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A를 통한 우려 춤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남상원,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8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4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정량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정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의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법 보다는 조금 더 유용한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적용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또한,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 /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more, the features are analysed by ICA(independent Coponent Analysis) more useful tha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다시점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특성 이해

        엄태영,박한훈,박종일,남상원,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 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The 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우리 춤사위의 분석과 재구성에 기반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감정인식

        엄태영,박한훈,박종일,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최근신체로부터 표현된 감정을 인식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특히 춤은 인간의 감정을 극대화한 신체 움직임으로 감정인식을 위한 좋은 소재가 되어왔다.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감정)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의 감정을 분석하고 인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서양 춤의 분석과 감정인식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갔지만, 우리 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춤동작에서 감정을 인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 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선행연구(서양 춤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면시점의 경우만을 이용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 KCI등재

        댄스클럽 기사를 통해 본 한국의 대중춤:도전과 퇴폐의 경계선

        황희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4

        우리나라에 사교춤을 포함한 서구의 대중춤이 유입된 것은 1920년대부터인데, 이때부터 현재까지 댄스클럽에 서 행해진 대중춤에 대한 인식을 『동아일보』, 『경향신문』, 『조선일보』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담론화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1920년대부터 해방이전인 1945년까지로 대중춤은 ‘인텔리의 지적 허영’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해방 후부터 1980년대까지이며, 이 시기를 ‘금단의 해방구’라 명명하였다. 셋째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이고, 이를 ‘투항과 저항의 이데올로기 문화산업’으로 보았다. 기존 상업문화에 투항하는 듯 보이지만 락카페, 콜라텍, 클럽, 라운지 등 소규모 춤 공간의 발달은 DJ의 위상 강화와 더불어 기 존 획일화된 문화에서 탈피하려는 저항의 이데올로기적 몸짓을 보이고 있다. 댄스클럽이라는 장소가 갖는 음침함 때문에 대중춤에 대한 사회적 시선은 퇴폐의 온상으로 여겨졌지만, 여기 서의 대중춤은 전통과 기존 문화에 대한 도전이었고 이것은 결국 한류를 탄생시켰다. 도전과 퇴폐의 경계선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상반된 두 가지가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며 끊임없이 충돌하면서 대중 춤 산업은 성장하고 있다. Western pop dance including social dance has flowed in Korea since 1920s and I made a investigation into it by newspaper Donga, Kyunghyang, and Chosun. It can be divided up into 3 categories and discussed; first ‘intellectual vanity of the intellectual class’ from 1920s to 1945; second ‘forbidden area under rebel control’ from emancipation to 1980s; third ‘ideology cultural industry of surrender and resistance’ from 1990s to the present. Pop dance looks like surrender to established, commercial culture, but development of small dance space such as rock-cafe, cola tech, dance club and lounge reinforces status of DJ and shows ideological gesture of resistance for breaking standardized culture. Social viewpoint about pop dance was considered in a hotbed of decadence owing to darkness of dance club. However, pop dance is a challenge against existing culture and finally lets Korean wave come into being. A Boundary line between challenge and decadence is kept up even now. directly-opposed two kinds is making an inseparable relation and is clashing over constantly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industry of pop dance is developing.

      • KCI등재

        부산 경남 춤 원류 연구

        김온경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한국은 세계 속에서 아주 작은 나라에 속한다. 그런데도 지역마다 각각 다른 풍습, 말씨, 그리고 노래와 춤의 유형이 다르다. 이처럼 한국과 같이 작은 영토의 국가에서 이렇듯 다양한 예술형태가 각기 다른 특정과 유형으로 발달된 나라는 드물다고 하겠다. 특히 춤의 경우에는 지역환경과 지역색에 따라, 그리고 향유계층에 따라 큰 차이를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부산·경상도지역 춤에 주안점을 두고 부산·경남지역의 역사 문화적 배경과 문헌에 나타난 가야와 신라의 악무(樂舞)를 발췌하여 춤의 원류를 상고 하고 나아가 부산·경남지역 춤의 정체성을 조명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한국춤은 넓은 의미로 생활과 관련된 일춤과 놀이춤, 전문 예인들에 의해 기교적, 예술적으로 승화된 형태의 예인춤, 그리고 무속, 불교, 유교 등 종교의식과 관련된 제례무(察禮舞)로 그 유형을 분류해 볼 수 있다. 다시말해 생활춤(노동,놀이)과 예인 춤으로 그 목적에 따라 춤의 유형이 특성화되어 진화 발전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놀이춤인 경상도 덧배기춤의 유형과 전문 예인의 춤의 유형을 문헌을 통해 유추하면서 경남 춤의 원류를 상고해 보고자 한다. 부산 • 경남은 삼한시대는 진한국의 옛터이며 가야시대에는 가야국의 여러 국가가 자리 잡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현란히 꽃피웠던 가야문화는 한국고대사 연구 는 물론 부산·경남 춤 원류 연구에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독창적인 가야문화는 후에 신라에 합병되면서 그 실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었으나 최근 고고학적 발굴 조사와 문헌 자료를 근거로 그 실체가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이 가야가 가실왕의 실덕으로 폐망하여 신라 진흥왕 때 모든 악가무(樂歌舞)는 신라로 흡수 되었다. 그러므로 경남 춤의 원류를 유추하기 위해서는 가야와 신라의 춤을 소급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체로 부산·경남 지역은 남성무가 강세로 나타났으며 역사의 흐름이 근대에 가까워질수록 교방계열의 기방무가 예인춤으로 부각되었다. 정재(呈才)로서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춤으로 신라의 「검무」,「처용무」 그리고 고려의 「무고」 (승전무, 고무) 등이 모두 부산 • 경남지역에서 발원되었다고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다. 지금까지도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이 춤들은 부산 • 경남춤 원류 연구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야에서 신라로 귀화한 악성(樂聖) 우륵이 창제하였다는 가야금 역시 현재까지 전승되면서 그 악기에만 맞추어 춤을 추었다는 「가야지무」,「한기무」,「미지무」,「대금무」에 대한 기록은 사실상 경남 예인 춤연구에 많은 의미를 시사하고 있다. 놀이춤으로 덧배기춤에서 「가면무」 (야류. 오광대 계열)와 「동래학춤」 등을 들 수 있고 교방춤으로 「검무」,「포구락무」 ,「승전무」 , 「고무」 등이 현 재까지 전승되고 있으며 권번 춤으로 「굿거리춤」,「입춤」, 「한량춤」,「승무」,「수건 춤」, 「산조춤」 등이 그 맥을 이으며 전승되고 있으므로 부산·경남 춤의 원류 연구에 큰 몫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orea is one of the exceptionally small countries in the world. However, each province has different tradition and an accent, and its music and dancing differ from those in other provinces. There are only few countries with a small territory like Korea where various art forms developed into different characters and forms. Especially in case of dancing, there are big differences observ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s of the region, regional characters and classes who enjoyed it. This study focuses on the dancing in the region of Busan and Gyeonsang do and analyzes the origin of dancing by selecting the music and dance of Gaya and Shilla found in documents and by studying the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of Busan and Gyeongnam region. Furthermore, its significance will be put in clarifying the identity of the dance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The Korea dan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rms: everyday life related Ilchum(work dance), Nolichum(play dance), Yeinchum(performer's dance), which has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ublimated by professional performers, and Jeryemu(dance in religious ceremonies) that are related to religious observances including those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form of dancing was specialized and developed into the life dance (work and play) and performer's dance in relation to their purpos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origin of the Gyeongnam dance by analogizing the form of Gyeonsang do's Dutbaegichum, a type of Nolichum and professional performers's dance,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The area of Busan and Gyeongnam is the old site of Jinhan, and during the Gaya period, many countries of Gaya settled here. The Gaya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 region has a significant part in researching the origin of the Busan and Gyeongnam dance as well as the Korean ancient history. The original Gaya culture was not well known as Gaya was integrated into Shilla, but it has recently been slowly discovered by archeological researchs and the evidence from critical apparatus. When Gaya was perished because of King Gasil's loss of virtue, all music and dances was absorbed into Shilla. Therefore, in order to analogize the origin of dance in the Gyeongnam area, the necessity to study the dance of Gaya and Shilla becomes important.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Namsungmu was popular, and as it reaches the modern age, Gibangmu of Gyobang, as performer's dance, wan outstanding. It is recorded in Goryeosa Akji (The Music Section of the History of Goryeo) and Akhak Guebeom(Primer for Music Studies) that Shilla's Gummu (sword dance) and Cheoyongmu and Goryeo's Mugo (Seungjeonmu and Gomu), the dances with the longest history as the dance done in the party of the royal palace, were all originated from Busan and the Gyeongnam area. These dances are still continued to be practiced, and have much significance in theresearch of the origin of the Busan and Gyeongnam dance. In addition, a gayageum (a twelve stringed Korean harp) created by a celebrated musician, Ureuk, who came originally from Gaya and became naturalized in Shilla, is handed down to the present. The dances that are only danceable to the instrument include Gayajimu, Hangimu, Mijimu and Daegeummu, and the historical record about them is, in fact, important in the research fo the performer's dance in the Gyeongnam area. Gamyeonmu (mask dance of Yaru and Ogwangdae) and Dongraechakchum are the examples of Nolichum of Dutbaegichum. Among Kyobang chum(Kyobang dance), Gummu(sword dance), Pogurakmu, Seungjeonmu and Gomu have been transmitted to today, and among Gweonbunchum (Gweonbun dance), Gutgurichum, Ipchum, Hanryangchum, Seungmu and Sugunchum continue to exist, contributing greatly to the research of the origin of the dances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 KCI등재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회전춤의 역사와 발전 : 호선무(胡旋舞), 수피춤(sufi dance), 사마춤(sama)

        황희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1

        <호선무>는 늦어도 6세기 경 수나라 때 강국에서 발생하여 중국에서 서역이라 불리던 실크로드를 거쳐 당나라에서 크게 유행한 회전춤이다. 빠르게 이리저리 끝도 없이 도는 것이 특징이다. <수피춤>은 이슬람 신비주의 교단에서 명상을 목적으로 연행되는 춤이다. 13세기 경 메블라나 루미가 창시한 춤으로 자아 소멸을 통해 신과 합일 상태가 되고자 끝없는 회전을 통해 황홀경에 이른다. <사마춤>은 현대 위구르족의 민속춤으로 <수피춤>의 이란어인 ‘Sama’와 같은 이름이다. 또 이슬람 내에 흡수되어 연행되었었으며, 현재는 종교적 색채가 제거되었지만 반시계 반향으로 선무(旋舞)하고, 남성들이 주로 연행하다는 점에서 <수피춤>과 상당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 <사마춤>은 또 <호선무>의 회전 요소가 민간춤에 남아있는 소륵과 구자에서 발생한 춤으로 <호선무>이거나 혹은 <호선무> 문화권의 색채가 담긴 춤일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호선무>, <수피춤>, <사마춤>은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지리적 인접성과 페르시아 이슬람권이라는 문화적 공유를 가지면서 끊임없이 각각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 변이 과정 속에서 ‘회전’이라는 요소는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고 앞으로도 그 변모는 계속될 것이라 생각한다. Hoseonmoo(whirling dance) is a kind of spinning dance that was first developed in Samarkand during the Sui Dynasty in the 6th century at latest and became so popular during the Tang Dynasty through Silk Road, commonly calle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is dance features spinning round endlessly and fast. Sufi Dance is a kind of danc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meditation by sufism(the mysticism religious body) of Islam. As a dance created by Rumi Mevlana around the 13th century, it helps fall into a state of ecstasy through spinning, further being into a state of being united with God through self-extinction. Sama Dance is a kind of the modern Uyghur folk dance, and it has the same with ‘Sufi’ which names ‘Sama’ in Iranian. It was also assimilated and performed in Islamic culture. At present, its religious tinge is removed, but it has considerable correlation with Sufi Dance, in that dancers spin counterclockwise and it is mainly performed by men. Since Sama Dance was created in Kashgar and Kucha where the spinning element of spinning still remained in the folk dance, it is presumed the dance affected by Hoseonmoo or cultural of Hoseonmoo. Therefore, it seems that Hoseonmoo, Sufi Dance and Sama Dance have developed with historically organic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by sharing the same geographical adjacency to the Silk Road Cultural Area and cultural aspects of the Persia Islamic region. In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at despite a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the element of ‘Spinning’ has been successfully handed down with tenacious vitality.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궁중춤 교육 방안-‘춘앵전’을 중심으로-

        김경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4

        예술계 학교에서의 한국춤 전공 수업은 전통춤보다는 한국창작춤을 위한 움직임에 그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전통춤 분야에서도 궁중춤에 대한 교육은 민속춤에 편중되어 있을 뿐, 거의 정규교육과정의 과목으로 지정되 어 있지 않다. 궁중춤은 악가무 형식의 종합예술로서 역사, 문학, 음악, 복식 등 그 안에 함유하고 있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 내용을 고려해 볼 때, 전통춤의 큰 줄기인 궁중춤은 우리춤 전공학생들을 육성하는 교육내용의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폭넓은 전통춤의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교수방법에 있어서 과거의 춤사위 움직임을 창조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 주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되며, 이것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전통춤 교육의 방향이다. 최근 문화예술의 흐름은 전통춤 영역에서도 누구나 예술체험을 직접 해보고 스스로 예술작품을 만드는, 자기가 원한다면 전문가만의 영역이라 여겼던 예술세계에 들어가 예술가가 될 수 있는 시 대가 도래하였다. 따라서 만약 예술교육에 있어서 그 가르침과 배움의 방식이 과거의 방식에 안주하고 있다면 , 그 예술교육의 영역은 새로운 시대를 주도하는 창조적 예술인을 양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빠른 변화에 발맞춰서 전문적인 전통춤 세계의 인재를 길러내는 예술학교 교육은 질적으로 수준이 높은 창조적 교육철학 과 교육 실천을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폭넓은 전통춤의 내용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교수방법에 있어서 지금까지 해왔던 단순한 기능과 기량 전수 중심의 실기 위주 교육을 지양하고 실기와 직접 관련된 이 론의 인문적 교육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춤의 안목과 정신 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교수법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춘앵전’에 통합적 수업 방안의 적합한 유형인 포가티(R. Fogaty)의 10가지 유형 중 통합형을 적 용하여, 기능적 측면인 춤을 포함하되 춤을 빚어낸 역사, 사상, 음악, 문학적 요소 등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 로 통합하는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앵전’의 역사적 배경을 통하여 무용사적 의의를 알 수 있었다. 즉 ‘춘앵전’은 궁중춤의 황금기라 일컫 는 조선 순조 때 예제된 것으로 그 탄생 배경에 효사상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 예술성이 높다는데 그 사적 의 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전반적인 궁중춤의 발전 단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춘앵전’의 곡명에서 ‘춘앵전’이 내포하고 있는 봄, 수복, 즐거움, 국가창성, 태평성대, 상서로움 등의 의 미를 알고,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빠른) 도드리, 타령 장단을 익힘으로써 궁중음악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 다. 그리고, 3단계 보법이 궁중춤의 일관된 중용의 유현한 분위기를 생성하는 근본임을 알고 춤출 수 있었다. 셋째, 춤의 내용을 노래로써 알게 하는 창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를 지어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작품의 소재 로 활용할 수 있었다. 넷째, ‘춘앵전’ 무보의 풀이를 통한 춤사위 용어의 이해와 함께 춤사위를 익히게 함으로써, 표현을 섬세하고 다 양하게 할 수 있었다. 다섯째, 봄날 지저귀는 꾀꼬리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춘앵전’ 복색이 춤의 이미지를 구체화시키고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춤과 의상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화문석이라는 한정된 공간이 갖는 무한의 자유 의미와 전후좌우의 대칭적 미의 공간 구성의 원리를 이해하며, 모둠별로 ‘신춘앵전’을 창작하여 발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 방법을 토대로 궁중춤 교육이 폭넓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앞으로 군무의 형식이 대부분인 궁중춤 교육을 위하여 심도 있는 교육방법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Major subjects for Korean dance in art schools put more emphasis on movements for Korean creative dance than traditional one. Particularly among fields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on royal dance is concentrated only in folk dance and it is rarely designated as a subject on regular curriculum. The royal dance is a synthetic art with form of music, singing and dancing(樂歌舞) and it should be the key in educational contents as a major part of the traditional dance to foste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considering its rich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including history, literature, music and costumes, etc. In addition, to instruct a wide range of contents in traditional dance, its teaching method should go forward to making students develop their eyes to creatively accept dancing movements of the past and this is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dance education required in our time. The recent current in cultural art moves to an era in which anyone can go into the world of art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 field only of experts and be an artist, for example, one has a direct experience of art and makes a work of art oneself if they want even in the field of traditional dance. Therefore, if art educatio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settled in an old-fashioned way, that field of art education cannot foster creative artists to lead a new era any more. Moving with the times of this rapid change, art school education that nurtures the professional talent in the world of traditional dance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creativ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of high quality. To instruct a wide range of contents in traditional dance, therefore, the changeover in teaching method is required to simultaneously foster eyes and spirits for dance by sublating its teaching method which has been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at has simply instructed techniques and skills and by executing humanistic education of theories directly involved with practice together. For this, the integrated model among R. Fogaty’s ten types is applied as a proper teaching method for integrated teaching plan and this study suggests a teaching method which includes functional aspects and, at the same time, synthetically integrates all elements including history, thought, music and literary factors which form the dance with Chunaengjeon being its research targe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Chunaengjeon in dance history is found through examin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other words, Chunaengjeon has the thought of filial piety upon its birth and it also has historical meaning with high artistry for being written during the King Sunjo of Joseon Dynasty which is called the golden age of royal dance, through which overall development stage of royal dance can be understood. Second, this study enables to understand meanings of spring, long life and happiness, pleasure, national prosperity, reign of peace and auspiciousness which Chunaengjeon connotes in titles of its music, to grasp characteristics of royal music through learning Sangryeongsan, Jungryeongsan, Seryeongsan, (rapid) Dodry and taryeong rhythm and to dance with knowledge that three-phase step is the root that creates profound atmosphere with moderation which is consistent in royal dance. Third, a poem is newly created and expressed based on the singing during royal dance (唱詞)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n contents of the dance through singing and it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a new work. Fourth, expressions can be made more delicate and varied with understanding on terms in dancing movements through interpreting the dance score of Chunaengjeon and with learning the dancing movements together. Fifth, the relation between the dance and costumes is learned through understanding that costumes of Chunaengjeon which remind a nightingale singing on a spring day give shape to dance images. In addition, groups can create and present a new version of Chunaengjeon based on understanding in the meaning of infinite freedom of a hwamunseok, the limited space, and principles of space composition with symmetric beauty in every direction. Hopefully, education on royal dance will be extensively implemented based on teach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and in-depth teaching method will also be presented for royal dance education which is mostly about the form of group dance.

      • KCI등재

        韓國舞踊專攻子의 韓國的情緖認知에 따른 살풀이춤 學習態度分析

        추혜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의 한국적 정서인지에 관련된 사회심리학적변인을 탐색하여 살풀이춤을 수용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향후 민족정서의 재창조와 더불어 사회제도와 교육제도내의 한국무용에 참가한 전공자들의 정체성확립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한국적 정서인지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한국무용전공자들의 개인적 신상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적 정서인지에 따른 살풀이춤 학습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대학교, 무용단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표본 수집은 총 595명을 수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실제분석에 사용 된 인원은 575명이었다. 수집 된 자료로 한국무용전공자의 개인적 신상에 따라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적 정서인지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한국적정서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단 집단이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보다 만족감과 자아실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몰입감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정서인지와 살풀이춤 학습태도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한국적 정서의 하위영역인 한과, 흥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무용전공자들에 있어 무용의 참여활동의 빈도가 한국적 정서와 살풀이춤 학습태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고, 또한 살풀이춤을 인식하는 학습태도에 있어 한국적 정서인지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 out Korea dance majors of Korean emotion related to social psychological factor operate Salpuli study attitude how influencedgo to the bottom of after a nation emotion recreation, further socialrule, and education rule Korea dance participated majors stagnatiestablishment. In order to research first, Korea dance major of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Korean emotion aware to extent were analysis. Second, Korea dance major individual a special quality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analysis. Final, Korean emotion according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of relation investigat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575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expert dance groupfrom two stratified randomly selected group; in Seoul, Kyongki were surveyed by means of the revised questionnaire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a=.800-.892. Questionnaire utilized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as employed for ascerta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each respondent attached to each item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by employing the SPSS 10.1 ver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For all analysis an alpha level of .05 were us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 1. Expert dance group were Korean emotion aware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2. Expert dance group were satisfaction and self-actualization higher than high school, university group, but high school group in immersion area were higher than expert dance group, university group. 3. Between Korean emotion aware and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were causal relationship;. Thus, Korean emotion on sub-area of Han, Heung directly influenced to Salpuli dance study attitude.

      • KCI등재

        한국전통춤과 창작춤 공연명을 통해 본 인식세계 탐구

        백재화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3

        무대 중심의 개인이나 단체의 공연에 있어서, 공연제목은 일정한 틀과 의식의 규격 이 보여 진다. 그 이유는 단체별 특성을 넘어, 큰 틀에서 조망해 볼 때, 민족적, 문화 적 공통 특성이 의식세계에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상시 공연되어지고 있는 춤계의 공연현황에서 한국춤의 특정영역이 발산해 내는 공연명(공연명: 공연제목)에서 일정한 틀과 형식, 방식 등의 외형적 요건들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여 한 국춤을 전공하는 전공자들의 인식세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매해 출간하는 문예연감 2000년∼2008년에 실린 무용편람에 제시 되어있는 한국춤(전통과 창작)의 공연제목과 내용을 기본 자료로 하여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요인별 규명을 이루었다. 그 결과 한국전통춤은 전통의 전승과 계승, 문화유지, 창달의 의미가 존재하며, 표현의 영역이 자연주의 사상, 도가사상, 철학성의 내재를 확연히 드러냈다. 본인을 일차적으로 드러내는 것보다, 자연의 이치와 순리로 자신 의 사상과 존재를 드러내고자 하는 은유적 표현법이 한국전통춤의 인식세계에 잠재되어 있었다. 공연명의 짧은 구, 절 또는 복합명사의 표현법은 한국전통의 절제미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에 반해 창작춤은 옛스러움의 한정적 특징을 벗어나 일상적인 행 위와 생활적인 측면, 깊이 있는 자신의 사상적 측면의 자유로운 표출, 자신의 드러내고자 하는 몸짓과 의도가 공연명부터 일차적으로 잘 표현되는 경향을 띄고 있었다. 한국창작춤의 공연명은 춤이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성이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방법 을 과감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기에 공연명은 일상적인 대화의 한구절이 되기도 하고, 생각의 단면을 서술하는 형식이 되기도 하고, 철학적으로 사물과 자연, 자연현상의 의인화가 일어난다. 또한 ‘나’라는 존재를 표현함에 있어 공연명에 ‘○○○의 춤’으로 공연자의 존재적 측면을 강하게 부각시켰다. 공연자의 이름이 나타나는 경향은 춤을 단순한 ‘표현’의 매 체로 인식하던 시대를 지나 자신을 통한, 자신을 거쳐 ‘표현’하고자 하는 현대적 예술 의 발전상의 한 단면이 춤에서도 드러나는 경향이라고 보겠다. 표현의 상영자가 아닌 표현의 유일한 주체자가 되고자 하는 예술의 주체성이 보여 지는 부분이다. 공통적으로 전통과 창작에서는 품사 중에서 명사, 혼합명사의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되었는데, 이는 ‘표현’이 주가 되고, 무언가를 표현하는 것이 춤의 전형이기에 일차적으로 의미화 되어 있는 형용사와 동사, 부사의 사용보다는 명사의 사용으로 소재와 주제의 설정 후, 나머지는 공연자의 표현세계에서 풀어나가고자 하는 의도이다. Is to the individual in the stage center or the public performance of the group, public performance subject the standard of the frame which is fixed and ceremony comes to seem. The reason goes over a group by quality, when trying to have a distant view from the frame which is big, national, is because the cultural common quality reflecting in the ceremony worl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which sees usual specific territory of Korean dance to emit from public performance present condition of the dance orgin which is coming to be performed, the public performance life (public performance life: Public performance subject) from examines closely the external important matters of the frame which is fixed and format and method etc. generally and quality of the recognition world of the military merit people who major a Korean dance under examining closely boil. Research method from Korean cultural artistic commission every the low of publishing to do the liberal arts almanac the Korean dance which is presented in the martial handbook which is recorded at 2000 ~2008 (tradition and creation) did a public performance subject and a contents with basic data and the VIP by close examination which is suitable in goal of research accomplished. The resultant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victory and succession, cultural maintenance of tradition and meaning of window month existed, the territory of expression naturalism ideology, at household duties, year distinguished a philosophic sincerity immanence rapidly. Distinguishing person oneself primarily, displayed the ideology and an existence of oneself with reason and reasonableness of nature and should have been boiled the metaphorical expressive law was latent in the recognition wor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ublic performance name short nine, the expressive law of the paragraph or compound noun was to show control America of Korean tradition. Opposed hereupon and, the creation dance escaped an old being, limited feature, or, the act which is ordinary and the ideological side of oneself who is the side and the depth which are live free manifestation, oneself distinguished, should have been boiled gesturing and the intention were being seen from public performance life the tendency which is well expressed primarily. Public performance life of Korean creation dance dance under aiming boil the method which the directivity manifests directly boldly, was using. So the public performance life does, the Hankou paragraph of the dialogue which is ordinary becoming, the format which describes the section of thought becoming, does, philosophically the print of thing and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justice happens. Also expresses the existence which is to be, in public performance life embossed the existence side of the co-star strongly in ○○○ dances. The tendency where the name of the co-star appears will pass and dance the time when recognizes with medium of `expressions which are simple ' oneself, oneself will lead will pass by and `expressive ' lows should have been boiled development of the modern art the section which consults will see dance as the tendency which becomes known. Becomes subjective own house which the expression which is not screening own house of expression is only character is a part where the independence of the art which does comes to seem. Common from tradition and creation from in part of speech the personage, case of the mixture personage made come in contact frequently and but, this will become ' this stock price of `expressions, silence will split and the fact that expresses is model of dance, with the adjective which becomes meaning primarily freezes to death, use of adverb with use of the personage after setting the subject matter and the subject, the remainder from the expressive world of the co-star to release and boil is an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