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황철원 ( Cher Won Hw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환경문제 인식수준을 통계적으로 비교분석 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의 환경교육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은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환경과목을 독립과목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대부분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비교결과 첫째, 미국과 한국 모두 환경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교과서 수업과 더불어 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양성하는 체험학습 및 기타 영상·컴퓨터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환경을 경험하는 기회와 그에 대한 포괄적인 배경을 제공하고, 다른 교과와 연결하여 이해시킴으로써, 미국지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만, 교과서 중심의 단순한 수업을 받고 있는 한국 학생들은 환경수업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초·중·고 환경교육과정이 중핵 교육과정을 통한 통합적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rea, also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both Korean and American area in the stat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hows that Korean area conducts environmental education by adopting a separated education excepting the elementary school, while American area conducts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The results of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Korea and America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text book, but American a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extbooks as well as experience study, video and computer classes. Secondly, the education of American area gives student high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classes by offering various experiences, comprehensive backgrounds of environment and many chances that make students understand environment with other subjects, while Korean education did not offer satisfaction to students because the classes are mainly composed of the textbook. As a result, the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for environment are estimated to be l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ie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Korea needs to be converted into the intergrated education through core curriculum.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이재 ( Eje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2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부상했고 한국과 동남아 간 인적·문화적 교류도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신남방정책으로 한국 외교에서 동남아의 위상이 주변 4강국 수준으로 제고되었지만, 한국 사회에서 동남아에 대한 무시와 홀대 현상은 여전하다.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 국가 교육과정까지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과 변화 추이를 고찰하고, 동남아 홀대 현상의 원인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역사 속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요목기에서 1차 교육과정기 사이 출판된 한국 중학교 교과서가 한국 교육사상 동남아 내용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사회과 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인 교수요목기 교과서에서는 동남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소를 균형있게 다루며 개별 국가의 특성도 충실하게 기술하였다. 그러나 1차 교육과정 이후 정부 주도로 사회과 교육의 기계적 통합 논리가 강화되고 서구중심적인 교육과정이 본격화되면서 중학교 사회 교과서 속 동남아 비중은 계속 축소되고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도 강화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의 메타지리 체계가 변화하고 부티크 다문화주의가 유행하는 가운데 한국 중학교 교과서에서 동남아의 비중은 여전히 낮고 편견은 더 심해지고 있어 국가 교육과정의 대대적 혁신이 시급하다. ASEAN (Associations of Southeast Asian Nations) has emerged recentl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partners of Korea with a sharp increase of person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The NSP (New Southern Policy), the signature foreign policy initiative launched by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been supposed to open a new chapter in relations with ASEAN since 2017. However many Koreans still seem to neglect Southeast Asia and expose prejudice on Southeast Asians. Analysis of contents and changing status of Southeast Asia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since 1946. The findings suggest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published between 1946 and 1st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outheast Asian cont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nations with balanced approaches of human and physical geography. However, Southeast Asia has been marginalized under the euro-centric National curriculum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tion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percentage of Southeast Asia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has been diminished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hile stereotypes on Southeast Asia has become stronger. Boutique multiculturalism seems to make the bad situation worse under the new meta-geographical framework introduced in the 2007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Extensive innov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made immediately to correct deeply-rooted prejudices on Southeast Asia in the Korean society and even educational world.

      • KCI등재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관점 고찰 및 환경교육 과정 관점 제안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1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연구 관점은 환경교육과정이 분석되고, 환경교육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데 기여하는 등 환경교육의 흐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Robottom과 Hart(1993)의 환경교육 관점과 Lucas(1972)의 환경교육 영역(또는 목적)을 결합시킨 부분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obottom과 Hart가 제시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을 환경교육 측면에서 제시된 논의와 Habermas의 관점을 토대로 교육과정 측면에서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보다 나은 환경교 육과정 관점을 제안하였다. Habermas의 관점과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 즉 환경교육에서 실증주의 관점을 ‘환경에 대한 지식’으로, 해석주의 관점을 ‘환경 안에서 활동’으로, 사회비판주의 관점을 ‘환경을 위한 행위’로 규정하는 것은 환경교육 측면과 Habermas의 관심에 대한 측면에서 비춰볼 때, 적용 가능한 측면과 미세하나마 합당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각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관점이 Habermas의 관점과 환경교육에 기초하여 보다 명료화 또는 구체화될 필 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환경교육 과정에서 실증주의는 ‘환경과 관련된 과학적·명제적 지식 확증’, 해석주의는 ‘환경과 상호작 용에서 개인의 다양한 해석 및 언어적 상호작용 존중’, 사회비판주의는 ‘개인 또는 집단의 환경 정의 실현’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지식, 학습자, 사회 측면에서 환경교육 관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Ian Robottom and Paul Hart and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The author critically reviewed the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posed by Ian Robottom and Paul Hart (1993), and analyzed it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of Jurgen Harbermas (1971).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ed more deliberate distinctions among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E curriculum. 1) On posi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scientific or propositional knowledg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2) On interpre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various private interpretations in linguistic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3) On socially critical perspective, ‘that is toward the environmental justice personally or collectively’ is more appropriate “action ‘for the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 학교환경교육 현황 조사 연구

        이성희,조성화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in Korea.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Does the school have enough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ise? Does the school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Korea well equipp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ies?” The researchers sent questionnaires to 17 educational and support agencies for research. Korean elementary schools have more than 130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106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and elab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by utilizing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teachers in schools. There are 1,503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ffline environment training course, and 2,160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course. This is less than 1% of all teachers in Korea. The percentage of students choosing environmental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s very low, and that of high schools even lower than in 2016. Most Education Support Offices have independent environmental education plan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rocess and confirm the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dedic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past, environmental education budget is also increasing gradu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시점(2018년)에서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확보되었는가?,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충분한가?, 학교환경교육 정책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 교사 중 약 130명 정도가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추정되며, 중등 교사의 경우 106명이 환경교육을 전공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간 환경교육 관련 연수에 참여한 교사는 오프라인 연수의 경우 1,503명, 온라인 연수의 경우 2,1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교사의 1% 미만으로, 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도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과를 통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비율 역시 8.4%로 낮게 나타났다. 16개 시, 도교육청에서 독립적인 환경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환경교육 계획 수립은 잘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후에는 환경교육 계획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인력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환경교육 만을 전담하는 전담 인력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환경교육 예산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교육 전문성은 아직까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고 있고, 학교환경교육의 기회는 독립교과를 제외하고는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으며, 정책적 측면의 경우 인력과 예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참여적 시민 양성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 탐색

        장진아,조수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3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lready emerged as major issues around the world,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transform people’s perceptions and lives and to make participatory citizens is grow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s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ticipatory citizens through place-based education (PBE), and derived the significance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is.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find its value in terms of changing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ensitivity, cultivating empowerment through environmental practice, and fostering participatory citizens acting from the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discussion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anded the perspective of place-based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기후위기와 환경문제는 이미 전 세계적인 주요 현안으로 등장하였으며, 생태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전 지구인의 인식 및삶의 전환을 이루어 낼 수 있는 환경교육과 이를 통한 참여적 시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기반교육의 접근을통해 참여적 시민을 위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미와 특성, 실천사례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의를도출하였다.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환경의식 및 환경감수성의 변화, 환경 실천을 통한 역량 함양, 지역에서부터 행동하는 참여적시민의 양성 측면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소기반 환경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를 문헌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탐색하고, 기존의 환경교육에서 장소기반교육을 바라보던 시각을 확장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이민부 ( Minboo Lee ),김걸 ( Kir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UN 인간환경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1992년 브라질의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UN 환경개발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주요 의제가 되었다. UN의 권고에 따라 2000년 9월 한국에서도 정부 주도의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격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사회통합, 환경보호, 경제성장`의 연계였다. 그 동안 한국 지리학자들이 수행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연구 주제들은 주로 도시와 지역의 개발과 촌락의 보전에 대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나 지속가능성의 현실적인 적용에 대한 비판을 보면, 경제성장을 우선시하고 환경이 부차적으로 인식되거나 개념 중심의 형식적인 구호가 될 가능성 높다는 점과 선진국 중심의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담론만을 다루었다는 점 등이다. 즉 이론적 담론에 머물러 실질적인 정책 실현으로 구체화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리교육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계성을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혹은 지속가능성교육은 지역, 공간, 장소를 주제로 하는 지리교육과 지리학에 매우 적합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글로벌 지리(세계지리)와 국가지리(한국지리), 지역지리가 공간적으로 연결이 되면 더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낼 것이다.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irst suggested at the UN Conference on Human and Environment(UNCHE) in Stockholm, Sweden in 1972. In 1992, the main agendum of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was sustainable development. On September in 2000, Korea had founded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PCSD)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as suggested by the UN. The concepts of PCSD were `social integ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The study topics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ers have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regions, and the preservation of villages. Considering the criticism on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it may prioritize economic development and put the environment behind it or become a formal slogan, a concept for the advanced countries only, or Neoliberalist globalization discourse. These criticisms should be considered when realizing the relevan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ibliographical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education is very suitable for geography education focusing regions, spaces, and places.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glob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y, and local geography are spatially connected.

      • KCI등재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학교 지리의 위상은 한국, 중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한국 사회과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지리는 시민성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나라에서 필수 교과로서 강조된다. 21세기 학교 지리의 역할은 민주 시민성, 다중 시민성, 생태 시민성 수준을 넘어 생태적 다중시민성 교육의 중핵으로 진화하고 있다. 4개 국가의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미래 교육````지속가능발전 교육````일상생활지리````생태적 다중시민성``관점에서 학습 내용(위치, 기후, 지형, 자원, 산업, 문화, 도시, 환경, 지역)과 학습 활동(지구의, 지리부도, 기후그래프, 사진, 주제도, 그래프, 인터넷, 지도·통계 자료, 사례 탐구)이 교과서에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재현되고 있다. 시민성 교육으로서 학교 지리의 유용성을 담보하기 위해, 첫째, 학습자가 인간과 환경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하는 학습 기회를 갖도록 하고, 둘째, 개개인의 삶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학습자가 다규모적 장소감과 정체성을 인식하고, 공간적 불평등과 환경 부정의에 도전하면서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기르도록하고, 셋째, 지리 교과서의 학습 내용 및 활동은 학습의 실용성을 전제로 간결성, 교육성, 효율성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osition of school geography is especially underestimated in Korean social studies among Korean, Chinese, Japanese, and Australian curriculums for middle school. But, school geography related with a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mandatory subject in many countries. The role of school geography for the 21st century has evolved into the core of educating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rom each level of democratic, multiple, and ecological citizenshi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4 countries ``geography curriculums and textbooks analyses, learning contents (location, climate, landform, resources, industry, culture, city, environment, region) and activities (globe, atlas, climograph, photos, thematic maps, graphs, internet, maps and statistics, sample study) are represented with various spectra in the textbooks from the view of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eography of everyday life and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In order to guarantee the value of school geography as a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follow next proposals. First, it need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think of preferab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ature. Second,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s for individual lives and sustainable future of mankind, which make them recognize multi-scalar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and challenge to solve spatial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justice. Thir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in geography textbooks shall be dealt with critical examination in view of simplicity, educational value, and efficiency based on practicality of learning.

      • KCI등재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이선경,김남수,주형선,곽영순,박윤경,박형빈,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3

        차기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강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 교육과정에서 그 현황을 일차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내용 및 반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여, 차기 국가교육과정에 환경교육 내용의 포함, 정량적, 정성적 개선 및 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교육은 지속가능성을 포함하거나 지향하는 광의의 환경교육 또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전제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대만, 호주, 핀란드 등 외국의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국내 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내용 분석 관련 연구와 OECD Learning Framework(OECD, 2018), Sustainability Framework of Australia(DEWHA, 2010), Environmental Literacy Framework by NAAEE(Hollweg et al., 2011) 등과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환경과 교육과정 등의 교육에서의 프레임워크를 탐색하여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에는 환경지식, 환경가치·태도, 환경역량, 환경실천과 참여의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범주는 서로 분리되어 고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환경실천과 참여를 강조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환경교육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형태의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추후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방식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