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의 성과관리에 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분석

        김선희(Sun-hee Kim)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선(先) 재정지원, 후(後) 성과관리’라는 교육부의 대학평가 방향 전환에 따라 대학의 성과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의 성과관리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그중에서도 특히 교육성과관리에 관한 연구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분석한 후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통합문헌조사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42편의 논문을 시기별, 연구방법별, 주제별로 분석하였고, 교육성과관리의 주요 연구대상과 주로 활용된 성과관리모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의 성과관리에 대한 국내 학술연구는 대학조직 차원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가 69%를 차지하였으나 2019년부터 교육성과관리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성과관리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비교과 프로그램의 성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외에도 분석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에서의 (교육)성과관리를 위한 성과관리체계 개발 및 영향요인, 효과분석을 위한 양적 연구 수행, 교과교육과정의 성과관리를 위한 맞춤형 성과관리모형 개발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s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valuation changes to ‘first, financial support, and then performance management later’,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performance management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overall trends of domestic academic research 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higher education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 total of 42 papers were analyzed by period, research method, and subject. In addition,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and the mainly used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future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conduct quantitative research for influencing factors and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 customized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curriculum performance evaluation of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 허용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인식연구

        박미숙(Misuk Park),최희(Hee Choi),채보근(Bogeun Chae),안동관(Dongkwan An)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 허용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인식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E-9) 대학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외국인근로자(E-9)에게 대학교육을 제공하는 대학관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관계자들은 외국인근로자(E-9) 대학교육 허용에 대해 바람직한 결정으로 인식하였다. 한국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전문대학의 학생 수가 감소하여 전문대학들은 재정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은 시기적절한 결정이었다. 둘째, 전문대학들은 외국인근로자(E-9) 대상 산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운영계획을 마련하고 있었다. 유학생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관계자들은 외국인근로자(E-9)들이 대학교육을 받은 후 개인에서부터 학교, 기업, 지역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E-9)가 전문적인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마련하고 외국인근로자 특성에 맞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점검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외국인 근로자가 졸업 후 지역사회를 이탈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국가의 인적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근로자(E-9)가 단순히 노동력을 제공하는 인력의 측면을 넘어 외국인근로자를 양성하여 한국의 기술을 전수하고 세계적인 한국으로 부상하는데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officials on the provision of university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E-9), and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foreign workers(E-9) study abroad based on thi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university officials who provide university education to foreign workers(E-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iversity officials recognized the provision of foreign workers(E-9) study abroad as a desirable decision. The university education of foreign workers(E-9) was a timely decision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at junior colleges decreased as Korea's education level increased, and junior colleges were in financial crisis. Second, an operation plan was prepared to conduct industrial consignment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E-9). They were planning a systematic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based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rd, university officials recognized that foreign workers(E-9) would have a positive ripple effect in various areas, from individuals to schools, businesses, communities, and countries, after receiv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for learning where foreign workers(E-9) can cultivate professional knowledge and develop and inspect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foreign workers to use it as a human resource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untry without leaving the community after gradu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foreign workers(E-9) will be able to train foreign workers beyond the aspect of the workforce that simply provides labor, transfer Korean technology, and play a role in emerging as a global Korea.

      • KCI등재후보

        민간경비 관련 국내연구 분석

        조철규(Cho, Cheol-kyu)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민간경비분야에서 대표적인 학회로 볼 수 있는 한국경호경비학회, 한국민간경비학회, 한국치안행정학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민간경비 관련 연구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민간경비 연구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목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민간경비와 관련된 논문 중 한국경호경학회 93편, 한국민간경비학회 95편, 한국치안행정학회 19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업종별, 주제별, 연구방법에 따라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도별 민간경비관련 연구는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지만 3개 주요학회지 게제된 민간경비 연구는 한국민간경비학회, 한국경호경비학회, 한국치안행정학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종별로 논문 분포도를 살펴보면 공통 126편(60.9%), 시설경비 41편(19.8%). 특수경비 23편(11.1%), 신변보호 11편(5.3%), 기계경비 6편(2.9%), 호송경비 0편(0%)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별로 논문분포를 살펴보면 산업·경영 104편(50.2%), 법·제도 46편(22.2%). 교육·자격 32편(15.5%), 범죄·안전 17편(8.2%), 공·사 협력 8편(3.9%)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간경비관련 논문은 양적연구가 79편(38.2%), 질적연구가 128편(61.8%)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purpose of researches on private security by considering the researche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societies of private security in Korea such as the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and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Thu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hese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including 93 theses from the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95 theses from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and 19 theses from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according to each year, business type, theme,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obtain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re were no huge differences in the researche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in each year, the researches on private security published in those three major journals were shown in the order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and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ses in each business type,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126 theses(60.9%) on commonness, 41 theses(19.8%) on facility security. 23 theses(11.1%) on special security, 11 theses(5.3%) on personal protection, 6 theses(2.9%) on electronic Security, and 0 theses(0%) on escort security.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ses in each research field,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104 theses(50.2%) in industry/management, 46 theses(22.2%) in law/system. 32 theses(15.5%) in education/qualifications, 17 theses(8.2%) in crime/safety, and 8 theses(3.9%) in public-private cooperation. Fourth, the these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included 79 theses(38.2%)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nd 128 theses(61.8%)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 예비부모의 영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박은주(Eun-Ju Park)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 예비부모의 영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45명의 고등학생으로, 연구 설문은 기대하는 자녀 수, 원하는 자녀 성별, 자녀가 필요한 이유, 원하는 자녀교육 형태, 자녀교육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 자녀에게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교육, 기본생활습관 및 인성교육의 가장 좋은 방법, 자녀교육의 한 달 비용, 우리 아이가 가장 되었으면 하는 장래희망, 자녀가 자라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로 2명의 자녀를 기대하고, 성별에 상관없이 원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대감과 창조·성취감이 자녀 필요 이유로 강조되었다. 원하는 영유아기 자녀교육 형태는 부모로 나타났고, 인성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인성교육과 기본생활습관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강조되었다. 자녀교육의 한 달 비용은 50∼1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고, 자녀의 장래희망은 주로 자녀가 바라는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의 교육·양육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영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of prospective high school students o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5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G Metropolitan High School. The research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number of children expected, the gender of the desired child, the reason why the child is needed, the desired form of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most important points when educating infants and toddlers, the education that should be given the most priority to infants and toddlers, the best way to educate infants and toddlers about basic lifestyle habits and personality, the cost of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one month, the future hope that our child will become the most, and the most influential for infants and toddlers to gro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SPSS 23.0, the respondents showed a tendency to expect two children and want them regardless of gender, and emphasized bonding and a sense of creation and achievement as reasons for needing children. The desired form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ppeared to be parents, and character education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addition, personality education and basic lifestyle habits were shown to be the education that should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opinion that it should be carried out naturally at home was emphasized. The monthly cost of children's education was less than 50 to 1 million won, and the children's future hopes were mainly what the children wanted, and the parents' education and upbringing method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of childre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n Korea.

      • KCI등재후보

        보육 교사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안전지식

        변길희(Byon, Kil-Hee) K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학리뷰 Vol.6 No.2

        본 연구는 보육 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33명이다. 연구 도구는 백서윤(2013)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김영옥(2021)의 안전지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의 목적으로 ‘자신과 남의 생명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게 해 준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안전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영유아 교육시설에 근무하며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었으므로 안전교육은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로는 ‘안전에 관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 교사의 안전지식에서는 눈에 모래가 들어간 상황과 유아의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간 상황에서의 응급처치에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화상을 입은 상황과 친구에게 물린 상황에서의 응급처치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을 가진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보육 교사의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knowledge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3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buk-do. As a research tool, Baek Seo-yoon (2013) s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nd Kim Young-ok (2021) s safety knowledge questionnair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urpose of safety education was to “cultivate an attitude that respects oneself and others lives.” In terms of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he highest perception was that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 worked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had experience in safety accidents.’ As for the teacher s demand for safety education, the educational materials on safe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afety knowledge of childcare teachers, the percentage of people with accurate knowledge in first aid in situations where sand is in the eyes and foreign substances are in the airway of infant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accurate knowledge of first aid in burned and bitten by a friend was very low.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afety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후보

        충북지역 노인평생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서대석(Dae Seok Seo),오봉욱(Bong Yook Oh),장영은(Young eun Jang)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1

        Purpose of Study: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lan for re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a survey of opin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ntent: The literature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 target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2 with 20 people involv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Research Result: The Chungbuk area lifelong learning center program is the lowest level nationwide, and only 4.12% of all lifelong learning center users. Elderly socialization education at senior welfare centers is active, but the number of registered senior classes is the lowest in the country. There is no support budge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there is a lack of experts, and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s very poor. Research Sugges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establish a basis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establish a linkage system betwee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conduct an accurate fact-finding survey.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노인평생교육 현황분석 및 평생교육 관계자 의견조사를 통해 충북지역 노인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연구내용 : 문헌연구는 교육부 등 국가기관에서 발간한 2차 자료를 분석했으며, 표적집단면접(FGI)은 노인평생교육 관계자 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했다. 연구결과 : 충북지역 평생학습관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가장 저조한 수준이며, 평생학습관 전체 이용자 중 4.12%에 불과하다. 노인복지관의 노년 사회화교육은 활발한 편이나 등록된 노인교실은 전국에서 가장 낮다. 노인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예산이 전무하고, 전문가가 부족하며, 지자체의 지원이 매우 열악하다. 연구제언: 노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고, 노인평생교육에 제도적 지원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며, 노인복지시설과 평생학습관의 연계 체계 구축 및 정확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노인을 위한 기능성(교육용) 음악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 연구

        김혜진(Hey-jin Kim)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노인들의 삶의 질과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교육용) 음악 보드게임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 2월부터 8월까지 문헌 연구 고찰과 음악 보드게임을 중심으로 기초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게임 개발 전문가 1인과 음악전문임상 치료사 1인의 자문을 얻어 음악 기능성(교육용) 보드게임의 개발 방향 및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기능성 음악 보드게임은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과 음악의 기초학습을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농촌 시골 모습이 연상되도록 디자인을 제작해 노인들이 어린 시절 기억을 회상하고 이를 통해 정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기초학습을 습득하고 게임의 재미와 흥미 요소를 결합 시킨 기능성(교육용) 음악 보드게임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많은 연구에서는 문제점 등을 보완하고 노인의 정서적 효과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와 더불어 노인의 삶에 활력을 넣어주고 인지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노인을 위한 음악 보드게임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functional (educational) music board games for the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basic data survey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music board games from February to August 2022. In advice from one game development expert and one of the music specialists clinical therapists, music functionality (educational) boar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educational goals of the game were set, and the functional music board game for the elderly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and basic learning of music.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design was made to reminiscent of the rural countryside, so that the elderly recalled their memories as a child and gained emotional effect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educational) music board game that acquired basic learning of music and combined the fun and interesting elements of the game. Based on this, many studies are expect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and the music board game research for the elderly who can contribute to the life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emotional effects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 KCI등재후보

        메이커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sun-young Lee)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1

        본 연구는 아동문학 수업에서 적용한 메이커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A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아동문학 수업을 강한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적용하였고 융합인재소양과 공감능력에 대한 전·후 검사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이커교육은 융합인재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인재소양의 융합, 창의, 배려, 소통 네 개의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이커교육은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과 정의적 공감 두 개의 영역 중 인지적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정의적 공감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융합적 소양을 증진하기 위해 메이커교육은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미래인재를 교육하는 교사에게 의미 있는 교육방법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applied in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on the cultivation of convergence talents and empathic abilit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maker education was applied to a total of 23 freshmen students tak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at a College in Korea, and its impact was verified through pared t-tests on convergence talent cultivation and empathic ability. First, the study showed that maker education for pre-chil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convergence talent. All four areas of convergence, creativity,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maker education for pre-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mong the two areas of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affective empathies, cognitive empath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affective empathy did no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ker education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value to promote convergent knowledge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and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it is a meaningful educational method for teachers who educate future generation.

      • KCI등재후보

        2019 누리과정 개정 후 안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박윤조,안은정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2019년 누리과정이 개정되어 유아 중심, 놀이 중심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교육과정 운영 시 교사가 ‘안전’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운영과정에서 어려움과 요구는무엇인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문성을 지닌 유아 교사들을 참여자로 선정하기 위하여 교육경력이 5년 이상인 영유아 교사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해 포커스 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으며, 집단별로 2회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본 결과 (1) 교육과정과 관계없는 안전의 중요성 (2) 놀이와안전의 경계 찾아가기 (3) 함께 찾아가는 안전한 놀이의 3가지 주제와 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변화와 관계없이 위험은 존재하고, 안전은 지켜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놀이와 안전을 바라보는 범위를 고민하고, 안전과 놀이사이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또한안전은 위험과 함께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안전한 놀이를 위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도출된 주제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개정 누리과정 상황에서 안전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면첫째,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재개념화가 요구된다. 둘째, 교사들이 현장에서 봉착할수 있는 딜레마 중심의 교사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보장되는 문화가요구된다. 넷째, 놀이 및 경험에 기반하여 영유아가 안전한 태도와 행동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자료 및 평가도구 등의 지속적인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영유아 안전교육과 안전사고 경험 및 안전사고 대처 : 직장어린이집 중심으로

        남윤희(Nam, Yun-Heui) K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학리뷰 Vol.5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유아 안전교육과 안전사고 경험 및 안전하고 대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20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안전교육은 주 1~2회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안전사고예방 중 개선이 필요한 시설은 비품, 물품 및 교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최근 1년 동안 경험한 안전사고는 찰과상, 사고 시간은 자유선택활동시간, 장소는 보육실, 사고 원인은 영유아 일반적인 특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근무경력이 높은 보육교사가 1년 미만인 보육교사보다 안전교육과 안전사고 예방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유아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보육현장에서 이론 중심의 안전교육이 현장 사례중심의 안전교육매뉴얼 및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ren’s safety education,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and response to safety accidents of child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200 teachers who work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D and S citie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posterior tests of Dunca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irstly, childcare teacher s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was the highest at least once or twice a week. Also equipment, supplies and parishments were the highest among safety accident prevention facilities that needed improvement. Second, safety accidents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in the past year were abrasion, accident time was free-choice activity time, place was childcare room, and cause of accidents was highe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ith high work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ess than year in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s safety accidents are increase steadily so that on-site case-based safety education manuals and education are urgently needed, not theory-based safety education at child care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