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기능과 ‘사회콘텐츠’

        임대근(Daegeun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ve given rise to the discourse of ‘humanities contents,’ addressing the need to articulate their own concepts. This term has become a pivotal asp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fostering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such as humanities informatics, cultural industry and humanities, cultural technology and humanities, cultural archetypes and digital contents,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Wave, humanitie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training, humanistic storytelling, urban regeneration and humanities contents, and digital humanities. These discourses serve as crucial core concepts for planning, explaining, and forecasting cultural contents. However, in the process of aligning cultural contents with humanities contents, the accomplishments of modern scholarship on culture have not been fully embraced. Cultural contents should inherit concepts and categories from art, culture in the social sciences, and popular art/popular cul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while also generating original categories. To achieve this, cultural contents should establish a discourse on ‘social content.’ To accomplish this, it is essential to first identify the functions of cultural contents, which encompass responsibilities for entertainment and play, information and knowledge, community maintenance, and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content leads us to perceive cultural con?tent as relationship-centered. This perception is possible because cultural content, unlike popular culture,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productions mediated through platforms, simultaneous mediation, two-way distribution, and reversible enjoyment. Social contents constitute a subject-other discourse, with one of its vital functions being ‘care.’ Examples like Mr. Trot and Baby Shark highlight the potential of ‘caring content.’ This concept can be instrumental in expanding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ethics and sociality of ‘care’ acts. 문화콘텐츠는 용어의 태동과 더불어 자신의 개념을 충족해야 할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콘텐츠’ 담론을 만들어왔다. ‘인문콘텐츠’는 문화콘텐츠연구의 핵심 담론이 되었다. 인문정보학, 문화산업과 인문학, 문화기술과 인문학,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 한류의 인문학적 해석, 인문콘텐츠 교육과 인력 양성, 인문학적 스토리텔링, 도시재생과 인문콘텐츠, 디지털인문학 등 방계 담론을 형성했다. 이들은 문화콘텐츠를 설명⋅기획⋅전망하는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를 인문콘텐츠로 등치하는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근대 학문의 성과가 온전히 계승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문화콘텐츠는 예술의 층위, 사회과학 층위의 문화, 학제적 층위의 대중예술/대중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를 계승하면서 또한 독창적 범주를 만들어 가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는 ‘사회콘텐츠’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 문화콘텐츠는 오락-유희 기능, 정보-지식 기능, 공동체 유지 기능, 문화유산 전승 기능 등을 담당한다. 사회콘텐츠는 문화콘텐츠를 관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대중문화와 달리 복수의 생산물이 플랫폼을 통한 매개, 동시적 매개, 양방향 유통, 가역적 향유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회콘텐츠는 주체-타자 담론을 형성한다. 그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돌봄’이다. <내일은 미스터트롯>, <아기상어>는 ‘돌봄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돌봄콘텐츠는 ‘돌봄’ 행위가 갖는 윤리성, 사회성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확장하는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게임 <30일>의 돌봄재현과 콘텐츠 액티비즘의 실현

        신정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60

        본 연구에서는 소셜임펙트 게임을 통한 사회적 실천 사례를 분석하여 콘텐츠 액티비즘의 사회적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개념의 액티비즘은 정치인, 예술가 등이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 기술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고, 참여를 호소하는 방식이었다면 콘텐츠 액티비즘은 1인 미디어로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삶에서 발견한 문제의식을 콘텐츠로 기획하고 제작하여 유통하면서 이에 공감한 수용자들과의 연대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다. 소셜임팩트 게임은 게임의 경험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생산하는 콘텐츠 장르이다. 소셜임팩트 게임의 플레이어들은 의미있는 경험과 연대를 통해 콘텐츠의 사회적 가치를 향유하고 확장하는 주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시원에 거주하는 구성원들이 청년의 자살을 막고, 돌봄을 실천하는 게임 <30일>을 콘텐츠 액티비즘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플레이어의 의미생성 과정을 분석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al value of content activism by analyzing social practice cases through social impact games. While traditional activism is a way for politicians, artists, etc. to convey social messages and call for participation through specialized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ology, content activism is a way for ordinary individuals who live with one-person media to plan, produce, and distribute content about the problems they find in their lives and bring about change through solidarity with the audiences who sympathize with them. Social impact games are a genre of content that creates social messages through gaming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Players of social impact games become the subjects who enjoy and extend the social value of the content through meaningful experiences and solidarity.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making process of play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ctivism by analyzing the game <30 Days>, in which members living in an orphanage practice care and prevent the suicide of a young man.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 개발

        정수정(Su-Jeong Jeong),이강훈(Kang-Hoon Lee)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텔파이 조사에 기반하여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복지 및 방과후 돌봄교육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한 후 3차례에 걸친 텔파이 조사를 통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텔파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평가준거의 평가범주는 창의성, 인성, 교육성, 정서성, 예술성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텔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개발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의 최종시안은 5개 평가범주, 16개 평가준거, 32개 평가요소로 확정하였다. For this study, opinions of expert panels were collected on the development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based on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se results,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o this end, after selecting a panel of experts on child welfare and after-school care educatio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quartil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were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emotionality, and artistry. The final draft of the evaluation scale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the after-school child care classroom for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develop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results was confirmed with 5 evaluation categories, 16 evaluation criteria, and 32 evaluation factors.

      • ‘돌봄’으로서의 문화콘텐츠

        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문화콘텐츠는 용어의 태동과 더불어 자신의 개념을 충족해야 할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콘텐츠’ 담론을 만들어왔다. ‘인문콘텐츠’는 문화콘텐츠연구의 핵심 담론으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인문콘텐츠 담론은 인문정보학, 문화산업과 인문학, 문화기술과 인문학,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 한류의 인문학적 해석, 인문콘텐츠 교육과 인력양성, 인문학적 스토리텔링, 도시재생과 인문콘텐츠, 디지털인문학 등 방계 담론을 형성해왔고, 이들은 문화콘텐츠를 설명하고, 기획하며, 전망하는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작동되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를 인문콘텐츠로 등치하는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근대학문의 성과가 온전히 계승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문화콘텐츠는 예술과 사회과학 개념으로서의 문화, 대중예술-대중문화라는 개념과 범주를 계승하면서 또한 독창적 범주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는 ‘사회콘텐츠’ 담론을 만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사회콘텐츠 담론은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살펴보는 문제와 연동된다. 문화콘텐츠는 오락-유희 기능, 정보-지식 전달 기능, 공동체 유지 기능, 문화유산 전승 기능 등을 담당한다. 사회콘텐츠는 문화콘텐츠를 관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대중문화와 달리 복수의 생산물이 ‘플랫폼’을 통한매개, 동시적 매개, 양방향 유통, 가역적 수용-소비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사회콘텐츠는 주체-타자 담론을 형성하는데 이는 그 중요한 가치 중 하나는 ‘돌봄’의 기능이다. <내일은 미스터트롯>, <아기상어>는 ‘돌봄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 KCI등재

        공급자관점에서의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내용상 쟁점에 관한 연구

        배은석(Bae, Eun-Suk),송영지(Song, Young-Ji),박병현(Park, Byung-Hy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 급여대상에서 제외된 등급외자를 위한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내용에서의 주요 쟁점을 공급자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서비스 내용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노인 돌봄의 개념에 기반 한 서비스 내용과 기존의 노인돌봄관련 서비스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돌봄종합서비스에 대해서 공급자 관점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서비스내용에서의 쟁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FGI의 분석결과, 서비스 내용의 단순성 및 모호한 지침으로 인한 한계, 등급외자로서의 특수한 욕구 및 상황 반영, ‘care’ 개념의 서비스 내용 보완, 서비스 내용의 질 유지 및 관리 필요성이 주요 쟁점으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내용에서 한계로 나타난 주요 쟁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서비스 내용의 유형화, 다양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of the Korean Elderly Care Service contents from the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and to discuss the critical issues and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ervic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first the servic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the concept of elderly care, existing elderly care related service contents have been explored. Secon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of service providers and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is study the lack of service contents variety and explicit guidelines, how to apply clients’ special needs and situations, how to revise the servic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are’, and how to maintain the service quality and manage the service have been issued. Lastly, the needs of catego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ervice content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