analyses suggest that rightist capitalist parties are likely to use aid to improve the private sector environment. Leftist socialist on the other hand, use aid effectively on pro-poor projects such as short-term poverty reduction, mass education and health services. Our additional analysis on the lines of colonialisation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aid by political parties is much stronger in French colonies than Britain colonies. The study provides insight on how the recipient government are likely to use foreign aid.

      • KCI등재

        나카소네 내각의 제2차 대중원조정책 :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손기섭 한국정치정보학회 2018 정치정보연구 Vol.21 No.1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contents of Japan's aid policy to China in the era of Nakasone Cabinet in the 1980s. It was the second aid package to China pledged through Nakasone's visit to Beijing in 1984 after Ohira in 1979. We can see some majo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he pledges of aid giving policy during 1983-1984. Firstly, it was carried out by Kantei leadership given by prime minister, his advisers and key political staffs. Secondly, the choice of aid projects was much faster than we thought and there were hardly special pressures around Japan's aid to China such as exterior pressures from USA or interior pressures from LDP and strong business groups. Thirdly, it was special aid package from the viewpoints of aid policy decision-making. Its aid contents, namely, were consisted of giving pledges of multiple years and big size aid porojects more about three times than the first case in 1979. Finally, prime minister Nakasone have played a major roles on the aid package case. His leadership was positive and affirmative in the aid case and based on friendship diplomacy. He was very friendly to Fuyaobang and Dengxiaoping, Chinese top leaders who were pursuing open modernization policy for China. Nakasone weas also filled with strong convictions that he could extend Japanese national interests through his aid policy. I believe this article could get some good proofs to examine Japan's characteristics of ‘politicle aid’ cases in the region of East Asia like as Korea and China. 이 연구논문은 일본 나카소네 정권이 1984년 3월에 결정한 제2차 대중국 원조정책을 분석한 것으로서, 80년대의 중일관계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공여내용의 원조를 어떤 정책결정과정을 거쳐 결정했는지 분석하는데 주된 연구목적을 두었다. 분석구도는 ‘내외압 조정’ 의 구도를 활용했다. 제2차 대중원조의 총액결정을 두고서는 관계성청 간의 줄다리기가 치열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핵심 경제관청인 대장성은 5년간 3천억 엔 대를 주장한 반면, 외무성과 통산성은 4천억 엔 대를 고집하여 좀처럼 합의를 보지 못했다. 이 점이 제1차 정부초안, 제2차 정부초안, 정부안 등 다소 긴 과정의 정책결정프로세스를 보여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총액 규모를 두고 대장성과 외무성 및 대장성과 통산성간의 대립구도를 보여 주었지만, 나카소네 수상은 제1차 미 이행분 상품차관 300억 엔을 포함하여 5,000억 엔 규모의 원조 제공을 위한 공여안 작성에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대일본 전쟁배상권 포기에 대한 보은의식도 작동한 정치적 조정과 판단의 결과였다. 나카소네 수상의 ‘조기 방중’의 의사는 강했으며, 스스로 ‘데즈쿠리외교(手作り外交)’라고 부르듯이 양국 정상 상호간의 프렌드십 외교를 중시하는 동시에 한미일중 외교협력과 제휴 네트워크를 위해 엔차관 원조를 외교수단으로서 활용한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본 오히라 정권기의 대중국 원조외교: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손기섭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8 국제정치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id contents and decision-making of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in the Ohira cabinet. Ohira, Japan’s prime minister, has pledged to give Japan’s governmental aid package to China in the December 1979 during his visit to Pecking visit period. It was a really great foreign aid packages which had been not seen in the any other Japanese aid cases. Those aid projects given by Ohira government were composed of 6 Japanese currency ‘Yen’ based governmental loan aid projects and 1 grant aid project. Furthermore, 5 year multi-annual pledges amounting to the sum total $ 1.5 billion were declared by Japanese govern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ly, a new institution named as Japanese 3 principles in China aid packages was clarified firmly. Ohira could solve domestic and foreign pressure problems in use of those 3 principles. Secondly, it was a kind of ‘political aid’ given by Japan. Aid contents and decision-making concerned about China aid given by Japan were basically very political in view of a special aid package contents. Thirdly, it was also both diplomatic assistance toward Deng Xiaoping regime and economic infrastructure aid for the Chinese industrialization policy. Finally, We can see Ohira Government has tried to make use of that special aid package for the complex purposes of Japan’s resource diplomacy and a kind of ‘historical debts’ compensation. 일본의 대중국 원조외교는 1979년 12월 오히라 정권기의 제1차 대중 엔차관원조 패키지의 정책결정에서 비롯된다. 중일 간의 국교정상화는 1972년 9월 다나카내각기에 실현되었지만, 양국 간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는 1978년의 중일평화우호조약을 맞이하여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오히라 정권기의 중일 양국의 정부간 경제협력이 어떠한 국내외적 환경에서 어떠한 이념 또는 이유로 어떤 정책결정을 거쳐 공여결정이 실현되었는가에 주된 연구관심을 가진다. 그리고 공여가 결정된 일본의 대중국 정부 간 경제협력은 어떠한 내용적 특징과 의미를 가지는지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즉 요약해서 말하자면, 일본의 오히라 정권과 중국의 덩샤오핑 정권기에 성립된 중일 간 정부차원의 경제협력의 정책결정의 과정과 그 특징을 밝히는 것과 대중 원조패키지의 내용적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는 두 가지가 주된 연구목적이다.

      • KCI등재

        80년대 일본의 한국과 중국에 대한 원조외교 ‘정치원조’의 공여내용과 정책결정

        손기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4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5 No.2

        이 논문은 일본의 전후처리외교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복합적 외교수단으로서 기능한 정치성이 강한 일본의 대중국 원조외교와 대한국 원조 외교의 내용과 성격 및 정책결정과정을 밝히고 이 두 원조케이스의 비교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범위는 70년대 말~80년대 초중반의 원조정책결정 사례에 한정시킨다. 1979년 오히라 내각기의 제1차대중국 엔차관협력, 1983년 나카소네 내각기의 40억 달러 대한국 정부차관 협력, 1984년 나카소네 내각기의 제2차 대중국 엔차관 협력의 세 사례가 주요 연구대상이 된다. 1980년대 일본의 대중국 원조와 한국원조의 실증분석은, 일본의 두 원조공여의 정책결정은 양국 간 관계를 중시하는 수상관저 중심의‘정치원조’로 판명된다. 일본의 대중원조는 수상관저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 정부의 정치적’판단이 정책결정에 주된 영향력을 끼치는‘정치원조’로서의 성격이 가장 강했다. 하나는 원조이념과 원조공여의 성격에 관한 면으로, 중국 원조와 한국원조의 경우 일본의 동아시아외교의 특수한 차원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적 상호의존을 근간 원조이념으로 하고 있은 점이다. 둘째는 엔차관 원조의 내용면으로서, 원조 규모와 방식이 거액의 복수년도 총액결정이란 점에서 일본의 기존원조와는 차별되는 대규모의 파격적인 내용을 담았다. 그런 면에서 대단히 정치외교성을 띤다. 셋째는 원조정책결정이 수상 관저 중심의 정치적 조정이 많았다는 점이다. 오히라 내각의 제1차 대중 엔차관원조의 결정, 나카소네 내각의 제2차 대중국 원조의 결정과 대한국 40억 달러의 원조결정에는 수상 자신의 의지가 정책결정에 결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sons, contents and decision-making style of Japan’s foreign aid diplomacy to China and Korea in 1980s. Japan’s ODA policy to China and Korea is very interesting in that it has maintained multi-annual pledge, package aid to be called ‘Enshakan Aid’, political decision guided by ‘Kantei’, foreign and domestic pressure, and so on. Throughout analysis of such characteristics in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and Korea situated in East Asia reg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and assertion that Japan’s aid policy to East Asia, in particular China and Korea, is based on ‘Politics Ai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na aid Korea aid shows very similar results, shortly speaking, package aid, political decision by ‘Kantei’, resource diplomacy and special relationships. Japanese giant aid packages to China and Korea in 1980s have maintained such various characteristics as multiannual pledge, three political principles like special considerations toward ASEAN and America, projects highly related to Japan’s resource diplomacy, strong support for Chinese Government to pursue openness and reform of its economic system. Since the Post Cold War in 90s, Japan’s foreign aid policy to China and Korea has much more emphasized their Japanese national interests.

      • KCI등재

        원조집행기관의 자율성과 제도적 변화: 영국 DFID 사례를 중심으로

        손혁상 한국유럽학회 2010 유럽연구 Vol.28 No.1

        Aid delivery system of the UK is highly distinguished with most OECD/DAC member countries since no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t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DFID) is the core institution for aid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In most donor countries but the UK, Germany and Canad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akes the lead and is responsible for policy and implementation, or coordinates activities of other ministries. DFID, in particular, which is the most independent, autonomous, and strong governmental body that has both policy and government leadership and aid delivery agency as well as technical expertise functions, plays a central role in all the government’s aid-related issues. The paper aims for analyzing the backgrounds and proces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UK’s current aid management system. It critically examines exiting theories related to institutional changes such as isomorphism, punctuated equilibrium, and path analyses. It also suggests a new framework for describing institutional changes, which theoretically supplements existing limitations. The new framework mainly focuses on idea, political structure, and agent. It helps figure internal factors of institutional changes out as well as provides explanation of each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such as DFID that went through gradual changes. The paper describes the process that discourse which considers aid policy as one of the diplomatic tools for maximizing the country’s interest has been diminishing due to the change of international norms in aid and a humanitarianism- centered view to foreign aid has taken the lead. With this, it analyzes how political structure has been ready for institutional changes which allow both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DFID as the Labour party which took humanitarian discourse as policy stance has taken power and the influences of a strong will and roles individual agents including Prime Minister, Tony Blair have shown. 영국의 원조집행체계는 대부분의 OECD/DAC 회원국과 달리 외교부가 아닌 국제개발부(DFID)가 원조정책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사례에 속한다. 영국, 독일, 캐나다를 제외한 선진공여국들은 외교부가 원조정책수립과 집행을 책임지거나 타 부처와의 조정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영국의 국제개발부는 가장 큰 자율성을 확보하고, 독립적으로 영국 대외원조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총괄하는 강력한 중앙부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원조집행체계가 어떻게 지금과 같은 제도적 틀을 갖추게 되었는지에 관한 배경과 과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도변화와 관련된 기존의 이론(동형화(isomorphism), 단절된 균형(punctuated equilibrium), 경로분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제도변화의 이론적 시각에서 보완적 분석 틀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아이디어, 정치구조와 행위자(agent)를 주목한다. 이를 통해 제도변화의 내부적 요인을 규명해 DFID 사례와 같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조직과 제도 설명을 위해 기존 이론접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영국의 경우 국제원조규범의 변화의 영향으로 점차 원조를 외교전략으로 보던 담론이 힘을 잃고 빈곤퇴치 등 인도주의적 담론이 주도권을 갖게 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도주의적 담론을 정책기조로 채택한 노동당이 집권하면서 어떻게 DFID를 설립, 유지라는 제도변화가 가능한 정치구조적 여건이 마련되었는지와 당시 블레어 총리 등의 개별적 행위자들이 보여준 의지와 역할의 영향을 분석했다.

      • KCI등재

        Russia as a Donor: What is Behind the Aid?

        Anna Micheler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4 동서연구 Vol.36 No.2

        In the mid-2000s Russia took measures to regain the status of a donor providing aid to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Russia’s aid allocation patterns suggest that its motiv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donors which are more likely to tie aid to fostering democratic processes.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motivations of Russia’s aid. Th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argument that Russian development assistance evolved into a politically motivated tool tied to Russia’s foreign policy. First, Russia changed its approach from multilateral aid provision to bilateral, and increased multilateral aid share for regional organizations, in which Russia plays a key role. Second, Russia provided a significant amount of aid to former Soviet Union countries in 2014, the year of the Revolution of Dignity in Ukraine, suggesting that the aid was used to strengthen Russia’s influence in the reg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untries that received aid from Russia were more likely to support Russia’s posi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Russia is closer to emerging donors which are more motivated by self-interests.

      • KCI등재

        남한의 대북 경제지원의 정치적 효과에 관한 연구

        주성환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09 동북아경제연구 Vol.21 No.3

        This study extends theoretically the expected utility model for trade-conflict to the model for economic aid-conflict if a target country donates economic aid to an actor country, and analyses empirically how economic aid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affects to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model for economic aid-conflict shows theoretically that if a target country offers economic aid to the actor country, the actor will decrease the amount of conflict towards the target country. However,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South Korea’s economic aid to North Korea does not affect the conflict or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original data of commercial trade during the period 1998.3∼2008.2 shows that commercial trad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fects to the conflict between two Korea: increasing of commercial trade between two Korea reduc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India's Strategic Foreign Aid: 'The China Factor' in India's Foreign Aid Allocation

        이바 안드레에바,우병원,꿈꿈 자이스왈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3 동서연구 Vol.35 No.3

        Foreign aid is known to be the primary means through which governments assist each other. Beyond the altruistic incentives for such help, however, there is self-interest involved. Consequently, foreign aid is not always directed towards the states who need it the most, but rather to those, who can contribute to the donor’s strategic considerations. India is one of the emerging countries, which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as been expanding its foreign aid in scale and scope. The rationale behind such foreign policy move by New Delhi is argued to be improving India’s international standing. Its biggest rival China, however, is rapidly expanding its own influence and is stepping into India’s strategic spac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ongoing emerging power rivalry with China is a key determinant in New Delhi’s foreign aid allocation decisions. we analyse India’s foreign assistance for the period 2015-2020 and look for the ‘China factor’ in its allocation strategies. The cases of the Maldives and Mauritius provide evidence for the main argument and show India as a ‘reactive donor’.

      • KCI등재

        아프리카인들이 바라보는 원조의 규모와 정부의 책임성

        조원빈(Cho, Wonb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2 정치정보연구 Vol.15 No.2

        원조 규모의 증대가 아프리카 지역에 속한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까? 유엔이나 세계은행뿐만 아니라 삭스로 대변되는 ‘빅-푸쉬’ 이론들은 저개발국가들의 경제발전을 위해 원조 규모를 크게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아프리카 지역으로 유입되는 원조의 규모가 계속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빈곤의 문제가 기대하는 만큼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원조 규모가 정부와 시민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사하라 사막 이남에 속한 20개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수집된 여론조사 데이터인 아프로바로미터를 사용한다. 본 논문의 위계선형분석 결과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국제 원조주체와 NGOs 영향이 정부의 책임감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가 한 국가의 경제에서 차지하는 원조 규모가 클수록 반감된다는 것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개발국가에 대한 원조의 효과에 대한 분석의 초점을 수원국의 국가제도가 지원된 원조가 필요한 시민들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지로 맞춰야 함을 보여준다. Can the increase in foreign aid end the poverty of emerging democracies in Africa? In addition to UN and World Bank, big push model (Sachs 2005) argues that in order for Africa to get out of the poverty trap, they need a large aid-financed increase in investment. Although the West has spent $568 billion on foreign aid to Africa over the past four decades, however, Africa has still not managed to get 12-cent medicine to children to prevent half of all malaria death. Unlike existing studies on the effects of foreign aid, we are interested in how foreign aid shapes the relationship between African citizens and their government. Using Afrobarometer survey data collected from 20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with other country-level variab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lative size of ODA to GNI sh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fricans’ perceptions of government accountability. A multilevel analysis shows that people who think that international donors and NGOs have more influence over the government are likely to express positive attitude about the government accountability. However, this positive relationship is getting weaker as the size of ODA to GNI increases. This result suggests that foreign aid can affect growth by changing the political institutions of an aid-receiving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