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하게’체 어미와 ‘해’체 어미의 의미·기능 실현 양상 ―평서형 어미와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이소흔(Lee So-Heu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하게’체와 ‘해’체에서 형태가 같은 평서형과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의미·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초에서 현대국어로 이어지는 종결어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하게’체 어미 중 일부는 ‘해’체로 분화되는데, 이유는 ‘하게’체와 ‘해’체로 실현될 때 기능이 같지 않아서다. 즉 ‘해’체 어미로 분류되는 것은 어미에 양태 의미가 나타날 뿐 아니라 ‘-요’와 결합해서 ‘해요’체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게’체 일부 형태가 문맥에 따라 의미·기능이 달리 실현됨으로써 하나의 형태에서 의미·기능이 분화돼 ‘하게’체와 ‘해’체로 나뉜다. 그런데 특성상 양태 의미를 유지하는 ‘-더-’와 ‘-ㄹ’이 결합된 ‘-데’와 ‘-ㄹ가’의 경우 두 화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20세기 전반기 텍스트에 나타난 평서형 어미 ‘-네’와 ‘-데’, 의문형 어미 ‘-ㄴ가’와 ‘-ㄹ가’의 사용 양상을 통해 ‘하게’체와 ‘해’체가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살폈으며, 3장에서는 4~50년대 영화 속 대사를 중심으로 Praat 실험을 통해 이 어미들의 억양을 살폈다. 그럼으로써 ‘하게’체와 ‘해’체가 분화되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final endings from the first 20th century to the contemporary Korean through investigating the realization of semantic functions focused on declarative endings and interrogative endings that have the same form in ‘Hage’ style and ‘Hae’ style. Some of ‘Hage’ style endings are divided into ‘Hae’ style, because their functions are different when they are realized. That is, being classified as ‘Hae’ style endings has not only modal meaning also is combined with ‘-yo’, being realized to ‘Haeyo’ style. In this way, some of ‘Hage’ style forms are divided into ‘Hage’ style and ‘Hae’ style as semantic functions are differentiated and rea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case of ‘-deo-’ in which modal meaning is maintained due to the nature with the cases of ‘-de’ and ‘-eulga’ combined with ‘-eul’. Based on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Hage’ style and ‘Hae’ style were realized in texts of the first 20th century through the usage patterns of declarative endings ‘-ne’ and ‘-de’ and interrogative endings ‘-eunga’ and ‘-eulga’ in Chanpter 2, and their intonation patterns were examined by praat experiment with the lines in the movies of 1940s and 1950s in Chapter 3. In doing so, we could identify the aspect in which ‘Hage’ style and ‘Hae’ style are divided.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종결어미의 감탄법 실현 양상

        이소흔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lization of interrogative forms of hae-style endings. Most hae-style endings, which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after the late 19th century, have modal meanings categorized as either act modality or epistemic modality. However,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sentences that realize such interrogative endings are actually interrogative, as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odality, or only a request for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anticipate an answer that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pseudo-interrogative sentences that do not. Final endings in epistemic modality are mostly realized in declarative sentences. In this case, the declarative endings have meanings such as confirmation or speculation, rather than either interrogative or pseudo-interrogative uses. Accordingly, not every ending in epistemic modality is realized interrogatively, and even if it is so realized, not every request is for information. Therefore, an interrogative ending in epistemic modality differs in its declarative, pseudo-interrogative, and interrogative realizations according to context and is also distinguished by intonation. 이 연구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를 통해 감탄법의 실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탄법이란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에 담긴 상태 정보에 대하여 놀라움이나 감탄 등의 주관적 정서를 담아 전달하는 문장 종결법이다. 그리고 감탄법을 실현할 수 있는 종결어미는 감탄형 어미와 양태 어미가있다. 감탄형 어미는 의미를 배제하고 오롯이 형태만으로 다른 양태 의미 없이감탄만을 표현할 수 있고 평서법의 기능이 보이지 않는다면 감탄형 어미라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감탄의 의미 기능 외에 다른 양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억양을 수반함으로써 감탄문을 실현한다면 그것은 양태 어미로 분류된다. 즉 중세국어 ‘-고녀’에서 이어진 ‘-구나’의 경우 감탄의 기능 외에도 ‘새로 앎’이라는의미를 가졌으므로 오늘날 ‘-구나’는 양태 어미로 분류가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감탄형 어미와 감탄의 기능을 가진 양태 어미의 문장 종결법 실현 양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억양의 수반 양상, 그리고 이 종결어미들의 화계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어 해라체 종결어미 ‘-다, -ㄴ다’의 구어 사용 양상 연구

        안주호(Ahn, Joo-hoh) 한국언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학 Vol.96 No.-

        In order to evaluate the function of final endings within colloquial spoke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1,208,409 script lines from four recent major mainstream dramas. Previous studies claim '-ta, -nta' is predominantly used within literary styles, and used in relative and independent scenes within the colloquial language.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functions of '-ta, -nta' within colloquial spoken language. First, '-ta, -nta' is preferred in spoken language in the case of a male speaker, and it is commonly used when a teacher gives an imperative or proposition to a student. Second, it can be seen that '-ta, -nta' is used within the formal polite hashipshiyo-style, familiar polite haeyo-style or the familiar hae-style, in these circumstances '-ta, -nta' has the function of 'admiration, warning, imperative, volition and quotation'. Third, it expresses the manner of the speaker, and has the functions of relaying new information and making declarations. This study evaluates the functions of the sentence final ending '-ta, -nta' in spoken language, and in order to clarify the functional skills of sentence final endings in spoken language, the boundary tone of the sentence also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lthough this study was not able to include this, it will become a future area of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난 ‘해’체 어미 ‘-어’의 사용 양상

        이소흔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2

        본고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나는 ‘해’체 어미 ‘-어’의 사용 양상을 양태 어미 ‘-지’와 ‘해라’체 어미 ‘-다’의 양상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초에서 현대국어로 이어지는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에 대한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양태를 가지고 있는 ‘-지’와 달리 ‘-어’는 양태를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초기 ‘-어’의 사용 빈도는 낮다. 그런데 ‘-어’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을 실현하게 되면서 사용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어’는 양태 의미가 없으므로 ‘해라’체 ‘-다’와 의미ㆍ기능, 사용 범위가 겹친다. 그런데 ‘-다’는 [±상관성] 장면 쓰이는 데 반해 ‘-어’는 [+상관성]만 쓰이고, ‘-어’는 화자 자신의 발화를 적극적으로 전달하려는 데 반해 ‘-다’는 그렇지 않다. 이렇게 ‘-어’는 그 사용 양상에 있어서 ‘-다’와 차이를 보임으로써 발달하게 된다. 20세기를 거치면서 종결어미의 의미ㆍ기능에 영향을 끼쳤던 요인으로 억양을 들 수 있다. 어떤 억양을 수반하느냐에 따라 의미ㆍ기능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어’는 양태 의미가 없지만 다른 양태 어미와 마찬가지로 사용 양상에 따라 억양이 달라진다. 이것은 ‘해라’체 어미 ‘-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방언 종결어미 연구 -안동 방언의 비격식체 의문형 어미 `해` 체를 중심으로-

        권화숙 ( Hwasuk K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6 언어와 언어학 Vol.0 No.73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syllabus of Korean dialect grammar aimed for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and find efficient ways to develop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Among the interrogative endings that clearly reveal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Andong dialect, the paper focuses on the `Hae(해)` style, which corresponds to informal style of `extensive familiar speech` in relative honorifi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래`, `-(으)ㄹ래`, `-아/-어, -에`, `-까/-꼬(-ㄹ가/-ㄹ고)`, `-(으)ㄹ레/-(으)ㄹ세`, which are interrogative endings that are relatively frequently used in this reg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rammars, the study presents grammatical restrictions and semantic functions and uses of these final endings in Andong dialect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standard Korean language.

      • KCI등재

        ‘해’체 어미의 의문법 실현 양상

        이소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학 Vol.0 No.82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alization of interrogative forms of ‘Hae’ style endings. Most of ‘Hae’ style endings, which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after the late 19th century, have modal meanings divided into act modality and epistemic modality. However, it should be examined if the sentences that are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are to b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true meaning of the word, as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odality but represent a ‘request for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demand the informational answers and the pseudo-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do not. Final endings with epistemic modality are mostly realized as declarative endings. In this case, the declarative endings have meanings such as [confirmation], [speculation], it could lead into realizing interrogative sentences meaning interrogative or pseudo-interrogative. Accordingly, not all the endings with epistemic modality are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even if these are realized, these are not all realized as interrogative endings representing ‘request for information’. Therefore, an interrogative ending with epistemic modality differ in realization as a declarative sentence, an pseudo-interrogative sentence, or an interrogative sentenc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it is distinguished by intonation in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