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의사관점 연구

        이경미,변찬석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s been reducing every year and it is exposed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with the problems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Also,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learning disability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has been accepting not only materials of education institutes but also those of medical institutes. In this reality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it must have been considered for depth and holistic understanding that is, both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medical perspectives, because learning disability is likely to be highly co-existed ADHD and emotion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plain holistically for the medical doctors’ perspective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The method of study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six medical doctors(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 5, general psychiatrist 1) who have experience in learning disability in hospital field and have conducted personal depth interview. The result of the study is all about medical doctors’ perspective which mentioned the relationship of the difficulties in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First, medical doctors were worried about the dangers of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that is, all children who are low in academic score are regarded as subjects for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Second, medical doctors agree that difficulties in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begin with difficulties that diagnose the cause of learning disability. And medical doctors recognized the first, and second perspectives have already made the problems harder in reality, as the controversy of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arise. Third, it could be confirmed that medical doctors exerted efforts in order to have a good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are some of the suggestions discussed for medical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최근, 학습장애 출현률이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현상이 학습장애 진단의 문제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제시한 학습장애 선정과정에서는 교육 및 의료기관의 진단자료를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습장애 진단현실에서 ADHD 및 정서장애와 중복될 가능성이 높은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적 관점 이외에도 의료적 관점에서의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의사관점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서 학습장애 임상경험이 있는 의사 6인(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5, 일반정신과 전문의 1)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들은 모두 ‘학습장애 진단의 어려움’에 대한 관점을 기술하고 있었다. 첫째, 의사들은 공부를 못한다고 해서 모두 학습장애로 진단하는 위험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으며, 둘째, 의사들은 학습장애 진단의 어려움이 학습장애의 원인진단에서 시작되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이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논란으로서 현실에서도 이미 고착화 된 문제임을 의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장애 진단을 잘하기 위한 의사들의 노력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장애 의료적 진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현행 학습장애 진단 실태 및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 그리고 판별 모델에 대한 제안

        김애화,김의정,금미숙,김주혜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 진단 실태를 파악하고, 학습장애 개념, 정의, 진단 기준 및 진단․평가에 관한 선행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전국 172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팀장 또는 진단․평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인이 학습장애 진단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지 연구와 국내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에 관한 다음의 8개 이슈를 도출하고, 각 이슈별 논의를 통한 이론과 국내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였다: (1) 학습장애 정의의 구성 요소, (2) 학습장애 하위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 영역, (3)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선별 과정에서 확인해야하는 사항, (4) 학습장애 적격성 판별을 할때 확인해야하는 사항, (5) 낮은 학업성취도의 조작적 정의, (6) 지능 검사 결과의 기준, (7)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의 기준, (8) 배제 요인에서의 사회, 경제, 문화적 문제의 중복성 인정.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ational-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y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team leaders of 172 Supporting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Also,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Eight issu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a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of learning disability that are applicable to the theory and practice setting in Korea was proposed through the discussion of each of the following 8 issues: (a) the elements of learning disability, (b) the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y, (c) what to check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d) what to check for the classification decision, (3)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low achievement, (f)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IQ test result, (g) the decision criterion of the achievement test result, (h) what or not to include or exclude of socially, economically, and/or culturally disadvantaged children from special education servic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정광조(Kwangjo Jung),이대식(Daesik Lee)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invol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a multiple support team to improve basic academic achievement.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from A local educational office and six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B local educational office participated our study. Fo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 analyzed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perceptions of diagnosing LD. We also examined the awareness of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e virtual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learning disabilities of the school district B accounted for 25% of the total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ut in complaints to adopt and implement the revised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criteria in the school district. Regarding the participation of special teachers in the multi-support team, it was first said that the special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n cooperate with general teachers.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tak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they did not have much experience in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ey agr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y needed to discuss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sent of the education office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experts on including students with low basic education in learning disabilities. As a follow-up study,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by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is topic, the perceptions of various special education field experts, and need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se topic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현황과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가 참여하여 일반교사와 협력하는 방안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으로 2019년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가 가장 많은 A 교육청의 특수교육 현장전문가 2명과 상대적으로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적은 B 교육청의 특수교육 현장전문가 6명을 선정하였다. 학습장애 선정 현황은 빈도분석 및 전화 인터뷰로 그리고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가 참여하여 일반교사와 협력하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비동기 가상 포커스그룹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A 교육청의 학습장애 수는 국내 전체 학습장애의 25%를 차지하였으며, 그 이유는 학습장애 특수교육전문가들이 A 교육청에 개정된 학습장애 선정 기준을 채택하고 실시하도록 민원을 넣은 것을 A 교육청이 받아들인 후, A 교육청의 특수교육원을 통해 실천에 옮겼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다중지원팀 참여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전문성 제고 후,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은 일반교사들과의 협력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는데, 이는 일반교사들과의 학습장애에 관한 협력 경험이 많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장애 위험 학생들에게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학습장애에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가들의 동의를 전제로 한 특수교육계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다른 시․도교육청의 학습장애 선정 현황과 인식, 본 주제에 대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그리고 일반교사들의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특수교사들과의 협력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현장 교사가 지각하는 학습장애 정의 요소

        김동일,이일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04 학습장애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습장애에 대한 효과적인 정의 및 진단 요인의 확인에 기여하고자, 학교현장에서 학습장애 진단 평가의 실무자인 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묵시적 지식을 살펴보았다. 24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현장에서 경험한 학습장애 학생들의 특성이 어떠한 지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학습장애에 대한 묵시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묵시적 지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명시적 지식을 전문서적 등을 통해 이해한 학습장애의 정의요인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학습장애의 정의 요인은 4개, 학습장애의 특성 요인은 32개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습장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유무에 관계없이 학습장애에 대한 잘 발달된 밑그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장애의 명시적 지식 측면에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양성 및 재교육과정의 내용에 학습장애에 관한 교육을 강화할 것과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수용가능한 학습장애의 정의에 대한 향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발생시기 및 하위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A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강은영,김진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trends of overlapping learning disabilities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whole students in one middle school located at Kyonggido were involved for investigating the incidence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24.8%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ere distributed, and about 8.5% of those who had continuous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from elementary school, of the total. An appearance rate of the late-emerging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as about 9.5% of the total. The overlap of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3.6% in the reading, 13.6% in the mathematics, and 25.5% in the writing.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were the most common (25.5%), while the multipl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17.6%) and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mathematics and writing (21.6%). In the case of showing poor learning and learning disabilities early in elementary school,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reading was 0.9%,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mathematics was 21.4%, and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writing was 10.4%.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was 10.4%,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mathematics was 35.4%, and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mathematics and writing was 39.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iddle school learning disabilities have higher heterogeneity than elementary school learning disabilities due to the occurrence time and overlapping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tudent- and school- level interven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A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발생시기에 따른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습장애 하위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중복 학습장애의 출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A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은 전체의 약 24.8%로 분포하였고, 초등학교 때부터 계속 학습의 어려움을 겪어온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전체의 약 8.5%, 중학교 이후 늦게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전체의 약 9.5%로 나타났다. 늦게 등장하는 학습장애의 중복 학습장애 정도는 읽기장애 내 중복은 3.6%, 수학장애 내 중복은 13.6%, 쓰기장애 내 중복은 25.5%로 나타났고, 영역 간 중복은 읽기와 수학장애 중복은 5.9%, 읽기와 쓰기장애 중복은 17.6%, 수학과 쓰기장애 중복은 21.6%로 나타났고, 읽기, 쓰기, 수학 모두 중복을 보이는 경우가 2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때부터 학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던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읽기장애 내 중복은 0.9%, 수학장애 내 중복은 21.4%, 쓰기장애 내 중복은 24.1%로 나타났고, 영역 간 중복은 읽기와 수학장애 중복은 2.1%, 읽기와 쓰기장애 중복은 10.4%, 수학과 쓰기장애 중복은 35.4%, 읽기, 쓰기, 수학 모두 중복을 보이는 경우는 3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 학습장애의 경우 발생시기와 하위 유형별 중복장애의 문제로 인해 초등학교 학습장애보다 높은 이질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적 특성에 따른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의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에 대한 고찰

        김애화,김의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Korean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view of Korean articl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Korean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past 50 years. Next, a review of the predominant research findings with respect to each subtype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e theoretical basis for each subtyp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ept of learning disabilities: (a)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achievement, (b) showing > 70 IQ, (c)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and (b), can be diagnosis as LD when achievement is lower than IQ, is equivalent to IQ, or higher than I low achievement, (d) if satisfy requirements of (a), (b), and (c), can be diagnosis as LD when students are from social and economic disadvantaged background, (e) demonstrating low achievement in psychological processes, and (f) using a cut-off score at or below the 16th percentile in both achievement and psychology process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발표된 국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난 50년간 소개된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국내․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각 학습장애 개념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형 학습장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학업 성취도 기준을 적용하여 현저하게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이어야 한다. 둘째, 지능은 70 이상 이어야 한다. 셋째, 위의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지능에 비해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능과 같은 수준의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지능에 비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때 모두 학습장애로 볼 수 있다. 넷째, 위의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사회 및 경제적 문제가 있다고 해서 학습장애 진단에서 배제 하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현저하게 낮은 심리처리능력을 보이는 학생이어야 하며, 이러한 심리처리 및 인지적 결함은 학습장애의 원인으로 보아야 한다. 여섯째, ‘현저하게 낮다’의 기준은 학업 성취도와 심리처리 검사 결과 16백분위(-1SD) 이하로 둬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 및 논의하였다.

      • 학습장애학생 어머니의 부모튜터링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경미(Kyoung Mi Lee)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술대회지 Vol.2019 No.-

        학령기가 되어서야 진단이 되는 학습장애는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장애유형이다. 진단 이후 불충분한 지원책이 문제점으로 언급됐으며, 학벌서열문화의 우리 사회에서 학습장애 출현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학습장애 진단과 의뢰과정에 보호자인 부모의 영향력에 관해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특히, 주 양육자로서 어머니와 자녀와의 상호작용인 부모튜터링 지원은 학습장애자녀와 어머니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입증됐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학습장애학생 어머니의 부모튜터링 적응과정의 핵심범주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질문은 “학습장애학생 어머니의 부모튜터링 적응과정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로서 상호작용론에 기반한 근거이론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9인으로, 주 참여자 어머니 4인, 부 참여자로 학교교사(특수6, 일반2) 8인, 소아정신과의사 4인, 교수 2인, 연구자 1인이다. 자료수집은 주로, 개별심층면담과 포커스그룹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분석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장애학생 어머니의 부모튜터링 적응과정의 핵심범주는 ‘당당한 부모로 재탄생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범주는 인과적 조건, 작용·상호작용전략으로서 혼란기, 직면기, 좌절기, 도전기, 수용기 그리고 작용·상호작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핵심범주를 바탕으로, 학습장애학생 어머니의 부모튜터링 적응과정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Learning disabilities that are diagnosed only when they are school age are the type of disabilitie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the diagnosis, insufficient support measures have been mentioned as a problem, and the rate of LD in our society of academic order culture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every year. Recently, academic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influence of parents as a protector in the diagnosis and request process of LD. Specially, parent tutoring support which is a interaction between mother who is as a main caregiver and her child, is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e category of the adjustment process of parental tutoring of mothers who have students with LD in the social & cultural context of Korea. The study question was “What abou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parent tutoring for mother who has a student with LD?” The study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of grounded theory(G.T) which is based on the symbolic interactionism. The study of participants were 19 people, as main participants are 4 mothers and as assistance participants are 8 school teachers(special 6, general 2), 4 pediatric psychiatric psychiatrist, 2 professors and 1 researcher. Data collection was mainly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ep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analysis the data wer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G.T) analysis method of Strauss & Corbin(2008).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ore category of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for mother’s parent tutoring who has a student with LD is ‘being reborn as parent with confidence’. This core category explain the process from causal condition and the action interaction strategy process such as chaotic, face to face, frustration, challenging, acceptance period and through the meditational condition which is affecting this action interaction strategy, to reach the final result. Based on this core category, the implications of the adjustment process of parent tutoring of mothers who have students with LD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국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절차에 관한 고찰

        강옥려,홍성두,이기정,김이내,김동일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SLD) which have been using in the United States. Recently, under IDEA reauthorization 2004 and 2006, provisions of IDEA allowed school districts to use RTI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identifying SLD instead of the IQ-achievement discrepancy model. Thus, in order to identify SLD, most of states are using RTI. The basic purposes and principles of RTI sound like resonable and ideal. Moreover, recent research shows that RTI is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within schools to bring high quality instruction to all students including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when reviewing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SLD by using RTI of several states, we can see that the United States is in a transition period and even RTI recommended are still questionable. Thus, we indicated and discussed some important questions with regard to scientific, research-based interventions/instructions, progress monitoring, evaluation system, eligibility criteria, limitation of measurement in subject areas, use of standardized tests, cognitive ability, comorbidity with other disorders, and so on. Finally, we mentioned some issues to be solved before RTI is applied to identification of SLD in Korea. 학습장애가 특수교육의 한 장애범주로 들어간 이래로 지금까지 학습장애의 정의 및 진단판별에 대해서는 “hot issue”로 계속되어 왔다. 특히 학습장애는 IDEA에 유일하게 판별절차가 기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별과정에 대한 논란이 가장 많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학습장애 판별에 관한 수정사항에 따라 지능-성취 불일치 개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항과 함께 학습장애 판별의 한 대안으로서 중재반응모델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대부분의 주들이 현재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절차에서 RTI를 사용하고 있다. RTI 기본 취지나 원리들은 좋은 것으로 보이며 시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충족되어 잘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하다는 평가가 내려지고 있는가 하면 실제로 RTI가 효과적이라는 연구보고도 있다. 한편 한국은 한 번도 적용된 적은 없지만 2005년에 이 개념이 소개된 이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런 시점에서 미국 여러 주에서 RTI를 통해 실제로 학습장애 판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몇 주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습장애 판별 절차를, 적격성 결정에서 사용하는 절차, RTI 단계 및 실시과정, 평가 및 진전도 모니터링, 행동관찰, 부모참여, SLD 적격성 판별 기준 등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RTI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RTI를 적용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판별할 때 해결되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개념, 분류 및 진단평가 방법 고찰

        정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ceptual issues and classification of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its comorbidity with other similar disabilities, and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this disabilities. Locating consistent, reliable information about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is a challeng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because it has not yet to be clearly defined and accepted by many educators and other professionals as a distinct disorder. So conceptual issues of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is believed by some to be a neuro-psychological disability. Although it has been studied for the past 30 years, it has not yet been included as a Diagnostic and Statistic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ion(DSM-IV TR). The diagnostic criteria of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is introduced, which is suggested by Rourke. The formal diagnosis of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is generally made according to categories defined by Rourke, but there is enormous variation even among those who match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to a tee. We have faced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future, such as conceptual issues, classification method, developing tests and standard procedure for diagnosing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이 논문에서는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개념과 유형, 분류 및 진단평가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연구가 미흡하여 미국의 연구와 실제 사례를 중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와 교육의 실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으며, 선행 연구들의 검토와 분석을 통해 정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이슈로는 학문적으로 연구된 비언어성 학습장애가 법적으로 규정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른 장애로 진단될 소지가 높고, 조기진단과 중재에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분류적 측면에서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위치가 논의되었다. 학습장애의 분류는 학문적으로 연구가 되어 왔으나 법적으로는 명확히 규정되지 않고 있다. 학습장애의 분류는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주로 제안된 2분법적 접근을 벗어나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대안으로 메트릭스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셋째,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유사장애의 공존성과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이 절에서는 언어성 학습장애와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강점과 약점 영역에서 각각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속성은 두 장애를 변별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가 됨을 지적하였다. 넷째,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진단평가와 관련하여 평가 지표와 평가 준거를 고찰하였고, 영역별 진단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검사도구들을 살펴보고자 미네소타 주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비언어성 학습장애에 대한 개념, 분류 및 진단평가 방법과 관련한 연구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고찰

        정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05 학습장애연구 Vol.2 No.2

        학습장애의 개념적 혼란이나 진단 평가상의 어려움으로 이 장애를 지닌 학생들은 교육의 사각지대로 밀려나고 있어 이들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현재 특수교육진흥법에 규정된 진단기준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습장애는 학습과 장애를 단순히 결합한 도식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학습장애의 개념은 보편성, 특수성, 상대성의 관점에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습장애가 법적으로 하나의 범주로 자리 잡고 그 개념과 분류를 명확히 한 일부 국가에서도 그 실제는 경제적 및 정치적 논리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우리는 먼저 학습장애가 무엇이며, 어떠한 유형들이 있는지를 본질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근거를 학문적 차원에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선행연구를 분석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구성요소와 분류 유형의 타당성을 문제를 검토하고 대안적 정의와 분류 유형을 제시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우리의 문화와 풍토에 맞는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 체제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