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창섭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남녀관계와 결혼서사

        강유진(Kang, Eu-gen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1960년대 이후 저널리즘이 확대되면서 손창섭은 독자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신문연재 소설로 매체를 바꾸게 된다. 이는 독자층을 확대하고 자신의 소설 세계를 지속하는 결과를 낳았기에, 1960년대 이후 손창섭 소설의 검토는 그의 작가론의 구축에 중요한 지점이 된다. 손창섭 소설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1960년부터 1970년까지의 시기에 발표된 소설은 후기소설로 분류할 수 있다. 후기소설의 테마는 애정문제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가정 내 부부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비판 의식을 이어오는 부부 테마 소설이 대표적이다. 후기의 부부 테마 소설들은 단편 현대소설이 주를 이루는 초기소설과 도일(渡日) 이후의 역사문제 소설들의 가교 역할을 하며 손창섭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손창섭의 부부 테마 연재장편소설은 구성과 주제의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성 주동인물 유형의 소설은 현실의 가부장적 체제의 전복을 도모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새로운 가부장의 질서로 편입되는 결말을 하는 반면에, 남성 주동인물 유형의 소설은 기존의 가족 관계를 해체하고 새로운 형태의 유사가족을 형성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두 유형 모두 사회의 축소된 형태로서 합리적 계약관계인 가족과 부부 관계를 제시하여 한국 사회를 비판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세월이 가면」은 발표시기로 볼 때 후기소설의 선두에 서는 작품으로 이후 발표되는 소설들이 갖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문제작이다. 「세월이 가면」과 「결혼의 의미」는 모두 중요 남성인물이 서울을 떠나서 새로운 가족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며, 이러한 귀농 모티프는 손창섭의 후기소설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결혼의 의미」는 한 여성이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결혼생활을 통해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관습과 가족제도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이 두 소설을 통해 손창섭은 연애와 결혼이라는 일상적 소재를 통해 드러나는 한국사회의 풍속과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사회비판적 작가의식은 한국사회의 일상성에 포섭되지 못하는 이방인으로서의 손창섭의 정체성을 말해준다. In his late works, published after 1960, Son Chang-Seop joined the expansion of journalism and shifted his medium to the serialized newspaper novel. This resulted in expanding his readership while retaining his characteristic novelistic style. Therefore, examining Son Chang-Seop’s novels of the 1960s is an important point for establishing. Son Chang-Seop’s novels published from 1960 to 1670 can be classified as his late novels, if dividing his works into two periods. The main theme of these late works focuses on affection and social conditions i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His late also bridge the gap between his early novels, short modern tales, and even later novels addressing historical issues, published after his move to Japan. They also conta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characteristic of all Son Chang-Seop’s novels. Son’s affection-manners novels have certain similarities in composition and subject. Those with a female main character conclude in failure, after she attempts to subvert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ety or to assimilate into it. Meanwhile, those with a male main character end with a bright prospect for disbanding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and establishing new quasi-family relations. Son’s unique values and attitude towards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 can be found throughout his depictions of those relationships between men, women, and family that are reflective of Korean society. 〈As Time Goes By〉 and 〈The Meaning of Marriage〉 have in common the story of male main character who has left Seoul and had a family. Importantly, this return to farming motif appears constantly in Son’s later works. 〈As Time Goes By〉, the first of the late novels, is a key work mixing many of the elements found in the following ones. 〈The Meaning of Marriage〉 shows how women internalize social mores and the family system, by depicting a woman’s single and married life. In these two novels, Son critically describes the value system and customs of Korean society, which is revealed through customary material, such as dating and marriage. This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reveals Son’s identity, which cannot find a place in Korean social structures.

      • KCI등재

        트랜스아이덴티티 인물형상의 표상들

        임대근 한국비교문학회 2020 比較文學 Vol.0 No.81

        This paper argues some representations of the transidentity characters that represented in narratives. Jorge Luis Borges has created a character Funes who cannot fully recognize, perceive, and remember the world in a short story, “Funes the memorious”. He could be a archetype of human being. Funes formally shows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 by Ernst Bloch. He can be further explained by the concept of ‘the identity of the non-identity’. He is also a person who lacks the cognition of ‘object permanence’ as Jean Piaget said. Object persistence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explains whether an object’s identity can be recognized. The character of a person who has complete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within a specific narrative must reveal a representation that can deny his object persistence. The typical representations are costumes, transformations, renaming, (pseudo) masks, or specific materials such as water or fire. Through these representations, readers and audiences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being acquired a new identity or concealing the identity, and natura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Therefore, the way in which the narrative reveals its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 can determine the attitude of the reader and the audience to accept the narrative, which is also related to the genre issue of the narrative. In the case of Funes, the perception of ‘self permanence’ also has a problem. In this regard, the transidentity situation is achieved in such a way that the self permanence of the self or the other’s object permanence is eventually cut off.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some representations that break the other’s permanence toward self. 이 글은 서사체 내부에서 드러나는 트랜스아이덴티티 인물형상의 표상들을 다룬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기억의 천재 푸네스」(Funes the memorious)라는 단편소설에서 세계를 온전히 인식, 지각, 기억할 수 없는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역설적 묘사를 위해 인간 자신의 전형인 푸네스라는 인물형상을 창조한다.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가 제시한 ‘비동시성의 동시성’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을 형상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의 특징은 ‘비동일성의 동일성’(the identity of the non-identity)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는 장 피아제(Jean Piaget)가 말하는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의 인지 결핍 상황이기도 하다. 대상영속성은 대상의 정체성 인지가능 여부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서, 특정한 서사체 내부에서 정체성 전환을 완수한 인물형상은 반드시 자신의 대상영속성을 부정할만한 표상(representation)을 드러내야만 한다. 그 표상은 대표적으로 복장(코스튬), 변신, 개명, (유사)가면 등, 또는 물이나 불과 같은 특정한 요소와 더불어 드러난다. 독자와 관객은 이러한 표상을 통해서 서사체 내부의 인물형상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했다거나, 정체성을 은폐하고 있다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얻게 되고, 자연스럽게 서사의 전개를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서사체가 인물형상의 정체성 전환과정에서 그 표상을 드러내는 방식은 독자와 관객이 서사를 수용하는 태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서사체의 장르화 문제와도 관련된다. 대상영속성 개념은 다른 측면에서 ‘자기영속성’(self permanence)이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트랜스아이덴티티 상황이 결국 자신에 대한 자아영속성을 단절하거나 자아에 대한 타자의 대상영속성을 단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알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자아에 대한 타자의 대상영속성을 단절하는 표상들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