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분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 발전방향

        정무헌,이선재,박인선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safet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researches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To this end, 929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and Engineering have been sorted by field of study and analyzed for frequency.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fire chemistry and physics,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fire safety design andmanagement, evacuation and human behavior. In contras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uman behavior, firesafety education, or training. This result is discussed in the articl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bjectives a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방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소방분야 연구편중 정도를 분석하고, 화재 인명피해 저감 정책 이슈 및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환경 변화를 반영한 소방안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화재소방학회지 연구분류체계, 국가화재안전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개발사업 분류체계, 4차산업혁명 핵심분야, 인간행동과학 응용 분야 등을 기준으로 소방연구분야 체계를 정립한 후,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929건을 소방연구분야 체계별로 분류하고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화재화학·물리, 감지 및 소화시스템, 화재안전설계 및 관리, 피난 및 인간행동분야 순으로 많이 연구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지 및 소화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화설비, 경보설비, 제연설비가 많이 연구되었으며, 화재의 주요 원인이되는 인간의 행동부주의를 줄일 수 있는 소방교육, 훈련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최근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기술과의 융합연구도 매우 드물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결론에서는 사람의 행동부주의를 개선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분야의 연구필요성 등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분야 연구동향

        임옥근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1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inimize property damage and casualties caused by fire accidents, which occurover 40,000 times annually on average.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journal indexedin the Korea Citation Index and the Fire Technology journal indexed in th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databases overthe last 10 years were analyzed utilizing text-mining techniques. Similar research papers published these two journals wereexplor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were identified. Recently, the proportion of studies on “Wild-Urban-Interface (WUI) fire” and “Battery fire” published in the Fire Technology journal has increased; however, “Firefighterorganization” related research papers are being actively published in th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journal. A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tudies on fire incidents can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on developing new policies essentialto reducing fire damage. 연평균 4만건 이상 발생하고 있는 화재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화재로 인한 사상자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술진행재단등재지인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와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CIE) 논문지인 Fire Technology에서 최근 10년간 게재된 논문들을 텍스트마이닝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주제들을 분석했다. 유사한 연구주제 뿐만 아니라 국내 혹은 국외에서만연구되는 주제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사한 주제라도 연구방향이나 연구자의 관점에 차이가 있었다. 국외에서는산불이나 배터리화재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국내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런 분석결과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소방분야 연구 및 정책방향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반도체공장의 피난거리 연구

        이용재(Lee, Yong-Jae),이경구(Lee, Kung-Koo)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추계

        Augmentation of the high-technology industry semiconductor factories, to acquir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power, is an international tendency. This situation is demanding for the functional counteractions. This study is regarding egress distance pertaining to installation of direct stairs. First, analyze situations and danger characteristics of LCD Factories. Second, through investigations and analysi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Egress Distance Code, propose rational Egress Distance Code pertaining to installation of direct stairs.

      • KCI등재

        공동주택 화재 시 화재크기 및 실내 개구부 크기가 화재풍속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서찬원,신원규 한국화재소방학회 2014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8 No.5

        In the case of interior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contamination of vestibule area by fire smoke before air fan operatingwhen fire doors are open makes the evacuation of people very difficul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release rate (HRR) and interior opening on fire flow velocit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werecarried out. In simulations, actual dimensions and configuration of an apartment building were considered and interiorleakage and HRR were varied. From simul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fir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s significantlyinfluenced by HRR and interior opening resulting in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a neutral plane. Also, it is shown thatthere is a larger difference of the fire flow velocity between upper and lower part of the fire door when the neutral planebecomes closer to the ceiling. 재실자가 부속실로의 피난 시 부속실 송풍기가 작동하기 전단계에서는 실내화재로 인한 풍속이 발생하여 부속실 개방과 더불어 연소생성물이 부속실을 오염시켜 피난장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로인한 화재크기 및 실내 개구부 크기가 화재풍속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화재크기 및 실내 개구부 크기를달리하였고, 실제의 공동주택 형상과 치수를 반영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화재크기별 실내의 개구부 크기에 따라서 중성대 높이가 변화하여 부속실로 흐르는 화재풍속 특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후 있었다. 또한, 실내 중성대가 높은 곳에 형성된 경우에는 방화문 상 · 하부에서 화재풍속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장애인 복지시설의 주요가연물 조사 및 연소실험에 관한 연구

        손인태(Son, In-Tea),서동구(Seo, Dong-Goo),홍해리(Hong, Hae-Ri),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최근 국내 장애인 복합시설의 증가와 함께 많은 사고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시설 화재시 재실자가 장애인으로 비장애인 보다 피난 효율이 저하되어 수 많은 인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시설 피난 방화와 관련하여 강화된 규정이 필요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장애인복합시설을 대상으로 가연물 조사와 Cone Calorimeter 실험을 통해 화재하중과 가연물 연소성상 등을 연구 분석한 결과 장애인 시설의 화재하중이 공동주택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e Calorimeter 실험을 통해서 6개 시료 중 4개의 시료가 기준치 이상의 발열량을 보였고, 방염블라인드의 경우 Co, <TEX>$CO_2$</TEX> 유해연기의 검출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그 위험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기후조건 변화에 따른 산불확산 변화 비교

        이시영(Lee, Si-Young),박흥석(Park, Houng-Sek)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추계

        We simulated a forest fire which was occurred in Yangyang area on 2005 and compared a results between two different weather conditions(real weather condition and mean weather condition since 1968) using FARSITE, which is a forest fire spread simulator for preventing and predicting fire in USDA. And, we researched a problem in the transition for introducing, so we serve the basic method for prevention and attacking fire. In the result, severe weather condition on 2005 effected a forest fire behavior. The rate of spread under real weather condition was about 4 times faster than mean weather condition. Damaged area was about 10 time than mean weather condition. Therefore, Climate change will make a more sever fire season. As we will encounter to need for accurate prediction in near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dict a forest fire linked with future wether and fuel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