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흥부전>의 인물 형상 - 경판본과 <연의각>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경남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This study has compared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targeting “Heungbujeon”, text published in Seoul among the different edition text of “Heungbujeon”, and “Yeonuigak” of Lee Haejo. When comparing character figures of Heungbu and Nolbu described in “Heungbujeon” and “Yeonuigak”, good and evil deepens in “Yeonuigak”. The good of Heungbu has deeply involved in scenes where performs ancestral rites, makes excuses to his wife after hit by Nolbu, gets help from neighbors, and embracing Nolbu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Nolbu is deeply described as an evil figure with greed through the scenes of property distribution, kicking Heungbu out, acting violently to Heungbu when he came to collect some food, breaking a leg of swallow and committing atrocities at Heungbu’s place when Heungbu got rich. The deepening phenomenon of good and evil on main characters are shown by sub-characters. The number and appearance frequency of sub-characters are more in “Yeonuigak”. They are wives of Heungbu and Nolbu, their son, and neighbors who are deeply involved in forms of main characters, Heungbu and Nolbu for sure. Suppose, wife of Heungbu appeared in “Yeonuigak” actively responses to evil deeds of Nolbu, when he came after Heungbu got rich, to make misdeeds of Nolbu stood out more. Sub-characters play a role of deepening the formation of main characters, such as characters related to Heungbu intensify good of Heungbu, and intensify evil of Nolbu for Nolbu related characters. 이 논문은 <흥부전>의 이본 가운데 기록 전승의 우위를 보이는 경판본 <흥부전>과 이해조의 <연의각>을 중심으로 작품에 형상화된 인물을 비교한 글이다.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그려진 흥부와 놀부의 형상을 비교해 보면, <연의각>에서 선과 악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흥부의 선함은 조상 묘에 제사를 지내는 장면, 놀부에게 맞고 돌아와 아내에게 변명을 하는 장면, 동네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는 장면, 결말 부분에서 놀부를 포용하는 장면 등에서 그 선한 형상은 심화되었다. 반면에 놀부의 형상은 재산 분배 장면, 흥부를 내쫓을 때와 양식 얻으러 온 흥부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장면,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는 장면, 부자가 된 흥부의 집에 찾아와 포악을 부리는 장면 등을 통해서 탐욕스러움에 포악함까지 갖춘 악한 형상으로 심화되었다. 흥부와 놀부의 선악이 심화되는 현상은 다양한 보조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가능했다. 보조 인물은 주인공의 인물 형상을 심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흥부와 관련된 인물은 흥부의 선한 형상을, 놀부와 관련된 인물은 놀부의 악한 형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경판 <흥부전>보다 <연의각>에 등장하는 보조 인물이 수적으로도 많고 등장 빈도도 높다. <연의각>에 더 많은 보조 인물을 등장시킨 것은 주인공의 성격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려는 의도와 함께 소설적 흥미를 고려한 때문이다. 소설이 대중적 독서물로 자리함에 따라 흥미 요소의 강화는 필요했던 것이다. 흥부의 선행과 놀부의 악행, 그리고 그에 대한 보답과 징벌은 서로 다르게 그려졌지만,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형상화된 흥부는 끝까지 선과 우애를 지향함으로써 그 대가로 복을 받았고, 반면에 놀부는 물질적인 욕심을 지향함으로써 패망하고 말았다. 소설 <흥부전>이 지향한 가치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 셈이다. 흥부와 놀부를 통해 선을 지향하는 가치관은 인간에게 필수적이라는 것과 물질을 중시하는 가치관은 지속될 수 없음을 동시에 보여준 것이다.

      • KCI등재

        <흥부전>에 나타난 인간 소외의 두 양상 -흥부와 놀부의 욕망을 중심으로-

        이상일 ( Lee,Sang-i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7 No.-

        이 논문은 <흥부전>의 두 주인공 흥부와 놀부의 욕망 실현 양상에 주목하여, 두 인물이 각각 조선 후기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흥부와 놀부의 욕망은 재화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그 동인과 수준은 상이하다. 흥부의 욕망이 극빈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생존의 필요에서 발동한 소박한 수준의 욕망이라면 놀부의 욕망은 더 많은 재물을 얻기 위한 가진 자의 끝없는 병적인 중독이다. 흥부의 욕망이 가난이라는 비극적 삶의 조건 속에서 외부로부터 유발된 욕망인데 비해, 놀부의 욕망은 인간의 본능적 소유욕에 기반을 둔 내부로부터의 욕망이다. 그래서 흥부의 욕망은 비참한 삶의 조건이 개선되는 것만으로 충족되지만, 놀부의 욕망은 아무리 채우려 해도 절대 충족되지 않는다. 흥부와 놀부는 서로 다른 인간 소외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흥부는 자신이 욕망하는 대상인 재화로부터 철저하게 소외된 인물이다. 흥부의 소외는 부의 분배에 실패한 사회 현실에 의해 강제적으로 씌워진 사회적 굴레로서, 부의 분배 정의가 완전히 무너진 현실의 구조적 모순은 흥부와 같은 선량한 인물을 점점 더 비극적 상황으로 몰아붙인다. 놀부의 소외는 공동체로부터의 소외이자 자기소외이다 놀부의 재물욕은 그를 부자로 만들었지만 그 과정의 비윤리성과 불의함으로 인해 놀부는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로부터 소외된 인물이다. 박속 등장인물로부터 탐욕과 불의함에 대한 징계를 받으면서도 탐욕을 버리지 못하고 과오를 뉘우치지 않는 놀부의 모습은 재물에 의해 인간성이 박탈당하는 자본주의적 자기소외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소외 양상을 극명하게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흥부전>은 단순한 ‘동화전설의 소설화’ 이상의 소설적 의의를 지닌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재화라는 자본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인간 소외의 양상을 핍진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부전>은 영웅소설과 같은 여타의 통속 소설에 비해 소설사적으로 발전된 형태의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desire of Heungbugeon's main character, by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 of desire. The desire of Heungbu and Nolbu is similar in that the object of desire is riches, but the driver and level of which is different. The desire of Nolbu is internal desire based on instinctive possessiveness. The desire of Heungbu and Nolbu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human alienation. Heungbu is excluded from riches. The alienation of Heungbu is the bondage from distorted reality. The alienation of Nolbu is that from the community and self-alienation. Nolbu shows bourgeois self-alienation of which human nature is deprived by riches. Therfore the correction of Nolbu is essential narrative process. Heungbugeon have significance for showing two way of alienation in capitalistic society. In that Heungbugeon can be seen as something of an advanced novel in reality reflection in comparison with a popular novel like a heroic novel.

      • KCI등재

        〈흥부와 놀부〉(1967)의 〈흥부전〉 서사 전용 양상과 의미

        김선현(Kim, Sun-Hyu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흥부와 놀부〉(1967)는 한국 최초의 스톱 모션 인형 애니메이션으로, 〈흥부전〉 영화화의 초기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면서 동시에 〈흥부전〉으로 매개된 1960년대 후반의 사회, 문화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주목해, 〈흥부전〉 서사가 영화에서 어떻게 독해되고 재구성되는가, 그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 문화적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흥부전〉의 주요 서사 단락을 수용하면서도, 흥부와 놀부의 인물 형상화 방식이나 흥부 박과 놀부 박 대목을 부분적으로 변개하고, 새로운 인물과 화소를 삽입하여 기존의 흥부전〉과는 다른 가치와 지향을 보여준다. 특히 놀부 박에서 나온 존재를 호랑이, 귀신, 용 등의 괴수로 설정하여 놀부의 징치를 강화하는 한편, 흥부의 아이들을 〈어린이 헌장〉을 외치고, 스스로 학교를 건설하며, 제비를 구출하는 주체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서사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이 작품이 제작되고 상영되었던 1960년대라는 사회, 즉, 국가의 재건과 국민 만들기, 그 토대로서 가족, 어린이를 내세웠던 당시의 사회, 정치적 배경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filmmaking in Heungbujeon, focusing on “Heungbu and Nolbu”(1967). This was Korea"s first stop-motion animation, which provides insight into the early stages of the filming of “Heungbujeon,” as well as th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te 1960s mediated through the animation. This study focuses on its value as a resource and explor es how the “Heungbujeon” narrative is read and reconstructed in the film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created in the process. This film shares the primary narrative of Heungbujeon. However, it partially changes the characterization of Heungbu and Nolbu, the part regarding their gourds, and inserts new characters and motifs. In particular, it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Nolbu’s gourd and used monsters such as tigers, ghosts, and dragons to reinforce the punishment of Nolbu, while establishing Heungbu"s children as the subjects who declare the “Charter of Children’s Rights,” build schools by themselves, and rescue swallows. In this respect, the story is very different from the Heungbujeon narrative. Thi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the 1960s when the film was produced and screened, namely “the rebuilding of the state and the family and children on the basis of it.”

      • KCI등재

        장혁주의 일본어 개작 <흥부와 놀부> 연구

        진은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This study is based on Jang Hyeok-ju's feature-length fairy tale Heungbu and Nolbu. The work is an adaptation of Heungbu-jeon in Japanese. The Chinese translation, Heibaiji was introduced previously,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Heungbu and Nolbu. This paper is the first to introduce bibliography of Heungbu and Nolbu and to study its contents, its meaning, and so on. Heungbu and Nolbu that the Japanese adaptation of Heungbu-jeon is similar to Heungbu-jeon published by a publisher named Parkmoomseoguan. Jang Hyuk-ju, the author of the work, is a pro- Japanese artist who is naturalized in Japan and wrote the work for Japanese children. So the cover is removing the Joseon feeling and reviews of Heungbu and Nolbu also lowers the value of Heungbu-jeon by arguing that it is a Mongolian story. Since Heungbu and Nolbu was adapted into feature-length fairy tales, simple content was expanded and pansonic traits such as laughter and poverty were omitted. In addition, Jang Hyuk-joo stresses the lesson too much and reveals the colonial ideology. This is because Jang Hyuk Joo internalized colonial ideology thought because he wanted to be Japanese. He was confident that he had previously translated classics. So I thoroughly reviewed the original text and faithfully reworked it and the work was adapted with content that can inspire imagination and interest in children. But the lessons were so emphasized that they were less realistic. Heungbu and Nolbu are sad to lose both the most important poverty and laughter in Heungbu-jeon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he expanded the horizon of Heungbujeon by translating into Chinese. 일제강점기 일본어로 개작된 동화 『흥부와 놀부』는 1942년 친일 작가인 장혁주가 쓴 장편 동화로, 중국어로 번역이 되기도 했다. 중국어 번역본인 『흑백기』는 이미 학계에 소개되어 논의가 진행되었던 반면, 장혁주 본 『흥부와 놀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장혁주 본 『흥부와 놀부』를 바탕으로 작품에 대한 내용과 특징, 의의 등을 소개함으로써 이 작품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조선인 작가에 의해 일본어로 쓰인 작품이라는 이 작품의 특수성은 작품의 성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작가가 발문에서 ‘내지의 어린이들을 위해’ 『흥부와 놀부』를 쓰고 있다고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표지에서도 조선색을 지우려고 한 흔적들이 엿보이며, <흥부전>이 몽고의 ‘박 타는 처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 왜곡된 사실을 기록해 놓고 있기도 하는 등 친일 작가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런 작가적 한계는 내용에서도 드러난다. 장혁주는 1938년, 희곡으로 『춘향전』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며, 1940년에는 <심청전>을 방송극 대본으로 각색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작가의 고전에 대한 자신감과 근대적 장르에 대한 관심은 <흥부전>의 동화화 작업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흥부와 놀부』는 고전소설, 특히 박문서관본 <흥부전>의 서사를 매우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일본 어린이 독자에 초점을 맞추느라 판소리적인 특성이나 재미, 조선적인 것을 소거한 채 ‘보편성’을 지닌 작품으로 개작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동화라는 장르에 충실하여 서사 양식을 새롭게 바꾸고, 어린이에게 상상력과 흥미를 줄 수 있는 에피소드를 확장하고 있기도 한데, 지나친 교훈의 강조와 계몽주의적인 태도는 작품의 개연성이나 현실감을 떨어뜨리기도 하였다. 장혁주의 『흥부와 놀부』는 <흥부전>의 가장 중요한 가난과 웃음을 둘 다 잃고 있으며, 지나치게 순종적이고 온순한 흥부의 인물 형상화를 통해서 조선인으로서 일본인이 되기를 열망했던 장혁주의 열등감을 무의식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원전을 바탕으로 꼼꼼하게 개작을 하고 있다는 점, 중국어 번역본과 함께 <흥부전>의 지평을 넓혔다는 점에서 장혁주와 그의 일본어 개작본 『흥부와 놀부』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흥부전>의 인간의 변이양상

        유육례 ( Yu Yuk-ry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흥부전>은 판소리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현재까지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그동안 <흥부전>의 흥부는 긍정적 인물로 놀부는 부정적인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흥부전>의 흥부와 놀부를 현 시대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드려다 볼 것이다. <흥부전>은 박을 통해 흥부와 놀부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흥부전>은 다른 소설들과 달리 가난한 백성들에게 신분상승이라는 꿈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려고 시도한 작품이다. 복과 횡재, 공짜로 생긴 노다지는 신화적 요소를 가미시켜 우리에게 꿈과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복과 횡재는 현실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아주 낮음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작가의 상상력에 동화되어 실제로 가능한 일처럼 몰입한다. 이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고안한 창작기법의 진수이다. 실제로 이것의 영향은 요술방망이로 권선징악을 표상하는 광고물의 한 패러디처럼 간주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색안경을 끼고 <흥부전>에서 권선징악을 찾을 것이 아니라 작중인물들의 생각과 이념이 <흥부전>의 소설구조에 어떻게 대립되어 흥미진진한 작품으로 거듭나는지를 눈여겨 봐야한다. <흥부전>의 역학적 해석은 변증법으로 치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놀부의 못된 심상이 음이라면 흥부의 아름다움 심상은 양으로 정반합의 구성을 이룬다. 이 음양은 서로 대립하면서 순환을 한 이후에 결과적으로 동기간의 우애라는 선(善)으로 합일된다. 그래서 <흥부전>에서 놀부는 악인의 면모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아니라 선, 다시 말해 우애를 이행하도록 자극하는 매개물이다. 놀부는 악의 상징이 아니라 흥부의 선의 세계로 수용되어 두 형제가 선의 영역에서 화합을 이뤄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결론지어진다. 이는 흥부와 놀부라는 두 주인공이 서로 상반되는 대립, 즉 선악의 대립, 신분의 대립, 갑을의 대립과 같은 부조화가 종국에서는 조화를 이뤄 조화로운 세계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 Heungboojeon > has been loved by many people as a representative Pansori novel.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meaning of Heungboo and Nolboo seen from a new perspective. < Heungboojeon > stimulates the desires of the privileged through a gourd. The writer hides certain aspects of the two characters through a trick. < Heungboojeon > tries to help commoners realize their dream of social success unlike other novels. Although luck, windfall and bonanza could not occur in this miraculous narrative, commoners who had a dream of social success were tricked into being in favor of Heungboo rather than Nolboo. This misunderstanding derives from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t is presented in < Heungboojeon > where Nolboo is opposed to Heungboo. A dynamic interpretation of < Heungboojeon > can be replaced by a dialectic. It is a thesis-antithesis-synthesis. The good image of Heungboo is yang while the bad image of Nolboo is yin. As these two images pursue goodness as an original motivation, they return to the beginning of their friendship in < Heungboojeon >. So Heungboo in this story is a messenger of goodness who performs good deeds and raises our status, not a messenger who delivers evil to the readers. In conclusion, the novel was intended as follows: as the evil image of Nolboo is accommodated by Heungboo`s world of goodness, the two brothers are in happy harmonies with each other.

      • KCI등재

        경판본 『흥부전』 에 나타난 수(數)의 의미 -<박사설>을 중심으로-

        하성란 ( Seong Ran Ha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6 No.-

        이 논문은 경판본 『흥부전』의 ‘박사설’에 나타난 數의 의미를 탐색하는 가운데 흥부전의 구성 원리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경판본 『흥부전』은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병리현상, 특히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해 나타난 사회적 폐단과 財貨觀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의도가 분명한 작품이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수를 정교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는 수와 돈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흥부전』에는 1ㆍ2ㆍ3ㆍ4ㆍ5ㆍ7ㆍ10ㆍ13 등의 수가 암호처럼 숨겨져 있다. 흥부박은 4개이고 놀부박 13개이고, 놀부박에서 나온 인물들은 놀부에게서 돈을 앗아가는데 그 돈은 100냥ㆍ500냥ㆍ5000냥이며, 그것이 3의 패턴으로 반복된다. 또한, 놀부박에서 나와 놀부에게서 돈을 앗아가는 인물이 모두 10명이고, 그 중에서 8번째 박에서 나온 사당거사만이 전답문서를 빼앗아간다. 흥부박에서는 현물이 주로 나오는 가운데 7번째 순서에 돈이 나온다. 이러한 수는 무의미하게 산재한 듯 보이지만, 사실 매우 정교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수들은 조선 후기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연관되어 있던 숫자에 대한 관념과 화폐와 현물에 대한 긍ㆍ부정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This thesis is for finding numbers in of published in Seoul and unearthing the meanings. With qualitative change from a tale to , published in Seoul has social evils and a view of goods appeared from socioeconomic pathological phenomenon, especially monetary economy development a the time. Especially, Bagsasol shows positive perception over the people`s cognition of wealth, spot wealth in other word, and negative view over monetary wealth, configurating process of solving by capturing the social problem, hoarding of currency issue, with folktale structure named ‘Bag’. Also had hidden numbers including 1·2·3·4·5·7·10·13 as code. Those numbers verifies is established based on folktale structure, but it has elaborate structural principle inside. And the numbers reflect certain idea over numbers correlated with people`s daily life of the time and perception of them over spot economy and monetary economy.

      • KCI등재

        발전교육론의 관점에서 본 흥부와 놀부의 인성

        박균섭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1

        1960년대는 발전교육론의 시대에 걸맞게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을 우선적 가치로 삼는 교육을 표방하였다. 특히 1968년체제는 발전교육과 제2경제의 교육학적 성격과 의미를 성찰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1968년 4월, 교육학자 정범모는 흥부-놀부 이야기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발언했는데 이는 한국 교육학의 전개 과정에서 특기할만한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범모의 발언을 통해 당시 교육학자들의 이론적 대응은 정치 친화적이었던 반면 교육학적 상상력은 빈곤했음을 보여준다. 최인훈의 소설 『놀부뎐』(1966)-정범모의 『흥부전』 삭제 발언(1968)-㈜놀부의 창업(1987)-고우영의 만화 『놀부뎐』(1988)으로 이어지는 계열은 흥부의 퇴장과 놀부의 귀환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는 『흥부전』의 현대판 변용 과정에서 원전과는 달리 생성된 새로운 계열에 해당한다. 한국사회는 여전히 흥부-놀부 내러티브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도 흥부의 가치를 배제하고 놀부의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발전교육론의 시대를 지나 약한 결속력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공생의 방법을 고민하고 미래 전망을 가다듬는 교육학의 세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In the 1960s, the age of development education theory, the priorities of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were preached i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1968 syste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flecting on the pedagogical nature and meaning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second economy. In April 1968, the scholar Chung Bum-Mo remarked that the story of Heungboo-Nolboo should be remov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was a milestone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Chung Bum-Mo’s remarks, the theoretical responses of educators at the time were politically friendly, but the pedagogical imagination was poor. Choi In-Hoon’s novel Nolboojeon(1966), Chung Bum-Mo’s remarks saying that Heungboojeon should be deleted(1968), establishment of Nolboo Co., Ltd.(1987), and Ko Woo-Young’s cartoon Nolboojeon(1988) are characterized by the departure of Heungboo and the return of Nolboo. This shows a new line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of Heungboojeon. Korean society can be said to stand at the point where pedagogical reflection on the Heungboo-Nolboo narrative is needed. We are still and likely continue to pursue the value of Nolboo in the future by excluding the value of Heungboo. We have passed through the era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have been living in a time of weak cohesion. The more we do, the more we have to go to a world of pedagogy that worries about the way of coexistence and fosters the outlook for the future.

      • KCI등재

        놀부박사설의 성격과 화폐경제인식

        하성란(Ha Seong Ran)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5 No.-

        이 글은 ‘놀부박사설’이 돈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문제[錢幣]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수용ㆍ형상화하였는지를 탐구하여 「흥부전」이 이룬 문학적 성취를 밝힌 것이다. 17세기 이후 돈이 본격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사회경제적 변화 즉, 화폐경제의 발달, 빈부의 잦은 변동, 재화에 입각한 인간 평가, 그로 인한 가치관의 변화 등이 이루어졌다. 특히 화폐의 퇴장(退藏)으로 인해 발생한 전황(錢荒)은 붕당(朋黨)ㆍ양역(良役)과 함께 조선 후기 사회에 가장 큰 폐단으로 여겨졌다. 사회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나 큰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고, 이로 인해 서민들이 극심한 고통을 받았다. ‘놀부박사설’은 이런 사회적 현상을 포착하여 ‘박’이라는 민담적 구조를 통하여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형상화한 것이다. 놀부의 재산은 주로 돈으로 이루어졌다. 이 돈은 퇴장화폐였으며, 서민 경제 피폐하게 만든 고리대금으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놀부에게 퇴장되어 있던 돈을 유통계로 끌어내기 위하여 ‘박’이라는 민담적 장치를 활용하였다. 박에서 나온 인물들은 ‘유랑집단(流浪集團)’이자 ‘비생산자’이며 ‘소비자’적 성격이 강한 인물들이며, 이들이 놀부에게서 돈을 받아들고 사라지는 것은 퇴장화폐를 유통계로 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놀부박사설’은 유랑집단을 통해 돈을 유통시켜, 전황을 해결하려는 민중의 이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literary accomplishment of Heung-bu-jeon(흥부전) exploring how ‘Nolbubag-saseol(놀부박사설)’ accepted the social problem caused by money[Jeonpyea, 錢幣] and encapsulated it in a literary way. Since 17th century when money had begun to be used actively, there had been the tendency to hoard money as a mean of accumulation of property and as a result, Jeon-hwang(錢荒) meaning that money does not circulate happened. This situation made the price unstable and the hoarded money was used as a usurious loan. The life of ordinary people was completely destructed. To say nothing of individual, even the government could not solve the problem and it had been continued until end of 19th century. Heung-bu-jeonis the work which encapsulated such a social evil in a literary way most well. Especially, Nolbubag-saseol encapsulated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jeon-hwang caused by hoarded money through the structure of folktale called 'Bag.' That is, the wealth of Nolbu is based on money and this means that the money is hoarded. And the nomadic people come from gourd disappeared with the money given by the farmer and this means that hoarding money is circulated normally. This story may reflect the desire of the ordinary people to solve the Jeon-hwang by circulation of money through nomadic people.

      • KCI등재

        <흥부전>의 성조신앙적 기원과 전승 -놀부의 삯군, 째보를 중심으로-

        김효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5 No.-

        A previous interpretation of Heungbugeon argues that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story are bound to beliefs about Seongju, the highest household god. This essay gives further support to this interpretation through a character in Heungbugeon with the cleft lip. At the same time, this essay challenges the view that the character with the cleft lip is merely a reflection of menial worker. To substantiate these claims, similarities between the ritual performance of Byulsin-gut Geori-gut in the east coast region and Heungbugeon are explored. The first area of comparison focuses on the forms of Geori-gut and Heungbugeon. The seco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cleft lip character in Geori-gut and Heungbugeon. This research into Heungbugeon is not just an excavation of the past, but also provides resources to contemporary students, resources able to assist them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belief systems in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literature. <흥부전>은 그 형성과 전승지역이 성조신앙과 관련되어 있음이 논해진 바 있다. 본고는 이 논의를 이어받으면서 그 근거를 흥부와 제비가 아닌 놀부와 째보라는 짝패에서 찾고자 한다. 동시에 째보가 임노의 형상이라는 반영론적 관점을 극복하고 째보는 동해안 별신굿 거리굿의 째보의 형상과 유사성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학적 형상화는 현실 세계가 그대로 반영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자체의 역동과 문식적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이루어짐을 재론한다. 이를 위해 거리굿의 형식과 <흥부전>의 형식의 유사성을 확인하고, 거리굿의 째보거리 자료를 통해 거리굿에서의 성조 신체를 함부로 한 저주로 태어난 째보가 <흥부전>에서 박을 타는 째보와 성격적, 기능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살핀다. 또한 <흥부전>이 성조신앙의 지역적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전승을 해왔을 것이라는 추정의 근거를, 째보형 인물이 등장하는 이본에서 인물의 기능의 차이를 살핌으로써 보강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흥부전>의 과거를 짚어보는 작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원과 전승 과정의 이해가 오늘날의 학습자의 문식적 자원을 확대하여 <흥부전>을 창조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Folktale is an important literary genre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such as common values ​​and lifestyles of a n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folktales common to many countries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s well as the literary origin and homogeneity of folktales in each country, Do.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a country in order to acquire the language of a country well,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Therefo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literary sanctions is increasing, and studies about it are accumula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a task that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of Korean ability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foreigners. The folktale is a universal archetype and universality of the human race. It is a story that the masses co-created and enjoye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is simp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similar to 'Korea's representative tale' Heungbu and Nolb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eungbu and Nolbu' in Korean culture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Vietnam and Uzbekistan have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Vietnam and Uzbekistan with Korean folktales, we tried to grasp the tales of folk tales such as tradition and creative literatur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The stories that are common in many Asi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s are common, universal objectivity, so they can easi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y also reflect different values ​​and specific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folktal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ccepts it more easily based on commonality with its own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differences provide cultural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이 연구는 문학의 모태가 되는 설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설화는 한 민족의 공통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는 중요한 문학 장르이다. 특히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 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은 각 나라의 설화가 가진 문학적 원형성 및 동질성과 아울러 한국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독자성을 파악하게 하여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 습득하기 위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문학을 제재로 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그에 관한 연구들도 누적되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처럼 현대 세계는 문화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활발한 교류 양상으로 보이며,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던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현실에서 다문화적 이해는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설화는 인류보편적인 원형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대중이 공동 창작하고 향유한 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단순하므로 외국인 학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인 ‘흥부와 놀부’와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보이는 다른 나라의 흥부놀부 유형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과 아울러 이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흥부와 놀부’의 설화적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학습자 수와 체류지 수가 증가한 두 나라,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의 설화를 한국 설화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음성언어를 통한 전승과 창작 문학이라는 설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나라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련성을 밝히며, 한국 설화의 특성과 독자성을 확인하여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화들은 중심 주제가 공통적으로 드러나 보편성 객관성을 지니므로 쉽게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나라별로 가치관과 구체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변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설화가 가진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은 자문 화와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고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며, 아울러 차이점들을 통해 문화적 상대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문화에 대한 각성과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