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19세기 사(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유영혜 ( Young Hye Yoo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이 글은 19세기 사창작의 동향과 이 시기 사문학이 유행했던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한 명의 작가가 많은 수의 사를 창작하는 경향이 생겨나는데, 고려 말에서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사 창작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지만 문집의 한 편제 안에 사를 포함시켜 대량으로 창작하는 경우는 19세기에 가장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에 일관적으로 시여(詩餘)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이 시기 사에 대한 일정한 개념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조선후기의 시문화 안에서 사를 체계화 하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9세기가 되면 <무산일단운(巫山一段雲)>사가 거의 창작되지 않고 대신 새롭게 등장한 사조만 해도 24조나 된다. 연작을 하더라도 각각 다른 곡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여러 명이 어울려 함께 사를 창작하는 모습도 19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9세기 사문학 유행의 배경으로는 우선,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 가창문화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9세기의 사는 가창문화의 발달로 다른 장르들과 결합하면서 보다 진솔한 감정을 드러내는 문학 장르로 인식되었고 이것이 이 시기 다양한 사가 창작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청대의 사 부흥은 당시 중국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던 우리나라의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청대의 문학 서적들이 여러 가지 통로를 통해 우리나라에 다량 유입되었고 아울러 중국 문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당시 부흥했던 사 문학의 유행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세기 주요 사작가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편지나 차운사를 통해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런 문화를 바탕으로 다수의 사를 남기고 있는 작가군이 형성 될 수 있었으며 사창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 사의 진면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시 불렸던 시조나, 소설 안에 등장하는 노래들도 함께 살펴봐야 할 것이며 악부와 사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도 재검토가 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19세기 詞의 전반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니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이나 작가들의 의식은 심도 있게 다루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Sa(詞)" literature trend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19th century. Since the mid-19th century some author started to create a lots of "Sa".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o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Sa" was created continuously. But the "Sa" started to have a great vogue at 19th century, such as including "Sa" in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People was constant in using "Si_Yo(詩餘)", which means basic concept of "Sa" has been built. And this "Si_Yo" word also means there were great effort to organize this "Sa"_literature in poem_literature category. We can fine The first background of The Vogue in 19th century from "Ga_Chang(歌唱)" literature in 18th century. From end of 18th century, "Ga_Chang" was developed and was combined with other literature. So "Ga_Chang" became a genre which can express various emotions. This "Ga_Chang" gave opportunity for various "Sa" creation. The second background is the "SA" Vogue in the China. At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introduction of books. And writers exchanged their thoughts. For last background, writers shared their creations by the letter and "Cha_Un_Sa(次韻詞)". This sharing made writer group and gave opportunity for various "Sa" creations. This paper couldn``t show the individual works or the detail analysis. but this paper will explain the overall "SA" trend in 19th century.

      • KCI등재

        사진실 선생의 학문 세계에 대한 참여 관찰기

        허용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This article examines the academic world of Professor Sa jin-sil. This article is not a detailed and rigorous assessment of Prof. Sa's work. During my directly or indirectly meeting with Prof. Sa jin-sil, the writing was based on my experiences. This is why the theme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records" is attached. I was aware that this writing would become a customary and formal funeral speech. Because I thought Prof. Sa also did not want formal and customary writing. The initiation of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al records that I describe was the literature study of Prof. Sa. What I am about to say in the title of the table of "Known Performance and to Revalue." There I summarized my thoughts on what Prof. Sa contributed to the research of the literature study on traditional performance and my opinion of the justice of the assessment of her contributions. I have not recommitted again about contributions or achievements that have already been widely recognized. What I noticed here was what was to be revalued. I once again stressed the achievements that were not properly evaluated despite their importance and significance. In the ensuing discussion, I looked at Prof. Sa's entirely different academic side. I call the passage "an unexpected result against prejudice." The subjects covered were Prof. Sa's field-contextual studies. Prof. Sa is often referred to as a dramatical history or a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cholar who studies literature. Such an idea is so common that it is easy to overlook field-contextual research results, not literature-based. But I think this is prejudice. That is why the title of the table of contents has the words 'unexpected' and 'prejudice'. Here I actively emphasized and evaluated Professor Sa's achievements in field-contextual studies. 이 글은 사진실 선생의 학문 세계에 대해 살핀 것이다. 사진실 선생의 연구 성과에 대한 섬세하고 엄밀한 평가라기보다는, 그와의 직ㆍ간접적인 만남 속에서 필자가 생각했던 것들을 정리했다. ‘참여 관찰기’라는 논제가 붙은 연유가 여기에 있다. 필자는 이 글이 관례적이고 형식적인 추도사가 되는 것을 경계했다. 사 선생 역시 형식이고 관례적인 글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필자의 참여 관찰기는 사 선생의 문헌 중심 연구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알려진 성과와 재평가될 것들’이라는 목차 제목이 필자가 말하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전통연행 관련 문헌 연구에서 사 선생이 기여한 바와 기존 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필자의 생각이 여기서 정리되었다. 이미 널리 알려진 기여나 성과에 대해서는 새삼스럽게 재론하지 않았다. 여기서 필자가 특별하게 살핀 것은 ‘재평가될 것들’이었다. 그 중요성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것, 어쩌면 이제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어 쉽게 지나쳐 버리는 성취를 새삼 강조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사 선생의 전혀 다른 학문적 면모를 살폈다. 필자는 이 대목의 제목을 ‘편견에 맞선 의외의 성과’라 붙였다. 여기서 다루어진 대상은 사 선생의 현장 중심적 연구들이었다. 흔히 사진실 선생을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연극사학자 혹은 전통공연예술학자라 평가한다. 필자는 이것이 편견이라 생각한다. 워낙 그러한 생각이 일반적이어서, 문헌이 아닌 현장을 바탕으로 한 연구 성과를 간과하기가 쉽다. 목차 제목에 ‘편견’과 ‘의외’라는 표현을 한 이유이다. 여기서 필자는 사 선생이 현장 중심의 연구도 했다는 식의 논의에 그치지 않았다. 현장 연구에서 그가 이루어낸 성취를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평가했다.

      • KCI등재

        이육사의 사상적 실천 의지와 시적(詩的) 아나키

        조동범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7

        Lee, Yuk―Sa is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literary man and also an independence activist. However, his anarchistic activities have not been fully known. Even 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es on the anarchistic characteristics of Lee, Yuk―Sa’s poetry, his poetry has been just known as nationalism literature in the literary world and the site of education. Of course, certainly, Lee, Yuk―Sa’s life and poetry hold onto the nationalism. However, when Lee, Yuk―Sa’s poetry was interpreted only in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resistance, the possibility of other interpretations was declined.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Lee, Yuk―Sa’s life and anarchism is the empirical fact that has been widely known without objections. Even though the relation between Lee, Yuk―Sa’s life and anarchism has been historically recognized, his life as an anarchist has not been specially noticed. As Lee, Yuk―Sa’s life was in the spotlight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Lee, Yuk―Sa became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poet.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Lee, Yuk―Sa’s anarchistic activities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the fact that Lee, Yuk―Sa joined the Heuguhoe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or that fact that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 member of heroic corps proves that he had a deep self―consciousness as an anarchist. In Lee, Yuk―Sa’s life, the anarchism was not fully highlighted because of the destiny of anarchism that disappeared in the history. The anarchism refusing the systematic organization gradually lost its power and then disappeared in the history, which is led to the evaluation of Lee, Yuk―Sa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instead of anarchism. Due to the declined anarchism, the Korean history of anarchistic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reduced than the reality. However, the Korean anarchism and the Korean history of anarchistic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berated space, had the considerably wide base and competenc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 lot of intellectuals and writers worked as anarchists and anarchist literary men by sympathizing with the anarchism and anarchism literature. Therefore, the fact that Lee, Yuk―Sa devoted himself to the anarchism is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 consciousness. It was extremely natural for Lee, Yuk―Sa who took the anarchism as the ideological basis to contain his desire for independence in his works. Therefore, Lee, Yuk―Sa’s longing and will for liberty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anarchism. 이육사는 민족주의 문학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널리 알려졌다. 그가 아나키즘과 관련하여 사상적 실천 의지를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아나키즘을 토대로 한 문학적 지향 의지에 대한 연구 역시 다르지 않다. 오히려 아나키즘 문학의 관점은 철저히 배제되었다. 이육사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에 관한 일부 연구 성과가 있지만 이육사의 시는 그동안 문학계, 교육현장, 학계 등을 가릴 것 없이 대부분 민족주의 문학의 입장에서 다루어졌다. 이육사의 시를 저항을 기반으로 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만 해석함으로써 아나키즘을 비롯한 다른 관점은 철저히 배제되었다. 이육사의 생애와 아나키즘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것은 실증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견이 없다. 하지만 이육사의 삶과 아나키즘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육사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생애는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육사의 아나키스트 활동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은 매우 미약하다. 하지만 이육사가 일본 유학 시절 흑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한 것이나 의열단 단원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한 것은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이 깊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하지만 이육사의 생애는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다. 또한 이육사 시에 대한 한국 문단의 입장 역시 마찬가지여서, 이육사는 민족주의 계열의 대표적 시인으로 한국문학사에 각인되었다. 이육사의 생애에서 아나키즘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것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나키즘의 운명 때문이었다. 아나키즘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를 비롯한 사회 전반에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마르크시즘, 민족주의 진영과의 대결에서 패배한 뒤 급속이 세력이 약화되었다. 더구나 아나키즘은 조직을 거부하고 무강권주의를 주창하는 등 일반적인 진영의 세력화와 배치되는 입장을 지니고 있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해방 이후 1950~60년대까지 명백을 유지하던 아나키즘은 사실상 사라지게 되었다. 아나키즘 문학의 운명 역시 아나키즘과 다르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많은 작가, 지식인에게 반향을 불러일으켰지만 마르크시즘 문학 진영, 민족주의 문학 진영의 공격을 받으며 한국문학사에 간단히 언급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마르크시즘 문학 진영으로부터는 당파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민족주의 문학 진영으로부터는 몽상가라는 비난받았다. 물론 이것은 아나키즘과 아나키즘 문학에 대한 몰이해 때문이었다. 더구나 해방 이후 아나키즘 문학 진영에 속한 작가들의 작품이 타 진영으로 한국문학사에 소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 역시 아나키즘, 아나키즘 문학이 아닌 민족주의, 민족주의 문학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의 한국 아나키즘과 한국 아나키즘 독립운동사는 상당히 넓은 저변과 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상당수의 지식인과 작가가 아나키즘과 아나키즘 문학에 동조하여 아나키스트와 아나키즘 문학인으로 활동했다. 따라서 이육사가 아나키즘에 투신했다는 것은 독립운동, 민족의식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실이다. 아나키즘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던 이육사가 해방에 대한 열망을 담아 아나키즘에 입각한 작품을 쓴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따라서 이육사의 작품에 나타난 해방에의 갈망과 의지는 아나키즘의 관점으로 해석...

      • KCI등재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 수용의 문제

        박용찬(Park, Yong-cha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5

        본고는 이육사 시의 국어교재 정착과정과 문학교실에서의 수용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착과정은 주로 이육사 시가 국어교재에 교육정전으로 편입되는 과정을 다루는 것이고, 수용의 과정은 이육사 시의 교수․학습방식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정전으로 이육사 시가 처음으로 수록된 것은 국어교과서에 앞서 독본류 국어교재류에서 먼저 정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해방직후 발간된 사범대학국문학회 편찬,『고급국어』1(범인사, 1947)에서 「청포도」와 「광야」가 처음으로 수록되었으며, 한국전쟁기인 피난지 부산에서 발행된 조향 편, 『현대국문학수』(자유장, 1952)에 「청포도」, 「연보」, 「절정」, 「아편」, 「광야」 등이 실렸다. 이는 문학 장에서 시선집(사화집)을 중심으로 정전화되었던 이육사 시가 교육정전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차교육과정부터 국어교과서에 본격적으로 자리 잡은 작품은 「청포도」와 「광야」였다. 「청포도」와 「광야」가 오랫동안 변함없이 교육정전으로 대우받다가 1980년대를 지나면서 「절정」, 「꽃」, 「교목」 등이 추가되었다. ‘순수/민족의 검열체계’를 통과할 수 있는 표지를 갖고 있었던 이들 작품들은 소위 ‘신비평적 조건’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기에 교육정전으로 공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었다.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이육사 시는 우리 문학교실에서 주로 역사주의 비평과 신비평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 그래서 작가의 삶이나 독립지사로서의 행적, 또는 일제강점기란 시대를 중심으로, 아니면 텍스트의 내부 맥락 또는 비유나 상징 같은 분석주의적 지식을 통해 교육되거나 해석되기 일쑤였다. 이러한 방식이 가진 문제점은 알레고리보다는 ‘다치적 사고의 산물’이랄 수 있는 상징을 적극 활용하거나 학습자들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시읽기 과정 등을 통해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ettl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Lee Yuk-sa and the process of acceptance in the literature classes.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canonization process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latter concer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education canon is firml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textbooks, literature readings, explanatory books, classes, and evaluation. Lee Yuk-sa’s poems were included for the first time as an education canon in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extbook, Advanced Korean Textbook(vol.1) (1947). In this book, “Green grape” and “Extensive plain” were included. Afterwards, The Sel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orks(Cho Hyang ed., 1952) was published in Busan, a place of refuge in 1952, during the Korean War. In this book, “Green grape”, “Chronology of life”, “Climax”, “Opium”, and “Extensive plain” were canonized. It was from the first curriculum that poems of Lee Yuk-sa entered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in earnest. Up to now, five pieces of Lee Yuksa’s poems have been canoniz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Green grape”, “Extensive plain”, “Climax”, “Tall Tree” and “Flower”. It can be seen that 5 out of 11 poems from Lee Yuk-sa which were canonized centering on anthology(collection of pomes) in the literature field are transitioning to an education canon. Lee Yuk-sa’s poem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long been under the influence of historical criticism, or New Criticism. Lee Yuk-sa is educated as a representative resistance poet in the secondary school literature classroom, and learners read most of Lee Yuk-sa’s poems in the context of resistance poetry. Or an analytic method of interpreting poetry that utilized knowledge of rhyme, metaphor, symbol, image, irony, and paradox was popular. Considering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path of Lee Yuk-sa’s poetry so far,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following points agai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Lee Yuk-sa"s poems. First, it is necessary to avoid reading the poems of Lee Yuk-sa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verly allegoric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accept various interpretations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 students must actively and subjectively read poems based on their internal and external bases.

      • KCI등재

        중세 힌디어 박띠문학

        김우조(Kim, Woo-j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6 남아시아연구 Vol.21 No.3

        중세 인도에서 범인도적으로 성행했던 대중적 성격의 종교운동인 박띠(Bhakti)운동을 배경으로 나온 힌디어 박띠문학의 가장 큰 특징은 대중을 위한 문학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힌디어 박띠문학의 이러한 대중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박띠가 대중운동으로 발전하여 힌디어 사용지역인 북부 인도의 대중에게 수용되는 과정과 북부 인도의 힌디어 박띠문학의 분류에 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 대표적 시인의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신에 대한 이해, 박띠의 길과 그 수행방식 그리고 형상화와 문학담당층에 나타난 대중성을 구명하며 대중을 위한 문학이면서 더 나아가 대중에 의한 문학으로서 힌디어 박띠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nature of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on the basis of textual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works by the great Bhakta poets of the time. Hindi Bhakti literature for the populace can be considered as the natural result since it is a product of Bhakti Movement which was the massive religious movement in medieval India. After the acceptance of Bhakti and Bhakti Movement by people in northern India many masterpieces of great Bhakta poets belonging to diverse branches of different streams had come out. And the traits of trend of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can be traced in the several aspects of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Their understanding towards the Supreme Divine Being with emphasizing on the importance of the path of bhakti for attaining emancipation (Mokṣa) in spite of the differences in their ways of performances of devotion can be a significant trait of the trend of Hindi Bhakti literature for the populace. And the adoption of poetic meters and forms prevailed among people as well as regional languages as poetic language can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populace. Above all,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was the unique literature of all kinds of people transcending castes, gender, religion etc. in in medieval India. In sum, Medieval Hindi Bhakti literature can be highly evaluated as the literature of and for the people.

      • KCI등재

        한,중 근대문학 비교의 쟁점: 이육사의 문학적 모색과 루쉰

        박성창 ( Sung Chang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works of Lu Xun, one of those representative figure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While studying in China, Lee Yook-sa became interested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striving to introduce and tranlate it. In June 1933 he became first Korean literary figure to meet Lu Xun. The meeting with Lu Xun awalened a strong sense of ‘literary engagement’ for Yook-sa. The era when Yook-sa wrote poem was characterized by not only physical oppression but also darkness and pain that hardly allowed any propspect. Lee Yook-sa’s poetry became revolutionary after he had found the radical consciousness in closely related ‘literature and revolution’ figured in the works of Lu Xun. Through Lu Xun’s work, Yook-sa found a perspective on the idea of unifying literature and politics. Lu Xun also stresses the practice of ‘liren(立人) to develop one’s personality and mind. An illustrative example of ‘liren(立人) is a ’superman’, a ‘warrior of the mental world’, who has stern attitude and high moral standards. in this respect, Lu Xun’s ‘liren(立人) closely resembles to ’superman(超人)’ emphasized by Lee Yook-sa.

      • KCI등재

        朝鮮中期에 나타난 文學的 典範에 대한 논란에 관하여―柳夢寅․李睟光․申欽․許筠을 중심으로

        신승훈(Shin Seung-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는 문학 이론이 多邊化되는 양상을 보이는 시기이다. 전통적인 규범으로 자리를 잡은 載道論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 시대의 사장옹호론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면이 많다. 그보다는 이 시기의 문학 이론이 다변화의 양상을 보인 원인을 임진왜란ㆍ병자호란 등의 전란과 그 복구 과정에 발생한 知性界의 반성적 자각과 戰亂에 救援한 明과의 활발한 교류에 기인한 외부의 자극, 양명학이라는 새로운 사상의 충격파, 명ㆍ청의 교체에 기인한 국제 정세의 변화와 조선의 位相 정립과 對處에 대한 논란 등에서 찾는 것이 실상에 가까울 것이다.   이 시기에 활동한 많은 문장가들이 있었는데, 월상계택으로 통칭되는 고문가들을 비롯하여 팔문장이라 일컬어지는 문장가들이 있었다. 이들은 묶어서 논의할 수 있는 문학적 공감대 내지 공통적 지향을 가졌던 인물이라기보다 단순히 같은 시대에 활약한 특출한 문장가들이었다. 즉 모두 가 나름의 문학적 지향과 견해를 가지고 독창적인 문학 세계를 만들려고 하였던 것이다. 한편에서 기존의 문학관에 대한 회의와 이탈 현상을 보이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더욱 공고히 載道論的 문학관을 고수하는 경향이 보였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이 둘 사이의 절충적 지점에 위치한 문학관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다. 여기서 논하려는 於于 柳夢寅(1559~1623), 芝峰李?光(1563~1628), 象村 申欽(1566~1628), 蛟山 許筠(1569~1618)은 주로 절충점을 모색하거나, 기존의 문학관에서 이탈한 면모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는 문장가들이다.   이들은 문장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바탕 위에서 문장의 개념을 한 차원 높은 것으로 끌어올렸다. 예컨대 유몽인은 문장을 立言垂後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수광은 詩의 재능과 文의 재능이 별개의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였고, 신흠은 修辭의 차원인 ‘詞’를 내용과 主題意識의 차원인 ‘理’와 대등하게 보았으며, 허균은 문학의 본질적인 효용과 기능에 있어서는 사회의 현실과 삶의 진실을 담아내는 것이라야 진정한 문학이라 인식하였다. 이는 전대의 載道論的 文學觀에서 다소 벗어나 문장의 독자적인 가치를 긍정한 것이며, 문학의 본질과 기능에 대해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It is in the period between the later 16th century and the earlier 17th century that appears the phase of diversification in the theory of literature. Moreover It is at that time that appears the movement of escaping from ‘Jae-Do-Ron"(載道論: Jae-Do-Ron is the idea that the literature is a sort of container that contains the Confucian morality) that has occupied a position as a traditional rule.   The cause why appears the phase of diversification in the theory of literature at that time is like that. The first, the Wars like Im-Jin-Wae-Ran(壬辰倭亂) and Byoung-Ja-Ho-Ran(丙子胡亂) etc. The second, the intellectuals" self-examination and self-consciousness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e third, the outside stimulation caused by the ac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o-Sun(朝鮮) and Myoung(明) while Myoung(明) rescued Cho-Sun(朝鮮) in the war. The fourth, the impact of Yang-Myoung-Hak(陽明學), the new thought. The fifth,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caused by alternation between Myoung(明) and Cheong(淸). The sixth, the argument over Cho-Sun(朝鮮)"s taking a position and coping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during the war.   This thesis deals with Eo-U Yu Mong-In(於于 柳夢寅), Ji-Bong Lee Su-Kwang(芝峰 李?光), Sang-Chon Shin Heum(象村 申欽), Kyo-San Heo Kyun(蛟山 許筠) mainly. They recognized the value of literature and on the basis of that recognition, they promoted the conception of literature.   For example, Yu Mong-In(柳夢寅) recognized a literature as the valuable something that could immortalize one"s writing(立言垂後). Lee Su-Kwang(李?光) distinguished the ability of prose from the ability of poetry and he recognized them as a separate one clearly. Shin Heum(申欽) thoght that Sa(詞) and Li(理) were on an equal level. At this point, Sa(詞) is on the rhetorical level and Li(理) is on the substance and subject consciousness level. Heo Kyun(許筠) recognized the essential utility and function of literature as something that ought to be able to contain the reality of society and the truth of life.   The four writers" recognition about literature escapes from the former generations" viewpoint of literature ‘Jae-Do-Ron"(載道論) a little bit. And it affirms the independent value of literature. Moreover it examines the essence and func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문학관 유형에 따른 공간 스토리텔링 활용 연구 -"노작 홍사용문학관"을 중심으로

        안숭범 ( Soong Beum Ahn ),최혜실 ( Hye Sil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51

        본고는 유명 문인의 생애와 그의 작품을 회고하는 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는 문학관의 스토리텔링을 논의한다. 아직 문학관의 공간구획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해서는 학술적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조성된 문학관을 중심으로 문학관의 유형을 먼저 분류해 보고, 문학관 조성에 적용될 수 있는 공간 스토리텔링을 궁구해 보았다. 내용을 요약하면, 일단 기념 대상과 전시물 내용을 기준으로 ``문인콘텐츠 문학관``과 ``문학콘텐츠 문학관``이 구분되었다. 또한 문학관 조성 장소로서 입지를 기준으로 ``작품 배경형 문학관``과 ``작가 배경형 문학관``을 구분지을 수 있었다. 이 글이 분석 대상으로 삼은 ``노작 홍사용문학관``은 문인콘텐츠 문학관이면서 작가 배경형 문학관으로 공간 활용과 동선 설계,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노작 홍사용문학관``을 분석한 결과, 우선 홍사용의 문학적 업적과 활동 영역을 고려할 때, 개별 공간의 테마 설정에 다소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관람객과의 쌍방향 스토리텔링을 고려한 공간 구획과 동선 설계가 아쉬웠다. 그러나 관람객의 수준·연령·관심사 등을 고려한 한시·상시 프로그램들이 적절히 운영됨으로써 문학관을 중심으로 지역 문화예술이 활성화되고 있었다. 지역의 장소성을 각인시키는 공간으로 점차 개선되어 간다면, 성공적인 문학관 운영 사례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이후 조성될 문학관은 문인의 업적과 자취를 보존해나가면서도 문화예술에 관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더 섬세한 기획을 거쳐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 literature museum`s storytelling, being created as the space recalling well-known writer`s lifetime and his works. Academic studies about space division and program operation of literature museum does not seem to hit the stride yet. So in this study first tried to classify the types of literature museum focused on literature museums already made, and investigate throughly for space storytelling applicable in creation of literature museum. To sum up, first ``writer contents literature museum`` and ``literature contents literature museum`` has classified by target to commemorate and contents of display. Also as literature museum created place able to divide ``work`s background literature museum`` and ``writer`s background literature museum`` by location. This study`s analyzed target ``Nojak Hong Sa-Yong Literature Museum`` is meaningfully suggestive in space usage and circulation plan, and operating program, being as writer contents literature museum and writer`s background literature museum. As a result of analyzing ``Nojak Hong Sa-Yong Literature Museum``, taking priority considering Hong Sa-Yong`s literary achievement and field of activity, it seemed to find a slight problem in theme set-up of individual space. Space division and circulation plan considering two-way storytelling between spectators were also not enough. But proper operation of temporary, permanent programs considering spectators` standard, age, interest and others was vitalizing local cultural arts with literature museum as the center. If the museum gradually improves as space able to imprint local placeness, it can be expected as successful operation case of literature museum. Literature museums looking forward to be made should go through more detailed plans to become the local landmark of cultural art and preserve the writer`s achievement and trac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주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3

        〈漢京詞〉는 중암 강이천이 18세기 후반 서울의 풍경을 소재로 하여 창작한 106 수의 장편시이다. 〈한경사〉는 서울의 다양한 생활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중암이 지녔던 문학관이 시의 창작에 반영되었음을 확인시킨다. 중암은 문학의 본질과 문학을 창작하는 인간의 역할, 태도에 대한 뚜렷한 견해를 갖고 있었다. 그는 천지에이미 문학이 있으며, 천지가 인간에게 기대어 문학의 형태를 갖고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천지 안에서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인간은 온갖다양한 현실의 근원이 되는 이치를 발견하여 문학 안에 담고자 한다. 문학을 창작하는 자는 자신이 속한 현실에 충실함으로써 진실함을 추구해야 한다. 진실한 문학은 필연적으로 변화하고 소멸하는 모든 것들이 문학의 형태로 영구해질 수 있게한다. 중암은 〈한경사〉에서 같은 소재가 전혀 다른 양태로 존재하는 모습을 대비함으로써 삶의 다면성을 표현했다. 삶의 다양한 양상이 모두 진리를 품고 있으며, 문학은 삶을 진실하게 기록해야 한다는 그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모습을 시 속에서 볼 수 있게 했다. 중암은 무상하고 유한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근원적이고 영원한 것을 추구한다면 그것은 문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겼다. 시의 말미에 등장하는 인물이 인간사의 무상함을 생각하며 수심에 잠기는 모습은 시인이 지녔던 정서의 기저를 보여준다. 중암은 문학과 인간에 대한 자신의 사유를 바탕으로 〈한경사〉를 창작해 당대 서울의 모습과 그 안의 삶을 진실하게 전하고자 했다. 〈Han Kyung Sa 漢京詞〉 is a long poetry with 106 stanzas where Joongam Kang Ichun portrays the scenary of Seoul in late 1800s. <Han Kyung Sa> describes the various lives of Seoul, and it showcases the influence that his view of literature had on the creation of the poem. He has a distinct opinion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humanities role and attitude in the creation of literature. He considers that literature is already exist in the world, and the world can be literature relying on humanity. Human beings living and experiencing the world tries to discovered the logic behind the fundamentals of various and diverse realities, and accommodate it into literature. A person who's creating literature must be faithful to the associated realities, and must pursue truth. Honest literature allows everything that could expire inescapably to be eternal in the form of literature. In <Han Kyung Sa>, Joongam, by contrasting the existence of same subject matter in dual form, expresses many facets of life. It reflects his thoughts that various dualities of life all contains truth, and literature must truthfully make records of such life. Additionally, readers can see the changes in human life as time goes by. Joongam believed that human beings live changing and finite life, and if they seek origin and permanence, than i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literature. The character,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poetry in a state of deep anxiety when thinking about the finiteness of humanity, reflects the emotional foundation of the poet. Joongam, by creating <Han Kyung Sa> based on his view of literature and human beings, intended to truthfully convey the image of Seoul and the lives within it at the time.

      • KCI등재

        사아디의 장미원에 나타난 도덕론29) - 「왕과 다르비쉬(수피)들의 도덕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신규섭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8 No.-

        Golestan(Rose Garden) of Sa‘di Shirazi(1291 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sterpieces in world literature. The Sa‘di’s poetry contains moral truth and profound teaching for the better life. Golestan in the form of anecdotes and short stories is consisted of 8 chapters as the consorted style of poem and prose. This article is dealt with Ⅰ&Ⅱ chapters(Morals of King and Darvish/Sufi) of Golestan , which is the core of the works. Like the most poets in medieval era, Sa‘di is regarded as sufi poet, as well. Sa‘di has the another title as moralist, however. In relation with morals, Sa‘di was a famous poet in the middle ages. I analyze Sa‘di’s poetry, focusing on the examples related to morals. As a result, I try to define it in the end. According to Persian materials, definition of morals is divided into two elements. One is the recognition on justification of values. The other is the abandonment of vices and explanation about gaining method of virtues. In this article, the former is applied to 「Morals of King」 and the latter is true of 「Morals of Darvish(Sufi)」. Two elements mentioned above is connected with Zoroastrianism and Buddhism in Persia. The remained thought of Buddhism in ancient Persia is the Morals(Akhlagh in Persian) and Islamic Sufism in the medieval era. Medieval Morals is derived from the dualism of Persia. The core of dualism is the ‘matter of selection’ for the better values. Due to the Morals and Sufism from the ancient Buddhism in Persia, the greatest aspect of Morals is the mystic concept on Love with God, which is the derivatives connected Pantheism(Mysticism) and Monotheism(God). All the moral principles are derived from this concept and Love is the core of Sufism. Although the moral aspect is tied to the pursuit of worldly wisdom in Sa‘di’s literature, Sa‘di is ultimately reciting sufi literature. 일화(逸話)의 형태로 빚어 놓은 모스레후딘 사아디 쉬러지(Mosleh-ud-din Sa‘di Shirazi, 1291 죽음)의 장미원(Golestan/Rose Garden) 은 세계문학의 걸작으로 간주된다. 사아디의시는 더 나은 생을 위해 도덕적 진리와 심오한 가르침을 설파하면서, ‘시와 산문’의 혼합형태로 우화와 금언을 담고 있다. 사아디는 중세 페르시아의 대시인들 중에서 수피(Sufi) 시인이면서 도덕주의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본 연구는 사아디의 < 장미원 에 나타난 도덕론- 「왕과 다르비쉬(수피)들의 도덕에 대하여」를 중심으로>라는 논제이며, 연구대상은 장미원 의 Ⅰ&Ⅱ장으로 가장 핵심적인 내용에 해당한다. 필자는 왕과 다르비쉬(수피)의 도덕론에 관한 내용을 읽으면서 분석하고, 번역 실례를중심으로 왕과 다르비쉬의 도덕론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페르시아어 자료에서 흔히 정의하는 도덕학은 두 가지로 하나는 가치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이며, 다른 하나는 악의 포기와 덕의 습득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양분된다. 본 논문에서 전자는 주로 왕의 도덕론에, 후자는 다르비쉬의 도덕론에 적용된 측면이 있다. 앞서 언급한 두 요소는 고대 페르시아의 주요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와 불교사상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고대 페르시아 불교 사상이 중세 이슬람 문화에 존속한 것이 도덕(아클럭/Akhlagh)과 수피즘이다. 도덕은 페르시아 이원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원론의 핵심은 ‘선택의 문제’이며, 더 나은 가치를 취하는 문제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중세 페르시아 도덕론과 이슬람 수피즘은 고대 불교 사상의 잉여물이기에, 도덕의 가장위대한 측면은 고대 범신론(신비주의)과 일신론(신)의 만남으로 빚어지는 신과의 사랑에 대한 신비적인 개념이다. 모든 도덕과 윤리적인 원리는 사랑의 이런 개념에서 비롯되고 사랑론은 수피즘의 중핵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아디 문학에서 도덕적인 원리는 세속적인 지혜를 구하는 도덕 본연의 의미와도 연결되지만, 종국적으로 수피 문학을 설파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