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춤형 OOH 광고의 효용성과 실행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김나경(Kim Na Kyoung),고한준(Ko, Han Ju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OOH 광고의 미래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맞춤형 OOH 광고의 효용성과 향후 집행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OOH 광고에서 맞춤형 광고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전문가 인식은 어떠한지, 맞춤형 OOH 광고의 장, 단점은 무엇인지, 맞춤형 OOH 광고에 대한 분류 기준을 최초로 정의하고, 각 유형별 맞춤형 OOH 광고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어떠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 조사(delphi study)를 실시하였으며, 먼저 26명의 관련 학계 및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통해 135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업계 전문가들은 맞춤형 OOH 광고의 도입과 전망에 대부분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맞춤형 OOH 광고의 긍정적 측면으로는 타깃팅 적용 가능성이, 부정적 측면으로 개인정보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춤형 OOH 광고의 유형을 개인인식형, 사물인식형, 상황인식형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세 가지 유형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상황인식형, 개인인식형, 사물인식형의 순으로 향후 실행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맞춤형 OOH 광고의 활성화 운영방안으로는 기술적, 사회적, 법률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맞춤형 OOH 적극적 실행과 도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OOH 광고의 미래인 ‘맞춤형 OOH 광고’라는 이슈를 촉발시켜 OOH 산업 발전을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으며, 광고 학계와 업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맞춤형 OOH 광고의 전망과 중단기적 개선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맞춤형 OOH 광고의 유형을 체계화하고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its implications in the future. Particular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from experts’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classify the major typ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is process,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experts from OOH advertising related academia and industry. A total number of 26 experts wer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135 experts in the online or offline surveys. As a result, majority of exper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ustomized OOH advertising.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ustomized OOH advertising was the effectiveness of targeting. On the other hand, the major negative aspect was privacy issue caused by the execu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This study also classified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to the three types, as follows: person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object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situation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Regarding these typ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experts anticipated positive consequences in the order of situation recognition, person recognition, and object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aspects, such as technical, social, and leg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ccessfully apply customized advertising to the field of OOH advertising. This exploratory study is a meaningful exploratory attempt to provide the new classifica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박진표(Jinpyo Park) 한국OOH광고학회 2014 OOH광고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제행사지원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사업의 과거와 현재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비롯한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기금조성용 옥외광고는 국제대회의 원활한 개최를 위한 기금마련의 목적으로 특별법 하에서 등장한 이래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데 우리나라 옥외광고시장의 활성화 측면에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원활한 기금조성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져 옥외광고 산업의 건전한 토양을 마련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2008년 설립된 한국옥외광고센터는 현재 일반법으로 편재되어 시행되고 있는 기금조성용 옥외광고 사업을 운영하는 기관으로 옥외광고 산업발전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09년 1차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2차 기금조성용 옥외광고 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사업의 과거와 현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옥외광고센터의 출범 이후에 과거 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사업추진의 성과는 높이 평가 받을만하지만 그 이외의 다양한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도 유념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산업계의 요구와 기대에 맞추어 향후 기금조성용 옥외광고 사업은 보다 면밀한 환경분석과 마케팅 요소의 도입을 통하여 소비자 중심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u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OOH billboard advertising business by examining the past and current status of OOH billboard advertising business. The OOH billboard advertising business activated korean outdoor advertising market, but its main objective wasn"t building market base of OOH advertising but setting up a fund for international event. That was a limit of past OOH advertising business. So the function of the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i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the future OOH advertising market. The Korea Out of Home Advertising Center should extend its operations into new OOH media and various OOH advertising business sections to satisfy the demand of stakeholder of OOH advertising market. So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o use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marketing 4p mix for OOH billboard business.

      • KCI등재

        설득지식과 신뢰가 메타버스 OOH광고 이용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김희수 한국OOH광고학회 2023 OOH광고학연구 Vol.20 No.4

        메타버스에서도 OOH광고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될 수 있다. 메타버스 상에서는 OOH광고의 궁극적인 목적은 소비자가 OOH광고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소비자들이 OOH광고와 상호작용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모델화한 것이다. 메타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설득지식은 메타버스 신뢰를 거쳐 OOH광고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설득지식이 OOH광고 유용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OOH광고 유용성은 OOH광고 태도를 매개하여 OOH광고 상호작용 의도에 연결되었다. OOH광고 유용성은 OOH광고 상호작용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OOH광고 유용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메타버스에서 OOH광고의 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OOH advertising could be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even in metaverse. The ultimate goal of OOH advertising in metaverse is to lead consumers to interact with the advertisement. This research reveals how OOH advertising could interact with consumers in metaverse via research model.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metaverse users, and the result shows that persuasion knowledge impacts on OOH advertising usefulness through metaverse credibility. However, the direct impact of persuasion knowledge on OOH advertising useful-ness was not found. The research also found OOH advertising attitude mediates between OOH advertising use-fulness and intention to interact with OOH advertising. Moreover, OOH advertising usefulness did not directly impact on intention to interact with OOH advertising. The results show importance of OOH advertising's useful-ness providing significant implications of OOH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metaverse platform.

      • KCI등재

        OOH 광고물 특성과 유형에 의한 효과 분석 연구: 설치 장소, 제품의 유형과 시장 내 위상, 정보의 소구방식 등을 중심으로

        유현재,이민지,양웅 한국OOH광고학회 2021 OOH광고학연구 Vol.18 No.2

        Digital is also widely used in advertisements executed by companies, government agencies, or a number of other entities that must use means to persuade consumers and sell goods and services. Outdoor advertising (OOH) is actively being used in the persuasion process for consumers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digital technologies in the market, an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ealing with outdoor advertising, especially OOH advertising with digital technology. However, additional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s, purchasing intentions, and oral intentions on advertising is needed. In response,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with scenario techniques used to identify consumer responses in related field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research to examine how consumers' responses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OOH advertisemen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confident that it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various digital outdoor advertisements and the production of materials to attract prospective advertisers such as companies. 디지털은 소비자들을 설득하고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야 하는 기업, 정부 기관 혹은 여타 다수의 주체들이 집행하는 광고에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옥외광고 (OOH)는 새롭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디지털 기술들이 접목되어 소비자들을 위한 설득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그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그동안, 옥외광고 특히 디지털테크놀로지가 적용된 OOH 광고를 다루는 연구는 많았지만, 광고물에 노출된 후 광고가 의도하는 메시지와 이미지를 수용하는 직접적 대상인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어떠한 태도를 갖게 되며 제공된 정보에 의해 구매의도 혹은 구전의도 등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학, 마케팅 연구 등 관련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시나리오 기법의 실험을 수행하여 디지털 OOH 광고물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소비자들의 반응이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결과는, 추후 각종 디지털 옥외광고의 활성화, 기업 등 예비 광고주 유치를 위한 자료 생산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장형여(Zhang, Xinyu),이세진(Lee, Se-Ji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4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이익이 위험보다 높을 때만 개인이 정보공개를 한다는 이론으로, 정보공개를 촉진하는 순방향 요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광고회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셜미디어에서 느끼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프라이버시 우려, 광고회피,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두 국가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와 광고회피의 정도,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보다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은 높았으며, 광고회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에게서 프라이버시 우려는 광고회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의 경우, 두 변인의 관계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효능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와 광고회피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은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기 때문에 광고회피의 정도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그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그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우려와 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국가간 비교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particular, firs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efficacy moderates the effect of users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Second, this study compared social media users in Korea and China on privacy concerns, advertising avoidance and perceived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users in social media had higher perceived efficacy and lower advertising avoidance than Chinese us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ivacy concer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users and Chinese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sers,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greater for Chinese users than for Korean us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ly Korean us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decreased as the perceived efficacy increased.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among Chines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advertising,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광고침입성 및 광고혼잡도가 광고태도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통 및 디지털 옥외광고를 중심으로

        정현주(Jeong, HyeonJu),박정선(Park, JungSu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전통적 옥외광고와 디지털 옥외광고에서 광고혼잡도와 광고침입성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일반인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는 디지털 옥외광고에 접촉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남녀를 표본으로 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에게 전통적 옥외광고보다 디지털 옥외광고에 대해 광고혼잡도와 광고침입성이 더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전통적 옥외광고에서의 광고침입성과 광고혼잡도에 미치는 영향이 디지털 옥외광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디지털 옥외광고의 경우 광고침입성과 광고혼잡도가 호감도와 신뢰성이라는 차원에서 광고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어, 향후 디지털 옥외광고 발전에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advertising clutter and advertising intrusiveness influenc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traditional OOH advertising and digital OOH advertising.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ubject of 400 adults, especially with the sample of the age 20-59 who have some experience of exposure to digital OOH advertising. As a result, although consumers showed the tendency that perceived advertising clutter and advertising intrusiveness in digital OOH advertising higher than traditional OOH advertising, in traditional OOH advertising, consumers perceived the impact of advertising clutter and advertising intrusiveness on advertising attitude higher than traditional OOH advertising. In addition, even if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re were cases that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advertising clutter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dvertising attitude. Therefore, the finding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important material for facilitating and developing digital OOH advertising industry.

      • KCI등재

        OOH 광고의 공익 소구 및 표현기법에 관한 내용분석: ‘코로나19’ 주제 광고를 중심으로

        김운한(Kim, Woon-Han),최홍림(Choi, Hong-Lim),박한나(Park, Hanna)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4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19 이슈가 OOH 광고(out-of-home advertising, 옥외광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TVCF)와 해외(Ads of the World)의 광고아카이브에 수록된 공익 광고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주체별로 국내는 기관 및 정부가 기업보다 더 많았으나, 해외는 기업이 기관 및 정부보다 더 많았다. 둘째, 광고 주제유형은 국내의 경우 심리적 대처에 관한 광고가 많으며 코로나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주제가 많은 반면, 해외의 경우 상대적으로 물리적 대처 광고가 더 많으며 간접적인 차원의 사회적 이슈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구유형별로는 국내와 국외 모두 긍정적 소구가 부정적 소구보다 많았으며, 국내와 해외 간 소구유형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표현 기법을 살펴본 결과, 국내와 해외 모두 일러스트 표현 기법이 실사 기법보다 더 많았으며, 해외의 경우 일러스트 기법의 비율이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다섯째, 공익광고의 메시지 지향과 관련하여 국내는 개인초점 보다 집단초점이 높은 반면, 해외는 개인초점이 집단초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매체유형별로는 국내와 해외 모두 디스플레이 광고 유형이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적 매체로서 OOH 광고의 공익 메시지 전략 및 실행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out-of-home advertising (OOH advertising) covers the COVID-19 issue during a pandemic.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OOH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COVID-19 topic. The sample includes domestic and foreign advertisements collected from TVCF and Ads of the Worl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more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than corporations in Korea regarding OOH advertising clients. However, there were more corporate-led OOH advertisements in foreign countries. Second, in terms of advertising theme, psychological coping was used more often in Korea, while physical coping was found more in foreign advertisements. Third, positive appeals outnumbered negative appeal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dvertisements. Fourth, the illustration technique, compared to pictures, was used more ofte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dvertisements. Fifth, collective frame messages were used more often in Korea, whereas individual frame message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foreign advertisemen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 role of OOH advertising during a pandemic are discussed.

      • KCI등재

        기금조성용 야립광고에 대한 광고주와 소비자의 인식

        전종우(Jun, Jong Woo),박현(Park, Hyon) 한국OOH광고학회 2013 OOH광고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특정목적의 기금조성을 위해 허가 집행되는 옥외 야립 광고에 대한 광고주와 소비자의 인식을 알아본 것이다. 광고주를 대상으로는 이메일을 통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소비자들에게는 계량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광고주들은 기금조성 야립광고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광고 매체 자체와 기금조성 사업 방식에 대해 개선 사항을 제안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 소비자들은 옥외광고의 효과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를 하고 있었으며 우려했던 것과 달리 대형 옥외광고물에 대해 그렇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기금조성 옥외광고의 공익적인 측면도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기금광고와 지자체홍보 간판과의 차이는 알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옥외광고 산업에 있어서 학문적인 시사점과 함께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ness and consumer perceptions of fundraising OOH advertising that is installed on the highway sides. In-depth interviews and a consumer survey are utilized to answer the two research questions.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hat advertising clients admitted the effectiveness of OOH advertising, but also they suggested a couple of amendments in the OOH advertising business for public fundraising.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consumers show favorable attitudes toward OOH advertising, and recognized the public interests of OOH advertising.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even policy guidelines for government officers.

      • KCI등재

        국내 ʻ옥외광고ʼ 관련 언론보도 분석: 1990년부터 2020년까지의 언론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이명천(Lee, Myoung Chun) 한국OOH광고학회 2021 OOH광고학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국내 언론에 나타난 ʻ옥외광고ʼ 관련 보도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제설정이론을 적용하였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언론보도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30년간의 ʻ옥외 광고ʼ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룬 54개 언론보도 기사 11,019건의 제목, 부제, 전문, 키워드를 수집하여 주요단어를 추출하고, 주요단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옥외광고를 바라보는 인식과 의미구조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으며, 어떠한 주요단어들을 중심으로 의제와 담론이 구축되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옥외광고 분야는 크게 도시 미관과 경관을 저해하여 개선과 규제가 필요한 대상이거나 도시 미관과 경관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는 경제적 대상으로 보도되었다. 향후 옥외광고 분야는 대중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옥외광고를 메인 주제로 한 다양한 사회적・정책적 이슈를 지닌 언론보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옥외광고 관련 산・관・연 협력으로 시대와 사회를 반영한 옥외광고 활용에 대한 연구들이 시급하며, 언론사는 이들과 연계하여 옥외광고의 정체성과 역할 그리고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과의 융합 등 시대와 사회를 반영한 옥외광고 관련 주요한 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보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applied agenda-setting theory to understand the trends of media coverage of OOH Advertising in Korea, analyzing media reports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To this end, the titles, subtitles, texts, and keywords of 11,019 media reports from 54 outlets covering issues related to OOH Advertising between 1990 to 2020 were collected in order to extract keywords.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eyword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and semantic structure of OOH Advertising in our society are being formed, and how the agenda and discourse are being built around certain key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rea of OOH Advertising was reported by the Korean media as a subject that required improvement or regulation as it greatly harms the aesthetics of urban landscape, or as an object that can make the landscape more beautiful. The area of OOH Advertising in the future will need, via a variety of social and policy implications, more media coverage that would attract the publicʼs attention. In addition, studies on the use of OOH Advertising reflecting the zeitgeist are urgently need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cademia, and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 media needs to continue to report o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OOH Advertising messages reflecting the identity and the role of OOH Advertising while actively incorporating technology in this area.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2004년부터 2020년까지 『OOH광고학연구』를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이명천(Lee, Myoung Chun)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옥외광고 분야 학술연구의 시기별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옥외광고 분야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OOH광고학회’의 『OOH광고학연구』에 게재된 총 246편의 학술논문이며, 논문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시기적 범위는 『OOH광고학연구』가 창간된 2004년 제1권 제1호부터 2020년 제17권 제3호로 설정하였고, 총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 중후반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는 광고와 디자인 영역의 논의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옥외광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 후반에는 미디어와 소비자 관련 연구가 등장한 반면, 디자인 영역은 점차 약세를 보였다. 2010년대 초중반에는 옥외광고에 대한 개념, 옥외광고법과 제도, 미디어 기술 도입에 주목하였고,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대한 논의가 강조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는 옥외광고에 대한 논의가 실무적 차원에서 구체화 되었다. 이 시기에는 미디어,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연구는 플랫폼의 다양화 논의로 발전하였고, 해외 옥외광고, 소비자 관련 논의는 세분화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by Big Data analytic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6 academic articles which published Out-of-home advertising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linguistic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zed from 2004 to 2020,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in the field of Out-of-home advertising in Korea mainly focused on discussions on advertising and design in early period. In growing period, iscussions on Out-of-home advertising began in earnest. And while media-related and consumer-related research have appeared, research in the design field has gradually declined. In transitional period,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Out-of-home advertising, the Out-of-home advertis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media technology gradually became stronger.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digital signage were emphasized. During the leap period, research on media and digital signage developed into discussions on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