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메니우스와 몬테소리의 교육 사상 비교 -감각교육을 중심으로-

        김지영 ( Kim Ji Yo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사람은 살아가는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거기서 생존에 필요한 것들을 습득한다. 특히, 인간의 지식은 경험에 의해 축적되며, 이러한 경험은 감각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코메니우스는 감각기관의 중요성율 인식하고 최초로 시청각교육의 실천을 통해 당시의 이론과 언어 중심의 교육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몬테소리는 감각교육을 위한 교구개발과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감각교육의 활성화를 이루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감각기관을 통한 지식습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습득은 인간의 창조적 본성의 회복, 자존감과 존엄성 및 자율성을 중시한 감각교육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 정이다. 즉, 인위적인 교육 방법을 배제하고 자연과 사물에 대한 관찰과 교류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며, 교육실천올 위한 과학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코메니우스는 감각교육올 시각화 하는데 머무름으로 감각교육의 한계점을 드러내었다는 것과 여전히 인식론적인 경험에 근거를 두었다는 점이다. 반면 몬테소리는 감각기관의 경험율 위해 다양한 감각교구 개발과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개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율성올 존중함으로서 창조적 능력을 희복혜야 할 필요성올 촉구 하며, 교육 현장의 욕구 충족을 위해 감각교육의 다변화를 모색한다. Having been influenced by one`s own environment, man lives and learns necessary things to survive. In particular, the knowledge of man can be accumulated by experience. The experience can be obtained by sensory education. Comenius recognised the importance of sense organ and became the first person to use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time that theory and speech orientated education was common. And, Montessori has made sensory education popular by developing instruments of education for sensory education. The common ground of both is that education has been done by recognising the importance of obtaining knowledge through sensory education. In addition, obtaining knowledge can be done by restoring the nature of humanity, self-esteem and dignity. They have suggested scientific tools for education by making children obtain knowledge and experience through observing nature and objects.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Comenius has been focused only on visual education based on epistemological experience, revealing its limitation, Montessori has developed various sensory tools and organised programme. It is noticed that new paradigms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are important It is challenged that recovering creativeness by respecting self-regulation is very much needed. The diversity of sensory education is sought to meet the felt need of education field.

      • '어린이로부터'의 교육 : 몬테소리와 슈타이너 비교 연구

        구경선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3 실천유아교육 Vol.8 No.-

        본고는 '어린이로부터의 교육'을 실천했던 몬테소리와 슈타이너의 교육적 동기, 인간에 대한 이해와 그를 바탕으로 한 교육, 그들의 세계관을 비교 연구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두 사람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사회적 동기에서 교육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특히 어린이의 관찰을 통해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출발하여 '어린이로부터의 교육'에 이바지 하였다. 어린이는 존중받아야 할 존재로 내면에 숨겨진 고유한 법칙성을 고려한 교육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들 주장의 차이점도 드러난다. 몬테소리는 인간을 육체와 정신의 통합체로 보면서 정신의 육화를 강조하는데, 특히 민감기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그에 적합한 교육을 강조하였다. 슈타이너는 인간을 신체, 영혼, 정신의 통합체로 지상에서 맺고 있는 운명의 연관성을 주장한다. 교육은 개별적인 인간의 타고난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각 신체의 탄생과 연관된 발달단계를 고려한 것이어야 한다. 지적 능력 개발에 대한 견해는 몬테소리가 언제 어디서나 정신적 능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하는 것인 반면, 슈타이너는 14세까지는 의식적의로 미루어야 하는 것으로 본다. 세계관에서도 차이점을 보인다. 몬테소리는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두어 인간의 개별적이고 일회적인 존재임을 강조했지만, 슈타이너는 인지학이라는 독특한 세계인식을 주장하면서 유심론적이고 초감각적 경험에 의해서만 도달할 수 있는 개별적이고 계시적 특성과 더불어 유사 종교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박지영 ( Park Chi-young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확인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연령, 근무교육기관, 학력, 경력, 담당 유아연령,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사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배경 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teacher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24,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ssess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cept teacher'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areer, the infant ag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유아 대상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정화 ( Park Jeong-hwa ),한희경 ( Han Heeky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행된 기초연구이다. 청주시에서 이미 실행하고 있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4회기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시 지자체의 요구와 문헌 분석을 토대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이 구성되었다.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은 청주시 어린이집 두 곳에서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둘째, 2017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주 1회, 총 4회의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청주시 소재 유아교육기관 20개 학급에서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담임교사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가정연계 활동과 평가방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t was to expand the current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provided in Cheongu from once to four times.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results of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rom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references,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ools were conducted. The validity of the draft program was tested at two daycare centers in Cheongju. Second, a draft for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was performed once a week, total of 4 sessions to the 5 aged children at 20 classes in Cheongju from March, 20 to April, 30, 2017. In order to evaluate the draft, 20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ir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was final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home-related contents in the educational method and the ways of educational evaluation.

      •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김진규 ( Kim Jin Gyu ),윤길근 ( Yoon Kil Gyeu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원의 인성교육 역량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시행 하고 있는 유아교육 관리자 인성교육 연수과정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유일한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과정이라는 사실, 다양한 교육기관에로의 확대 시행의 필요성, 표준 연수 과정의 연구와 핵심 모듈 개발, 그리고 현업적용도 평가 시행 등이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의 인성교육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서 인성교육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성교육정책, 인성교육 지도 전략, 가정·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 그리고 유치원 현장 적용 실천 등 4가지 핵심 모듈을 구성하여 모두 20개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수담당자의 요구에 따라 15시간으로 편성된 3일 연수과정과 30시간으로 편성된 5일 연수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modular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directors. We hav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ers are variously proposed according to researchers.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haract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ager training course conducted by the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were analyzed. Four core module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al strategy, linkage with home and community, and application of kindergarten field were presented. And 20 subjects in the training program were selected.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3-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15 hours and the 5-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30 hours.

      • Montessori교육의 사상사적 재 고찰

        신화식 ( Hwa-Sik Shin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실천유아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 Montessori 와 Frobel, Dewey, Piaget의 유아의 사고 및 행동과 교육적 적용에 정립한 핵심적인 사상들 (Braun & Edward, 1972; 신화식, 2006)을 문헌을 통해 유아관, 환경관, 교사관 및 교육관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Motessori와 Frobel, Dewey 및 Piaget는 서로 사상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이는 Montessor 교육과정이 100년이 지난 지금도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와 함께 진행되고 발전될 수 있음으로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ntessori educational theory on the fiel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do that, the theories including Frobel, Dewey, and Piaget were compared to the Montessori theory as ways to underst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theory. The guideline developed by Braun & Edward(1972)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heoreandal components (e.g., a view of children, teachers, and learning) in each theor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