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Holistic View of Cosmetic Science

        Yinmao Dong,Xianrong Qiu,Hong Meng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1

        목적: 화장품피부과학은 독립적인 학문이면서 생명과학, 화학, 포장설계 등 20개이상 분야를 포함한 종합적인 학 문이다. 화장품피부과학은 초기 간단한 피부조직에서부터 시작하였으나 피부가 시상 하부- 뇌하수체- 부신간의 내분비조절작용을 한다고 인식됨에 따라 피부는 내분비 신호전달의 대상기관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피부과학은 피부의 매크로 이해로부터 현재의 피부미생물과 같은 마이크로 단계의 이해로 발전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피부 의 전체론을 제시해서 피부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방법: 고금중외 모든 국가의 형성과 전체론의 계기로 화장품과학전체론 및 화장품학과 연관된 학과 특히 피부과학 의 발전과정을 설명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피부과학의 발전과정을 총 정리하고 전반적인 관점을 설립하여 각종피부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결론: 화장품과학의 전체론은 화장품과학 발전의 필연적인 추세로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Cosmetics science has become an independent and comprehensive science with over 20 disciplines, including life science, chemistry, packaging design. In the cosmetic skin science, there were early simple skin histology, and were the understanding of the hypothalamus pituitary adrenal axis in skin, that the skin becomes the target organ of various endocrine signaling. There were early the macro understanding of the skin, and now the micro understanding of the skin, such as skin microbial community and so on. Therefore,this paper put forward a holistic view to solve skin problems. Methods: Inspired from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holism at all times and in all countries, we expounded the development history of cosmetic science and cosmetics related disciplines, especially dermatology. Results: This summarized the development of dermatology and established a holistic view to remove various skin problems. Conclusion: The holistic view of cosmetic science will become an inevitable trend i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science.

      • KCI등재후보

        피부 유‧수분 상태가 피부 착색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금란,김주섭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1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며 인체의 가장 넓은 면적(1.5-2㎡)의 기관으로 환경 및 이물질에 대한 방어, 항상성조절, 항온조절, Vit D 생산, 재생, 분비 및 배출 기능을 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 층으로 구성되며, 외부 유해물질의 침입을 방어하는 1차 방어벽인 각질층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43%), 지방산(free fatty acid 15%), 왁스(wax 23%), 스쿠알렌(squalene 15%), 콜레스테롤(cholesterol 4%)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cholesteryl ester), 아주 미미한 양의 인지질과 당지질을 함유하여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한다. 건강한 피부는 피부의 각질화, 각질의 탈락, 수분의 상실, 피지와 땀의 분비 등 피부의 여러 생물학적 과정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연령, 성별, 건강상태, 스트레스, 식습관,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낸다. 피부 상태의 변화는 전체 피부톤, 피지(유분의 량), 수분의 량, 피부 pH, 색소침착, 중화능 등을 들을 수 있으며, 특히 기미, 주근깨, 흑자, 간반 등의 색소침착은 30-50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피부 이상 상태(장유신, 1982)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각질층의 유‧수분 상태(유분-피지, 수분-보습인자)가 피부에 미치는 색소침착에 대하여 피부 착색지수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 on the healthy skin. The skin is located most in the quoin of the human body and is an agency of the area (1.5-2㎡) which the human body is widest organ and defensively, homeostasis control, constant temperature control, vit D productive, remaking, secretion and exhaust function about environment and the foreign body. The skin composed of epidermis, dermis and subqutaneous, the horny layer which is a primary shield which defends the infiltration of the body; the glycolipid to contain and maintains the skin condition which is healthy the stamp which triglyceride 43%, free fatty acid 15%, the wax 23%, squalene 15%, the cholesterol 4% and cholesteryl ester. The skin which is healthy loss of falling off and the moisture of the keratinocyte , sebume and sweet secretion etc, the various living thing processes which skin condition balances. Age, sex distinction, health condition, stress, eating habits and ultraviolet, change of skin condition whole skin ton and quantity, skin ph of sebume and the moisture (type of minute quantity), pigmenta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listening neutralization royal tomb etc. In condition (Jang, you-sien, 1982) of above the skin where hesitation, freckle, chloasma and stain, the pigmentation appears specially plentifully in 30-50 women is investigat. In this study, a convenient measuring tool, LaPROPE was used to measure the sebum and the moisture in the skin. Firstly, a verification test was firstly performed for validating LaPROPE. From the measurement value that obtained through Sebumeter and LaPROPE, it was found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r=0.9). Based on this result, all measurements in this study were made using LaPROPE.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d that the skin sebum and moisture mea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o age and SPI. The mean value of skin sebum and moisture mean was 7.61 for 30 age group, 7.65 for 40 age group, 6.40 for 50 age group. The value of moisture reduced significantly for the older than 50 age group.

      • KCI등재후보

        피부미용실에서의 피부미용기기 사용 실태 연구

        정보연,김은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Beauty as a lot of social awareness and the system has achieved a leap forward for the development of many different kinds of constraint points. As representative of the skin can limit the use of equipment, equipment used to determine the international Olympics, an international feature 'beauty therapy' in the skin, allowing the device at a beauty parlor and domestic uses to identify devices, skin, beauty director of domestic institutional wish to allow the device was trying to represent the empirical. The device holds the current status in the skin, skin, beauty salon,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high-frequency ultrasound and appeared, allowing the skin salon in the desired frequency and ultrasonic devices, the most highly seoksyeongi said. Peak of the recession-stricken body for the development of skin miyongeop byutisaneop competitiveness in the power of writing with the realities of government policy and specific skin care and cosmetic research equipment for the use of actual conditions were analyzed. 피부미용이 많은 사회적 인지도와 제도로써의 도약을 이루었다고 하나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제약점이 많다. 대표적으로 피부미용기기의 사용 제한을 들 수 있는데, 국제적 기기 사용을 알 수 있는 국제 기능올림픽 ‘뷰티테라피’에서 허용한 기기들과 국내 피부미용실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을 파악하고, 국내 피부미용실 원장들이 제도적으로 희망하는 허용기기를 실증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현재 피부미용실의 기기보유 현황에서 피부미용실의 소재지에 상관없이 고주파와 초음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미용실에서 희망하는 허용기기는 고주파와 초음파, 석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문에서는 불황의 파고에 허덕이는 피부미용업의 발전을 위해 뷰티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힘을 쓰는 정부의 정책적 배려와 함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피부미용기기의 사용을 위한 실태연구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글리콜산 필링후 건성 및 지성 피부의 유분, 수분과 피부 탄력도 평가

        공희경,황인철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3

        A glycolic acid peel is the typical one of chemical peels used to improve and smooth the texture of the facial skin using a chemical solution such as natural fruit acids. Glycolic acid is one of alpha hydroxy acids(AHAs) to remove old, dead, and sun-damaged surface skin cells, and promote healthier and softer sk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ion the improvement effects in skin moisture, sebum(oiliness) and elasticity for dry and oily skin types after glycolic acid treatment. The 20 young ladies of 21.0±5.2 years old were assigned to two group according to their dry or oily skin types. And then skin moisture, sebum and elasticity in T-zone(forehead) and U-zone(cheek) using a non-invasive measuring method were measured after a glycolic acid peel treatment a week for 4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ebum content of T- and U-zone in dry ski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increasing glycolic acid peel treatments, while in oily skin group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2. The moisture content of T- and U-zone in dry skin and of U-zone in oily skin group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glycolic acid peel treatments. But the moisture content of T-zon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peated chemical peel treatments (p>0.05). 3. The elasticity content of T-zone and U-zone in dry skin group and of T-zone in oily skin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repeated chemical peel treatments. But the elasticity content of U-zone in oily skin group did not show according to repeated chemical peel treatments (p>0.05). 에스테틱 필링은 진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주기적으로 각질을 탈락 시켜줌으로써 피부 재생과 점차적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광범위하게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화학적 필링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글리콜산을 건성과 지성피부에 각각 4주간 적용하여 피부 유분, 수분, 탄력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상은 20대 여대생(평균 연령 21±5.2세)으로 건성과 지성피부 각각 10명씩 총 20명으로 하였고, 주 1회 간격으로 총 4회 글리콜산 필링 관리를 하였으며, 관리중의 피부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필링전, 2, 4회 필링후에 안면 피부 상태를 측정하였다. 글리콜산 필링후 유분량은 건성피부에서는 T존과 U존 모두 관리횟수가 증가하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지성피부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수분량은 건성피부에서는 T존과 U존 모두 관리횟수가 증가하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지성피부에서는 T존은 관리횟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U존은 관리횟수가 증가하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탄력도는 건성피부에서는 T존과 U존 모두 관리횟수가 증가하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지성피부에서는 T존은 관리횟수가 증가하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U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글리콜산 필링은 건성피부의 T존과 U존의 유분 증가, 수분 증가, 탄력 증가에 효과적이고, 지성피부의 유분 감소, U존의 수분 증가, T존의 탄력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천연비누가 성인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황완균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3

        본 연구는 현대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세안제가 여성의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세안제만을 사용해온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식물성 천연원료로 제작된 천연비누를 대체 세안제로 사용했을 경우 성인 여성의 얼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연구 하였다.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설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세안제의 사용성에 대한 조사결과 대상자중 20대와 30대 주요 사용 연령층으로 나타났으며 피부유형으로는 수분 부족형 지성피부와, 건성피부 형태로 대체로 수분이 부족한 여성이 대부분이었으며, 사용 중인 세안제로는 합성세안제의 사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자의 얼굴 중 이마와 볼 부위의 수분・유분・탄력도에 대한 5주간의 실험 결과로는 이마부위에서 수분의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도에서는 천연비누 적용전에 비해 꾸준하게 향상되어 4주와 5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볼 부위의 수분과 유분은 실험4, 5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도는 천연비누 적용전과 비교하여 꾸준하게 향상되어 4주와 5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 후 천연비누와 합성세안제의 비교 설문 조사에서 거품상태 및 세정효과 면에서 합성 세안제 보다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합성세안제보다 천연비누의 사용감이 양호 하다고 응답 하였다. 또한, 천연비누에 대한 재사용 여부 및 합성세안제와 비교한 종합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대체로 천연비누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을 볼 수 있었다. 개선된 피부상태로는 건조함과 당김이 개선되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이 나타나 기존에 사용하던 세안제가 합성세안제임을 미루어 볼 때 천연비누 사용에 따른 유분량과 수분량의 증가와도 일치된 설문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피부의 수분량, 유분량, 탄력도는 안면 부위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변화도가 1주부터 점차 증가하고 4주경과 후 수분과 탄력도에서는 변화가 많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4주와 5주 사이의 변화량이 거의 없음으로 미루어 보아 피부 각화주기와의 상관관계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실험결과 유분량의 변화에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피부의 특성상 유분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합성세안제를 사용해온 피부상태보다 천연비누를 적용했을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대상자의 주관적인 평가 역시 천연비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천연비누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대한 수분 및 탄력도의 증가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ial cleansing agents which were used everyday by modern women upon their skin, centering on adult women who had only used synthetic facial cleansing agents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ir using natural soap as an alternative ag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emographic features of study subjects and their use of facial cleansing agents, women in their 20s and 30s are major users of facial cleansing agents and their skin type is mostly a moisture insufficient fatty and dry skin type. And they use synthetic facial cleansing agents in general. Second, as for the results of five-week experiment on the moisture, fat, and elasticity in forehead and cheek, moisture in forehead is highly improved. And elasticity in forehead is gradually enhanced comparing to the time when natural soap is not used and the greatest elasticity in forehead is acquired in four or five weeks. Moisture and fat in cheek are highest in four or five weeks. And elasticity in cheek is gradually improved and also highest in four or five weeks when comparing to the time when natural soap is not applied. Third, after experiment,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was carried out on the comparison of natural soap and synthetic cleansing agents. They respond that natural soap is better in foam generation and cleansing effect than synthetic cleansing agents. As for the reuse intention of natural soap and comprehensive comparison of it with synthetic cleansing agents, most of them feel satisfied with their use of natural soap. As for the improvement of skin, most of them mention the improvement of dryness and tightness as a positive result of using natural soap. This finding is in accord with natural soap's enhancement of fat and moisture amount. Although the extent of improvement of moisture, fat and elasticity is varied by facial regions, the changes of moisture and elasticity start in a week and reach its greatest extent in four weeks. And there is nearly no change between four weeks and five weeks. This result reminds us of its correlation with the keratosis cycle of skin.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피부미용교육에 따른 학생 만족도 연구 -피부미용전공 여대생 중심으로-

        박경선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ing the skin beauty in the regions of Seoul, Gyeonggi region, Chungcheong region, Gyeongsang region, and Daejeon region on the professors,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beauty ar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pondent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were quite satisfied and the satisfaction on skill changes as well as th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showed a level above standard. Gyeonggi region showed the lowest rate in such overall satisfaction level, whereas Gyeongsang region relatively showed the highest 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of the skin beauty education, the satisfaction level was quite positive. Particularly,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diversity of the courses was the highest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n the curriculum differed as per each region. Similar to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pattern, the satisfaction level in Gyeonggi region was the lowest,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in Gyeongsang region was relatively the high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materials being held in the lab as one of the education environments of the skin beauty course,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normal which is a bit lower than the rate regarding the curriculum. With the specific categories such as the volume of the materials being held in the lab as well as the quantity and size of the lab, the satisfaction level was considerably high.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on the materials being held in the lab differed as per each region and Gyeonggi region showed the lowest rate again while the Gyeongsang region showed the highest rate aga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beauty products as one of the education environments of the skin beauty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normal and this rate was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o the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and the materials being held in the lab. Looking at the specific categories of the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on the volume of the beauty products was relatively high.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differed as per each region and Seoul scored the least while Gyeongsang region scored the mo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the professors for the skin beauty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somewhat okay and this rate came out to be the highest in comparison to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integrity of the professors scored the most out of the specific categories.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n the professors differed as per each region and Gyeonggi region scored the least, whereas the Gyeongsang region relatively scored the most. Lastl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per each phase of the skin beauty education is having 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professors was found out to be the greatest factor influencing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most. In accordance, it ca be stated that the increase in the satisfaction on the professors is most likely to have impact in increasing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경기지역, 충청지역, 경상지역, 대전지역의 전문대학 피부미용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부미용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및 교과과정, 교육환경, 교수진에 대한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피부미용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어느 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변화된 실력에 대한 만족도, 추천 의향도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반적 만족도 수준은 경기지역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반면 경상지역의 만족도는 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피부미용교육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피부미용교육 교과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느 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공과목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과과정 전반적 만족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경기지역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반면 경상지역의 만족도는 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피부미용교육 교육환경 중 실습실 기자재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피부미용교육 실습실 기자재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교과과정보다 낮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 중 실습실 기자재 보유량과 실습실의 수 및 규모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실 기자재 전반적 만족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경기지역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반면 경상지역의 만족도는 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피부미용교육 교육환경 중 미용제품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피부미용교육 미용제품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며, 교과과정 및 실습실 기자재에 대한 만족도 대비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별 만족도 수준을 살펴보면, 미용제품 보유량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으며, 미용제품 전반적 만족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서울지역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반면 경상지 역의 만족도는 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피부미용교육 교수진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피부미용교육 교수진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약간 만족하는 수준이며, 교과과정, 교육환경에 비해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 중 교수 성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교수진 전반적 만족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경기지역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반면 경상지역의 만족도는 타 지역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피부미용교육 차원별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한 결과, 교수진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진에 대한 만족도 향상이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피부 광노화의 중의학적 메커니즘에 관한 탐구

        오경동,김효철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1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9 No.4

        인체 피부는 매일 자외선에 노출되고 있다. 장시간 자외선의 노출은 밖으로 드러난 신체 부위의 피부 광노화를 일으킨다. 피부 광노화 현상은 중의학적 메커니즘과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자외선의 파장, 조사 시간, 조사량 및 생리, 병리적, 직업은 광노화의 중요한 환경적 요인으로 비록 피부에만 나타나고 있지만, 병인(病因)은 체내의 음양실조(陰陽失調), 기혈진액(氣血津液)의 비정상적인 운행과 장부(臟腑)의 기능 활동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의학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유전적 요인 혹은 건강하지 못한 피부가 외부로부터 자외선에 노출되면, 정허사실(正虛邪實)을 바탕으로 한 병리 변화가 발생한다. 정기의 허증(正虛)이라 함은 기혈휴허(氣血亏虛), 폐기부족(肺氣不足), 비신양허(脾腎兩虛)를 포함하고 있고, 사기의 실증(邪實)은 담탁(痰濁), 어혈(瘀血)을 위주로 한다. 그로 인해 장기간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주지 못하면, 광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피부 자외선으로 인한 손상 및 노화를 예방, 보호하고 심지어 피부암에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현대의학은 피부 광노화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미 심도 있게 연구해왔다. 하지만 현재 광노화의 발병 기전(病機)에 대해 중의학적 이론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고대 의학서적 연구와 임상을 접목시키고, 중의학적 이론 근거를 더욱 완전하게 다지기 위하여, 피부 광노화에 대한 중의학적 병인(病因), 병기(病機)에 대해 탐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피부유형에 따른 딥클린저의 각질제거 효과 비교

        윤영한,심아름,김래경,김보란,남궁현,김기영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Few years ago, peeling is useful procedure for cosmetic improvement of skin such as remove dead surface cells from the stratum corneum or for treatment of some skin disorders. So that, the aim of this study is effect of keratolysis and content of moisture and sebum in dry skin and oily skin by treatment of three different deep cleanser. 18 volunteers (6 men and 12 women) were divided to 2 groups such as dry skin and oily skin, and face of volunteers were treated with biological (enzyme)-, physical (scrub)-, and chemical (15% glycolic acid)-deep cleanser in 2 weeks. Content of sebum, moisture and kerati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cleansing and deep cleansing on face by using of skin diagnostic instrument. In the result, the highest decreasing of sebum content was shown in treatment of chemical deep cleanser (25.4%) in dry skin and physical deep cleanser (59.9%) in oily skin. The highest decreasing of moisture content was revealed in dry and oily skin after chemical deep cleansing(40.2%, 46.8%). Decrease percentage of keratin is as a remove superfical keratin that was the highest value in dry skin by treatment of physical deep cleanser (17.9%) and in oily skin by chemical deep cleanser(38.8%). And the best effect of surface keratin remove was revealed in dry skin and oily skin by treatment of physical and chemical deep cleanser in observation of skin analysis instrument. Thereby, melanin depigmentation was appeared in oily skin after using of chemical deep cleanser. In conclusion, biological deep cleanser may be used better for dry oily skin, physical deep cleanser for dry skin and chemical deep cleanser for oily skin and/or acne skin with white- and black head acne. 필링제는 의학분야를 넘어서 미용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피의 손상과 피부 화상을 유도하는 의학적 필링제가 아닌 미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딥클린저(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20대 남성 6명과 여성 12명의 동의를 얻어 건성피부와 지성피부로 구분하고 일주일에 1회씩 2주간 시술하여 피부진단기로 유·수분의 변화와 각질량의 변화를 분석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유분량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건성피부에서 화학적 딥클린저가 25.4%, 지성피부에서 물리적 딥클린저가 59.9%이었다. 수분량의 변화는 화학적 딥클린저가 건성피부에서 40.2%, 지성피부에서 46.8%가 감소하였다. 각질량은 건성피부에서 물리적 딥클린저가 17.9%이었고, 지성피부에서 화학적 필링제가 38.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20배의 배율에서 건성피부와 지성피부를 관찰했을 때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 딥클린저는 각질 제거와 함께 모공 주위가 깨끗해지고, 흑면포가 많이 제거되었으며, 두 딥클린저 사이에는 효과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생물학적 딥클린저는 유․수분량 그리고 각질량의 감소가 다른 두가지 딥클린저 보다 낮았고, 육안적 확인에서도 각질제거 효과가 가장 약했다. 따라서 화학적 딥클린저는 유․수분과 각질량의 감소 폭이 크기 때문에 여드름, 백면포와 흑면포가 많은 지성피부에 효과가 좋고, 생물학적 딥클린저는 유분 감소가 다른 딥클린저보다 낮기 때문에 지건성 피부 그리고 물리적 딥클린저는 수분 감소와 각질 감소가 화학적 딥클린저 보다 낮기 때문에 수분이 부족한 건성피부에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현행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 및 시험에 대한 피부미용사의 만족도

        최성미,김은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problems and the resolution on Skin Care Therapy Certificate system by reflecting opinions of Skin Care Therapist. To do this, it analyzes the status of acquisition of Skin Care Therapy Certificate by job position and investigates skin care therapist satisfaction on the certificate system. A survey was performed on 217 subjects of skin care therapist and skin care business own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For statistics, SPSS 12.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With related to the matters to improve current examination system for Skin Care Therapy Certificate,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Regarding the subjects to be add to the written test, for employees, 'Obesity Management' and 'Beauty Service' are 19.0% and 18.2%, respectively; for employers, 'Beauty Management' and Beauty Service are 19.6% and 15.7%, respectively. Subjects to be add to the practical test are: for employees, 'no necessity to add' and 'Appliance Management' are 18.6% and 11.5%, respectively; for employers, 'Appliance Management' and 'Meridian Pathways Management' are 26.4% and 24.5%, respectively. The interest of appliance management was shown high in both higher position and lower position of the skin care jobs. 현행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 및 시험에 대한 피부미용사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국가자격증의 취득현황을 살펴보고자 경영자와 피부미용사 그룹으로 나눠 각각 200부씩 설문지를 전국에 배포하고 이중 217부를 SPSS WIN12.0으로 최종 분석 하였다. 자격시험의 필기시험에 추가할 교과목은 피부미용 종사자의 경우 ‛비만관리학’ 19.0%, ‛미용서비스학’ 18.2% 순서로 나타났으며, 경영자의 경우 ‛미용경영학’ 19.6%, ‘미용서비스학’ 15.7% 순서로 나타나 실무분야와 경영관리분야로 선호경향이 나뉘었다. 실기시험에 추가할 교과목은 피부미용 종사자의 경우 ‘추가할 필요 없다’ 18.6%, ‘기기관리’ 11.5% 나타났으며, 경영자의 경우 ‘기기관리’ 26.4%, ‘경락관리’ 24.5%로 나타났다. 직급과 관계없이 기기관리에 대한 호응이 공통적으로 높았으며 현 자격시험 제도를 바라보는 직급별 만족도는 피부미용 종사자 2.89, 경영자 3.30으로 경영자의 평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 KCI등재후보

        세안화장품 사용에 따른 20대 여대생의 피부상태 연구

        임선형,곽선순,김애경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4

        This study analyzed skin conditions by cleanser types and investigated subjective satisfaction following each test in order to see the effects of cleansers applied at the cleansing stage deciding effectiveness of general skin care on the ski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28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ho were now found to have no skin disease, no acne, no edematous skin disease, and no dermatitis by inquiries and ocular inspec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of measuring skin conditions accurately by cleanser types, they were asked to use the same blemish balm cream by Company A and compressed foundation by Company P as before the test. As for methodology, all of the 28 participants were asked to use the selected four types, such as cleansing lotion, cleansing oil,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which needed no double cleansing, and then moisture, oil, pH, and the moisture evaporation rate in the skin were examined by using MPA5 580. Moisture and oil was highest with cleansing oil and lowest with cleaning water. pH was highest with cleansing gel and lowest with cleansing water. The moisture evaporation rate was highest with cleansing lotion and lowest with cleansing water, which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leansing oil containing much oil is good for dry and aged skin, while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containing little oil are good for oily and acne-prone skin. This is identical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selection of a cleanser must depend on skin types. 본 연구는 피부미용에서 전체 피부관리의 효과를 좌우하는 세안단계에 사용되어지는 클렌저를 20대 여대생에게 사용한 후 피부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클렌저제형별에 따른 피부상태를 분석하였으며 매 실험 후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중 현재 피부질환이 있거나 여드름이 있는 경우, 그리고 수종 피부질환이나 피부염증을 갖고 있는 사람은 문진과 시진으로 제외한 지원자 28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클렌저제형에 따른 피부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실험 전 동일한 A사 Blemish Balm크림과 P사 압축 파운데이션을 사용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O/W 형태의 4가지 세안제인 클렌징로션, 클렌징오일, 클렌징워터, 클렌징젤을 선정하여 피부의 수분, 유분, pH, 수분증발량을 MPA5 58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 전 자신에게 맞는 세안제 선택과 실험 후 만족하는 세안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분과 유분은 ‘클렌징오일’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클렌징워터’ 가장 낮게 나타났다. pH는 ‘클렌징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클렌징워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증발량은 ‘클렌징로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클렌징워터’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이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유분이 높은 ‘클렌징오일’은 ‘건성피부’, ‘노화피부’에 효과가 있으며, 유분이 적은 ‘클렌징워터’, ‘클렌징젤’은 ‘지성피부’, ‘여드름피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여대생은 세안용화장품으로 ‘클렌징로션’을 자신에게 맞는 세안제로 생각하였지만 실험 후 만족도 결과 ‘클렌징젤’을 가장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효과적인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올바른 세안습관과 피부유형에 따른 효과 있는 세안화장품 선택을 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