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지현미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2

        K-IFRS was mandatorily adopted in 2011 for all listed companies. Some companies have adopted K-IFRS voluntarily from 2009. Financial information is value relevant to investors if it can be used by them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and so may affect a company's market value. The question of K-IFRS's value relevance is of great importance given the part accounting information plays in equity valuation and the facilitation of investment decisions. Many prior foreign studies report that adoption of IFRS increases the value relevance of financ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it is empirically tested whether the value relevance of financial information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s increased i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i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822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that report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ver 2010-2011. Market-based evidence shows that financial information after the adoption of K-IFRS explains market prices over and above K-GAAP. These results contribute to research about informational effectiveness of K-IFRS. 2011년부터 상장기업과 금융회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선택에 따라 2009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조기 적용 할 수도 있었다. 2009년과 2010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조기 적용 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재무정보가 과거 회계기준(K-GAAP)을 적용한 재무정보에 비해 기업가치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연구와 그렇지 못하다는 연구로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조기 적용 기업이 매우 적은 숫자이므로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한 표본상의 한계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 적용 대상기간인 2011년과 과거 회계기준(K-GAAP)을 적용하였던 2010년을 검증대상으로 하여 Ohlson모형(1995)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 중 본 연구의 표본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822개의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 한 경우 연결재무제표 및 개별재무제표의 순자산장부가치의 주가와의 가치관련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 한 경우 개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주당순이익의 주가와의 가치관련성도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의무 적용이 회계정보 즉, 순자산장부가치 및 주당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을 전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의무 적용 첫 해인 2011년 재무제표를 검증대상으로 함으로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적용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의무 적용한 재무정보가 과거 회계기준에 의한 회계정보가 제공할 수 없었던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경제적 효과를 검증한 것도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IFRS 도입 후 한국기업의 회계품질의 변화에 대한 미국 기업과 비교

        하석태,조성표,조중희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in Korea is associated with higher accounting quality comparable to that resulting from application of US GAAP by US firms. In 2011, IFRS has been adopted in Korea, and the standard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accounting quality. IFRS has been considered a high quality accounting standard. The standards take steps to remove allowable accounting alternatives to limit management's opportunistic discretion in determining accounting amounts and requires accounting measurements that better reflect a firm's economic position and performance. The inherent flexibility in principle-based standards, however, could provide greater opportunity for firms to manage earnings. It has been a great debate about the effect of IFRS on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We examine whether Korean firms increase accounting quality after applying IFRS. We also compare accounting quality between Korean firms and US firms which adopted US-GAAP, rule-based accounting standards. We define accounting quality as earnings smoothing metrics. If application of IFRS in Korea w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accounting quality, firms adopting IFRS have less earnings smoothing in the period after applying than in the period before applying IFRS. Using a sample of IFRS firms in Korea and a sample of US firms, we find that IFRS firms have significantly greater accounting quality when they apply IFRS than when they applied Korean GAAP. Additional findings indicate that accounting quality of US firms are generally higher than the quality of IFRS firms in the all periods during adopting IFRS in Korea, but the difference has been decreased after adopting IFRS in Korea. The results are similar after matching with size and industry. Our findings suggest that adopting IFRS improves accounting quality of IFRS firms, but significant comparability differences remain between Korean firms and US firms. 2011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한 것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회계정보의 품질과 투명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회계처리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회계금액을 결정함에 있어 합리적인 판단에 맡겨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선택을 제한하고 기업의 경제적인 실질을 반영한 회계처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회계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 국제회계기준은 회계처리에 대한 높은 유연성을 허용하여, 경영자들에게 높은 자율적인 회계선택을 제공하여 이를 이용한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할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오히려 회계정보의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이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을 높이는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서 도입 전 2년, 도입연도, 도입 후 2년의 기간을 구분하여 이익유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회계품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 기업들과 세 기간의 기간별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도입 기업 대상으로 기간별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입연도, 도입 후 2년도 기간의 이익유연화 정도가 도입 전 2년보다 낮아져 회계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자발적 조기도입 기업들에서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표본수가 적어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도입으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이 높아진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도입 전후 모두 한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기업의 회계품질이 미국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의 차이는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나라 표본들의 산업과 규모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이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국 기업들보다는 그 수준이 낮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 계속기업 강조사항을 중심으로

        최진욱,정남철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회계정보연구 Vol.3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emphasis of matter (EOM) paragraphs a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EOM available for conveying the company’s risk (Czerney et al. 2014) adds incremental information value as net income and net asset accounting information.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 EOM about going concern affect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discriminately. Using 9,566 firm-year sample from 2011 to 2016, the study refers to the Ohlson (1995) model to analyz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OM paragraphs in audit report a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of the net income. This means that EOM which generally serves as a signal of the risk to the firm, giving investors negative incremental value to the net profi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current performance. Second, the EOM about going concer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and increase in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 Particularly, capital market investors evaluated lower value of net profit, which represents performance, than net asset that reflects liquidation value, in the context of going concern representing de-listing risk.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demonstrate that investors reflect the EOM paragraphs about going concern to price information and discriminately reflect to it as net profit and net ass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grounds and implications for the supervisory authorities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adding going concern uncertainty as a separate paragraph and expanding key audit matters in the audit report. 본 연구는 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 기재 여부와 회계정보의 증분적 가치관련성과의 관계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인이 회사의 위험을 전달하는 수단(Czerney et al. 2014)으로 활용 가능한 강조사항 문단 기재가 순이익 및 순자산 회계정보에 증분적인 정보가치를 부여하는지를 조사한다. 추가로 강조사항 중 계속기업 불확실성에 대한 강조사항 기재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표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적용 이후인 2011년부터 2016년의 6년간 9,566 회사-연도 표본을 이용하였고, 분석모형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검증을 위한 선행연구(Ohlson 1995 외)를 참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의 강조사항 문단 기재는 순이익 회계정보의 증분적인 가치관련성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조사항의 기재가 일반적으로 기업의 위험을 나타내는 신호로 작용하여, 투자자가 당기 성과를 나타내는 순이익 정보에 부정적인 증분가치를 부여함을 의미한다. 둘째, 계속기업 불확실성과 관련한 강조사항의 기재 시 순이익 회계정보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은 감소하였고, 순자산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하였다. 즉, 자본시장 투자자는 상장폐지 위험을 나타내는 계속기업 불확실성 상황에서 당기 성과를 나타내는 순이익에 대한 증분가치는 낮게 부여하는 반면, 청산가치를 반영하는 순자산 정보에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조사항의 기재 유형별로 살펴 본 추가분석 결과, 영업환경의 변화, 특수관계자와의 중요 거래, 소송사건 및 회계정책의 변경 유형 중 영업환경의 변화, 소송 및 회계정책 변경 강조사항은 순이익 회계정보와의 유의한 음(-)의 가치관련성을 보였고, 영업환경 및 회계정책 변경 강조사항은 순자산 회계정보와 양(+)의 가치관련성을 보여, 강조사항의 기재 유형별로 가치관련성에 대한 영향이 차별적임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투자자가 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 정보 중 계속기업 불확실성 강조사항 정보와 강조사항 유형별 기재 정보를 순이익 및 순자산에 차별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공헌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계속기업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감사의견의 별도단락으로 추가하고 핵심감사사항 등 감사보고서의 정보를 확대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감독당국의 정책방향에 중요한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에 따른 정보이용자의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 변화 연구

        옥민석,윤태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whether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profits improves and whether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profits gets improved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he time period after the introduction by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K-IFRS. The point of difference between this research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is that the former takes a look at whether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reactions by the capital market have been improved by comparing the 5 years before and the 5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nd takes a look at whether the reactions by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capital market are continuous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he time period after the introduction. As for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the 5,110 corporations per year was used by adjusting (winsorizing) to the value of the upper and lower 1%'s in order to exclude the corporations that do not meet the condition of the 9,339 corporations during the year, the data of which were collected by KIS-Value with the corporations settling the accounts in December as the subjects among the listed corporations with the marketable securities from 2005 until 2015, and, also, in order to exclude the influences of the abnormal figures of the samples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1-1 that said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tionary amount of the occurrence will be small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the D_IFRS, which is a key interest variable, has been showing a positive (+)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Henc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tionary amount of occurrenc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was shown to be smaller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profits had impro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2-1 that said that the passing of the time perio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tionary amount of occurrence have the negative (-) relationship, the P_IFRS1, which is a key interest variable, has been showing a positive (+)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and the P_IFRS3 and the P_IFRS4 have been showing the negative (-)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profits has been continuing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he time perio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1-2, which said tha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will be high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the D_IFRS, which is a key interest variable, has been showing a negative (-)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And all the variables of the interactions of the unexpected earnings and the D_IFRS have been reported as having the negative (-)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Therefore, it is a result that does not support the Hypothesis 1-2, which said tha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will be high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We can find out that the point that the investors us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counting profit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dopted by Korea for deciding the investment intentions has not become better.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2-2, which said that there will be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ing of t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전과 후를 비교하여 회계이익의 질의 향상여부와 도입 이후 기간경과에 따라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차이점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전 5개년과 도입 5개년을 비교하여 회계투명성과 자본시장의 반응이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도입 후 기간 경과에 따라 회계투명성과 자본시장의 반응이 지속적인지를 살펴본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 중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KIS-Value에서 자료를 수집한 9,339 기업/년 중 조건에 맞지 않는 기업을 제외하고, 또한 표본의 이상치가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하위 1%의 값으로 조정(Winsorization)하여 5,110 기업/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가 도입 전보다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이 작을 것이다는 가설 1-1의 검증결과 주요관심변수인 D_IFRS는 양(+)의 회귀계수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가 도입 전보다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이 작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 기간경과와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은 음(-)의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는 가설 2-1의 검증결과 주요관심변수인 P_IFRS1은 양(+)의 회귀계수값을 보이고 있고, P_IFRS3, P_IFRS4는 음(-)의 회귀계수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 기간경과에 따라 회계이익의 질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가 도입 전보다 이익반응계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 1-2의 검증결과 주요관심변수인 D_IFRS는 음(-)의 회귀계수값을 보이고 있고, 비기대이익과 D_IFRS의 상호작용 변수 모두 음(-)의 회귀계수값을 보고하고 있으므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가 도입 전보다 이익반응계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 1-2는 지지하지 않는 결과이다. 투자자들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전과 후 회계이익과 관련된 정보를 투자의사 결정에 사용하는 점이 나아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 기간경과와 이익반응계수는 양(+)의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는 가설 2-2를 검증결과 주요관심변수인 P_IFRS2, P_IFRS3, P_IFRS4는 양(+)의 회귀계수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 기간이 경과할수록 이익반응계수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회계투명성의 증가로 투자자들이 이익과 관련된 정보를 투자의사 결정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조직규모, 회계인력, 회계환경 특성이 국방회계정보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승완,윤병섭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회계정보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국방부 산하 육군·해군·공군의 예하 단위부대에서 산출한 재무제표상의 회계정보를 활용하여 조직규모, 회계인력, 회계환경 특성이 국방회계정보의 품질을 대용하는 총발생액과 비배분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년 동안 국방회계 재무제표를 생산하는 육군·해군·공군의 단위부대급 총표본 604부대-연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규모의 특성을 부대의 자산규모와 자산성장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부대 자산규모가 클수록 총발생액이 감소하였으며, 비배분원가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대규모가 클수록 정치비용효과가 크게 작용하고 세부적이고 정교한 원가배분기준을 마련해 적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군 회계업무를 담당하는 재정병과 간부의 특성은 회계정보의 품질이나 유용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병과 간부의 계급이 높을수록 군 회계업무 경력이나 전문성이 높아 보수주의적 입장에서 회계처리를 하고 공통원가 배분기준을 마련한다고 판단된다. 셋째, 부대 내 참모부별 회계정보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보수적 태도를 견지해 회계처리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 참모부가 정교하고 세분화한 원가배분기준을 마련해 적용할 가능성이 높고 비배분원가 비중을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회계정보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이 필요하다. 회계업무담당자의 회계처리에 따라 재정운영이나 재정상태가 달라짐은 그 만큼 회계정보의 안정성이나 품질의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 회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침이나 가이드라인과 같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정교하고 세분화한 군 원가배분기준을 합리적이고 타당성 있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소비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국방조직은 수익보다 비용이나 원가 중심의 재무제표를 산출한다. 직접원가보다 공통원가(또는 결합원가)의 비중이 높으면 정교하고 세분화한 원가배분기준을 마련하여 원가분석이나 비용분석에 필요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성과중심의 효율적 예산편성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셋째, 발생주의·복식부기 국방회계를 도입한 이후 군은 각 자원관리부대의 운영성과와 재정상태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있다. 이러한 회계정보는 부대 운영에 필요한 경제적 의사결정과정에 활용하지만 회계정보의 활용도가 기대만큼 크지 않은 게 현실이다. 따라서 고품질의 회계정보를 활용한 부대 운영의 사례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방 회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재정병과 병력들이 발생주의·복식부기 회계정보를 산출하고 있다. 재정병과 병력들을 지휘하는 각급부대 지휘관이 회계정보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군 조직의 운영에 회계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병, 포병, 기갑 등 전투병과 간부들이 회계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각종 보수교육과정에 회계교과목을 편성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ize, accounting manpower, accounting environment, etc. on the total accruals and non-allocation cost, which substitute the quality of defense accoun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accounting information on financial statements calculated by the unit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 total of 604 units at each level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which produce the financial accounting statements from 2009 to 2014, were analyzed on a year-on-year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rganization size by asset size and asset growth ability of the unit, the larger the size of the unit’s asset is, the smaller the total accruals are and the less the non-allocation cost 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unit is, the greater the effect of the political cost is and the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cost allocation criteria are appl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dres in the financial branch in charge of military accounting affect the quality and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higher the rank of fiscal officers is, the higher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in the military accounting business are.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as accounting for relatively conservative stance and applying cost allocation criteria for common costs. The number of commanders in fiscal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variables in the highest class. Third, I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utiliz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staff is, the more conservative attitude is maintained to process accounting. This implies that the staffs are more likely to apply more sophisticated and detailed cost allocation criteria and reduce the proportion of non-allocation cos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device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of military accounting information. The fact that the financial management and the financial statu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accounting process of the accounting staff in charge can cause the reliabi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to be deteriorated in terms of stability and quality. Therefore,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guidelines should be made so that institutionally conservative accounting can be done.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elaborate and detailed cost allocation standards for military cost accounting system. Defense organization, so-called consumer group, produces financial statements based on expense or production cost rather than revenue. Especially, since the share of common cost . or combined cost) is higher than direct cost, rational and valid allocation standards should be made, so reliable data should be calculated for production cost analysis and expense analysis. This will enable effective compilation of budget oriented performance. Third, since the accrual basis of accounting and double-entry bookkeeping were introduced, information about operation result and financial condition of each unit has been produced. These accounting information are used in the economic decision making process required for the unit operation, but the utiliz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not as large as exp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ase study on the us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it. Fourth, the military forces in charge of defense accounting are calculating the accrual basis of accounting and double-entry bookkeeping information, so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se accounting information by unit commanders at each level. In order to utilize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of military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ccounting courses in various curriculums such as infantry, artillery, armor, etc. to enable sold...

      • KCI등재

        관리회계 정보의 문화 적합성과 조직성과

        최종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회계정보연구 Vol.37 No.4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culturally appropriate amount of management accounting (MA) information provided by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as well as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grees of culturally appropriate amount of MA information. This study analyses data taken from 136 manufacturing firms that are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Mail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collect the data. A cluster analysis was adopted as a main analytical tool. Through a cluster analysis, five types of cultural setting were found: totally innovative, supportive-innovative, semi-supportive, bureaucratic, and semi-bureaucratic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totally innovative firms, a greater amount of all types of MA information is produced, while in the bureaucratic firms, traditional MA information is much more provided than in the supportive-innovative, semi-bureaucratic and semi-supportive firms. Under the firms of the supportive-innovative culture, it was observed that advanced, non-financial and traditional MA information is greatly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ankings of totally innovative firms, which have the highest scores in the amount of MA information, are also the highest, and the performance scores in the supportive-innovative firms are generally next to those of the totally innovative firms. However,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performance scores of the bureaucratic firms are a little low. It was found that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e types of culture are similar to the composite typ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culturally appropriate amount of MA information produced.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re are culturally appropriate amount of MA information provided that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조직의 관리회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관리회계정보에 있어서 문화적 적합성이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제공되는 관리회계정보의 문화적 적합성에 따라 조직성과의 차이도 나타나는지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자료 수집을 위해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총 136개의 상장 제조 기업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에 집락분석이 주 분석기법으로 사용되었다. 집락분석을 통해 표본 기업들이 5가지 형태의 조직문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총체적 혁신문화, 지원적 혁신문화, 관료문화, 준 관료문화와 준 지원문화. 분석 결과, 총체적 혁신문화 하에서 모든 관리회계정보가 많이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료문화 하에서는 전통 관리회계정보가 많이 제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지원적 혁신문화 하에서 선진 관리회계정보, 전통 관리회계정보와 비 재무 관리회계정보가 많이 제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리회계정보가 가장 많이 제공되는 총체적 혁신문화 하에서 기업 성과는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적 혁신문화 하에서의 기업 성과는 대체로 총체적 혁신문화 조직의 성과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전통 관리회계정보가 많이 제공되는 관료문화 하에서는 성과가 높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제조 기업들의 문화 형태는 복합 문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 따른 조직 내에서의 관리회계정보 제공 차이는 명확히 존재하였다. 이는 각기 다른 문화가 다른 유형의 정보를 선호한다는 문화에 따른 정보 선호 차이를 검증한 것이다. 그리고 문화에 의한 선호 정보 차이는 조직성과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코스닥시장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

        이세용 한국회계정보학회 2020 회계정보연구 Vol.38 No.3

        [Purpose] Through the process of new listing on KOSDAQ, firms have to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distribution of shares, an unmodified opinion from auditors, independent directors and a full-time auditor, and the designated auditor etc. With these requirements,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of the newly-listed firms are expected to be better after than before new listing. However, there are less than a few studies that analyze directly the relation between new listing and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improved after its listing when a firm is listed on KOSDAQ. [Methodology] I measured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s the residuals of accruals estimated from four accruals models, which are modified Jones model(Dechow et al., 1995), performance-adjusted model(Kothari et al., 2005), Dechow and Dichev(2002) model, and Francis et al.(2005) model. Using 11,029 observations from KOSDAQ firms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16, I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f newly-listed firms and that of existing-listed firms has been reduced after the new listing. [Findings] As expec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f newly-listed firms and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f existing-listed firms observed after the new listing is smaller than the difference observed before the new listing. This result is not changed controlling for the estimation period and the estimation sample. And the result remains after including the new listing year in the analysis or separating the sample into the sample before 2011 and the sample after 2011, which is the year when K-IFRS has been adop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between newly-listed firms and existing-listed firms is reduced monotonically during five years after the new listing. [Implication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that 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is improved through the new-listing process whereas prior studies ar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new listing and earnings management. In addition, compared with Lee(2019) which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nd new listing using only newly listed firms, this paper analyzed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between newly-listed firms and existing-listed firms in the same industry. [연구목적] 비상장기업이 신규상장을 하게 되면 주식분산에 따라 소유구조가 변화하게 되고, 적정 감사의견을 받아야 하며, 사외이사 및 상근감사를 구성하고 감사인을 지정 받아야 한다. 이러한 신규상장 과정에 따라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은 상장 이후에 더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신규상장과 이익조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뿐, 신규상장에 따라 실제로 회계정보의 질이 개선되는지를 분석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과 기존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이용하여 신규상장에 따라 회계정보의 질이 개선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Dechow et al.(1995)의 수정 Jones 모형과 Kothari et al.(2005)의 성과조정모형, 그리고 Dechow and Dichev(2002) 모형과 Francis et al.(2005) 모형을 이용하여 발생액 중에서 영업활동이나 현금흐름의 기간귀속과 관련성이 없는 발생액 부분(즉, noise)을 구분하고, 그 절대값으로 회계정보의 질을 측정하였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신규상장기업과 기존상장기업을 포함하는 11,029개 기업-년의 표본을 추출한 후, 각각의 회계정보의 질을 측정하고 그 차이가 신규상장 이전에 비하여 그 이후에 감소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위의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모든 회계정보의 질 측정치에서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과 기존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신규상장 이후의 기간에 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정보의 질을 측정하는 기간을 달리 하여도, 회계정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표본을 다르게 하여도, 신규상장년도를 분석에 포함하여도, K-IFRS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를 구분하여도, 대응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신규상장기업과 기존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상장 후 1년 뒤에 가장 크게 감소한 뒤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단조적으로(monotonically) 감소하여 상장 후 5년 뒤에 가장 작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신규상장의 효과를 이익조정의 관점에서 연구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코스닥시장에서 비상장기업이 신규상장을 할 경우에는 다양한 상장 요건을 준수하는 과정에서 회계정보의 질이 개선되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신규상장기업만을 이용하여 신규상장 전후 회계정보의 질을 분석한 이세용(2019)의 연구와는 달리 정보환경이 유사한 동일 산업 내 기존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과 신규상장기업의 회계정보의 질을 직접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신규상장 요건을 관리하는 정책 당국에게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IFRS 도입 후 한국기업의 회계품질의 변화에 대한 미국 기업과 비교

        하석태(Seoktae Ha),조성표(Seong Pyo Ch),조중희(Joonghi Ch)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5 No.1

        2011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한 것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회계정보의 품질과 투명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회계처리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회계금액을 결정함에 있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선택을 제한하고 기업의 경제적인 실질을 반영한 회계처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회계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 국제회계기준은 회계처리에 대한 높은 유연성을 허용하여, 경영자들에게 이를 이용한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할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오히려 회계정보의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이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을 높이는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서 도입 전 2년, 도입연도, 도입 후 2년의 기간을 구분하여 이익유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회계품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 기업들과 세 기간의 기간별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도입 기업 대상으로 기간별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입연도, 도입 후 2년도 기간의 이익유연화 정도가 도입 전 2년보다 낮아져 회계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자발적 도입기업들에서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표본수가 적어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의무도입으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이 높아진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도입 전후 모두 한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기업의 회계품질이 미국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의 차이는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회계품질이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국 기업들보다는 그 수준이 낮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in Korea is associated with higher accounting quality comparable to that resulting from application of US GAAP by US firms. In 2011, IFRS has been adopted in Korea, and the standards are expected to increases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accounting quality. IFRS has been considered a high quality accounting standard. The standards take steps to remove allowable accounting alternatives to limit management s opportunistic discretion in determining accounting amounts and requires accounting measurements that better reflect a firm s economic position and performance. The inherent flexibility in principle-based standards, however, could provide greater opportunity for firms to manage earnings. It has been a great debate about the effect of IFRS on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We examine whether Korean firms increase accounting quality after applying IFRS. We also compare accounting quality between Korean firms and US firms which adopted US-GAAP, rule-based accounting standards. We define accounting quality as earnings smoothing metrics. If application of IFRS in Korea w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accounting quality, firms adopting IFRS have less earnings smoothing in the period after applying than in the period before applying IFRS. Using a sample of IFRS firms in Korea and a sample of US firms, we find that IFRS firms have significantly greater accounting quality when they apply IFRS than when they applied Korean GAAP. Additional findings indicate accounting quality of US firms are generally higher than the quality of IFRS firms in the all periods during adopting IFRS in Korea, but the difference has been decreased after adopting IFRS in Korea. Our findings suggest that adopting IFRS improves accounting quality of IFRS firms, but significant comparability differences remain between Korean firms and US firms.

      • KCI등재

        보수적 회계처리와 중립적 회계처리가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 : 보수적 회계처리 vs 중립적 회계처리

        김민수(Kim, Min-Su),이명건(Lee, Myung-Gun)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1 No.1

        [Purpose] Conservatism in accounting information means recognizing negative information early, and recognizing positive information slowly after satisfying the vesting condition. On the other hand, neutral accounting information means that there is no discrimination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inform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conservative and neutral accounting information on valuation errors.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from 2001 to 2015. The measure of conservatism followed Khan and Watts(2009), and the measure of neutralism was used by tak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measure of conservatism and multiplying it by a negative number. To measure the valuation error, the model suggested in the study of Rhodes-Kropf et al.(2005) was used. [Findings] As a test result, as the tendency of conservatism increases, valuation errors increase, which means that accounting informaiton biased toward negative information is negative in terms of valuation accuracy. On the other hand, the more neutral accounting information is, the less valuation errors are,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reporting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in a balanced w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curacy of valuation. [Implications] In general, conservatism in accounting is considered to reduce investment risk by providing negative information to investors early,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report focused on negative information may rather distort the economic situation of a company. [연구목적] 회계정보의 보수주의란 부정적 정보는 조기에 인식하고, 긍정적인 정보는 가득 조건을 만족한 후에 천천히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중립적 회계정보는 부정적인 정보와 긍정적인 정보의 인식 시기에 차별을 두지 않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보수적 회계처리와 중립적 회계처리가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1년~2015년 기간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보수주의 측정치는 Khan and Watts(2009)를 따랐으며, 중립주의 측정치는 보수주의 측정치에 절대값을 취한 후 음수를 곱하여 활용하였다. 가치평가 오류 측정치는 Rhodes-Kropf et al.(2005)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검증결과 보수주의 성향이 증가할수록 가치평가오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정적 정보에 편향된 회계처리가 가치평가 정확도 측면에서 는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반면 중립적인 회계처리를 할수록 가치평가오류는 감소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 정보를 균형 있게 보고하는 것이 가치평가의 정확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일반적으로 보수주의 회계처리가 부정적 정보를 조기에 투자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투자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간주되나,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정보에 치중한 보고가 오히려 기업의 경제적 실상을 왜곡하여 보고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발생액의 질의 회계정보 유용성

        손성규,고재민,백혜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ccruals quality, an alternative mea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has an information content in the capital market. Traditionally discretionary accruals are used as a proxy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However, discretionary accruals might imply earnings management or deliver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Thus the discretionary accruals could cause a measurement error problem. Dechow and Dichev(2002) argue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which are realized into future cash flows cannot be a outcome of earnings management but a signal of future performance. In this perspective, accruals quality measured with cash flows of previous, current, and next period is considered to overcome the measurement error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 superior accounting information would accompany bigger stock price reaction by its predictability and precision, and smaller trading volume reaction by mitigating the heterogeneity among investors. In order to test an information content, we examine if stock price reaction is bigger and trading volume reaction is smaller as accruals quality increases. In addition, we compare an information content of accruals quality with that of discretionary accruals. This will enable us to recognize which measure is more effective in judging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capital market.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accruals quality, the bigger the stock price reaction with the same unexpected earnings. Second, the higher the accruals quality, the smaller the trading volume reaction with the same stock price change. Third, stock price reacts more and trading volume reacts less in superior accounting information assessed by accruals quality than discretionary accruals. Our findings show that accruals quality is a significant mea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Furthermore, it could be a better proxy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than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capital market. Therefore, we suggest that researchers should use accruals quality in valuing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발생액의 질(accruals quality)이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측정치(proxy)로 적정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발생액의 질이 자본시장에서 어떻게 평가 받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유용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전통적인 측정치인 재량적발생액이 사적 정보의 전달과 이익조정의 수단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량적발생액의 크기만으로 회계정보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Dechow and Dichev(2002)는 재량적발생액이라도 실제로 현금으로 실현되는지 여부에 따라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재량적발생액이 갖는 측정 오차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양질의 회계정보는 이익 공시 시점에서 높은 예측 가능성(predictability)과 정확성(precision)으로 주가 반응은 클 것이며, 회계정보 해석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완화시켜 거래량 반응은 작을 것이다. 따라서 발생액의 질에 따라 회계이익이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과 주가 변동이 주식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회계정보의 질에 대한 전통적인 측정치인 재량적발생액과 발생액의 질에 대해 주가 반응과 거래량 반응을 비교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 어떤 측정치가 시장에서 더 유효한지를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비기대이익 수준이라 하더라도 발생액의 질이 높은 기업은 주가 반응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주가 변동의 정도가 같더라도 발생액의 질이 높은 기업은 거래량 반응이 더 작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재량적발생액보다 발생액의 질로 평가한 양질의 회계정보에서 주가 반응은 더 크고 거래량 반응은 더 작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이는 발생액의 질은 자본시장에서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유효한 측정치로 인정 받고 있으며, 재량적발생액보다 더 의미 있는 측정치로 평가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자본시장 연구에서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할 때는 재량적발생액 뿐 아니라, 발생액의 질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