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방안

        박미경,강경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3

        Officially subsidized paraprofessional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since March, 2004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especially providing a tailored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According to the reports by foreign countries that previously opted for the system, it is of importance to consider not only expected positive effects but various adverse effects that the system might produce. Inappropriate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s in general was picked the most as a cause of those negatives effects, exampled in more detail by a lack of awareness of how to utilize the system by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upervising the manpower from an initial stag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ted to highlight the problems derived in the process of enforcing the paraprofessional system so far and to suggest possible causes of them by analysing interviews with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six ways to effectively manage the system were suggested.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으로 장애학생 부모의 요구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추진하였던 특수교육보조원제도가 2004년 3월부터 국고보조에 의해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 및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 및 국내외 문헌들을 종합하여 7가지의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의 법제화 및 다양성 인식; 둘째, 특수교사의 역량강화 및 특수교육보조원 관리에 대한 훈련제공; 셋째, 관련인사들과의 역할 분담 및 연수실시; 넷째, 협력적인 분위기 조성; 다섯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및 관리방안에 대한 자료보급; 여섯째,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연수 및 훈련강화; 일곱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홍보확대. 이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 다양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통한「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안재준,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유아특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초록을 토대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513편의 초록을 활용하여 주제어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나타나는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와 TF-IDF 분석에서 교사, 중재, 지원, 행동과 같은 주제어들이 해당 분야의 주요 연구 동향을 나타내는 핵심 주제어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도출된 토픽 8개는 토픽 1(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토픽 2(조기중재를 위한 가족지원), 토픽 3(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역량 강화), 토픽 4(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토픽 5(장애영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토픽 6(부모를 위한 양육 프로그램), 토픽 7(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행동중재), 토픽 8(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실행주기에 따라 토픽의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토픽 7과 토픽 8은 주기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른 토픽들 역시 꾸준한 관심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abstracts of paper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leading journa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 achieve this, we analyzed abstracts of 513 papers from the「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008-2022) using keyword frequency and topic modeling to identify key terms and topics. Firstly, the study revealed that keywords like teachers, intervention, support, and behavior are core terms highlighting the main research trends in this field, as identified through TF and TF-IDF analysis. Secondly,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identified eight topic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family support for early intervention, enhancing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ractice, curriculum operat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programs, behavioral interven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Thirdly, an analysis of topic trends based on the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cycles showed that Topics 7 and 8 were consistently prominent, with ongoing research interest in other topics as well.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foundational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실시 방안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박현옥,강혜경,권택환,김은주,김진희,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based on this survey data, to suggest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ing the questionnaire to 1478 people. They are consisted of the 353 directors and 3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73 general education teachers, 298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150 supervis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 the most expected thing and the first thing to implement, 2) the ran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3)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s for the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preschools when the compulsory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s several political suggestions; 1) having enough education facilities, 2) plac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implement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function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4) child finding, identifying children who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ing and providing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rocedur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5) public awareness. 본 연구는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전국단위의 유치부 설치 특수학교, 국ㆍ공ㆍ사립 유치원, 장애전담 및 통합 어린이집의 기관장,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와 각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특수교육, 유아교육 담당 전문직 등 총 1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별 설문 참여자는 장애유아 학부모 298명, 기관장 353명, 일반교사 373명, 특수교사 304명, 장학사 150명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를 대상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행될 경우 가장 기대되는 바와 그에 따라 최우선으로 추진되어야 할 내용,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 범위, 사립기관 및 보육시설에서의 의무교육 시행 시 애로사항 및 필요한 지원 등의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시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정책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의무교육 기관 확보 (2) 유아특수교사 배치, (3) 의무교육 실시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4) 대상자 발견 및 특수교육 대상자 판정, 배치, 교육 실시와 행정적 지원 절차, (5) 홍보방안.

      • KCI등재

        한국과 네팔의 특수교육 전문가가 인식한 네팔 특수교육 실태 및 교육협력 요구

        홍주희,최승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3

        To build a cooperation strategy of special education between Korea and Nepal,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 and Nepal special education experts regarding the special education status and cooperation needs in Nepal. 77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officials) from 9 regions of Nepal participated in answering questionnaire. Also, in-depth interview with 7 experts who were dispatched by South Korean govern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interview,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both countries has pointed out a few things: lack of support of a central government, lower teacher expertise and insufficient legal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a variety of needs such as buil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ing national-wide curriculum and expanding social network among people with special needs were raised from both. Furthermore,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in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special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Nepal. Cooperation strategic approach to promote educational cooperation by taking account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needs are suggested.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기초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기회의 마련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파트너 국가 간의 의견을 수렴하여 협력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그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네팔의 특수교육협력 계획 수립을 위하여 양국의 특수교육 전문가가 인식한 네팔의 특수교육 실태와 특수교육협력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77명의 네팔 특수교사 및 교육청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7명의 한국정부파견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및 특수교육분야 해외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네팔의 특수교육 실태에 대해 네팔의 전문가들은 네팔정부차원의 지원과 단위학교 교육의 질,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한국의 개발협력 및 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한국 교육협력의 효과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함께 특수교육 질적 향상을 위한 네팔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 중장기 협력전략에 기반한 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분야 국제교육협력을 추진하기 위하여 네팔현지 수요를 반영한 특수교육 협력계획이 시사점으로 제시되었다.

      • 국내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홍정숙(Jeong Suk Ho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 분석대상 문헌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특수교육사 관련 논문이다. 발표연도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총 12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지 논문은 97편(80.9%)이었고, 학위논문은 23편(19.1%)이었으며, 2000년대에 가장 많은 논문(70편, 58.3%)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시기는 통사의 비중이 기간을 한정한 논문보다 월등히 높았다. 셋째, 한국특수교육사 연구는 85편(70.8%), 외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35편(29.2%)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전체사 연구였으며(110편, 91.7%), 지역사 연구는 10편(8.3%)에 불과하였다. 넷째 특수교육대상 유형별로는 특수교육 전반의 역사를 다룬 일반 논문이 79편(65.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내용 영역에 따른 동향은 특수교육 제도사(41편, 31.1%), 특수교육 사상·인물사(40편, 30.3%), 특수교육 내용·방법사(21편, 15.9%), 특수교육 문화사(15편, 11.3%), 특수교육학사(13편, 9.9%), 특수교육 구술사(2편, 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에서 연구가 미진하거나 편향된 부분을 밝히고, 균형 있는 특수교육사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이재욱,정윤우,송지아,유성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process and Issues of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ic stud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emized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forum,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Notice, review of field suitability, 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stage of policy promotion, revision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promoted and a dedicated workforce was deployed. In the policy promotion process, the basic research on general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arried ou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was developed, and the revision draft was confirmed through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calculation stage,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nounced. At the stage of feedback and demand, analysis of field demand, forum and public hearing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were included. The issues in the 2015 Revis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romotion process are as follows. The issue at the input stage is revision due to changes in general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e issue of policy promotion process was lack of specificity and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lack of time for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s of feedback and demand are lack of opinion converg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iscuss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특수교육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토대로 마련한 ‘시안 공개 토론회’(총론: ’15.8.7, 교과교육과정: ‘15.7.31~8.8)와 ’총론, 교과교육과정 공청회’(’15.10.12) 그리고 최종 확정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문’(’15.12.1), 현장 적합성 검토, 관련 학회, 단체, 언론 보도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정책 추진 투입단계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이 추진되었고, 전담 인력 배치되었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되었으며, 교육과정 심의회를 거쳐 개정시안이 확정되었다. 산출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환류 및 요구로는 현장요구분석,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공개 토론회, 공청회, 관련 학회 및 단체, 언론 보도 등이 있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 중 투입 단계 쟁점은 일반교육 변화에 의한 개정, 특수교육 전담 인력 배치이고, 정책 추진 과정 단계 쟁점은 특수성 부족, 개발과정에서 당사자 참여 부족, 개발과정의 시간 부족이였다. 또한 환류 및 요구의 쟁점은 의견수렴의 부족, 교육과정 연구 및 논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공립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의 요구

        김현숙,박소영,이예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와 어려움,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전국 183명의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유아의 ‘방과후과정’은 대부분 ‘방과후과정’ 명칭을 사용하며 유치원 정교사 자격을 가진 전담교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며, 특수교육대상유아 2명 중 1명만 ‘방과후과정’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과정’이 운영되는 3곳 중 1곳은 전담교사가 없었고, 전담교사의 자격은 유치원 교사, 특수학교(유치원) 교사, 보육교사 등이었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가 ‘방과후과정’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방과후과정’ 개설 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학부모들 역시 ‘방과후과정’이 생기길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지원인력 부족과 강사 채용 및 관리, 일반 방과후과정 참여 거부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원인력 배치, 전담교사 및 관리자의 장애인식 개선, 지원금 인상 등을 제안하였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의 시도별 격차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방과후과정 지원 및 운영 지침 마련 방안을 논의하였고,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의 질적 운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3 public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ost ‘after-school programs’ for general children used the name ‘after-school courses.’ In addition, it was run by a dedicated teacher qualified as a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 Second, Various naming were used for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only one out of two students was receiving integrated education in the ‘after-school program’. Third, One out of three places where ‘after-school courses’ were operated did not have a dedicated teacher. In addition, the qualifications of dedicated teachers were diverse,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Fourth, whe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unable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courses,’ teachers tried to find ways to open ‘(special) after-school courses.’ Parents often waited for ‘after-school programs’ to be established. Fifth, the ‘after-school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d difficulties in operation due to a lack of assistant personnel, hiring and managing instructors, and refusal to participate in general after-school courses. The above-mentioned difficulties resulted in requirements such as deployment of assistant personnel,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among dedicated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increase in support fun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qualitativ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discus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김삼섭,전병운,정해동,박은영,고진복,박은송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2

        A Mid- to Long-term Scheme of Supply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 연구는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교원 수요를 다양한 측면에서 예측하고,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법적ㆍ제도적 측면과 특수교육의 실제를 반영한 현실적 측면 두 가지 접근을 시도하고, ① 특수교육기관의 학교과정별 학급당 학생수, ② 특수학교ㆍ학급별 교원배치 기준, ③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의무교육 시행, ④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안에 따른 무상교육 시행, ⑤ 특수교육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⑥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여섯 가지 변수들을 선정하여 예측값을 산출하였다. 변수들을 고려한 예측값과 특수교육 교원의 퇴직자수를 반영하여 수요예측값을 제시하였고, 이를 대학과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 교원 양성규모,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원의 수 등을 고려한 공급예측값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중 특수교육 실제를 반영한 특수교육 교원 수요예측값과 공급예측값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료는 특수교육 교원 중장기 수급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제어> 특수교육 교원 수급 예측, 특수교육교원 중장기 수급 방안

      • 특수교육교원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운종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은 주로 4년제 대학 내의 사범대학에 설치된 ‘특수교육과’와 일반대학 교육과인 ‘특수교육과’ 및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전공’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특수학교 교사자격증 취득자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여 2008년에는 특수학교의 유치원·초등·중등을 모두 합한 수가 약 2,800여명에 달하고 있다. 이 중에 서 복수전공자를 제외하면 실제로는 약 1,800여명 정도가 취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7년부터 특수교육 관련학과의 신설을 가급적 제한하고 있으며, 복수전공에 의한 교사자격증 취득 인원을 제한하고 있어 특수학교 교사의 양성규모가 현재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특수학교 교사의 임용은 국·공립 특수학교의 경우 매년 신규교사 임용시험을 통하여 공개경쟁으로 선발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립 특수학교는 학교단위로 공개경쟁에 의한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립 특수학교 신규교사의 선발인원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8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700여명 선까지 늘어났으나, 2009학년도 임용시험에서는 정부시책에 따라 선발인원이 다소 줄어들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설립 확대에 따른 수요의 확대 등을 감안할 때 향후 특수학교 신규교사 선발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특수교육교원의 양성 및 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논의를 위하여 먼저 특수학교 교원의 자격기준과 양성과정 및 표시과목 등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특성·능력·장애유형 또는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다음으로 최근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현황을 분석하여 특수학교 교사의 수급을 전망한 후 이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또한 특수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특수학교 교사양성과정을 5년제 또는 대학원 수준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및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아울러 신규교사 임용의 측면에서 현재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및 출산율의 감소 등을 고려할 때 특수학교를 포함한 전체 교원의 정원 확대가 상당기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특히 교사 1인당 학생 4명으로 규정되어 있는 특수학교 교원의 법정 정원기준을 확보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특수학교 교원정원의 추가적인 확보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특수교육대상자 적용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통합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성희원,황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special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consider the desirable direction and settlement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th in the field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t are working in special classe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high; however, the degree of perception was negative.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both organize and operate a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establish a separate elective subject. Third, there were many opinions stating that it is desirable to evaluate the criteria for completing the subject on attendance day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urth,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it was recogniz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all school members was important for reducing the burden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nally, it was noted that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was necessary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stable implement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ith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 was discussed.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통합교육 현장에서 고교학점제 시행 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운영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정도는 높은 수준이었지만, 인식 측면에서는 부정적이었다. 둘째, 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육과정과 선택교과(목)가 별도로 편성·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목) 이수 기준은 과목 출석 일수만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일들이 특수교사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공동의 책임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이해 및 재구성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장면에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