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화탐지를 위한 SURF 알고리즘과 마스크필터 기반 통합 자동 전처리

        김태헌,이원희,염준호,한유경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지 Vol.37 No.3

        Satellite imagery occurs geometric and radiometric errors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acquired time, which in turn causes false-alarm in change detection. These errors should be eliminated by geometric and radiometric correc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that automatically and simultaneously performs geometric and radiometric corrections by using the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 algorithm and the mask filter. The MPs (Matching Points), which show invariant properties between multi-temporal imagery, extracted through the SURF algorithm are used for automatic geometric correction. Using the properties of the extracted MPs, PIFs (Pseudo Invariant Features) used for relative radiometric correction are selected. Subsequently, secondary PIFs are extracted by generated mask filters around the selected PIFs. After performing automatic using the extracted MPs, we could confirm that geometric and radiometric errors are eliminated a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relative radiometric correction using PIFs in geo-rectified images. 위성영상은 취득 당시의 외부 환경적 요소에 의해 기하 및 방사오차가 발생하며, 이는 변화탐지에 있어 오탐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기하 및 방사오차는 전처리과정인 기하보정 및 방사보정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기법과 마스크필터를 활용하여 동시에 기하 및 방사보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SURF 기법을 통해 추출되는 정합쌍(MPs: Matching Points)은 자동 기하보정에 활용되며, 다시기 영상 간 불변특성을 보이는 지역에서 추출된다. 이러한 정합쌍의 특성을 바탕으로 상대방사보정에 활용되는 PIFs (Pseudo Invariant Features)를 선정하고, 선정된 PIFs를 중심으로 마스크필터를 생성하여 2차 PIFs를 추출했다. 추출된 정합쌍들을 활용하여 자동 기하보정을 수행한 후 기하보정된 영상에 PIFs를 활용하여 상대방사보정을 수행한 결과 기하 및 방사오차가 함께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트랜스아이덴티티 인물형상의 표상들

        임대근 한국비교문학회 2020 比較文學 Vol.0 No.81

        This paper argues some representations of the transidentity characters that represented in narratives. Jorge Luis Borges has created a character Funes who cannot fully recognize, perceive, and remember the world in a short story, “Funes the memorious”. He could be a archetype of human being. Funes formally shows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 by Ernst Bloch. He can be further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he identity of the non-identity’. He is also a person who lacks the cognition of ‘object permanence’ as Jean Piaget said. Object persistence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explains whether an object’s identity can be recognized. The character of a person who has complete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within a specific narrative must reveal a representation that can deny his object persistence. The typical representations are costumes, transformations, renaming, (pseudo) masks, or specific materials such as water or fire. Through these representations, readers and audiences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being acquired a new identity or concealing the identity, and natura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Therefore, the way in which the narrative reveals its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 can determine the attitude of the reader and the audience to accept the narrative, which is also related to the genre issue of the narrative. In the case of Funes, the perception of ‘self permanence’ also has a problem. In this regard, the transidentity situation is achieved in such a way that the self permanence of the self or the other’s object permanence is eventually cut off.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some representations that break the other’s permanence toward self. 이 글은 서사체 내부에서 드러나는 트랜스아이덴티티 인물형상의 표상들을 다룬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기억의 천재 푸네스」(Funes the memorious)라는 단편소설에서 세계를 온전히 인식, 지각, 기억할 수 없는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역설적 묘사를 위해 인간 자신의 전형인 푸네스라는 인물형상을 창조한다.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가 제시한 ‘비동시성의 동시성’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을 형상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의 특징은 ‘비동일성의 동일성’(the identity of the non-identity)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는 장 피아제(Jean Piaget)가 말하는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의 인지 결핍 상황이기도 하다. 대상영속성은 대상의 정체성 인지가능 여부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서, 특정한 서사체 내부에서 정체성 전환을 완수한 인물형상은 반드시 자신의 대상영속성을 부정할만한 표상(representation)을 드러내야만 한다. 그 표상은 대표적으로 복장(코스튬), 변신, 개명, (유사)가면 등, 또는 물이나 불과 같은 특정한 요소와 더불어 드러난다. 독자와 관객은 이러한 표상을 통해서 서사체 내부의 인물형상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했다거나, 정체성을 은폐하고 있다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얻게 되고, 자연스럽게 서사의 전개를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서사체가 인물형상의 정체성 전환과정에서 그 표상을 드러내는 방식은 독자와 관객이 서사를 수용하는 태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서사체의 장르화 문제와도 관련된다. 대상영속성 개념은 다른 측면에서 ‘자기영속성’(self permanence)이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트랜스아이덴티티 상황이 결국 자신에 대한 자아영속성을 단절하거나 자아에 대한 타자의 대상영속성을 단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알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자아에 대한 타자의 대상영속성을 단절하는 표상들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