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도입과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

        여은혜 한독심리운동학회 2018 심리운동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in Korea by exploring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psychomotorik in Germany. As the social demand and interest in the psychomotorik in Korea increases, the area is expanded and applied to various ages and objects. In Germany, the history of the psychomotorik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accumulated, and it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along with the subsequent research. The psychomotorik,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Germany 20 years ago, is rooted, and now the psychology department i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Korean university. At the time when the qualification of the psychomotorik is strengthened to be issued only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leave it in the records. This study collects, analyzes and organizes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sychomotorik in Korea centered on institutions related to psychomotorik,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societies. In addition, we analyzed and analyzed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qualification issue status of Korea psychomotorik Institute and Korea psychomotorik Associ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psychomotorik training institut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wo directions, the identity of the psychomotorik in Korea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sychomotorik are suggested. 본 연구는 독일에서 시작된 심리운동의 한국에서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탐구하여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정체성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심리운동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영역이 다양한 연령과 대상으로 확대·적용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심리운동의 역사가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고 자료들이 축적되어 있어 후속연구와 더불어 심리운동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기초가 되고 있다. 20여년 전 독일에서 한국으로 도입된 심리운동은 뿌리를 내려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심리운동학과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심리운동사 자격이 학부수준 이상에서만 발급되도록 강화되는 시점에서 한국에서의 심리운동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기록에 남겨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 관련 기관, 연구소, 학회 등을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심리운동 발전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체계화 시켰다. 또한 대표적인 심리운동사 양성기관인 한국심리운동연구소와 한국심리운동협회의 자격증 취득과정 및 자격발급 현황을 정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두 방향에서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심리운동의 정체성 정립과 앞으로 심리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실태와 발전 방안 고찰

        박재우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rveys filled out by the participants of psychomotorik training and contemplate on the tasks to develop national psychomotorik. For this, I created a questionnaire composed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and their background and feedback from the training program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ole chang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oretical paradigm of psychomotorik. As for development tasks for psychomotorik and training programs, first. it is required to activate job (continuous) training in line with expansion of various participants that need psychomotorik train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to achieve it,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train psychomotorik instructors in various fields by expanding participating conditions of the participants. Second, psychomotorik training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volving diverse activities directly in connection with job domains of the participants. Third, in order for psychomotorik to expand its identity of inherent academic domain according to the changing theoretic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promote extens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and expansion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expert literatures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향후 국내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을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구성분포도, 참여 배경과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심리운동의 역할변화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에 비추어 분석하고자하였다. 이에 심리운동 및 연수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심리운동적 교육, 치료 및 재활을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확대에 발맞추어 직업(계속)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영역의심리운동사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심리운동 연수는 심리운동학이라는 학문적 토대위에 개인의 정체성과 의미 해석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참여자들의 직업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활동들로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고유한 학문적 영역의 정체성 확장 및 확립을 위해 보다 광범위한 양적·질적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관련 전문서적들의 번역 및 출판 등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부위(Wei Fu)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ASD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민첩성, 평형 감각, 신체 조절, 움직임 조절)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사회적 경향, 사회적 인지,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자기 조절)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SD아동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 상관 이론을 토대로 ASD아동의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을 9가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심리운동 상관 이론의 영역별 발달지원 요소별로 분석하여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ASD아동은 실헙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 적용에 앞서 운동 능력의 각 하위 영역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 영역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총 18회기를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운동 능력 즉, 민첩성과 균형감각, 신체조절, 그리고 협응력 및 움직임조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사회적 기술, 즉 사회적 경향, 사회적 인지,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자기 조절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개발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ASD아동의 운동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ASD 중재의 실천적 응용을 발달시키는 심리적 운동 활동 프로그램은 풍부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sychomotorik Program for ASD children that can support each sub-region of motor skills (sensitivity, balance, body control, movement control) and social skills (social trends, social 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Based on psychomotor correlation theory, nine sub-areas of ASD children's motor skills and social skills were derived, and psychomotor correlation theory was analyzed to develop Psychomotorik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total of 18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s were conducted on the subjects, and then a post-test was conducted. The developed Psychomotorik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otor skills of ASD children, namely agility and balance, body control, and coordination and movement control. The developed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of ASD children, that is, social trends, social 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the developed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needs to be used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the athletic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ASD children. Psychomotorik Program that develop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SD intervention are abundant.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심리운동 신체경험 요소 분석 - 영역별, 생활주제별, 내용범주별 중심으로 -

        장진희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2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sychomotor to physical activity scope of Nuri curriculum by analyzing activities of Nuri curriculum including psychological movement 「Physical experience」 by scope, life topic, and content category. For doing so, total 103 activities including psychomotor 「Physical experience」relevant elements (Perception, Spatial orientation, Knowledge, Space situation, Delicate exercise, Environment, Tension, Emotion) were analyzed. As research results: First, psychomotor element according to each scope of Nuri curriculum showed a lot of distribution to physical scope and outside play, and psychomotor element was calculated in roles (Juvenile drama) and music (Melody) scopes too. Second, in life subject of Nuri curriculum, psychomotor element was displayed intensively to the topic ‘Health and Safety,’ and psychomotor element was reveal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ntents of each topic and emphasizing point. Third, in each content scope of Nuri curriculum, the scope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scope contains psychomotor element most. From this finding, psychomotor 「physical experience」activities should be applied well at kindergarten field so as to be fit to configuration directions and purpose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hus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methods are encouraged to be groped accordingly. 본 연구는 심리운동「신체경험」관련 요소가 포함된 누리과정 활동을 영역별, 생활주제별, 내용범주별로 분석하여 누리과정의 신체운동영역에 심리운동이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신체경험」관련 요소(지각, 공간지향, 지식, 공간상황, 섬세한 운동, 환경, 긴장, 감정)가 포함된 총 103개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누리과정의 영역별에 따른 심리운동 요소는 신체영역과 바깥놀이에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역할(동극)과 음악(음률) 영역에서도 심리운동 요소가 산출되었다. 둘째,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별에서는‘건강과 안전’주제에 심리운동 요소가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각 주제별 내용과 강조점에 따라 심리운동 요소가 다르게 표출되었다. 셋째, 누리과정의 내용범주별에서는 신체운동영역을 포함하는‘신체활동에 참여하기’범주가 심리운동 요소를 가장 많이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과 목적에 맞게 유치원 현장에서 심리운동「신체경험」활동이 잘 적용될 수 있도록 그것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심리운동 이완 활동이 여대생의 수면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왕도뢰(Daolei Wang),근흔(Xin Jin)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 이완 활동이 여대생의 수면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A 시에 소재한 B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7명씩 나누어서 사전검사, 심리운동 활동 중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이완 활동은 수면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리운동의 다양한 경험을 많이 할수록 수면의 질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심리운동 이완 활동은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리운동의 신체경험을 통해 신체를 지각하고 스스로 표현하며 신체를 조절하는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것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심리운동 이완 활동은 낙관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 연구는 심리운동 이완 활동이 여대생의 수면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 심리운동 이완 활동이 수면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sleep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54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B in A city, China,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27 each, and pre-test, psychomotor activity intervention,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you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exercises, the better your sleep quality. Second,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hysical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ercise, one can experience the perception of the body, self-expression, and control of the body. It can be seen that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ie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ptim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sleep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psychomotorik relaxation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조사

        이민규(Min-Kyu Lee),강산해(San-Hae Kang) 한독심리운동학회 2023 심리운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언어재활사 1급 혹은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현재 언어재활사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7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재활사의 근무처 중 심리운동이 진행되고 있거나, 언어재활 서비스 대상자가 심리운동을 치료로서 받고 있는 경우는 드물었는데, 심리운동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대부분의 언어재활사는 심리운동에 대해 들어본 적은 있었고, 심리운동을 주변 동료를 통해 알게 되었으며, 심리운동을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 심리운동을 통해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심리운동과 언어재활 간의 관련성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심리운동 관련 홍보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향상과 심리운동과 언어재활의 적극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심리운동에 대한 홍보와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활발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on psychomotorik.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72 pathologists currently working a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level 1 or level 2 speech-language pathologist certif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psychomotorik was not employed or was not used as the treatment for most of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patients at their workplace. It was due to the reason that they were not knowledgeable about psychomotorik. Mos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heard about psychomotorik from their colleagues, and i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fields of psychotherapy. Some are expecting a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through psychomotorik.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lacks relevance between psychomotorik an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They pointed out that advertisements and research about psychomotorik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sychomotorik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and promotions for psychomotorik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sychomotorik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o join in with psychomotorik and speech therapy actively.

      •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김민석 한독심리운동학회 2017 심리운동연구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ehend the job actual condition and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ctual condition and job stress of Psychomotor special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40 psychomotor specialists who have been granted psychomotor specialist rights by Korea Institute of Psychomotoricity and Motology and Koreanischer AktionsKreis Psychomotorik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tres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ademic abil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betwee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f organizational dimension which is a sub - variable of job stress according to age and marital statu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ctual condition and job stress showed that monthly average wage, group treatment availability, daily average working hours without treatment, monthly average number of subjects were related to job stress. In addition, psychological movement in Jeonbuk provi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compared to other areas psychological movement. 본 연구는 심리운동사의 직무실태를 알아보고 심리운동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며 직무실태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따라 한국심리운동연구소와 한국심리운동협회에서 심리운동사 자격을 발급받은 40명의 심리운동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학력에 따른직무스트레스에서 대학원에 재학 중인 심리운동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대학원을 졸업한 심리운동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직무스트레스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없었다. 단, 연령과 결혼 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조직적 차원의스트레스에서 결혼을 한 심리운동사의 조직적 차원 스트레스 평균이 미혼의 심리운동사의 평균에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25-29세의 심리운동사들의 조직적 차원 스트레스의 평균이 40-44세의심리운동사의 평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실태 관련 변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월평균 급여, 그룹치료제공 여부, 1일 평균 치료 외 업무시간, 월 평균 치료대상자 수가 직무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0미만의 월급을 받는 심리운동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이상을 받는 심리운동사들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에 비하여 높았으며 그룹치료를 제공하는 심리운동사들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이 그룹치료를 제공하지 않는 심리운동사들의 평균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1일 평균 치료외 업무시간이 4시간 이상인 심리운동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이 다른 심리운동사들의 평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월평균 치료 대상자 수가 15명 이하인 심리운동사의 직무스트레스평균이 16명 이상의 대상을 치료하는 심리운동사들의 평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그 외에도전북지역 심리운동사의 이직의도 평균이 그 외 지역 심리운동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근무하는 기관 내에 도구실이 없는 심리운동사들의 생리적 징후가 도구실이 있는 기관에서 근무하는심리운동사의 생리적 징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 NCS 기반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

        김보민,문장원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training program of psychomotor specialist based on NCS, which was required by the government to satisfy a mini- mum level of compet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psychomotor specialist’s duties and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n suggested a training pro- gram for them. This study suggested six factors in their duties, such as diagnosis/assessment, counseling,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case management in performance. It also suggested five factors in the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motor, ther- apeutic relationship, planned interventio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In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psychomotor specialist, this study suggested six strategies. First, we should decide on transition from psychomotor specialist’s certification in current system to new system. Second, we should decide on position of psychomotor in NCS classification system. Third, we should classify behavior duties and form their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Fourth, we should decide the minimum base level and content of job function area in psychomotor. Next, we should decide job performance and competencies unit according to eligibility level and rule. Finally, we should decide educational training time required to foster the psychomotor specialis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능력 요구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 NCS에 기반한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사의 직무와 핵심 능력을 검토하여, 심리운동사의 양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심리운동사의 직무로서 진단/평가, 상담, 중재,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사례관리를 핵심 직무로 제안한다. 심리운동사가 갖추어 하는 최소한의 핵심 능력으로는 심리운동의 이론적 기초, 치료관계, 중재계획, 중재수행, 중재평가와 처치등 6가지로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사 양성 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심리운동사 자격제도를 신자격으로 할 것인지 구자격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NCS 분류체계에서 심리운동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사의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에 따른 능력단위를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직업기초기능 영역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심리운동사의 자격 등급에 따른 직무와 능력단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여섯째, 심리운동사 양성에 필요한 자격 등급별 교육훈련 시간을 결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심리운동 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과 개선방안

        여은혜(Eun-Hye Yeo)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한독심리운동학회에서 발간하는 「심리운동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제8권 2호까지 게재된 122편의 논문을 등재후보지로 선정되기 이전과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이후로 구분하여 연구주제, 연구 대상, 연구방법, 저자, 작성언어 등의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치료·재활 주제 관련 주제와 기타(타 학문과의 연계 가능성 및 접근 가능성, 동향 분석 등)의 비중이 높아졌다. 연구 대상에서는 아동·청소년 대상의 연구 비중이 높아졌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의 사용 비중이 감소했고, 질적 연구방법이나 기타(문헌연구 등) 방법의 사용 비중이 높아졌다. 치료센터·발달센터 소속의 저자의 비중이 전기보다 후기에 증가했다. 작성언어는 한국어로 작성된 논문이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했다. 심리운동연구는 국내 유일의 심리운동 전문 학술지임으로 다양한 논문이 적극 투고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식의 글 또는 다양한 저자들이 지속적으로 투고하고 게재할 수 있도록 학술지의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국내 유일 심리운동 전문 학술지인 「심리운동연구」의 질적·양적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 연구동향 분석에 근거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Journal of Motologie」 published by the Korean-German Society for Motologie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122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to Volume 8, No. 2 were divided into those before and after they were selected as candidates for registration, and the analysis criteria such as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uthor, and writing language were applied. Analyz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others(possibility of linkage with other disciplines and accessibility, trend analysis, etc.) increased.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As for research method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creased, and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other (literary studies, etc.) method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authors belonging to the treatment center and development center increased in the latter period than in the first period. As for the writing languag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articles were written in Korean. 「Journal of Motologie」 is the only journal specialized in psychomotorik in Korea, so it seems that a plan to actively submit various papers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tive promotion strategy for journals so that various types of articles or various authors can continuously contribute and publish.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of 「Journal of Motologie」, the only journal specializing in psychomotorik in Korea, research that suggests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trend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 KCI등재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 연구동향 분석 및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장수(Jang-Su Kim)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중재한 심리운동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파악하는 것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의 관계를 분석하여, 성인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가 처음 시작된 2008년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17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도별 현황, 발표경로, 연구대상, 종속변인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긍정심리자본과 그 하위요인과 심리운동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가 한독심리운동학회와 우석대학교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 유형이 다양화 되고 있지만 타 중재방법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성인에 대한 심리운동 지원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성인 대상 심리운동을 중재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인은 위험요인적 심리특성 변인보다 보호요인적인 변인들이 더 많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의 공통된 이론적 맥락을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심리운동이 긍정심리자본과 그 하위요인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결과들을 확인했다. 이 연구 이후, 성인에 대한 심리운동 연구와 개인의 긍정적인 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심리운동 연구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하고, 심리운동의 영역의 확대와 인접 학문과의 연계한 심리운동 연구 또한 활발해 지기를 바라며, 성인과 긍정심리자본 향상에 초점을 맞춘 심리운동 프로그램 또한 국내에서 개발되길 기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psychomotorik research targeting adults, to grasp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psychomotorik research for adul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motorik. To this end, from 2008 to September 2022, a total of 17 psychomotorik interventional studies for adul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current status by year, announcement route, research subjec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Next, Learn about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s sub-factors and psychological movement was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psychomotorik intervention studies for adults are increasing, centering on the Korean-German Psychomotorik Society for motologie and Woo-suk University. Second, although the types of research subjects are diversifying, i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intervention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active psychomotorik research on adults in various fields. Third,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of psychomotor interventions for adults had more protective factors than risk factors due to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common theoretical contex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motorik was confirmed, and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exercis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s sub-factors in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After this study, It is my hope that psychomotor studies on adults and psychomotor studies that can draw out positive individual power become more widesprea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studies connected with the expansion of domestic psychomotorik and adjacent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and it is expected that a psychomotorik program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mprovement will be develop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