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 민주화 이행 그리고 한국학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40년의 성과와 의의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본 연구는 1978년 개원한 한국학중앙연구원(당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개원과 더불어 냉전 하에서 80년대 민주화 이행 이전 시기, 민주화 이행 이후 90년대 후반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경쟁체제가 대학과 연구기관에 도입된 현재까지 세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기관으로서 의의를 평가하고, 이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제언’을 결론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1978년 정문연의 개원은 한국학 연구의 ‘제도적인 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제1기에는 광범위한 국내 연구진의 결합에 기초한 한국학에 대한 학제간 연구, 사전과 분류사 등에 대한 연구, 제2기에는 한국학 기초자료의 수집과 연구 토대, 한국학의 세계화, 사료에 입각한 연구라는 한국학 연구의 제도적 기반을 구축했다. 물론 이는 각 시기별 정부정책, 연구기관의 특수한 문화, 운영 체계의 특수성, 조직원 간의 의사소통과 조직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다. 국민정신교육이 강조되던 시기에도, 민족문화에 기반한 백과사전 편찬, 민속, 구비 그리고 방언에 기초한 전통문화의 발견 그리고 사상사, 사회사, 자료사 대계가 전근대와 근대 시기를 망라하는 동시에, 당대 인문‒사회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학제간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바로 한중연의 존재 의의는 현재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이었다. 2000년대 이후 한중연의 존재의의는 장서각 자료에 기초한 왕실문화, 고전문학 등에 대한 어학, 문학, 예술, 역사, 사상 등 학제간 연구가 제도화된 연구과제 형태로 정착됐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근대 및 근현대 분야의 각종 사전(공구서), 국내 근현대 1차 자료에 대한 영문번역을 통한 소스북 발간, 고전자료의 현대화에 기초한 다양한 연구의 확장을 들 수 있다. 이들 흐름은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제기했던 민족문화의 개념을 세분화된 차원에서 확장한 연구한 동시에, 개념, 사건 그리고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 개념의 원천을 탐구한 시도였다. 뿐만 아니라 1990년대 국학진흥사업과 현대사연구소를 통한 근현대자료의 집성,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과 구비문학증보사업을 통한 대규모 자료의 집적은 해당 분야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2000년대 확산시켰다. 특히 근현대 시기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은 사료라는 역사적 기반을 둔 연구들이 90년대 중반부터 현재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오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부각되기보다 특정한 정치적 외부 논리에 의해 연구원이 평가되어온 이유는, 정책변화, 기관장 교체 등에 의한 불안정화/대립적 조직문화의 재생산 등에서 기인한 것이다. 1978년 개원 이후 주요한 논쟁은 ‘연구’와 ‘교육’의 비중 간의 긴장이었으며, 연구원의 전망 역시 각종 연구조직, 연구소 개폐, 대학원 직제개편 등을 둘러싼 연구와 교육이란 두 가지 문제를 연결시킬 수 있는 인적, 제도적 자원을 집중해 나아가는 방향을 둘러싼 문제이다.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을 둘러싼 연구원 성격 규정, 한국학의 범위를 확정하는 문제와 학제적인 한국학 연구, 기관의 자율성 확보, 중점사업 개발의 필요성, 대학원의 특성화, 연구결과의 확산 등 『개원 20년사』에서 제기했던 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지난 10여 년의 역사를 반추한다면, 향후 연구와 교육의 기본 방향에 대한 구성원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작업이 ...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d War, the transition to democracy, the late 1990s and the three periods to date, with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valu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a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then reviewing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The openi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78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a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Korean studies. In the first period, the institute built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the combination of broad researchers, dictionary and classification history studies, and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source on Korean studies in the second perio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1980s, the compilation of encyclopedias, the discovery of national culture, and the study of thought history, social history were also conducted. At the same time, it laid the foundation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vering all areas of Korean studies.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2000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Jangseogak sourc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form of a research project. Secondly, various studies based on the modernization of various dictionaries and classical materials in modern and contemporary fields have been expanded. Such research was an attempt to expand the concept of national culture, while exploring the sources of Korean studies, focusing on concepts, events and source. 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large‒scale research source through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 oral history research project and korean studies on pre‒modern period project has spread the interest of academia in the field. Despite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since the 2000s, the reason why researchers have been evaluated for certain political logic rather than for their achievements has been because of changes in policy, instability of organizations due to the replacement of heads of institutions, and the reproduction of confront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ver the past 40 years, the main debate within the researchers has been tension over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education.’ The tasks raised in the 20 years history of the opening of the institute, including stipulating the nature of researchers surrounding research functions and educational functions, establishing the scope of Korean studies, securing autonomy of institutions, the need to develop intensive projects, specialization of graduate schools and the spread of research results, are still valid. Currently,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should move forward is “link between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and that it is a specialization through long‒term research that is difficult to do at ordinary universities or other Institute of Korea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체코 찰스(Charles) 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과 과제: 인문대학(Filozofická Fakulta[Faculty of Arts]) 한국학 전공을 중심으로

        황문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t Charles University by focusing on the Korean Studies major in the Filozofická Fakulta [Faculty of Arts]. In some cases, it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studies and Chinese or Japanese studies. Charles University, which housed Korean Studies since the 1950s, has distinctly maintained its orientation of pursuing Korean Studies for academic purposes when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This article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t Charles Universit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finding ways to promote Korean stud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beyond Charles University. 이 글에서는 체코 찰스대학 인문대학(Filozofická Fakulta[Faculty of Arts]) 한국학 전공을 중심으로 찰스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을 한국학 학생과 교원 현황, 한국학 강좌 현황, 한국학 관련 기타 현황 등으로 나누어 점검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국학, 일본학 등과 비교하면서 상호간의 격차가 어떠한지를 파악하기도 하였다. 체코 찰스대는 이미 1950 년대부터 한국학을 운영해 왔을 뿐 아니라 타 대학과 비교할 때 ‘ 학문 목적의 한국학’에 대한 지향을 뚜렷이 유지해 왔다. 따라서 찰스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을 분석한 이 글은 찰스대학을 넘어 중유럽 내지 동유럽의 한국학 진흥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

        허원영(Heo, Won-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이 글은 1978년 6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개원 이래 장서각이 수행해 온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4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장서각의 고문서사업은 한국의 고문서를 대표하는 많은 성과를 제출했다. 그동안 장서각이 수집한 고문서는 44만 점을 넘어서는 엄청난 양이다. 그중 107개 소장처의 6만 2천여 점은 장서각에 기증·기탁되어 있으며, 10만 5천여 점은 정리 중에 있다. 나머지 27만여 점은 실물은 비록 장서각에서 떠났으나, 마이크로필름이나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그 이미지 정보를 장서각이 축적하고 있다. 자료집을 중심으로 그간 간행한 도서도 300여 책에 달한다. 장서각의 고문서 사업을 대표하는 『고문서집성』이 126권까지 출판되었고, 『이재난고』를 비롯한 일기 등 주요 자료를 대상으로 간행한 『한국학자료총서』도 51책이 간행되었다. 학술적 가치는 물론 예술적 가치도 높은 명현들의 간찰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한 『한국간찰자료선집』이 22책, 전시회 도록과 『명가의 고문서』를 합쳐 25책의 도록 자료가 공간되었다. 최근에는 스토리텔링을 포함하는 연구서와 역주서, 영문번역서 등 장서각 고문서 사업을 통하여 간행하는 도서의 깊이와 폭이 더욱 심화, 확장되어 가고 있다. 무엇보다 장서각 고문서 사업은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의 고문서 환경에 선구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한국의 고문서 사업과 고문서학의 토대를 놓고 확장, 발전시켜 나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장서각 고문서 사업은 민간에 산재한 고문서의 조사·수집의 방법론은 물론 기증·기탁과 기초연구, DB구축 및 활용에 걸치는 고문서 사업의 모든 부분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하면서 전범을 세워왔다. 또한 협의의 고문서 정의에 따르는 고문서 사업이 아닌 광의의 관점에서 고문서의 정의를 세우고 고문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혹여나 흩어질 수도 있었던 고문서의 아카이브학적 가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보다 직접적으로는 우수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보급함으로써 한국의 고문서학과 고문서 사업의 확장과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직접 장서각 고문서 사업을 통하여 배출된 연구자와 전문인력만 해도 90여 명에 달한다. 이들은 이론과 실무 경험을 겸비한 인재들로 사실상 한국의 고문서학계와 고문서 사업을 이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눈부신 성과를 쌓아 올린 40년 역사이지만, 변화하는 환경과 그 속에서 요구되는 역할 속에서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방향과 가치를 어떻게 설정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의 다양한 학문 분야 및 대중적 수요에 대한 대응으로서, 문화콘텐츠 원천자료 제공을 위한 가공과 서비스를 위하여 장서각 고문서 사업이 제안하고 있는 것이 현대화와 대중화, 세계화의 방향으로, 역주와 스토리텔링, 영문번역과 한문 워크샵 등 세계화 및 웹서비스의 강화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sinc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pened in 1978. Jangsoegak represents Korean research projects of old documents and has achieved many research achievements over the past 40 years. The documents collected by Jangseogak amounted to a total of 440,000 pieces, of which 62,000 are donated and deposited to Jangseogak, 105,000 pieces are being organized and the rest 270,000 are stored in a microfilm or in a digital image. Jangseogak has published 300 books including data collection. Old document integration (古文書集成) is a representative compilation of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and up to 126 books have been published.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on Korean Studies (韓國學資料叢書) is a series that published diary materials including Ijaenango (頤齋亂藁) and up to 51 books have been published. Selected Collections of Korean Old Letters (韓國簡札資料選集) is a series that published letters by noted wise men and published up to 22 books. 25 art brochures including Historical Manuscripts from the Eminent Families in Transitional Korea are published as books. Recently studies that include storytelling, copies of translation with notes and English version books are published, and publications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s are expanding in depth.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plays a pioneering role in research of old documents of Kore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and developed it. This research project laid down standard for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by providing research methodology in old documents, basic research on donating and deposit of documents and research on building and utilizing databases. It defines a concept of the old documents from a broad perspective not a consultation perspective and perform research projects with this point of view, and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archive value of the old documents.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ancient document research in Korea by training and dissemination of excellent professionals. The number of talented professionals produced through this project is up to 90 and those who combine theory and practice play a key role in the sector of Korean old documents research. After 40 years of remarkable achievements, the research project of old documents by Jangseogak is now required to think about how to set the direction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role required. As a response to the diver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ociety, it proposes to give storytelling work, copies of translation with notes, English translation and Chinese workshop to provide original data for cultural contents and to strengthen web services in terms of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document materials.

      • KCI등재

        현장과 전체상에 충실한 한국학을 위한 제언

        오수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pecific problems of the field where scholars are researching Korean Studies. It would be one of various efforts to find a new path of Korean Studies. It can not be overemphasized that Korean researchers should explore the subject in the temporal and spatial context. Jeong Yag‒yong’s political thoughts are considered to have opened a new era beyond the medieval limits. But, as confirmed by two cases of Banjeong(The Restoration of the Righteous King), the realities of Joseon’s politics were more advanced than the idea of Jeong. Although the traditions of all provinces and towns are important, it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t the studies of regional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national state.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when we look into the place where Chunhyang and I‒doryeong first met and loved, It is revealed that the conventional explanation of Chunyang‒jeon have understood the novel in a streotyped and outdated framework. The researches of Korean Studies have placed too much importance on the words and writings of intellectuals. Scholar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the whole picture when they study intellectuals or a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must promote discussion and debate first of all. It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of every scholar. Scholars of Korean Studies are required to have basic knowledge in philosophy, history, social sciences as well as in literature and fine art. And there are more specific conditions. We need to increase the weighting of provocative agenda setting and active debates in peer reviews. It is desirable that academic conferences should be held on controversial themes. And a journal should be established that specializes in discussions and debates. 오늘날 한국학의 활로를 개척하는 방안으로 연구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한국학 연구자들은 연구대상을 그 시간적・공간적 현장 속에서 탐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약용의 정치사상은 조선후기 정치사상의 신기원을 연 것으로 이해되지만, 조선왕조 개창, 반정의 현장은 그의 사상보다 더 나아가 있었다. 지방사・지역사 연구의 경우 주민공동체의 전통도 중요하지만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당대의 현장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문학 연구에서도 춘향이 이도령을 만나고 사랑을 나누는 현장을 들여다보면 지금까지의 통설이 춘향전을 관념적이고 상투적인 틀 속에서 이해했음이 확인된다. 개인이든 사회든 그 특정한 일면을 돋을새김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오류를 극복하여야 한다. 특히 지식인들의 말과 글은 사회를 구성하는 일부분에 그치므로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전체상을 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체상을 지향할 때 지금까지의 설명과 다른 면모가 확인될 사례로 정조와 정약용의 정치사상, 조선후기의 화이론, 조선시대 국왕의 권한 등을 들 수 있다. 한국학의 총체성은 근대 학문이 이룩한 분과학문의 전문성을 살리는 바탕 위에서 추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 연구자들은 이웃 분야의 기본 식견을 공유한 위에서 토론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술지의 논문 심사에서 도발적 문제 제기와 논쟁에 대한 가중치를 높여야 하며, 학술대회를 논쟁 위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론과 논쟁 중심의 학술지를 운영할 필요도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학계의 토론과 논쟁을 이끌어야 중앙을 자처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안승준(Ahn, Seung-jun),유학영(Yu, Hak-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장서각 Vol.0 No.32

        사찰에 소장되었던 고서는 그 출처와 소장내력을 잘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월인천강지곡 또한 마찬가지이다. 필자는 평소 사찰 문헌이 원래의 소장처와 그 전래 경위가 밝혀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의문을 품어왔다. 이 글에서는 『월인천강지곡』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탁을 계기로 본 도서의 이동 경로 및 그 원인과 배경을 구명하였다. “세종대왕이 지은 歌詞 월인천강지곡이 어떻게 외진 전라도 변산반도의 실상사에 보관되어 있었는가? 실상사와 월인천강지곡, 그리고 효령대군과는 어떠한 因果가 있었는가?”라는 근본적 물음에서부터 동학농민전쟁, 일제강점기, 6·25전쟁이라는 근대사 전개과정에서 월인천강지곡의 소장 경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컨대 이 글은 월인천강지곡이란 책자가 1462~1466년 실상사 奉安된 이후 1960~1970년대까지 약 500년간 역사적 공간을 추적해 그 傳存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부안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佛腹藏됨 20세기 초, 1462년과 1466년에 작성된 실상사 三尊佛 조성을 위한 普勸詞(勸善文) 2건과 실상사 중창 發願文 1건이 발굴되었다. 이 3건의 고문서를 통해 효령대군에 의해 실상사 삼존불이 조성되었고, 4년 뒤에 실상사가 중창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삼존불 조상과 사찰의 重建을 계기로 월인천강지곡이 효령대군에 의해 佛腹藏되었다.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소장된 것은 이 절이 바로 세조의 願堂으로서 사회·경제적 위상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② 19세기 말 동학농민이 실상사 불상을 파괴하면서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오게 됨 1894년 동학농민들은 실상사 부처의 몸에 금은보화가 숨겨져 있다는 말을 믿고 불상을 파괴하였다. 이때 금은보화는 발견되지 않고 다수의 고서와 고문서가 불복장속에서 쏟아져 나왔다. 이때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왔으나 이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③ 1914년 白鶴鳴 스님이 부안 實相寺 불복장에서 월인천강지곡을 발견함 1914년 봄, 부안 來蘇寺에서 20리 거리에 있는 실상사의 법당이 퇴락하고 本尊佛도 더 이상 수리할 수 없게 되자 당시 내소사 주지였던 백학명 스님이 불상의 腹中에 봉안된 월인천강지곡 상권 1책을 발견하였다. ④ 1918년 鞠?潭 스님 인수함 1918년 10월, 국묵담(1896~1981) 스님이 내소사에서 당시의 실상사 주지 金性連스님에게서 ‘월인천강지곡 상’을 인수해 왔다. 이후 국묵담 스님의 주석처를 따라 백양사 청류암, 담양 용화사에서 보관, 관리하였다. ⑤ 1961년 光州遞信廳 陳錤洪 청장 인수함 1961년 1월 23일, 국묵담 스님이 「월인천강지곡을 陳遞信廳長님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서한과 함께 월인천강지곡을 당시 광주체신청 청장이었던 진기홍 씨에게 인계하였다. 1963년 9월 2일, 문화재청은 진기홍 씨가 소장하던 월인천강지곡을 보물 제398호로 지정하였다. ⑥ 1972년 大韓敎科書 주식회사 金光洙 사장 인수함 1972년 7월 21일, 대한교과서 주식회사(현 ㈜미래엔) 김광수 사장이 진기홍 청장으로부터 월인천강지곡을 인수하여 회사에서 收藏하였다. ⑦ 2013년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에서 위탁 관리함 ㈜미래엔에서 월인천강지곡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寄託, 2013년 6월 26일 기탁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주)미래엔 김영진 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정길 원장 등이 참석하였고, 이때부터 장서각이 관리의 주체가 되었다. Many old books stored in temples are without reliable source of their origin and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Weolincheongangjigok. The author has been interested in the origin of temple books and started a research taking the opportunity that the book is deposited in Jangseogak librar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book was stored and the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background. How the book written by King Sejong was stored in the remote place of Silsangsa temple in Byeonsanbando peninsula in Jeollado province? How Silsangsa temple, the book, and Prince Hyoryeong were related? How the book was handed down through Donghak peasant revolutio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This article track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book’s existence from 1462-1466 when it was stored in Silsangsa temple to 1960-70, covering about 500 years. The findings are as follow. ① In mid 15th century, it was stored inside of a buddha statue in Silsangsa temple, Buan, by prince Hyoryeong. 2 articles 普勸詞 (勸善文) written in 1462 and 1466 encouraging donation to build triple buddha 三尊佛 in Silsangsa temple and an article 發願文 for rebuilding the temple were found in early 20th century. The three documents confirmed that the triple buddha in Silsangsa was built by prince Hyoryeong and the temple was rebuilt 4 years later. At the time the book was stored inside the buddha. Silsangsa was a prestigious temple 願堂 dedicated for the heavenly peace of King Sejo. ② In 1894 Donghak devotees destroyed the buddha to find gold and silver treasures inside the buddha believing in a rumour. Instead, old books and documents came out. However no one paid attention to the book, Weolincheongangjigok, among them. ③ In the spring of 1914, monk Hakmyeong Baek 白鶴鳴 who was in charge of Naesosa 來蘇寺 temple, about 20-ri (8km) away from Silsangsa temple, discovered volume 1 of the book inside a buddha in Silsangsa, Buan. At the time the building and buddha in Silsangsa were decayed and impossible to repair. ④ In 1918, monk Gukmukdam 鞠?潭 (1896~1981) took over the volume 1 from the chief monk 金性連 of Silsangsa at the time. Monk Gukmukdam stored and maintained the book in his residences of Cheongryuam in Baekyangsa temple and Yonghwasa temple, Damyang. ⑤ On January 23rd, 1961, monk Gukmukdam hand over the book to Gihong Jin 陳錤洪, chief officer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光州遞信廳, with an accompanying letter words (a letter) sending a book, Weolincheongangjigok, to chief officer Jin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The book possessed by Jin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398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⑥ On July 21st, 1972, Gwangsu Kim 金光洙, c.e.o. of Daehangyogwaseo Korea textbook 大韓敎科書 company (later Mirae N) took over the book and stored in the company. ⑦ On June 26, 2013, Mirae N Co., Ltd. deposited the book to Jangseogak library and hold a ceremony with the presence of c.e.o. Yeongjin Kim of Mirae N. and president Jeonggil Jeo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n on, Jangseogak maintains the book.

      • KCI등재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 방안과 공공데이터 정책

        서동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2

        법으로 규정된 데이터 표준화의 의무적 상황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각 분야별 데이터 표준화 연구 추세와 궤를 같이한다. 이 글은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서, ‘통합플랫폼과 공공데이터의 상보적 역할’이라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로 이어질 예정이다.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는 학계의 시장 과정에 의한 표준화보다는 집단적 합의에 의한 표준화의 일환으로 정부의 공공데이터 정책에 따라 최소한의 형식적 표준화가 종용되고 있지만 아직은 시작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시론은 이러한 실정의 저변을 체계적으로 집약 정리하는 차원에서 각종 데이터 표준화 관련 개념과 분류 체계 및 정책 환경에 대해서 검토하고 한국학 분야의 데이터 표준화 현황을 공공데이터 정책과 함께 살펴본 후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역할 체계의 일면을 제시한다. 통합플랫폼과 공공데이터의 상보적 진형(陣形)은 한국학 데이터에 대한 ‘세계적 표준’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학과 인접한 국내외 학문 영역에서의 표준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고, 한국학만이 가진 영역에서는 독자적인 표준을 정의해야 한다. This work is part of a study on “Methods for standardizing Korean studies data.” This study began with the topographical map of “the complementary role of integrated platforms and public data” deriv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data standardization. As part of the study, this work focuses on the role of public data policy. In line with the trend of data standardization research in each field that is actively underway around the world, this work reviews various data standardization-related concepts, classification systems, and policy environment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data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long with public data policy, and then presents a role system that can develop this more effectively. To determine the status of data standardization in the specialized field of Korean studies, one’s own system needs to be created by narrowing down only the stems necessary for the issue in the complex maze. In terms of carrying out this task, this work also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의 대응과 문서 행정

        노인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한국학 Vol.45 No.3

        Solar and lunar eclipses are natural phenomena that are occurred by the changes of the positions of sun and moon from the earth. Seowoongwan was responsible for the matters on solar and lunar eclipse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Gwansanggam took this role since King Sejo. Gwansanggam predicted eclipses and submitted the notes for them to the king before 3 months. In 1769, King Youngjo made the rule to submit the notes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to the king before 5 months. Gwansanggam which belonged to Yejo reported to Yejo in writing after prediction of eclipses, and Yejo submitted it to the king. After receiving the approval from the king, Yejo delivered the dates of the events to Gwanchalsa, Tongjesa, and Yousoo, then, Gwanchalsa delivered them to local governors. Once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occurre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tched them and performed Gushik. The ceremony of Gushik was prepared in Guilshikui of Gukjooreui published in 1474, and changed on the place, dress code, personnel, request contents, and so on in Chilimguilshikui of Gukjosokoreui published in 1744. In 1785, the rules on Gushik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discussed in the royal court and applied in Daejontongpyon, and the Gushik ceremony for lunar eclipse was newly developed. Local governors who performed Gushik during eclipses reported the status to Gwanchalsa and Tongjesa as Cheopjeong and Seomok. Then, Gwanchalsa and Tongjesa who were reported by the local governors reported to the king for eclipses by Gyebon. In this study, the processes dealing with solar and lunar eclipses by Gushik in the Joseon dynasty were reviewed. Also, the document administration were clarified on the major events of eclipses from centr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from central to local public offices, and from loc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일식과 월식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해와 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이다.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에 대한 업무는 조선 초기에 서운관(書雲觀)에서 담당하였고, 세조 이후에 관상감(觀象監)에서 담당하였다.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 3개월 전에 초기(草記)를 국왕에게 입계(入啓)하였다. 1769년(영조 45) 영조는 5개월 전에 초기를 입계하는 것을 정식(定式)으로 삼았다. 예조에 소속된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에 첩정을 올려 예조에 보고하였고, 예조는 관상감의 첩정을 점련(粘連)한 계목(啓目)을 올려 국왕에게 보고하였다. 국왕의 결재를 받은 예조는 계목의 내용을 관찰사・통제사・유수에게 관(關)으로 전달하였고, 관찰사는 지방 수령에게 일식과 월식의 날짜를 전달하였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면 중앙 아문과 지방 아문에서는 일식과 월식을 살펴본 후에 구식을 거행하였다. 조선 전기에 일식을 구식하는 의식은 세종 연간에 마련하였고, 1474년(성종 5) 편찬된 국조오례의 구일식의(救日食儀)에서 정리되었다. 이후 1744년(영조 20) 편찬된 국조속오례의 친림구일식의에서 구식 장소, 복식, 담당 관원, 국왕에게 아뢰는 내용 등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1785년(정조 9) 정조는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규정을 논의한 후에 대전통편 에 반영하였고,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새롭게 마련하였다. 일식과 월식 이후에 문서 행정은 구식을 거행한 지방 수령이 관찰사에게 첩정과 서목을 올려 일식과 월식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지방 수령의 보고를 받은 관찰사와 통제사는 국왕에게 계본(啓本)을 올려 일식과 월식을 보고하였다. 관찰사와 통제사의 계본을 받은 국왕이 최종적으로 예조에 계하하면 일식과 월식이 일어난 후에 문서 행정이 완료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통해 일식과 월식을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식과 월식이라는 중요한 사건에 대해 중앙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 중앙 아문에서 지방 아문으로 전달하는 문서 행정, 지방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