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외적 변화를 통해 본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의 변화 가능성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코로나 19와 그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적 조치라는 교육과정 외적 변화에 의해 어떻게 변했으며, 이 변화로부터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학은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라는 분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현 구조와 외부자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도구가 되었다. 교사는 코로나 19라는 외적 상황에서 교과 목표 및 성취기준이라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거시구조를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각 통합교과의 기능을 중요시 여기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초구조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이러한 행위는 성취기준 중심의 미시구조 변화와 함께 즐거운 생활의 새로운 거시구조, 통합교과 교육과정 거시구조의 일원화 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모시키는 단초가 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changed due to external changes, and how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can change from this change. To this end, textwissenschaft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and also to analyze how teachers changed the structure of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n the Corona-19 pandemic. Teachers implemented the curriculum based on subject goals and standards, which is the macro-struc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Teachers also showed a change in the super-struc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re skills of each integrated subject. This implementation of teachers is the basis for transforming the structure of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ncluding micro-structure changes centered on standards, new macro-structures of pleasant life, and unifying the macro-structure of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제4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초등 통합교과의 발생적 의미

        조상연 ( Sang Yea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1

        초등학교 통합교과는 제4차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정책의 하나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당시 통합교과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발생적인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으로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으로서 정책’으로 개념을 구분한 Elmore & Sykes(1992)의 논의 중 ‘정책으로서 교육과정’에 기초해서 제4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통합교과의 성격을 정책의 의도, 의제형성과정, 구현 형태로 나눠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첫째, 2~3 교과의 시간을 통합해서 운영한다는 정책 의도로, 둘째, 밖으로는 과열과외 문제 해결, 안으로는 인간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했으며, 셋째, 통합수업에 대한 경험과 능력을 갖추지 못한 당시 학교현장의 현실에서 이를 ‘교과서’를 통해서 구현하는 방식을 선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를 통합교과에 대한 초심으로 규정하였다. 이런 초심에 기초해서 볼 때, 우리나라 통합, 통합교과 및 교과 통합 분야에서 ‘통합’의 취지를 교과 내용 통합을 넘어서 보다 확장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통합교과서를 가르치면서 통합을 실행해 온 초기의 관행을 넘어서 학생의 배움을 기초로 교과를 통합할 수 있는 교사의 통합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을 연마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재음미하였다.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have been started with the fourth revision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a search for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on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explored the genetic meanings of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 devi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ubjects of the fourth revisional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to ``intent of policy``, ``agenda formation``, and ``forms of action`` and explored that characteristics based on discussions of ``public policy perspectives on curriculum`` and ``curriculum on public policy perspectives`` by Elmore & Sykes(1992). As a result, the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introduced for, firstly, the intent was incorporating the lower grades in class. secondly, problem solving for overheating private education outside and ways to implement human-centered education inside, and thirdly,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by providing textbook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er qualified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주제별 교과서의 등장 -초등통합교육과정에 주는 의미-

        강충열 ( Choong Youl K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5 No.2

        2009개정 초등통합교육과정에 주제별 교과서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8개 주제별로(학교와 나, 봄, 가족, 여름, 이웃, 가을, 우리나라, 겨울) 기존의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 생활 교과의 내용을 통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주제별 교과서의 등장은 세 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는 초등통합교육과정에 탈학문적 접근이 도입됨을 의미한다. 둘째는 초등학교 1-2학년 아동들의 발달적 특징에 적합한 통합교육과정 유형이 도입됨을 의미한다. 셋째는 초등학교 1-2학년에 교과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 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바르게 정립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 초등통합교육과정의 발달적 적합성을 제고한 것으로 선진국 수준으로 통합교육과정을 진일보 시킨 것이다. 그러나, 2009 개정 초등통합교육과정의 주제별 교과서는 국정도서로 개발됨에 따라, 지역사회를 담아내는 통합교육과정 본래의 취지를 만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기 초등통합교육과정에서는 주제별 교과서가 검정 도서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For the 2009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to second graders, thematic textbooks are introduced with 8 themes: School and I, Spring, Family, Summer, Neighbor, Autumn, My Country, and Winter.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former three integrated subjects, Right Life, Wise life, and Pleasant Life are integrated again into the thematic textbooks. The introduction of the thematic textbooks has three meaning in terms of Korean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irst, trans-disciplinary approach has been introduced to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form of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b introduced to the first to second graders. Thir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curriculum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established in desirable manner for the first to second graders. This change implies that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as improved the developmental suitability and grown up to the level of the advanced countries. However,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thematic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re published in the form of national textbooks, so that they have the limitation in reflecting the concerns and needs of regional level, which is the integral natur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refore, for the next revision for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it is needed that the thematic textbooks should be published at the level of regional authority.

      • KCI등재

        초등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원천에 관한 연구

        이윤미 ( Yunmi Lee ),박희진 ( Heeji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선택하는 '조직 중심체(Organizing Centers)'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원천과 그 실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교사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조직중심체는 ‘교과에서 다뤄지는 주제’이고, 이 주제는 성취기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 이외의 조직 중심체를 선택할 때에는 ‘학생들의 삶과 관심’이 개발의 기준이 되고 있었다. 셋째, 사회문제나 쟁점, 교사 본인의 관심이나 흥미를 조직 중심체로 사용할 때는 비교적 성취기준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사회문제나 쟁점, 학생의 관심이나 문제를 기반으로 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이 더 필요하고, 학생들의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교사들이 개발ㆍ실행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은 주로 해당 학년의 교과교육과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학년에서 ‘공동체 및 협력’ 관련 통합교육과정을 가장 많이 개발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urce and rea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Organizing Cente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ose when develop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ho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eferred organizational central bo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he topic covered in the subject', and this topic was found to be derived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the case of choosing an Organizing Centers other than the subject, “student life and interest” became the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When using social issues or problems and teachers' own attention or interests as the Organizing Centers, the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free of standards.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y needed to choose more social issues or problems, students' interests or problems in developing their own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y needed to gather more opinions from students.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ainly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is deeply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the corresponding grade, and it was found that all grades developed the 'community and cooperation' integrated curriculum the mos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류팅팅,박창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s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 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r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 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등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 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 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 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저해 요인

        김재복 ( Jai Bo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에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발전과 현장 적용에 크게 기여할 `통합교육과정학회`의 창립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지식의 구조와 통합, 교과의 연결과 통합적 지도, 지식의 넓이와 깊이, 내용의 발전적 배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상별로 연구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그것이 적용될 때에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교과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 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측면에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및 과제와 저해 요인에 대한 해소 방안이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is made in the academia. This induces uncertainty an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affecting schools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major focus of this paper is devoted to an examination of issues to be considered in putting curriculum integration into effect. Four issues are addressed for the future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1) the rela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and curriculum integration, (2) the practical models of integrating the content of school subjects, (3) the ways of expanding and deepening knowledge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narrowly defined knowledge within a specific subject, (4) reorganizing and restructuring knowledge from separate subjects into curriculum organization considering its sequence and structure. Finally, practical problems in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are posed such as: teacher recruitment and identity, discipline-based subject, subject statues and histories, assessment structures, and etc. This paper provides some ideas to resolve those problems.

      •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과정 구성과 적용의 실제

        김미영 ( Mi Yo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프로젝트나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전혀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 할 만큼 그동안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꾸준히 있어왔다. 그러나 전체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몇가지 주제로 모으는 정도에 그치는 통합의 경우가 많아 사실 삶의 문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통합의 본래적 의도를 살렸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은 아동의 삶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통합하고 이를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통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의 목표를 파악하여 교사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아동의 관심 문제를 포함한 교육내용으로 다시 조율하여 통합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아동의 삶의 문제를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Curriculum integration wasn`t new approach, but i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ing. However, it was mainly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the collection of a few themes linked. In that sens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it came ture just as the idea of curriculum integration intended solving problems of life in the whole point. The major this study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ing focused of the problems of child`s life and tried to applicate it using project learning method. To this aim,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sed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s objectives and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as a level teacher. In the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through project learning, second, it was well-match-ed with childrens` interests or needs. Finally, it was reconstru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every day lives` problems of children must consider in the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과정 구성과 적용의 실제

        김미영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1

        Curriculum integration wasn't new approach, but i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ing. However, it was mainly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the collection of a few themes linked. In that sens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it came ture just as the idea of curriculum integration intended solving problems of life in the whole point. The major this study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ing focused of the problems of child's life and tried to applicate it using project learning method. To this aim,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sed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s objectives and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as a level teacher. In the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through project learning, second, it was well-match-ed with childrens' interests or needs. Finally, it was reconstru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every day lives' problems of children must consider in the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프로젝트나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전혀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 할 만큼 그동안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꾸준히 있어왔다. 그러나 전체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몇 가지 주제로 모으는 정도에 그치는 통합의 경우가 많아 사실 삶의 문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통합의 본래적 의도를 살렸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은 아동의 삶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통합하고 이를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통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목표를 파악하여 교사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아동의 관심 문제를 포함한 교육내용으로 다시 조율하여 통합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아동의 삶의 문제를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의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바른생활 교과가 나아가야 할 이상적인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과거 바른생활 교육과정들을 고찰하고, 특히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2009년 개정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바른생활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바른생활 교과가 독립교과인지 통합교과인지에 대한 정체성이 불확실하며, 통합교과라고 할지라도 교육과정 시기마다 그 통합의 형태가 다른 점이다. 여기에 대한 연구자의 관점은 바른생활이 통합교과이든 독립 교과이든 간에 그것이 학생들의 올바른 인생관과 세계관의 정립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 되어야 하며, 그것이 통합교과의 형태가 된다면 교과의 통합이든 주제별 통합이든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발달과 생활에 적합한 내용으로 되어야 하며, 그 내용이 어느 한 주제로 편중되지 않고 필요한 내용들이 균형적으로 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합교과로서의 바른생활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바른생활과에서 배우는 내용이 최종적으로는 학생들의 마음 속으로 통합되어 학생들의 통합적인 인격 함양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role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for the futur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Disciplined Life curriculum of the 9th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d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presen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s the integrated curriculum with Wise Life curriculum and Pleasant Life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Bu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in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was an independent curriculum which plays the role of the moral subject matter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fact,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the nature of the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erefore, many peopl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onfused with the identity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e and contents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hould play the role which leads the sound life of elementary students by help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view of life and world whether it is the integrated curriculum or the independent curriculum. Second, Disciplined Life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both the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s and the integration within students` experiences or mind. Especially, with regard the latt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cultivate students` integrated character.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유성열 ( Sungyeol You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의견을 종합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구한 총 20편의 학술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연구대상, 연구내용, 제언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은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할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위로는 3-4학년군 교과 교육과정과 아래로는 누리과정과의 계속성 및 계열성 확보를 위한 종적 연계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둘째, 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 측면에 해당하는 원천교과 내용과 비교과 측면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요구와 관련한 내용과의 횡적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셋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한편으로는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학습 논리에 기반한 통합교과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상의 접합성 확보, 통합교과 고유의 교육과정 구성원리 구축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evaluation opinions o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 this end, in this study, a total of 20 academic papers with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s a direct research subject were analyz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three major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First, it was a study that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vertical connection in order to secure continuity and sequence between the integrated subjects and 3-4 Grades curriculum at the top and the Nuri curriculum at the bottom. Second, it was a study that it was necessary to secure the horizont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needs corresponding to the non-curricular aspect and the content of the original subject, which is the subject aspect. Third, the study was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n the one hand and the unique identity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ased on the learning logic on the other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