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사회주의로서 북한교회의 에큐메니칼적 이해 - 폴 틸리히의 종교사회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허석헌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2

        북한 기독교에 대한 편향된 연구의 영향 속에 있는 한국교회는 북한 교회를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으며, 점령식 북한 선교에 함몰되어 왔다. 그러나 한반도 분단역사 가운데에서 형성된 북한체제와 종교정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북한교회의 정체성을 편향된 정보에 의존하여 규정하는 것은 북한 기독교와의 대화와 협력 관계를 차단하는 근본 원인이 된다. 오늘날 남북 대결이 한층 격화되고 대화와 교류가 전면 단절된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와 화해를 위해 한국 교회에게 요청되는 일은 북한의 기독교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이남과는 다른 체제와 역사적 경험 가운데서 이룩한 북한 기독교의 특성과 차이를 신학적으로 인정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하는 노력이다. 이 글은 북한 기독교를 특수한 문화와 사상이 기독교와 만나 형성 된 기독교 사회주의의 한 형태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회를 토착종교의 한 형태로 이해함으로써 북한 기독교에 대한 배타성을 대화 가능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근거를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론에서 발견하려 한다. 틸리히의 기독교 사회주의는 남북 기독교가 경험한 역사적 상황의 극명한 차이와 이에 따른 신학적 노선의 차이를 각 자 주어진 상황에 대한 신학적 응답으로 보아야할 문제로 인식하는 포용적이며 대화적 입장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분단 전후 남북한의 기독교 경험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 북한의 기독교가 남한과는 다르게 북한의 사회주의 노선 하에서 펼쳐진 종교관이 종교 사회주의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논증한다. 북한식 기독교 사회주의의 관점으로 해명되어질 북한 교회는 남한의 교회가 부정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영역으로 수용하고 연대해야 할파트너쉽의 관계임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결론에서, 북한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남북교회가 교회일치운동으로 연합하게 될 때 교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을 밝히고자 한다. Under the influence of biased research on North Korean Christianity, the Korean church has not recognized the North Korean church as a partner in dialogue and has been mired in occupation-style missions to North Korea. However, relying on biased information to define the identity of the North Korean church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ies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religious policies that have been shaped by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fundamental cause of blocking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n Christianity. In today's context of escalating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 complete breakdown in dialogue and exchange, the Korean church is called upon to abandon its prejudices against North Korean Christianity and to theologically acknowledge and objectively approac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which a different system and historical experience have shaped. This article will begin with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as a form of Christian socialism shaped by the intersection of Christianity with a unique culture and ideas. To this end, it seeks to find in Paul Tillich's theory of Christian socialism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church as a form of indigenous religion that can transform the exclusivity of North Korean Christianity into the possibility of dialogue. Tillich's Christian socialism advocates for an inclusive and dialogical stance that recognizes the stark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experienced by Christianity in the North and South and the resulting differences in theological lines as a matter of theological response to each given situ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es that led to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Christianity in North and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argues that the relevance of religious socialism to North Korean Christianity is that North Korea's view of religion unfolded under the socialist line, as opposed to South Korea's. Through the lens of North Korean-style Christian socialism, the North Korean church will be seen not as something to be denigrated by the South Korean church, but as a partnership that should be embraced and brought into the realm of the Christian ecumenical movement. In conclusion, it will be shown that the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en it moves away from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church and unites the churches of the North and South in an ecumenical movement.

      • KCI등재

        덕 윤리로 읽는 사회적 영성과 성품화를 위한 과제

        문시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1

        팬데믹 이후에 한국기독교는 무엇을 회복해야 하는가? ‘잘되는 영성’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 영성’의 복원이어야 한다. 특히, 한국기독교가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의 결여를 시민사회로부터 지탄받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공감과 환대의 윤리에 관한 논의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독교의 반향과 관심 또한 활발하다.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통찰은 인문학 및 신학의 집중조명을 받고 있다. 나아가, 교회의 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책임과 소통의 문제에 관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을 사회적 영성이라는 이름으로 풀어내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 제언하고자 덕 윤리적 접근을 시도한다. 덕 윤리가 성품화 문제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성품의 함양을 강조한 하우어워스를 응용한다. 복음의 사회적 증인됨을 통한 제자도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무엇보다도, 공감, 환대, 책임, 소통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추구한다. 시민사회가 요청하는 부담스러운 이슈들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제자도에 담긴 가치로 인식하여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에 관한 덕 윤리적 논의를 통하여 두 가지 질문에 주목한다. (1)무엇을 성품화 할 것인가? 한국기독교는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의 시민적 가치들을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됨을 위한 성품화의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 공감의 윤리에 관한 기독교적 인식, 신적 덕목으로서의 환대에 관한 성찰, 교회의 공적 책임에 관한 이해, 그리고 공공성에 기반한 소통에 관심해야 한다. (2)어떻게 성품화 할 것인가? 사회적 영성의 성품화를 위하여, 덕 윤리의 방법론과 누스바움의 텍스트 읽기 등을 응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우어워스가 교회의 펀더멘탈에 주목하면서 예전의 본질적 회복을 강조했던 점을 참고하여 한국기독교의 제자훈련과 접맥시킬 필요가 있다.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제자도를 통해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하기 위해서이다.

      • KCI등재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사회적기업, 그 특성과 과제 - YMCA와 YWCA를 중심으로 -

        전명수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5 신학과 사회 Vol.29 No.3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religion-base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un through the case study of YMCA and YWCA. These two organizations have dealt with various social issues and at the same time have developed civic movements related to environment, ecology, female rights, consumer protection and so on. Social enterprise started basically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welfare like employment of the vulnerable groups, but it needs attention that the social enterpris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ould do much for raising the publicness, not merely caring people in need. The enterprises of YMC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are ‘Taegu Hope Bike’, ‘Taegu Sinchun Espace’, and ‘Kimhae Asia Culture Center.’ Those enterprises are improving the public benefits shared by whole society, creating environmental-friendly street, changing the abandoned river into ecological park, participating in many kinds of parades as well as performances, and opening large-scale festivals in order to invite public willingness. The one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among YWCA social enterprises is ‘Ansan World Mom’ employing bilingual migrants women ‘who graduate college.’ The most urgent to deal with multi-cultural issues is not employment of some disadvantaged groups, but a change of fundamental recognition diverting their underestimated status into respected educator. Such work increasing universal public interests of whole civil society is not easy job for general social enterprise to carry out; only the power of religion-based organizations like Kimhae and Taegu YMCA could be possible; it is certain that Taegu city and some other institutes might have aided them because of believing its power. The ways of ‘World Mom’ approaching to issues of migrants women also exhibit the power of YWCA which has accumulated the fruits of female rights movement, as religion-based civil society organization. The ethical problems revealed from the two social enterprises of TaeguYMCA may be more clearly brought out because they are based upon religious organization which requires more strict ethics and morality. It would be the significance and at the same time task of religion-based organiz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power of religious background and vision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enable to contribute to the enlargement of conceptual frames of social enterprise toward serving the common good. 본 연구는 기독교에 기반한 종교단체로 종교와 함께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다루고있는 YMCA와 YWCA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가 운영하는사회적기업의 특성과 과제를 고찰한 것이다. 사회적기업은 기본적으로 취약계층의 취업이라는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시민사회단체의 사회적기업은 단순히돌봄의 차원을 넘어 그들의 권익 보호나 더 나아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공공성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YMCA의 사회적기업에서 시민단체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은 ‘대구YMCA희망자전거제작소사업단’과 ‘대구YMCA신천에스파스사업단’, ‘김해YMCA아시아문화센터’로 이들은자전거를 활용하여 친환경적 거리를 조성하고, 버려진 하천을 생태공원으로 탈바꿈시키며, 각종 퍼레이드와 이벤트, 체험학습으로 구성된 대규모 축제의 개최 또는 참여를통해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공익성을 제고시키고 있다. YWCA의 사회적기업 중 시민단체로서의 시각이 좀 더 드러난 것은 "대졸 이상 학력 필수"라는 고용조건을 내세우면서 결혼이민여성의 2중 언어 능력을 활용하고 있는 ‘안산YWCA월드맘’이다. 다문화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평가절하된 그들의 위상을 존경받는 ‘가르치는’ 사람으로 전환시키는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인 것이다. 시민 전체의 보편적인 공공이익을 증진시키는 이러한 성과는 일반 사회적기업이 담당하기는 어렵고, 바로 김해·대구YMCA와 같은 역사와 경험이 축적된 크고 강력한 종교단체의 힘과그 힘을 믿은 대구시 등 몇 기관들의 지원으로 가능했을 것이다. 이주여성들이 갖고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월드맘’의 접근 방식에서도 그동안 여권운동의 역사가 축적된 종교기반 시민단체로서의 YWCA의 힘이 반영된다. 그러나 그간 대구YMCA의 두 사회적기업에서 발생한 윤리적 문제는 종교기반 단체에게는 더욱 엄격한 윤리와 도덕의 잣대가 요구되고 있음을 의미하거니와, 이 점은 이러한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의 의의이면서 동시에 과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가 단지 사회적 약자를 돕는다는 목표를 넘어 사회 일반을 위한공동선의 지향이라는 좀 더 확대된 개념으로 발전시키고 있음을 확인해 준다.

      • KCI등재

        한국 사회의 근대 시민의식의 사회자본 형성에 기여한 기독교 행동문화 연구

        김미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1

        The current decline in trust and decline in growth faced by the Korean church can be attributed to the disharmony between the religious life and social life of the believers. However, the Korean church has a history of exerting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civic consciousness in Korea by achieving harmony between faith and lif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modern civic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was formed by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into Korean, Protestant doctrine education, and modern education by missionaries who were evangelicals of the Old School of Calvinism. It can be said that this modern civic consciousness reformed the feudal society and absolutist monarchy system of the late Choson Dynasty and becam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ivil society of liberal democracy by the public as the subject of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the distortion of modernity emphasized by Jürgen Habermas, the Korean church has to re-recognize the faith that discovere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Reformation. This is because Protestantism changed the meaning system of the Middle Ages through the dynamism and integrity of the Gospel based on the Reformation. The Korean church has the human, material, and spiritual resources to restore the dynamism and integrity of the Gospel that the Western church has weakened, and to cultivate the citizenship of social capital that forms a culture of trust based on modern civ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Korean church can re-cultivate the system of norms for human beings to live on the Word of God, not to live on bread alone. Based on this, through world mission, the Korean church can form a spiritual culture that develops the moral norms of humanity pursued by the image of God, and actively present it as an ethical alternative to global civil society. In the 4th industrial society of highly develop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ystem as a complex social system and organizational system passing through the endemic, the church community should be a model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in a culture of trust that provides non-Christians and non-believers with a system of meaning of healthy life. This is the spiritual culture that the Reformation manifested, and it is a civic virtue known as Protestantism, which modern society recognizes as social capital.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church will re-form with a sense of mission the spiritual culture in which the social capital of Protestantism is generalized as a normative system of public ethics for civil society in the public sphere of the post-secular society. 현재 한국교회가 직면한 신뢰 추락과 성장 감소는 성도들의 신앙생활과 사회생활 사이에서 나타나는 믿음과 삶의 부조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신앙과 삶의 조화를 이루어서 우리나라의 근대적 시민의식을 형성하는 데 절대적 영향력을 끼쳤던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한국 사회의 근대 시민의식은 칼뱅주의 구학파로서 복음주의자였던 선교사들에 의해 한글 성경 번역과 개신교 교리교육, 그리고 근대 교육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근대 시민의식은 구한말의 봉건 사회와 절대주의 왕정 체제를 개혁하여 오늘날과 같이 우리나라의 대중이 역사의 주체로서 자유민주주의의 시민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굳건한 토대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위르겐 하버마스가 강조하는 근대성의 왜곡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교회는 종교개혁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였던 신앙을 재인식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개신교는 종교개혁에 근거한 복음의 역동성과 통전성을 통해 중세의 의미 체계를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서구 교회가 약화시킨 복음의 역동성과 통전성을 회복하여 근대 시민의식에 기반한 신뢰 문화를 형성하는 사회자본의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인적 물적 영적 자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인간이 떡으로만 사는 존재가 아니고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존재의 규범 체계를 다시 배양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세계 선교를 통해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형상이 추구하는 인간다움의 도덕 규범을 발전시키는 정신문화를 형성하여 글로벌 시민사회에 윤리적 대안으로 적극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엔데믹을 통과하면서 복잡한 사회제도와 조직체계로서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 체계의 제4차 산업사회에서 교회 공동체는 마땅히 비기독교인과 비신앙인들에게 건강한 삶의 의미 체계를 제공하는 신뢰 문화의 협력과 연대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이는 바로 종교개혁이 발현한 정신문화이고 프로테스탄티즘으로 알려진 시민적 덕목으로서 현대 사회는 사회자본으로 인식한다. 후기세속사회의 공론장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사회자본이 시민사회의 규범 체계로서 일반화되는 정신문화를 한국교회가 사명감으로 다시 형성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독교와 고대후기 로마제국의 놀이문화 : 구경거리(spectacula)를 중심으로

        염창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3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attitude that early Christians rejected the Roman Empire's play culture, and to identify the historical-religious situation and theological-moral basis. Early Christian writers forbade Christians from participating in pagan religious festivals, obscene theatrical performances and bloody and murderous gladiator fights, but continued to demand that they maintain a moral and religious life. In particular, theater was not only an immoral act, but also an extension of the pagan culture in which Roman female and male deity sometimes appeared, and since sexually decadent scenes were staged at religious festivals, moral and religious issues were sometimes mixed appears. There was a space limitation for gladiator matches that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there was a time limitation for religious festivals to be held only before and after the feast days of the gods and goddesses concerned. However, the theater culture, which was also present in ordinary small towns and had no restrictions on performance time, was much more accessible to Christians, and sexual indulgence and moral corruption were the objects of greatest warning. So the majority of Christians did not shun the culture of play, so the efforts of Christian writers to ban them so strictly were not very successful. After all, the strong rejection of the Roman culture by Christians is a reaction from the church that arose in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Christians into the Roman Empire's play culture. 본 논문은 초기기독교인들이 로마제국의 놀이문화를 배척했던 상황과 태도를 이해하고, 역사적-종교적 상황과 신학적-도덕적 근거들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은 기독교인들에게 이교적인 종교축제에 참여하거나 음탕한 연극공연과 유혈이 낭자한 살인적인 검투사 경기를 관람하는 금지하고, 오히려 도덕적이고 신앙적인 삶을 유지하도록 계속 요구했다. 특히 연극도 부도덕한 행태뿐만 아니라, 때때로 로마의 (여)신들이 등장하는 이교적인 문화의 연장이었으며, 종교축제에서도 성적으로 퇴폐적인 장면들이 연출되었기 때문에 도덕적인 문제와 종교적인 문제가 가끔씩 혼합되어 등장한다. 대규모 인원을 수용하는 검투사 경기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고, 종교축제는 해당 신들과 특히 여신들의 축일 전후에만 열린다는 시간적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 소도시들에도 있었고, 공연 시간의 제약이 별로 없었던 극장 문화는 기독교인들도 훨씬 더 다가가기 쉬웠고, 성적 방종과 도덕적 타락이 제일 경고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은 놀이문화를 멀리하지 않았으니, 기독교 저술가들이 그토록 엄격하게 금지시키려던 노력들이 별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결국 기독교인들의 로마문화에 대한 강한 거부는 기독교인들이 로마제국의 놀이문화 속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불거진 교회의 반발인 셈이다.

      • KCI등재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에 대한 통합연구

        황재동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8 신학과 사회 Vol.32 No.3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has rapidl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flux of foreigners. However, current Korean society has a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if Korean society is to achieve a positive chang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improve multicultural perception. Protestant churches with diverse groups of people are the most suitable place to carry out multicultural perception improvemen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pastor, which is the subject of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 educational capacity for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diverse, but the most noteworthy of these is multicultural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fficac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multicultural efficacy through interview with exper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combin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In addition, Morse model was used among various integrated research models. As a result, the prospective pastor 's multicultural efficacy was below average. Also, The multicultural effica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whether to take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graduate’, ‘foreign language ability’, ‘age’, ‘stay abroad’. In addition, experts suggested ‘opening up curriculum related to multiculturalism’, ‘providing experience in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cultivating a sense of calling through positive networking’,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 as measures for enhancing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prospective pasto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urgent to prepare related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prospective pastors, and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build various experiences and know-how related to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networking related to multiculturalism within the theological graduate school and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legislation. 최근 들어 한국사회는 많은 외국인의 국내유입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사회 구성원들은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만약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긍정적 변화를 이루고자 한다면 먼저 다문화인식의 개선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한데 모여 있는 개신교회는 다문화 교육을 통한 다문화인식 개선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당한 장소이며, 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목회자의 다문화교육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 역량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다문화 효능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목회자 양성단계에 있는 예비목회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효능감 실태를 조사하고 전문가 면담을 통해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통합연구 모형 가운데 Morse 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결과로 나타난 것은 현재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이하의 수준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 교육 이수 여부’, ‘학부 출신’, ‘외국어 능력’, ‘연령’, ‘해외 체류기간’과 같은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은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방안으로 ‘다문화 관련 교육과정의 개설’,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 제공’, ‘긍정적 네트워킹을 통한 소명의식 함양’, ‘외적 환경 변화’을 제시한다.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 교수법과 교육프로그램의 마련, 그리고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특히 예비목회자 교육 기관인 신학대학원 내에 다문화관련 네트워킹의 형성을 권장하고 법제화를 통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에 대한 제도적노출의 당위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문화와 공공성의 확장 - 복지·종교의 문화적 전환과 공공성의 실천적 과제

        전명수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8 신학과 사회 Vol.32 No.2

        A study on culture and publicness can be approached from two perspectives both as those who produce and enjoy culture, and 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forming the cultural foundation. The former is related to cultural welfare policy for groups, communities and social members; the latter to the religious ethics comprising belief, values and norms. Whether or not the cultural welfare society can last longer depends on publicness, and moreover cultural tur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ultural foundation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opens a new way for the debates on publicness. In welfare field, according to C. Lockhart's analysis based on grid-group theory, it is assumed that our social policy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based on the reciprocal benefit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generations, since Korea used to be strong at hierarchy culture regarding filial piety and respect for elders traditionally as best ethics, but now is orienting toward egalitarianism. In any case, the policy should be designed in a way of the right of the disadvantaged as well as public interest, not mercy. The cultural turn of religion forming a part of cultural foundation in Korea made religious study turn toward practical experience of ordinary people rather than the abstract doctrines or religious leaders. In fact, religious compassion enables co-existence between you and me, the disabled and the normal, individuals and groups, my religion and other religion, which is just co-existent ethics. ‘Co’ means that members of groups exist together and communicate each other, and in this regard, religious publicness refers to the universal, practical ethics as well as common good. Although welfare and religious cultures are difficult to comprise all the features of culture, social welfare policy and religious ethics based on public interest and co-existence together can at least play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welfare society. 문화와 공공성에 대한 접근은 문화의 생산·향유자와 문화의 토대가 되는 이념적 배경을 두 축으로 삼을 수 있다. 전자는 집단, 지역사회, 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문화복지정책과 관계가 있고, 후자는 믿음, 가치관, 규범들로 종교윤리와 연관된다. 문화복지사회의 지속은 공공성에 달린 것으로, 특히 대부분 분야가 문화적 토대에 주목하는 ‘문화적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공공성의 논의 역시 새롭게 검토되고 있다. 먼저 복지의경우 grid-group 이론을 기반으로 문화의 역할을 분석한 로크하트(C. Lockhart)의 논리를따르면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효친과 경로를 최고의 윤리로 삼고 있어 계층제적 성향이 강했으나 현재는 평등을 이상으로 하면서 청년층과 노인 상호 간의 이익에 기반을둔 정책의 균형이 요구되고 있다. 어느 경우나 복지는 취약계층에 대한 시혜가 아닌 그들의 권리이며 公益이라는 측면에서 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불교나 기독교처럼 우리 문화적 토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종교의 문화적 전환은 특히 종교 연구를 종교 지도자나 추상적 교리보다 오히려 그 교리가 실제로 어떻게 보통 사람들에 의해 경험되고 있는지에 관심을 끌게 했다. 무엇보다 종교 측이 보여주는 긍휼은나와 너, 장애인과 비장애인, 개인과 집단, 나의 종교와 타종교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것으로, 이것은 바로 일상에 기반을 둔 종교문화의 공공성이 지향하는 공존의 윤리이다. ‘공(共)’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존하며 소통하는 것이어서, 이러한 점에서 종교의 공공성은보편적 실천윤리로 규정된다. 문화의 모든 것을 복지와 종교로 포괄할 수는 없으나 일단복지문화와 종교문화의 결합은 공익을 지향하는 사회복지정책과 공존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윤리가 상호 보완하면서 문화복지사회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론에 근거한 한국시민사회의 가능성과 한계

        강정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2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Korean civil society as the third sector against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that has proceeded by transnational corporation-centered and led by the government of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 of the social weak. Neoliberal globalization which has advocated limitless competition through the liberalization of trade and finance results in winner-takes-all economy. As a result, it has exacerbated economic dispar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owever, democracy as a political system which should solve this problem confronts crisis due to the lack of checking powers against the neoliberal camp. Besides government and ruling political party, other political groups including opposition parties, newspapers and broadcasts have been wielded by conglomerates which represent economic power. This situation has thickened the tendency of plutocracy. In Korea which has achieved conspicuous economic growth and procedural democracy, current politics disproofs the real democracy due to the absence of democratic culture of everyday lives and sound democratic mind of ordinary civilians. Therefore, the role of civil society as the political power of checks and balances is crucial in order to restore democratic politics. 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civil society as the third power or sector and NGOs as its core agents based on the democratic theory of Reinhold Niebuhr. Especially, it deals with ASEM2000 People’s Forum as its concrete example which challenge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supported by ASEM2000. Finally it will discuss the following agenda of Korean civil society after ASEM2000 People’s Forum. 본고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업, 특히 초국적 기업 중심적 그리고 선진 산업국가의 정부 주도적인 신자유적인 세계화에 대항하여 약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가 지니는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역과 금융의 자유화를 통한 무한경쟁을 표방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는 빈익빈부익부의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해야 할 정치제도로서의 민주주의는온전한 견제세력의 부재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 여당은 물론 야당을 포함한정치권과 방송과 신문 등의 언론은 재벌로 대표되는 경제 권력에 휘둘리는 금권정치(plutocracy)적인 경향이 농후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루었다고 평가되는 대한민국에서,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절차적 민주주의가 진정한 민주정치와 민주적 시민의식의 부재로 인해 실질적인 민주정치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러므로 온전한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서는 실효적인 견제와 균형의 세력으로서의 시민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3세력 혹은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와 그 활동의 핵심이라고할 수 있는 NGO의 가능성과 한계를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론에 의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별히 ASEM2000을 통해서도 상당부분 지원을 받고 있는 신자유주의적인 세계화에 대항한 운동으로서의 ASEM2000 민간포럼의 실례를 통해 분석 작업을진행한 후에, 여기서 나타난 한국 시민사회의 장단점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주도적인 행위자인 NGO의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바울 기독론과 누가 기독론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연구

        김경진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논자는 이 논문에서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견지에서 누가신학의 기독론과 바울신학 의 기독론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지금껏 예수와 바울 사이의 신학적 연속성과 불연 속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도되었지만, 기독론의 관점에서 바울을 복음서 저자 중 한 명인 누가와 비교한 연구는 드물었다. 내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바울과 누 가 사이의 친밀한 인격적 관계 때문이다. 사도행전에 기록된 성경적 증거에 따르면, 바울과 누가는 제 2 차 선교 여행에 참여하는 동안 가까워졌으며, 나중에는 사제(師弟) 관계 또는 선교 여행의 동역자 관계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친밀한 관계를 참작할 때 우리는 그들 사이에 신학적 연속성이 있다고 가정 할 수 있을 터인데, 이것을 나는 기 독론의 관점에서 좀 더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바울과 누가 사이에 구 원론적 기독론의 관점에서 연속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누가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바울이 처한 사회적 및 문화적 상황으로 인해 교리적이고 변증적인 경향이 있는 바울신학의 기독론을 수정하거나 보완하고자 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과연 누가 가 의도한 수정 혹은 보완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누가신학 기독론의 사회복음적 요 소인데, 그 핵심은 섬김 및 봉사이다. 즉 섬김과 봉사의 사회적 기독론인 것이다. 이에 반하여, 바울의 기독론은 다분히 교리적 기독론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부연 하면, 바울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수직적 관계의 관점에서 기독론을 규정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누가는 사회복음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과 인간사이의 수평적 관계의 관점에서 그것을 규정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바로 그것이 바울신학의 기독론과 누가신학의 기독론 사이의 불연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신학의 기독론과 차별화되는 누가신학의 기독론은 사회적 기독론으로 서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수직적 요소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수평적 요소를 모두 포용 함으로써 균형 잡힌 기독론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기독론에 사회 복음적 측면을 포함시킴으로써 누가는 기독교 신학의 완성에 큰 공헌을 남긴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시설 이용인의 지역사회 통합예배에 대한 비장애성도들의 인식

        한정우,장옥례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8 신학과 사회 Vol.32 No.2

        Current trends in disability facilities come out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independent living, and integration movements, with the final goal of normalization. One form of integration would be participation in the religious rituals and events in the community. Although there are good reasons for disabled people to be living in dependent care facilities, there is a case to be made that the disabled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leave the facility and join church worship and other religious activities on the outside. The study focuses on this practice and explores how fellow church members view inclusive worship for those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the method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One of reasons for obstructing the normalization of such integration would be people’s misunderstanding about and bias toward the disabled. Thus, an investigation of the non-disabled fellow church memb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worship with the disabled will offer some instructive insigh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wo factors converged, which seem contradictory but nevertheless coexist. One is the indifferent attitude about inclusive worship. On the one hand, there is physical and emotional distance between worshippers, since the disabled sit separately in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realization that inclusive worship and understanding of the handicapped would seem mandated by the Bible’s call for Christians to love, value, and support all people, leading church members to welcome, cherish, and include the disabled among them. In the end, church members came to have increased concern about the welfare and wellbeing of the disabled. To overcome the deficiencies of inclusive worship, it is suggested that there be more contact opportunities, such as sitting together, picnicking together, and so on. Following up su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bout better integrating fellowship through worship and other church activities. 최근 장애인 거주시설 서비스의 흐름은 정상화이론에 입각해 탈시설화와 사회통합을 지향한다. 장애인이 격리되고 사회구성원의 역할을 할 수 없도록 기대되어 온 기저에는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차원에서의 몰이해와 부정적 인식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이 지역 내 교회에 출석하여 함께 드리는 통합예배에 대하여 비장애성도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질적연구방법으로탐색한다. 장애인들과 함께 예배를 드리는 비장애 일반성도들의 시선을 정밀히 고찰하는 것은 이 통합예배의 지속가능성과 나아가 정상화이론의 유용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 특징적인 사항으로 수렴된다. 통합예배에 대해 긍정적이지만 물리적으로 또, 심리적으로도 장애인성도와 동떨어져있다는 점이 그 하나이고, 본 인터뷰가 계기가 되어 통합예배에 대해 다각도로 깊이 있게 성찰하게 되었고 그 결과 통합예배는 기독교 신앙에 따라서 볼 때 당연하며, 장애인을 근거리에서 접하게 됨으로써 장애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또 다른 하나다.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두 측면이 본 교회의 통합예배 상황에 대한 비장애성도들의 인식을 드러내 주는 것으로 포착되었다. 다수의 비장애성도들에게는 예배참석 장애인과 상호 교류하는 기회는 드물지만, 예배 앞자리를 차지한 이들의 존재만으로도 장애인의 삶과 통합예배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됨을 의미한다. 통합예배에 대한 보완점으로 함께하는 프로그램개발과 특별봉사시스템 구성 등 기독교사회복지를 확대하여 실천하기를 소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통합예배는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성경적 의미를 바탕으로 한 인권적 이해를 증진하며, 자기성찰의 계기가 되었고, 따라서 작금의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시대정신인 정상화와 사회통합에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통합예배에 대한 보완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