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다큐멘터리 관람 전후의 대학생 환경의식과 고래관광 선호 차이

        김지선(Ji Sun Kim),최영희(Young Hee Choi)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3 觀光硏究論叢 Vol.25 No.3

        본 연구는 고래관광에 대한 잠재관광객들의 탐색적 연구로, 최근 고래와 고래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잠재관광객의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 식에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다큐멘터리 관람 전후 대학생의 환경의식과 행동의도, 선호하는 관광형태의 차이를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응답자가 고래를 자연적 환경에서 관찰하고 싶다는 의 식이 나타나 응답자들에게 주요 개체로서 고래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고 고래관광의 잠재관광객인 젊은 세대들은 인공적 형태의 고래 관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주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데 한계를 나타냈다. 또한 고래역사문화 탐방(암각화) 등에 대하여 응답자가 사후에 일부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고래 잡이와 고래관찰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관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Whale watching and whaling have been increasingly interest in Korea, but th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tourist potential awareness of the issues has not been provided, so fa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asked abou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ehavior intention and prefer type of tourism before and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film. To reach the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wanted to observe whal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expressed an interest related to culture tourism like the history of whales (petroglyph). The understanding on the tourists`s preference of the whale watching will be expanded through this study. The respondents`ve shown a stro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nsciousness, behavior intention on how to preserve endangered whale.

      • KCI등재

        한국의 관광 연구자는 누구인가? - 국내 관광 연구자의 학문적 궤적 탐색 -

        조광익(Cho, Kwang-Ei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3 觀光硏究論叢 Vol.35 No.1

        국내외 관광 교육 및 연구 역사가 60여년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관광학의 학문적 발전과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여전하고 특히 관광학 연구 분야의 편향성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편향성을 야기한 행위자로써 관광 연구자들의 학문적 궤적을 탐색하여, 관광 연구의 편향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에 재직중인 관광 분야 교원들(n=708)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전공분야, 임용시기 및 학문적 배경 등 학문적 궤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용시기별로 이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관광 연구의 전개 상황과 관광 연구자들의 학문적 배경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관광 분야 교원들은 남성 교원(65.1%)이 여성 교원(34.9%)보다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53.5세로 장년층 연구자가 많았고, 수도권보다는 지방에, 그리고 국공립대보다는 사립대에 소속된 교원들이 더 많았다. 학사학위 과정에서 관광 관련 학과를 졸업한 교원은 ⅓에 미치지 못하며, 학사과정보다는 석사과정, 석사과정 보다는 박사과정에서 관광학을 전공한 교원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관광교원의 전공 학문은, 관광학을 제외하면, 경영학의 비중이 10% 수준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학을 전공한 교원의 세부 전공분야는 관광경영/경제(62.9%)와 관광사업/레저사업(8.6%)로 경영학과 연관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관광 연구논문들이 경영학적 기반에 경도되어 있는 현상을 일부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With more than 60 years of history of tourism education and research, there have been ongoing controversies around the identity issues of tourism studies and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research topics among tourism academic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rajectory of the tourism researchers who had caused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research topics, and thereby to provide a different perspective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For this study, information on the tourism researchers work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were collected using data from database of 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KRI). From the data,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tourism researchers including the major study fields, appointment period to the affiliated universities and specialized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In addition, while comparing the researchers’ characteristics by their appointment periods, it examined the relatedness of the tourism researchers’ background to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Among the total 708 tourism researchers, male (65.1%) researchers outnumbered female (34.9%) researchers, and the senior researchers (50s∼60s) were more than juniors (30s∼40s) with the mean age of 53.5. While the researchers with tourism related degrees in their universities were less than ⅓, more researchers majored tourism areas in their master degrees than undergraduate degrees, and further much more in their doctoral degrees. Interestingly, focusing on the researchers’ doctoral degrees, the business management-related degrees (over 10%) were the biggest except for the tourism-related degre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partly explained why the tourism research papers in Korea tends to be written from the business management perspectives.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관광정의 담론 구성을 위한 모색

        황희정(Hee Jeong Hwa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2 觀光硏究論叢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awls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정의로운 관광을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관광분야 사회문화적·생태적 가치의 실현 및 회복은 ``대안관광``을 중심으로 논의된다. 그러나 대안관광은 관광현상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대안``으로,그 실효성 및 권력구조의 불균등 문제 해결 등에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현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관광의 의미를 반영하고, 관광분야의 윤리 및 가치 담론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철학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첩적 합의, 즉 정의는 모든 사회구성원의 합의된 평균으로, 모든 사회구성원간 합의를 토대로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구성원들이 수용할만한 정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관광분야중첩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선행 대안관광 연구에서 논의되는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산업 종사자, 그리고 대안관광의 주요대상이 되는 생태가 주요 이해관계자로 설정될 수 있다. 평등한 자유의 원칙은 쾌락 추구를 위한 기본적 권리로서의 관광기회 보장, 관광객의 관광활동 및 관광 계획·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주거권 보장, 그리고 생명과 안전을 유지할수 있는 생태의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 차등의 원칙은 제1원칙에서 명시된 기본적 권리와 관련하여 삶의 기회를 보장하여야 하며, 관광분야 최소수혜자에 대한 분배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논의하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정성 기준을 분석하고, 중첩적 합의를 분석하여 한국관광의 공정, 즉 정의의 원칙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pproach that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a just tourism based upon Rawls` ``The Theory of Justice``. The alternative tourism, which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as an unconventional strategy enabling the sociocultural and ecological virtue to realize in the field of tourism, seems to have downsides that not only does it have ineffectiveness but also it cannot eliminate the power-structural equilibri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philosophical approaches so that we can appropriately reflect the various and precious meanings of alternative tourism in tourism and builds the foundation of ethical contemplation. According to Rawls, the overlapping consensus can be regarded as justice when it is based on the decision that all the stakeholders consent to. In the sense of Rawls` theory, drawing a boundary of who can fall into the category of ``stakeholders`` takes precedence. Generally, previous research on alternative tourism has focused on resident, tourists, and people engaged in tour industries as the stakeholders. However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ably examine ``ecology``. Ecology, what alternative tourism intends for, has own independence and otherness. In this respect, ecology is able to become a stakeholder when we take Rawls` viewpoint on the overlapping consensus and apply it in alternative tourism. ``The principle of equal liberty`` is the first principle of Rawls` theory of justice. As taking this principle in tourism, we have to guarantee opportunities for tourists so that they can fulfill the desires for their tours and pursue their own pleasures. Also, we have to consider residents` dwelling in order for their living conditions not to be interrupted by a tour-development plan. Furthermore, we need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ecology should be securely protected from human tour activities. ``The difference principle``, one of Rawls` principle, can be discussed linked to the first principle in a way that takes the notion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basic rights of living opportunities for stakeholders. Besides, the principle giv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ow the least beneficiaries among the stakeholders can be fairly compensated. It is anticipated for further studies to analyze the standards of fairness that all the stakeholders are cognizant of, examine the overlapping consensus by the stakeholders, and firmly build the principles of fairness and of distribution in the field of Korean tourism.

      • KCI등재

        관광정체성은 영유아 동반자의 관광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자녀 연령에 따른 제약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최지원,이훈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2 觀光硏究論叢 Vol.34 No.1

        Does accompanying young children hinder parents’ participation in travel? Then, how does the tourism identity of parents affect overcoming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ourism constraints of parents 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hen traveling with them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parents’ tourism identity on overcoming and participating in tourism with young children. Accompanying young children can also be classified as the disabilities in tourism,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straints negotiation process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Since various travel constraints disturb tourism participation, tourists overcome the constraints and participate in tourism through the constraints negotiation proces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confirmed the major impact of leisure identity in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 the importance of tourism identity as a new variable and the need for research were raise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ourism formed by the influence of tourism identity on the process of negotiating tourism constra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major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they expanded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research on tourism constraint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tourism identity in the process of negotiating constraints. In addition, we identified tourism constraints and constraints negotiating factors that were form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ons with young children, such as the age of children. 영유아 자녀 동반은 부모의 관광참여를 방해하는가? 그렇다면 부모의 관광정체성은 이를 극복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동반 관광 시 영유아의 특성으로 인해 형성된 부모의 관광제약을 파악하고, 부모의 관광정체성이 영유아 동반 관광제약을 극복하고 관광에 참여하게 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영유아 동반자는 관광약자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제약과 제약협상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양한 관광제약은 관광참여를 저해하기 때문에, 관광객은 제약협상과정을 통해 제약을 극복하고 관광에 참여한다. 여가제약협상과정에서 여가정체성의 주요한 영향을 확인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광정체성이 관광제약협상과정의 새로운 변수로서 그 중요성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관광정체성이 관광제약협상과정을 거쳐 관광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제약협상과정에서 관광정체성의 영향관계를 검증해 관광제약협상 연구의 이론적 모델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주요한 학술적 시사점을 갖는다. 또한 동반 자녀 연령 등 영유아 동반자의 특성을 반영해 형성된 관광제약과 제약협상요인을 파악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영유아 동반 관광 활성화과정에서 관광제약 완화와 협상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실무적 전략 수립과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 KCI등재

        Social Tourism 개념과 연구 과제에 대한 고찰

        정진영(Chung, Jin-Yo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7 觀光硏究論叢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해외 문헌에서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Social Tourism의 정의를 고찰하고, 주요 이론적 접근을 크게 3가지 (인간 기본권 및 윤리학적 접근, 관광사회학적 접근, 모빌리티 이론적 접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국내외 문헌과 세계 각국의 주요 Social Tourism 사례 및 주요 대상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국내외 비교 문헌고찰을 통하여 해외 문헌에서는 Social Tourism 정의가 관광 환경의 변화와 시대적 흐름에 따라 확장되어 왔으며, 연구 방향 및 정책 대상 또한 변화해 왔음이 밝혀졌다. 반면, 국내 연구는 대체로 장애인 및 노인, 저소득층 등 초기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국내 Social Tourism 연구도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관광권 보장을 위한 “Tourism for All”관점에서 사회통합을 촉진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관광으로 개념적 확장을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공공부문, 비영리단체 뿐만이 아니라, 민간 기업들도 Social Tourism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t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n social tourism, and second, it attempts to identify theoret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ocial tourism.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theoretical scopes of the social tourism have been changed due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growing demand in society. The main theore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discourse of social tourism in the literature include, 1) from the human rights perspective, 2) from the sociology of tourism perspective, and 3) from the mobility paradigm perspective. In comparison, social tourism studies in Korea have little experienced the conceptual extension and development. Thu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social tourism in Korea seek to improve the body of knowledge about social tourism for a variety of individuals, social groups, and stakeholders and deal with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the effect of social tourism on social integration and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 KCI등재

        관광개발에 따른 지역주민 갈등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제주지역 관광개발 사례 대상으로 -

        박주영(Park, Ju-Yo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관광개발 사업으로 찬반갈등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의 갈등 요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집단 간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정책을 수용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의 갈등인식을 세분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개발지역 내 거주여부, 소득의 관광산업 의존도, 개발지역의 부동산 소유여부 등 지역주민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갈등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주지역 관광개발 갈등의 이슈가 되고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이해관계를 맺고 있는 지역주민 226명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갈등 요인을 파악해 본 결과 행정적, 정치적, 경제적, 법 제도적, 외부적 5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갈등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간 지역주민의 개인적 특성과 정책을 수용하는데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지역의 성공적 관광개발을 위해서는 주요 이해관계자인 지역주민의 정책수용이 관건이며, 이들의 특성과 갈등인식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갈등주체에 따른 맞춤형 갈등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제주지역의 관광개발 갈등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tourism development conflict factors of local resident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 to explore how they affect policy acceptance.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subdividing the perception of conflicts of local resident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ived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ocal residents. Cases that have become an issue in the tourism development conflict in the Jeju region were select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a valid sample of 226 local residents who have an interest. As a result, five conflict factors were derived,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factors,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ccep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of local resident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proved.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customized conflict management is needed according to conflict agent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for tourism development in the Jeju region.

      • KCI등재

        북한 관광지식체계의 인식론적 이해 - ‘관광업경영방법론’을 중심으로 -

        정진영(Chung, Jin-Yo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4

        본 연구는 북한의 관광지식체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문헌과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현실적으로 북한 관광의 실재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 학문공동체의 관광에 대한 지식을 학문적 산출물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분석결과 북한 관광지식체계가 관광 연구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충실하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관광의 개념적 정의와 관광산업 분류 방식이 국내외 관광학 서적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반면, 북한에서 관광을 발전시키려는 이유는 경제발전과 함께 사회주의제도와 정치체제를 대외적으로 선전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외래 문화유입에 따른 사회 문화적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주의 원칙에 입각한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관광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알려진 바 없던 북한의 관광지식과 관광산업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북한 관광에 관한 이해도를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입수가 어려운 북한 문헌의 주요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자들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지식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in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 book published by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used for the literature analysis. The analysis in this study followed the epistemological thinking, which is built on the philosophical canon of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Results showed tha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in North Korea is well-structured. In particular, the definition of tourism and classifications of the tourism industry are fairly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frequently-used literature in other countries. In contrast, the knowledge output in North Korea places emphasis the role of tourism in propagating the political system and regime of the country to visitors, and suggests that the tourism in that country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ism. Th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much and accurate North Korea comprehends the tourism phenomenon and its industry. By sharing and disseminating of what has been never discover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will give rise to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North Korea tourism.

      • KCI등재

        순례 관광의 진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해옥(Kim, Hae-O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3

        오늘날 성지순례 참여자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순례 관광의 참여 동기와 전반적인 활동을 연구할 필요성이 관광학에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순례 관광의 진정성에 관한 연구로서 순례 관광 참여자들의 순례 관광 동기와 순례 관광경험의 진정성 의미에 대해 해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순례 관광 참여자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총 28개의 주제(theme)를 도출하였다. 또한, 순례 관광의 진정성에 대한 현상의 본질구조 파악과 의미를 찾고 공통된 의미를 통해 14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 4개의 범주(category)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학 관점에서 관광학과 종교학의 융합적인 학제적 관점을 통해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순례 관광 참여자들의 경험을 해석하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시도하였다. 실무적 관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순례 관광객들의 여행 동기를 파악하여 순례 관광 마케팅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순례 관광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authenticity of pilgrimage tourism, which aims to interpret the motives of pilgrimage tourists and the authenticity of pilgrimage tourism. In this study, a total of 28 theme were deriv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10 people on the authenticity of pilgrimage tourism. In addition, authenticity was composed of 14 theme clusters and 4 categories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phenomenon, finding its meaning, and deriving a common meaning.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is that it presents a fusion of academic perspectives of tourism and religious stud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tourism marketing data for revitalizing pilgrimage by identifying the travel motives of pilgrimage travelers.

      • KCI등재

        섬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이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일선,홍장원,이정아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4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the island is increasing continuously due to changes in tourism trends, such as an increasing leisure time and growing interest in the ocean, an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island tourism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ttributes, the constraints of tourism, tourists satisfaction and tourist revisit inten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tudy purpo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ly, the tourist attributes of the isl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urism satisfaction. Secondly, only the structural constrain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ourism satisfaction. Finally, tourism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ibutes, tourism constraint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island tourists at national level, with increasing demand and interest in island tourism. 국민 여가시간의 증가와 교통수단의 발달, 해양에 대한 관심 증대 등 관광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섬을 찾는 방문객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전국 단위에서의 섬관광객을 대상으로 섬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 요인을 파악하고 이와 함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를 파악하여 국내 섬관광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측정 항목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측정하는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섬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섬관광 제약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구조적 제약만이 관광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섬관광에 대한 정책적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특정 지역에 한정된 연구가 아닌 전국 단위의 섬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지 선택속성, 관광제약,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의 관계를 이해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해양생태관광 제약요인 분석

        황희정(Hwang, Hee-Jeong),최영희(Choi, Young-Hee)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1

        해양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에서는 해양관광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생태관광 역시 일부 해양보호구역에 한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해양생태관광에 대한 요구가 기 형성되어 있음에도, 실제 해양생태관광 참여행동으로 연결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해양생태관광 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생태관광 제약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내재적 제약은 태도와 행동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구조적 제약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은 태도를 매개하여 직간접적으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관광객의 요구한 해양생태관광 프로그램 다양화 등을 통하여 내재적 제약을 제거하고, 해양생태관광에 대한 인지도 제고, 관광시설, 교통 등의 구조적 제약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한 시점이다. Although there have a great deal of policy efforts to invigorate a marine tourism, it has not successfully established as a part of tour products yet in Korea. An eco-tourism within a marine sanctuary has been also restricted to very partial areas. There have been enormous needs for the marine eco-tourism, however no participations or no positive efforts have supported the needs. In the light of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been aiming at analyzing what factors have affected the attitude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s in terms of the marine eco-tourism in Korea.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trinsic constrains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s while the structural constrains is unhelpfully related to the attitudes. Both the intrinsic constrains and the structural constraints combined with the attitude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actions. This result calls for prompt endeavors that include: 1) the elimination of the intrinsic constrains, by diversifying the marine eco-tourism based on travelers’ needs; 2) the political efforts for eradicating the structural constraints that include prevailing travelers’ unawareness, old tour facilities, and inconvenient transpor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