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약용패류

        정평림,박갑만,정영헌,용태순,임경일,소진탁 한국패류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6 No.1·2

        동양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패류는 육상 복족류 2과 5종, 담수 복족류 1과 2종, 해산 복족류 5과 23종, 담수 이매패류 3과 9종, 해산 이매패류 5과 24종 등 총 16과 63종이 약용패류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 중 한국산 약용패류는 담수 복족류 1종, 담수 이매패류 4종. 해산 복족류 7종, 해산 이매패류 10종 등 총 22종이 포함되었다. 앞으로 한국산 약용 연체동물 22종은 종 다양성 유지 및 그 보존적 차원에서 특별히 관리,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olluscan drug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mainly in China, Hong Kong, Japan, Taiwan and Korea. Medicinal mollusks commonly used in the Far Eastern countries including Kore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ough a search of old and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s. A total of 63 medicinal species were listed: 5 species of two families in land snails, 2 species of one family in freshwater gastropods, 9 species of three families in freshwater bivalves, 23 species of five families in marine gastropods, and 24 species of five families in marine bivalves. Of 63 species searched, 22 species are occurring in Korea: 1 species of one family in freshwater gastropods, 4 species of three families in freshwater bivalves, 7 species of four families in marine gastropods, and 10 species of four families in marine bivalves. At least, medicinal mollusks occurring in Korea should be conserved preferentially to keep our natural resources and biodiversity.

      • KCI등재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박갑만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1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연구·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o determine the status of Korean molluscs infection and relation with climate change of Korean peninsula, references were reviewed. Wild animals serve as intermediate, reservoirs and paratenic hosts to zoonotic parasites of human beings. Trematode are common parasites of molluscs and almost all trematodes infect mollusks as the first host in the life cycle, and most have a complex life cycle involving other hosts. The significance of auxiliary hosts to the ecology of the parasite has not been proper discussion. There is increasing concern as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epidermiology of many parasitic diseases. A total of 21 species for snail transmitted parasites from Korean molluscs has been reviewed. Among them, 15 species was aquatic mollusks and 6 species for marine mollusks. Maximum infections belonged to Semisulcospira livertina had 11 kind of parasite pathogenic organisms, including Paragonimus westermani, Metagonimus yokogawai, Centrocestus armatus, Notocotylus magniovatus, Centrocestus formosanus, incerte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Yoshidae cercaria, cristata cercaria, innominatum cercaria and Metagonimus sp. And 11 in Parafossarulus manchouricus including Clonorchis sinensis, Asymphylodora japonica, Cyathocotyle orientalis, Exorchis oviformis, Notocotylus attenuatus, Echinochasmus japonicus, Loxogenes liberum, Cercariae of Loxogenes liberum Type I, Cercariae of Loxogenes liberum Type II, Furcocercus cercariae (Family Sanguincolidae) and Cercaria of Mucobucaris, 10 in Semisulcospira sp. including Paragonimus westermani, Metagonimus yokogawai, Centrocestus armatus, Echinochasmus redioduplicatus, Notocotylus magniovatus, Cercaria incerte,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yoshidae, paludinarum cercaria and Metagonimus sp., 7 in Koreanomelania globus including Pseudexorchis major, Cercaria of parapleurolophocercous type, Metagonimus sp. (A & B),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inserta and Cercaria yoshidae. Also, Tapes philippinarum have 3 pathogenic organisms including Cercariae tapidis, Cercariae furcocercus and Parvatrema sp. In particular, under climatic extremes such as floods and drought, aquatic molluscs may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parasite transmiss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산 및 일본산 굴, Crassostrea gigas 종패의 성장비교

        정우건,조상만,문수경,정보영 한국패류학회 200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7 No.1

        일본산에서 이식한 종패의 성장과 한국산 굴의 성장을 조사하고자 199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경상남도 통영시 북만해역에 두 종패를 수하하여 패각 및 육성장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표층 11.2-27.8$^{\circ}C$ (평균 19.84 $\pm$ 5.47$^{\circ}C$), 저층11.1-23.6$^{\circ}C$ (18.31 $\pm$ 4.18$^{\circ}C$) 였고, 염분은 표층 31.45-34.57 (평균 33.10 $\pm$ 1.16), 저층 31.69-34.35 (평균 33.24$\pm$ 1.06) 이었으며, 월별로는 9, 10월이 가장 낮았고, 12월이 가장 높았다. 클로로필은 1.66-2.67 mg/㎥ (평균 2.01 $\pm$0.36 mg/m$^3$) 의 범위였으며, 11월이 1.66 mg/$^3$으로 가장 낮았다. 패각 성장은 일본산이 한국산 보다 월등히 높은 성장량을 나타내어 12월 수확시 한국산은 70.3 $\pm$ 12.5 mm, 일본산은 96.2 $\pm$ 14.6 mm였다. 6-7월간의 성장이 가장 빨랐고, 한국산은 10월 이후 패각성장이 둔화된 반면, 일본산은 11월 이후 다시 급격한 성장을 하였다. 육중량은 9월까지 한국산과 일본산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9월 이후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2월 수확시한국산 4.6 $\pm$ 1.9 g, 일본산 7.5 $\pm$ 2.9 g으로 일본산의 육성장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일본산은 11월에 8.1 $\pm$ 3.0 g으로 가장 높은 육중량을 나타내었다가 12월에 다시 감소하였는데, 이는 먹이량에 의한 양식장의 수용력에 의해 조절된 것 같다(정, 1998). 한국산은 산란 후 회복이 느려 10월까지 비만도가 감소한 반면, 일본산은 9월부터 다소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이후 급증하였고, 11-12월에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12월 수확시 비만도를 보면, 한국산은 12.8, 일본산은 15.3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일본에서 이식한 종패의 성장이 모든면에서 한국산보다 우수하였다. 북만에 수하 양성한 한국산 및 일본산 굴 종패의 각고-각장 상관식은 아래와 같다. Korean oysters: S$_{h}$ = 2.922St - 4.8024 ($r^2$= 0.8541) Japanese oysters: S$_{h}$ = 3.623St - 5.1239 ($r^2$= 0.7782) Bae et al. (1976)과 Lee et al. (1992)이 보고한 한국산 종패의 각고-각장 상관식과는 기울기 차이가 현저하여 각고의 길이가 늘어나 일본산 종패 이식이후 한국산 굴의 형태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he growth of transplanted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we sampled Korean and Japanese oysters attached in Chinhae Bay near Gaduk Island and in Seto inland sea in Japan, respectively, suspended in Pukman Bay.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1.2 to 27.8$^{\circ}C$ (mean 19.84 ${\pm}$ 5.47$^{\circ}C$) on the surface, and 11.1 to 23.6$^{\circ}C$ (mean 18.31 ${\pm}$ 4.18$^{\circ}C$) on the bottom. Salinity ranged from 31.45 to 34.57 (mean 33.10 ${\pm}$ 1.16) on the surface, and from 31.69 to 34.35 (mean 33.24 ${\pm}$ 1.06) on the bottom. salinity was the lowest in September and October, and the highest in December. Growth of oysters in shell heigh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being suspended at the farm, reaching 70.3 ${\pm}$ 12.5 mm in the Korean oysters and 96.2 ${\pm}$ 14.6 mm in the Japanese oysters in December. While the Korean oysters showed relatively low growth rate and cessation of growth after sudden growth between June and July, the Japanese oysters showed continuous growth during the whole farming period, although stepwise growth was observed. It was not until September that meat weigh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fter September, there was a sudden increase in the Japanese oysters, reaching 7.5 ${\pm}$ 2.9 g in December, but growth of the Korean oysters showed slow growth rate during whole farming period, reaching 4.6 ${\pm}$ 1.9 g in December. here was an obvious decrease in the meat weight of Japanese oysters in December,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restriction of food. Condition factors rebounded in October in the Korean oysters and in September in the Japanese oysters, respectively, attaining 12.8 in the Korean oysters and 15.3 in the Japanese oysters at the end of investigation on December. Shell length-height regression equations were as follows: Korean oysters: S$\sub$h/=2.922S$\sub$t/,-4.8024 (r$^2$= 0.8541) Japanese oysters: S$\sub$t/=3.623S$\sub$h/,-5.1239 (r$^2$=0.7782) This showed the possibility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shell of the Korean oysters since shell height was longer than those reported by Bae et al. (1976) and Lee et al. (1992).

      • KCI등재

        해산 이매패류 패각의 CaCO<sub>3</sub> 결정 구조에 대한 X-ray 회절 분석

        남기웅,이승우,송재희,정희도,박경일,Nam, Ki-Woong,Lee, Seng-Woo,Song, Jae-Hee,Jeung, Hee-Do,Park, Kyung-Il 한국패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1 No.4

        본 연구는 해산 이매패 8종에 대해 패각 결정 (結晶)에 대한 분광학적 특성을 XRD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종간 근연관계에 대해 기존의 조사와 비교하였다. XRD분석을 수행한 결과, 바지락, 백합, 꼬막, 새조개의 패각은 $CaCO_3$의 orthorhombic 결정형인 aragonite였으며, 가리비와 굴의 패각은 trigonal-rhombohedral 결정형인 calcite였다. 담치와 키조개의 경우 aragonite와 calcite가 혼합된 결정으로 분석되었다. XRD를 이용하여 측정된 패각의 x-선 회절정보는 패류별 특이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과 (Family) 간 근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현재 알려진 분류체계를 잘 대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패각 결정 (結晶)에 대한 분광학적 특성은 조사된 패류의 과 (Family) 수준에서 특이성을 잘 나타내며, 향후 종수준의 연구를 통한 종 동정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소량의 패각을 이용하므로 미확인 소량 절편의 패류 종 파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shell crystals of eight marine bivalve species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moreover, the Family level relatedness of shellfish was investigated. In XRD analysis, the shells of Ruditapes philippinarum, Meretrix lusoria, Anadara granosa, and Fulvia mutica were found to have orthorhombic aragonite $CaCO_3$ crystals, while shells of Patinopecten yessoensis and Crassostrea gigas had trigonal-rhombohedral calcite crystals. The shells of Mytilus coruscus and Atrina pectinata were determined to have a mixture of aragonite and calcite crystals. XRD information revealed the Family level-specific characteristics of shellfish; the results agreed with the current taxonomic system. In conclusion,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shell crystals indicated Family-level characteristics of shellfish and suggested a more intense species-level investigation; this technology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shellfish species using small quantities of shells.

      • KCI등재

        유용 양식패류에 대한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와 벨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의 수온별 포식 특성

        강경호,김재민,오승택 한국패류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6 No.1·2

        유용 양식패류에 대한 아무르불가사리와 별불가사리의 수온별 포식특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각 수온별 불가사리의 활력 측정시간은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222.0$\pm$5.57초였고, 14$^{\circ}C$에서 64.3$\pm$5.51초로 회복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22$^{\circ}C$에서 214.7$\pm$6.11초, 26$^{\circ}C$에서는 418.7$\pm$7.09초로 고수온에서는 급격하게 활력이 떨어졌다. 그러나 별불가사리 경우는 22$^{\circ}C$에서 62.3$\pm$8.33초로 회복시간이 가장 짧아 활력이 가장 왕성하였고, 26$^{\circ}C$에서도 97.7$\pm$7.37초로 비교적 고수온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별 불가사리의 포식률 실험 결과, 수온구간별로 10일간 불가사리 1마리당 포식한 피조개의 마리수는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2.2$\pm$0.73마리, 1$0^{\circ}C$ 3.6$\pm$0.42마리, 14$^{\circ}C$ 7.2$\pm$1.32마리, 18$^{\circ}C$ 5.2$\pm$1.84마리, 22$\pm$ 3.4$\pm$0.44마리 그리고, 26$^{\circ}C$에서는 0.8$\pm$0.12마리 였다. 한편 별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1.6$\pm$0.22마리, 1$0^{\circ}C$ 2.0$\pm$0.48마리, 14$^{\circ}C$ 2.5$\pm$0.84마리, 18$^{\circ}C$ 3.0$\pm$ 0.84마리, 22$^{\circ}C$ 6.8$\pm$1.53마리 그리고, 26$^{\circ}C$에서는 3.9$\pm$0.84마리로 비교적 고수온에 강한 적응력을 보였다. 유용 양식패류 3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먹이선택성 실험결과,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피조개를 49.0$\pm$2.61%, 바지락 29.0$\pm$3.84% 그리고, 고막은 22.3$\pm$3.21% 포식하였고, 별불가사리의 경우 피조개를 46.5$\pm$6.62% 포식한 반면, 바지락과 고막 모두 26.5$\pm$2.45% 포식함으로써 두 종 모두 피조개에 대한 포식률이 가장 좋았다. Effect of predation of starfish Asterias amurensis and Asterina pectinifera under different water temperature in the recirculating seawater vessel was conducted at the invertebrate culture laboratory of Yosu National University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5, 2000. The highest activity of Asterias amurensis and Asterina pectinifera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was obtained at 14$\^{C}$ and 22$\^{C}$. The average individual numbers of Anadara broughtonii predated by Asterias amurensis and Asterina pectinifera were 2.20 and 1.60 at 6$\^{C}$ , 3.60 and 2.00 at 10$\^{C}$, 7.20 and 2.50 at 14$\^{C}$, 3.40 and 6.80 at 22$\^{C}$, 0.80 and 3.90 at 26$\^{C}$, respectively.

      • KCI등재

        경상북도 영일만에 분포하는 이매패류의 자원조사

        차병열,이채성,문태석,박미선,Cha, Byung-Yul,Lee, Chae-Sung,Moon, Tae-Seok,Park, Mi-Seon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2

        조사기간 동안 경상북도 영일만 내의 총 6개 정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피조개와 떡조개 2종 이었다. 패류의 총 채집개체수에서는 1,703마리, 총 생체량은 140.9 kg이었는데, 이중 떡조개가 개체수 1,198마리 (생체량 76.1 kg), 피조개가 개체수 505마리 (생체량 64.8 kg) 이었다. 채집된 주요 패류의 각장 범위는 떡조개가 25.76-67.88 mm (평균, 58.08 mm), 피조개가 46.82-113.74 mm (평균, 76.86 mm) 로서 성숙한 개체들이었다. 주요 패류의 해역별 채집량에 있어서는 항외지역이 개체수 1,332마리 (생체량 105.4 kg) 로 항내지역의 개체수 371마리 (생체량 35.5 kg) 보다 많았다. 또한, 패류의 크기에 있어서도 항외지역의 패류가 항내지역보다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해면적법 (SAM) 에 의한 영일만 내의 피조개 현존량은 242톤으로 산정되었으며, 어업인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피조개의 연 생산량은 17.93-95.53톤이었다. Bivalves collected by a dredge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in May, 2010 and August, 2010 were 2 species including Dostinorbis japonicus and Scapharca broughtonii. The total abundance of bivalves were 1,703 inds. and 140.9 kg. Among them, the abundance of D. japonicus were 1,198 inds. and 76.1 kg. And the abundance of S. broughtonii were 505 inds. and 64.8 kg. The shell length by bivalves species were 25.76-67.88 mm (mean, 58.08 mm) in D. japonicus and 46.82-113.74 mm (mean, 76.86 mm) in S. broughtonii consisting mainly of recruitment group. By regional abundance comparison, the bivalves abundance collected in the outside harbor was 1,332 inds. and 105.4 kg, which was much more than that of the inside harbor indicating 371 inds. and 35.5 kg. In terms of size, the bivalves collected in the outside harbor were 49.49-67.88 mm (mean, 58.47 mm) in D. japonicus and 48.21-113.74 mm (mean, 77.48 mm) in S. broughtonii, which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inside harbor. The yearly biomass of the main commercial target species, S. broughtonii by swept area method (SAM) was estimated up to 242.1 tons. However,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of bivalves between the inside harbor and the outside harbor by abundance and size comparison, it might have been overfished to bivalves in the inside harbor.

      • KCI등재

        Malacological Studies on Parafossarulus manchouricus(Gastropoda: Prosobranchia) in Korea

        정평임,Chung, Pyung-Rim 한국패류학회 198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 No.1

        Five different populations of Parafossarulus manchouricus (Chongpyung, Chinju and Kunsan, Korea; and Japan and Taiwan), a population of Bitbynia (Gabbia) misella (Gongju, Korea) and two different populations of Bithynta tentaculata (Michigan, U.S.A. and Bodensee, Germany) were compared in regard to eff-laying characteristics, morphology, chromosome cytology, natural infections of parasites and ecology of habitats. A satisfactory culture method was devised for laboratory rearing of the snails. Tropical fish food (Terra SML) and powdered green leaves (Ceralife) were used as the main food sources for the snails. Benthic diatoms such as Navicula and Gomphonema from the periphyton were also essential for satisfactory growth, especially for the baby snails. The aquaria were stabilized with small stones from a local stream. Young P. manchouricus snails grew to adult size in about 54 days after hatching. They laid eggs 150-156 days after hatching. The whole cycle (birth to egg-laying) took approximately 5 months. The three species of bithyniid snails are iteroparous and lay eggs once a year. There were no major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shells of genera or subgenera studied here. They did exhibit the following rather minor differences. The shell of Parafossarulus has spirally raised ridges, and its apex is usually eroded; the other two genera lack these characteristics. The shell of B. (Gabbia) misella is small, nor exceeding 7.5 mm in length, while the shells of the other two species are larger, being more than 10 mm in leng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f the protoconch of P. manchouricus reveals nearly smooth sculpture with small, low, spiral wrinkles. This sculp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ydrobiidae, a family to which the bithyniids are frequently assign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 radulae of the three bithyniid species showed that their radular morphologies are very similar, but there are some small differences, which may be species-specific. There were som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hell heights between the Korean and the other populations of P. manchouricus, and between this species and the other two bithyniids as well. The shell differences between the several populations of Korean P. manchouricus may be related to environment. Edtails of the chromosome cycle of these bithyniid snails a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or other snails. No specific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hromosome cycle between the various species and populations of snails employed in this study. Reporred for the first time in molluscs are two darkly stained "nucleolar organizers" during pachyterne stages of meiosis. Two different chromosome numbers were observed in the three bithyniid species: n=17 in B. tentaculata and P. manchouricus, and n=18 in B. (G.) misella. no sex chromosomes or supernumerary chromosomes were seen. There were no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karyotypes of three Korean strains of P. manchouricus. The infection rates of 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in Chinju and Kunsan strains of P. manchouricus were 0.14% and 1.25%, respectively. However, Clonorchis cercariae were found in Chongpyung strain of P. manchouriceu and Gongju strain of B. (G.) misella. The habitats of P. manchouricus around Jinyang Lake were relatively clean without any heavy pollution of aquatic microorganisms and organic materials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levels of dissolved oxygen (D.O.)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of the water specimens sampled from the study areas ranged from 6.0 to 9.6 ppm and from 0.4 to 1.6 ppm, respectively. Eight metalic constituents from the water samples were also assayed, and all metalic ions detercted were remarkably low below the legal criteria. However, calcium ion in the water samples from the habitats of P. manchouricu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s. 왜우렁(Parafossarulus manchouricus)은 우리 나라와 중국대륙(中國大陸), 일본(日本), 대만등지(臺灣等地)에 널리 만연(蔓延)되어 있는 간흡충증(肝吸蟲症)(clonorchiasis)의 원인기생충(原因寄生蟲)인 간흡충(肝吸蟲)(Clonorchis sinensis)의 제일중간숙주(第一中間宿主)로서 Bithyniidae 과(科)에 속(屬)하는 담수권패(淡水卷貝)의 일종(一種)이다. 우리나라의 청평(淸平), 진주(晋州), 군산(群山) 및 일본(日本), 대만등지(臺灣等地)에서 채집(採集)된 왜우렁과 공주지역(公州地域)에서 채집(採集)된 Bithynia(Gabbia) misella, 그리고 미국(美國)의 Michigan 호(湖)와 독일(獨逸)의 Bodensee 근역(近域)에서 채집(採集)된 Bithyniatentaculata를 대상(對象)으로 이들의 산난특성(産卵特性), 형태(形態), 세포학적(細胞學的) 특성(特性), 흡충류(吸蟲類)의 자연감염실태(自然感染實態)와 서식지(棲息地)의 생태등(生態等)을 상호비교관안(相互比較觀案)하여 주로 우리나라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왜우렁의 패류학적(貝類學的) 근거(根據)를 마련하고저 본(本) 연구(硏究)가 수행(遂行)되었다. 왜우렁의 배양(培養)에 있어 중요(重要)한 요소(要素)는 먹이로서 유패(幼貝)인 경우 Navicula나 Gomphonema와 같은 Benthic diatoms가 필수적(必須的)임을 알았고 알에서 부화(孵化)하여 성패(成貝)가 될 때까지는 54日, 그리고 산난(産卵)할때까지는 약(約) 150日이 소요(所要)됨을 알았다. 왜우렁뿐만 아니라 같은 Bithyniidae科에 속(屬)하는 B.(G.) misella나 B. tentaculata도 년(年) 1회(回) 산난(産卵)함을 보았다. 왜우렁의 패곡(貝穀)에는 나선형(螺線形) 육기(陸起)(spiral ridges)가 있음이 타종(他種)과 구별(區別)되는 점(點)이였고 B.(G.) misella의 성패(成貝)의 크기는 7.5mm를 초과하지 않았다. 왜우렁 유패(幼貝)의 주사전자현징경적(走査電子顯徵鏡的) 관내(觀奈)에서 나선형(螺線形) 주름만이 보였을 뿐이여서 Hydrobiidae科에 속(屬)하는 권원류(卷員類)와는 상이(相異)한 형태(形態)를 나타내었다. 왜우렁의 설치(舌齒)는 B. tentaculata와 비숫한 형태(形態)를 보였으나 B.(G.) misella는 cusps가 일반적으로 크고 날카로웠으며 비교(比較)된 삼종(三種) 모두의 치형(齒型)은 2:1:1:1:2이었다. 또한 한국산(韓國産) 왜우렁과 대만산(臺灣産) 왜우렁에 었어 곡고대곡구비(穀高對穀口比)가 서로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유의(有意)하게 상이(相異)한 것은 지역적환경(地域的環境)의 차리(差異)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왜우렁의 세포분열상(細胞分裂相)은 타종(他種)과 차리(差異)가 없었으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B. tentaculata와 마찬가지로 n=17이었고 B.(G.) misella는 n=18이었다. 왜우렁의 핵형(核型)은 지역간(地域間)에 그 차리(差異)를 볼 수 없었으며 성염색체(性染色體)는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왜우렁의 간흡충유충감염율(肝吸蟲幼蟲感染率)은 진주산(晋州産) 0.14%, 군산산(群山産) 1.25%이었으나 청평산(淸平産)에서는 0%였으며, 공주산(公州産) B.(G.) misella 亦是 자열감염(自熱感染)을 인정(認定)할 수 없어 간흡충(肝吸蟲)의 중간숙주(中間宿主)가 될 수 없음을 확인(確認)하였다. 왜우렁의 서식처(棲息處)는 수류(水流)가 완만(緩慢)하거나 정체(停滯)될 수계(水系)였으나 비교적(比較的) 오염(汚染)이 적고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이 높은 곳에 서식(棲息)하고 있있으며 서식처(棲息處)의 calcium ion양(量)이 타지역(他地域)보다 월등(越等)히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이매패류 3종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구성 및 활성도

        주선미,권오남,이정식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0 No.4

        Digestive enzymatic compositions and activiti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the three species of bivalv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ytilus galloprovincialis, Saxidomus purpuratus and Tegillarca granosa which were collected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on November 2010, were used for analysis. Amylase and cellulase occupied approximately 95% of digestive enzym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M. galloprovincialis, S. purpuratus and T. granosa. The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were 2.6 and 0.8 U/mg in M. galloprovincialis, 2.4 and 8.8 U/mg in S. purpuratus and 7.3 and 11.8 U/mg in T. granosa. And protease activiti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M. galloprovincialis, S. purpuratus and T. granosa showed the lowest values to 0.00019, 0.00028 and 0.00022 U/mg, respectively. 본 연구는 3종의 이매패류를 대상으로 소화맹낭의 소화효소구성 및 활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및 꼬막이며, 이들은 한국 남해안에서 2010년 11월에 채집하였다.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의소화맹낭을 구성하는 소화효소는 amylase와 cellulase가 약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소화맹낭에서 amylase와cellulase 활성도는 지중해담치는 2.6과 0.8 U/mg, 개조개는2.4와 8.8 U/mg, 꼬막은 7.3과 11.8 U/mg였다. 그리고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가운데 protease의 활성도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에서 각각 0.00019, 0.00028, 0.00022 U/mg로가장 낮았다

      • KCI등재

        한국 해산 중복족류 (연체동물 문 : 복종 강) 미기록 9종 - 나사고둥 상과 , 배고둥 상과 , 개오지 상과 , 위고둥 상과 -

        Choe, Byung-Lae,Park, Joong-Ki 한국패류학회 199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8 No.1

        한국 해산 중복족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71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전국 해안 34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나사고둥 상과, 배고둥 상과, 개도지 상과, 위고둥 상과에 속하는 표본들을 대상으로 동정, 분류한 결과 다음와 같은 9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얻었기에 도판과함께 디들 종을 새로이 재기재하였다: Kuuosiola fascialis (Menke, 1828), Neohaustator andenensis (Otuka, 1934), Iphinoe unicarinatus(Broderip & Sowerby, 1829), Turritropis turrita Habe, 1962, Calyptraea morbida(Broderip & sowerby, 1829)Turritropis turrita Habe, 1962, Calyptraea morbida(Reeve, 1859), Crepidula onyx (Sowerby, 1824), Primovula frumentum (Sowerby, 1828), Erosaria helvora(Linne, 1758), Reticutriton tenuiliratus(Lissschke, 1873).

      • KCI등재

        한국 서해안 2개 갯벌지역 수평망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과 폐사 비교 연구

        모기호,박영제,정의영,김영길,정충훈,한경남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1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udflat oyster aquafarms to clarify effects of the mudflat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Although the suitable sites of the singe mudflat oyster aquafarm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we have much difficulties in selection because the investigations on the regional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growh charateristics have been still not carried out at all.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the basic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n growth of the single mudflat, water quality and sediments, etc. in Taean and Seosan districts, Choongcheongnam-do, where the single mudflat oyster Aquaculture have been performed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June 2011 when the final survey carried out at the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the mortality in Seosan district was higher than that in Tae-an district. In this study, the growths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aean district were larger than those in Seosan district. It is assumed that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largely effected on survival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Aquaculture conditions in Taean district is more suitable than those in Seosan district. Judging from the results of growth and mortality of the single mudflat oysters investigated at two sites of Jinsan-ri in Taean and Chang-ri in Seosan districts, two results of Taean district showed higher growth and lower mortality than those of Seosan district. Therefore, Taean district appeared to be more suited for the inhabit conditions than those of Seosan district. It is assumed that the proper acceptable density possible for growth of the mudflat seeds and the secure of economics, in case of plastic cultivate net with the size of 50 x 80 cm, are about 200 individuals.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selection of the suitable sites, the input into the net bag of high quality oyster seeds and selective dispersion in the optimal density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have an effect on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From 2012 year, Korean government selected the single mudflat oyster as one of the 10 big high value-added stretegic items, and has continued to promote as eco-friendly Aquaculture industry. 한국 서해안 2개 지역에서 수평망식 갯벌 굴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갯벌 환경요인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갯벌 굴 양식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갯벌 굴의 양식 적지는 주로 서해안에 산재되어 있으나 지역별 생육환경 및 성장특성은 아직까지 전혀 조사된 바가 없어 양식적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평망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충남 태안지역과 서산지역에 대한 갯벌 굴의 성장 및 수질, 저질등에 관한 기초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하계 및 동계의 기온과 수온, 염분 등은 갯벌 굴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양식여건은 서산에 비해 태안지역이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 굴의 성장과 사망률을 측정한 결과태안지역이 서산지역에 비해 높은 성장률과 낮은 사망률을 보였다. 폐사율 역시 종료 시점인 2011년 6월에 서산지역의 폐사율이 높았다. 수평망식 갯벌 굴의 성장은 태안지역이 서산지역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갯벌 굴 종패의 성장 및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적정 수용밀도는 50 × 80 cm 크기의 플라스틱양성망의 경우 200개체 내외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갯벌굴의 양식적지 선정 및 우량종패의 입식과 적정 밀도로의 선별분산은 갯벌 굴의 성장과 폐사에 크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양식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에서는 2012년부터 갯벌 굴을 수산물 10대 고부가가치 전략품목으로 선정하여 친환경 양식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