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 및 수업행동 특징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김상민(Kim Sang-mi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의 특 징을 분석하고, 그들의 교과 특성 인식과 수업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 구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97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 시하여 이들의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행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 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교과의 정적 특성을 정의된 특성과 계열적 특성보다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 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수업행동에서도 상호작용 활발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 음으로 수업절차 개별화를 중요시하지만, 특수교육 교사는 수업절차의 개별화를 일반교육 교사보다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과 그 구성요소는 모두 교과의 정적 특성과 체계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반면, 일반교육 교사의 수업행동은 교과의 정의적 특성과 계열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그 구성요소는 각각 다 른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육 교사와 교과 특성에 대한 인식 과 수업행동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교육 교사보다 교과의 정적 특성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업행동에서 개별화를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교과 특성의 인식에 따라 이들의 수업행동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them. This study selected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s more important than the defined and sequential characteristic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a bigger emphasis on the interaction activity in the teaching behaviors and the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ce more emphasis on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teaching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However, the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 of defined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and the perception of the sequential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commonality in perception of subject matt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behavior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ore aware of the static characteristics that are essential contents i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tha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how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in the teaching behaviors. The teaching behavi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of these teachers.

      • KCI등재후보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여가 활용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조사

        원성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2011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s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specia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atisfaction on the organizing system of leisure use textbook? Second, What is the satisfaction on the organizing contents of leisure use textbook?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mposition system of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high in the external system and internal syste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n the composition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leisure use textbook,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high in the area of contents selection, connectivity, sequence, learning level, learner participation inducement.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 was higher than one of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 class mutually in both study problems, an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career under 5 years appeared to be higher than one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career over 5 years, and the satisfaction when drawing up the leisure activity-related budget was analyzed to be higher than when not doing so. cordingly, the current leisure use textbook is being used more usefully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 with the education career under 5 years who have the leisure activity-related budget. 본 연구는 2011년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선택교과 여가 활용 교과서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이를 보완하는 지원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선택교과에서 여가 활용 교과를 선택하여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전국의 특수학교(급) 중등 과정의 특수교사 14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과 한국교원대학교 KSDC DB를 통해 의도적으로 선정하여 조사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여가활용 교과서 구성체제와 구성내용에 대해 특수학교 교사들이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그리고 여가활동 예산 지원을 받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육경력이 짧은 교사들이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보다 구성내용에 대해 더욱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활용 교과서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여가 활용 교과 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이 필요하며,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의 경우 새로운 여가 활용의 내용에 대한 현직 연수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김두영,정해동,백정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textboo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nalysis. For thi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swered by 191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xtbooks for the special education from 2015 to 2017' were analyzed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6 experts regarding its results was conducted.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found that in general, the degree of the used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ritically low and the commonest reason for that is that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are not adapted to the students. Secondly,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found to use the learning materials other than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and found to usually use the learning materials and workbooks of their own making. Thirdly, there are th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student responsiveness in the class using the current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52.8% of all teachers answer that the current textbooks have drawn the active response of the students to the class but 41.9 answer that they have not. It is found that the high school teachers have recognized much higher level of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class using the textbooks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have done the same compared t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이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의 활용 실태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개발될 교과서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17년 특수교육 국정 교과용도서 편찬’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191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에 대하여 6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수업시간 중 특수교육교사들의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활용 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서를 많이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특수교육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 이외의 다른 학습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자체 제작한 학습자료 및 학습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의 수업 호응도가 높다는 의견은 전체의 58.2%, 낮다는 의견은 전체의 41.9%로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중·고등학교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에 비해 특수학급 교사가 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생들의 호응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본 교육과정 교과서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이재욱,정윤우,송지아,유성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process and Issues of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ic stud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emized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forum,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Notice, review of field suitability, 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stage of policy promotion, revision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promoted and a dedicated workforce was deployed. In the policy promotion process, the basic research on general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arried ou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was developed, and the revision draft was confirmed through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calculation stage,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nounced. At the stage of feedback and demand, analysis of field demand, forum and public hearing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were included. The issues in the 2015 Revis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romotion process are as follows. The issue at the input stage is revision due to changes in general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e issue of policy promotion process was lack of specificity and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lack of time for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s of feedback and demand are lack of opinion converg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iscuss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특수교육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토대로 마련한 ‘시안 공개 토론회’(총론: ’15.8.7, 교과교육과정: ‘15.7.31~8.8)와 ’총론, 교과교육과정 공청회’(’15.10.12) 그리고 최종 확정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문’(’15.12.1), 현장 적합성 검토, 관련 학회, 단체, 언론 보도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정책 추진 투입단계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이 추진되었고, 전담 인력 배치되었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되었으며, 교육과정 심의회를 거쳐 개정시안이 확정되었다. 산출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환류 및 요구로는 현장요구분석,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공개 토론회, 공청회, 관련 학회 및 단체, 언론 보도 등이 있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 중 투입 단계 쟁점은 일반교육 변화에 의한 개정, 특수교육 전담 인력 배치이고, 정책 추진 과정 단계 쟁점은 특수성 부족, 개발과정에서 당사자 참여 부족, 개발과정의 시간 부족이였다. 또한 환류 및 요구의 쟁점은 의견수렴의 부족, 교육과정 연구 및 논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게재 논문들의 주요 핵심어와 그들 간의 관계성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권충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word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ubject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and present network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target of analysis was the title of a total of 19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2008~2018). The main analysis tools are Korean text analysis KrKwics program, Ucinet 6(ver.6.683) for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NetDraw(ver. 2.161) for visualiz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p occurrence frequency (up to 40th) extracted from the language text analyzed was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 ‘influence’, ‘analysis’, ‘special education’, ‘teacher’, ‘child’, ‘perception’, ‘special teacher’,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overall language network values were identified for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and the two types of centrality(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on the network-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Korean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field teachers in setting up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when conduct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related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요 핵심어(키워드)를 확인하고 그들 간의 네트워크 관계성을 탐색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2008년~2018년: 총11년 간) 학술지에 게재된 총 194편의 연구물의 제목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론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론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분석 프로그램(도구)은 한국어 텍스트 분석을 위한 KrKwics 프로그램,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Ucinet 6(ver. 6.683), 네트워크 시각화 제시를 위한 NetDraw(ver. 2.161) 등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분석 대상 언어 텍스트에서 추출한 상위출현빈도(40위까지) 핵심어에는 지적장애, 학생, 영향, 분석, 특수교육, 교사, 아동, 인식, 특수교사, 장애학생 등 이었다. 둘째, 주요 핵심어들의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전체 언어네트워크 값을 확인하고, 2종의 중심성(연결정도 중심성, 매개중심성) 값을 추출하고 시각화하여 네트워크 지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전문가, 현장 교사들에게 향후 특수교육 교과교육 관련 연구 진행할 때, 연구주제 및 방향성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 변천과정 연구-구성방식과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심혜령,최상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format of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has changed for 40 years, from 1974 establishment to 2015 revision, and to determine the change process by extracting the main elements. To analysis the change of social studies in the basic curriculum, we analysed the curriculum documents from 1974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mentally retarded to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format, social studies in the basic curriculum has been revised in the way of seeking systemicity and consistency. The process of change in main elements is as follows. First,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inconsistent in terms of the scope and the level of contents. Second,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reflecting social changes. Third,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has consistently contained the contents about independent living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a distinctiveness of the basic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이 연구에서는 1974년 정신박약아 초등부 교육과정부터 2015년 특수교육 교육과정까지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의 내용을 구성방식과 핵심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성방식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의 변화과정을 교육과정 체계의 변화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핵심요소에서는 교육과정의 일관성과 사회의 발전에 따른 교육내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는 구성방식 측면에서 교육과정 체계가 점차 일관성을 찾아가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핵심요소의 변화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는 학습내용의 범위 및 수준에 있어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개정되었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자립생활과 관련된 내용이 지속적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인 사회과의 내용과는 구분되는 특징이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정될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의 개정 방향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배찬효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dagogical problems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s of it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Second, what are the improvement plans about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belong to the purpose, integrated educ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itinerant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law. The improvement plans about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legislate about how to impl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self-re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purposes of the special education. Second, it has to make integrated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improving well.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특수교육법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지는 교육학 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첫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특수교육법의 문제점은 특수교육법에서 제시된 목적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특수교육법에서 제시된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순회 교육’, ‘진로 및 직업교육’과 같은 특수교육의 내용 및 방법과 관련된 문제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 다. 제시된 문제점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목적 중의 하 나인 자아실현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특수교육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에 관해 법 률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둘째, 현재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 대부분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학급임을 고려하여, 통합교육과 개별화교육을 잘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 특수교육법의 평가규정 개선 과제 탐색

        김혜령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was to IDEIA regulations prescribed in this evaluation with respect to special education law recognize, evaluate what the plan is for improving eval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First, Korea and the U.S. IDEIA special Act regulations prescribed in the respective evaluation like? Second,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pecial Educa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ssessment regulations?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was to resolve the problem. Special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egal ba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IDEIA 2004 and was based on a special gyoyukbeopwa.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is clearly one person's definition does not provide diagnostic criteria are certainly, in particular is very vague and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diagnosis and assessment systems, diagnosis, evaluation only fragmentary presented. IDEIA 2004 is a comprehensive and individualized assessment, professional team (Multidisciplinary team: MDT) evaluation by the procedural regulations, a student found a positive duty, assessment conducted by former parent notification and consent in writing to obtain, re-evaluated every three years. and regulations. Korea is a special education subjects related to the diagnosis, evaluation, etc. Support Center and Department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Steering Committee is in charge of the unit, and the United States has a team of experts in school (MDT) has made a request to the strict procedural rated regulations and requirements, but South Korea's special education law is not detailed procedures to be put. 본 연구는 특수교육법의 평가 규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평가 개선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한국의 특수교육법과 미국의 IDEIA 에 규정된 평가규정은 각각 어떠한가? 둘째, 한국과 미국의 특수교육법의 평가 규정의 차이점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특수교육요구학생의 평가에 대한 법적 근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미국의 IDEIA 2004를 기준으로 하였다. 한국의 특수교육법에 특수교육대상자의 정의는 명확하나 진단기준은 확 실히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학습장애의 진단은 아주 모호하며, 진단·평가 시스템에서는 단 편적인 진단·평가만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IDEIA 2004는 전반적이고 개별적인 평가, 전문가팀 에 의한 평가, 절차적 보호 규정, 학생에 대한 적극적 발견 의무, 평가 실시 전 부모에게 서면에 의한 통보와 동의 구하기, 매 3년마다 재평가를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단·평 가 등과 관련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와 교육청 단위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가 담당하며, 미국은 학 교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에 의뢰되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엄격한 절차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법은 세부적인 절차를 두지 않고 있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과학 교과교육 실태 조사

        신종갑,허유성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status of educational curriculum on science subject in the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would be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88 science teachers from 31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swered the survey. According to the key findings, many of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cience education partly due to lacks of science facilities, teaching skills, and students’ understanding and improving levels. Second, many of teachers perceived science education could improve students adaptational skills for daily life. Third, there were limited numbers of teachers who were specialized in science. Fourth,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not fit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 Fifth, they used both whole class lecture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Finally, science teachers asked for more modernized science classrooms which are well equipped with safe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과학 교과교육 전반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운영 실 태, 그리고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총 88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과학 담당교 사 대부분은 과학 교과교육에 대하여 다소 불만을 갖고 있었는데, 불만의 주요 이유는 과학교육 시설의 부족, 학습 지도력의 부족, 학생들의 낮은 이해력과 향상도 등을 들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학교과가 정신지체 학생의 일상생활에서의 적응 능력을 길러주는 데 도움이 되는 필 요한 교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중 과학만을 전공 하거나 가르치는 교사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하는 과학교과 교과서의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교과 지도에 주로 사용하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일제 수업과 개별화 수업을 적절히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마 지막으로 현대적 과학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특히 학 생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시설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수학교 교육과정 중점 이해 및 활용 방안

        정인숙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2008년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개정의 배경,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수정․보완 방향,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 배당 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으로는 일반학교 교육과정과의 동시적 개정의 필요성, 현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문제점에 대한 개선요구, 사회적 요구의 종합적 검토와 반영의 필요성, 특수교육관련 법률의 변화에 따른 교육 과정적 대처의 필요 등이었고, 둘째,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수정․보완 방향으로는 교과 및 영역별 수업 시수의 합리적 조정, 교육과정의 적합성 구축,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화,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의 종합적 검토와 반영, 학교 현장과의 적합성 추구,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 등이었다. 셋째,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있어서는 유치원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은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의 5개 영역으로 편성되었고, 기본 교육과정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은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편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