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발표 2] 한국 코칭 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이나영,최소은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31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응답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the task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in Korea.

      • 한국 코칭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Seong-Jhin Joh),이나영(Na-Young Lee),최소은(So-Eun Choi)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40명 (회수율, 98.6%)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 결과, 여성이 421명(66.7%), 40대가 225명(35.7%), KAC 취득자가 318명(50.4%), 석사학위 취득자가 218명(34.6%), 그리고 ‘3년 이상 ~ 5년 미만’ 경력자가 245명(39.8%)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 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 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코칭학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형식,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 학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코칭관련 학회의 활동내용과 실제 코칭학이 현장에서 적용되 고 있는 코칭산업계의 동향 및 코칭학에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이 바뀌 고 있고,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등으로 인구․사회 구조 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칭에 대한 사회적 요구(Social needs)가 더욱 증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칭산업계가 현재 학계의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 코칭효과의 객관적 검증방법, 세분화되고 있는 코칭유형에 따른 적합한 프로세스의 구축, 코치 의 역량 증대,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코칭 모델의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학문 으로서의 코칭학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근 학문들과의 융합적 연구가 인문학 분야와 뇌 과학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뇌괴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코칭의 효 과에 대해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코칭학이 사람 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 체험과 통찰을 촉진함으로써 변혁적 성장을 이루어 내는 데 매우 유용한 융합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aching sc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trends on coaching, report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review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academic associations to support the theoretical basis of coaching science and to examine current tendency and the future of the coaching industry. In conclusion of these analyses, we have identified three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ching science. First, coaching science should respond more actively to escalating social needs for coaching.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this social role. Second, it is very necessary to expand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industries and universities beyond what it is now, especi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 building a process for each type of coaching that is more fragmented by market segmentation, and increasing the expertise of coaches. Third, coaching science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a convergence stud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udy of various adjacent fields. This is because coaching science i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a human being is, and it provokes inner experience and insights.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have supported this fact. Coaching science should be elaborated as a more systematic theor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be an area of convergence studies to understand people by creating empirical resul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 KCI등재

        한국의 코칭프로그램 현황 및 연구경향분석

        구자군,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코칭프로그램 현황과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코칭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코칭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파악을 위하여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인증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경향분석은 2000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코칭프로그램’을 키워드로 검색된 학술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코칭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본바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증 받은 코칭프로그램은 총 106개이며, 60개의 코칭기관에서 1개의 인증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65.0%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코칭프로그램의 운영과정을 보면 54.2%의 코칭기관이 기본과정의 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심화과정은 23.3%, 역량과정은 22.5%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국내의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최근 19년 동안 학술지 99편, 학위논문 34편으로 최근 5년 이내에 급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의 경우 성인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연구가 학술지 50편, 학위논문 20편으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코칭프로그램 관련 연구 주제는 1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역량강화, 학습코칭, 진로 코칭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코칭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서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돕고 코칭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trends and trends of coaching programs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coaching program research in the future.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18, and it was searched by 'coaching program'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99 journals and 34 dissert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 Coach Association has a total of 106 certified coaching programs and 60 registered coaching organizations. Of the 60 coaching organizations, 65.0% had one certified coaching program. To spread the concept of coaching, 54.2%, 23.3% and 22.5% of the coaching institutions operated basic deeper learning and competency learning coaching programs respectively. Second, in the last 15 years, research on domestic coaching programs have been surging, with 99 journals and 34 dissertations published within the past 5 years. In the case of study subjects, 50 studies of adults and 20 theses accounted for 50% or more of the total. This means that adult coaching programs are the most developed among the coaching programs. Research topics related to coaching program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16 categories, and competency enhancement, learning coaching and career coaching were mainly research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주도형 라이프코칭전이에 대한 사례 연구

        전미숙(Mi Suk Jun),리상섭(Sang 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7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라이프코칭경험으로 형성된 자기주도성의 지속성과 대학을 진학 후 대학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삶에 전이되는가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시기의 라이프코칭 과정을 통해 스스로 선택하고 성취감을 맛보면서 내면의 자기주도성을 찾아내는 과정 3단계(준비와 동기부여, 진로, 목표설정)를 소개하였다. 또한 코칭세션이 종료한 후 코칭전이를 알아보고자 반구조화인터뷰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반구조화 인터뷰 질문은 대학생활 만족도, 자기주도 학습, 대학 비교과활동 3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코칭 섹션 후 변화된 점, 자기주도성이 지속되고 있는지에 대한 코칭경험(코칭전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시기의 코칭경험이 자율성과 책임감을 요구하는 대학생활에서 더 크게 자기주도성을 발휘된다는 점과 평생학습의 기본인 자기주도 학습을 지속 하기 위한 자기주도성을 형성하는 경험학습의 긍정적인 면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코칭경험이 자기주도형 삶에 전이되는 코칭전이의 요인 및 효과, 지속성을 연구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elf-direction formed through life-coaching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has a lasting effect, specifically on how it transfers to and affects the teenagers’ life after they enter university. This study introduces the case of a life-coaching program for adolescents consisting of three stages for discovering inner self-direction (preparation, motivation development, career/goal-setting) that engage students in making their own choices and gain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n, to investigate the coaching transfer after the life-coaching program,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on a student who had previously engaged in the life-coaching session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examined three aspects -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interviewees felt about their university life, self-direc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 to understand the coaching experience (coaching transfer), i.e., how subjects changed after the coaching session and whether they show continued self-direction. Our findings show that coaching experience during adolescence can lead to greater self-direction later on in the university setting where subjects are given higher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lso, we observed the positive aspect of experience learning in forming the self-direction necessary for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builds a foundation for the much-needed future research on the factors, effects, and persistence of the coaching transfer that occurs through self-directed coaching experience.

      • KCI등재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 타당화 연구

        도미향,박용권,최종덕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의 타당화 연구를 통해 조직에서 근무하는 리더들의 코칭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리더들의 코칭리더십 역량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Zuberbühler 등(2021)이 스페인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706명의 직장인과 리더를 대상으로 개발한 코칭리더십(Coaching Based Leadership) 척도를 번안하여 초기 문항에 대한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척도의 구성요소와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전문 코치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를 통해 코칭리더십 개념을 탐색하고,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 문항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은 1차 예비 문항(16문항)에 대한 영역구성 및 하위 영역구성의 적절성과 중요성, 가독성을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국제코칭연맹(ICF)과 (사)한국코치협회의 코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 정서에 적합한 4개의 하위요인과 16개의 문항으로 구성요소와 이해도를 향상시켰다. 도출된 예비 척도의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작업동맹, 열린 의사소통, 학습 및 개발, 수행 과정 및 결과 등 4개 요인의 15개 문항으로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oaching leadership of leaders working in organizations through a validation study of the K-CBLS, and through this, provide basic data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including improving the coaching leadership capabilities of leaders. It is don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and adapted the Coaching Based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Zuberbühler et al.(2021) for 706 office workers and leaders in Spai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initial questions. and its appropriateness were review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scale were set, the concept of coaching leadership was explo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coaches,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K-CBLS items were established, and their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a survey. The firs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importance, and readability of the domain composition and sub-domain composition for the first preliminary questions(16 items) using a 5-point Likert-type scale, and was evaluated by the ICF and the KCA. Through secondary validity verification targeting experts with coach qualifications, the components and understanding were improved with 4 sub-factors and 16 questions appropriate for Korean emotions. In order to confirm the composition of the factors and questions of the derived preliminary scale, we used the survey data of 324 people working in the company to analyze work alliance, open communication, learning and development, performance process and results, etc. through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K-CBLS was confirmed with 15 questions in 4 factors.

      • KCI등재후보

        청소년 인성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지연,도미향,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DI(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인성검사 설문지의 하위덕목에 도미향 외(2014) CPA코칭모델과 코칭대화모델을 적용하여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 며, Y시 소재의 G중학교, H중학교, J중학교의 중학생 30명 중에서 15명을 실험집단, 15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주 1회 인성코칭프로 그램을 9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인성코칭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위해 KEDI 인성검사를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양적분석을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실험집단의 인성지수는 10개의 하위덕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나며, 하위덕목별 변화의 정도는 각각의 인성덕목의 총점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개별적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집단이 15명이라는 점과 10주간의 짧은 기간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한 한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집단의 인성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점은 인성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 코칭프로그램의 접목을 통한 다양한 인성코칭프로그램의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affects the personality of the youth. To this end, the personaliyt coaching program was configured by applying Do Mihyang (2014) CPA Coaching Model and Coaching Conversation Model to the character sub-virtues of KEDI. For this study, a total of 30 middle school students (15 for experimental group, 15 for control group) were sampled from G, H and J middle schools in Y city.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of 15 students on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August 10 to October 12, 2015, namely a total of 10 times. For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KEDI character test was conducted 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study are as follows: Personality index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10 sub-virtues. Comparing individual differences was meaningless, considering that the difference of changes of each sub-virtue leaves no impact in the total score of each character virtue.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a small experimental group of 15 people and in a short period of 10 week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haracter index of experimental group of the character coaching program and that the character coach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the character of the youth. Given the finding that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of youth, the present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 [논문발표 1] 2022년 국내 코치 활동에 관한 현황 조사 연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를 중심으로

        정혜연(Hae-Lyun Jung),이종혁(Jong-Hyuk Lee),김휘경(Hwy-Kyoung Kim)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는 (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들을 중심으로 국내 코치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코치들의 성장과 협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최종 638개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총 61개의 문항 중 44개의 문항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국내 코치들의 활동 현황분석 코칭비용과 수입 코치의 코칭역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코치들은 석사졸업자로 경영학과 심리학 코칭학의 전공이 많았고 코치들의 활동지역은 주로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코칭 비용에 있어서는 회기당 현재 받는 코칭비와 받고 싶은 코칭비가 상이하였으며 코치 자격별차이가 있었다. 전업코치 활동의 장애요소는 고객이 없어서라고 했다. 본 코칭 현황 조사연구를 통해 코치들의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하고 코칭 관련 제도적 정책적인 시사점 도출과 코칭학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oach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by providing basic data through an overall fact-finding survey on coaches' activities in Korea, focusing on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 Coach Association. To this end, 638 final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 Coach Assoc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44 questions out of a total of 61 questions,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oaches' activities, coaching costs and income, and coaches' coaching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many of the coaches were master's graduate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and coaching, and the areas of activity of coache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arding the coaching co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oaching fee and the desired coaching fee per sess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coach qualification. He said that the obstacle to his full-time coaching activities was the lack of cli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coaching research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coaches should go forward, deri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coaching,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oaching studies.

      • KCI등재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 효과 분석

        양승연,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5 코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 다.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강숙현(1994)이 개발한 ‛한국판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중에서 영아기 프로그램(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을 홍근민(1997)이 5점 척 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0세-2세반 보육교사 20명, 8회기로 150분간씩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서 실시한 코칭프로그램은 영아기 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코칭의 이해, 코칭의 기술, 코칭 대화모델을 습득하고 실습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이전의 보육현장에서 교사는 주로 일방적이고, 지시적인 상호작용을 하였지만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교사는 영아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원하는 상태에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코칭의 중립 언어를 미래 지향적인 질문으로서 사용하면서 영아의 내면에 잠재된 자원을 이끌어 내어 영아 스스로 계획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증진을 돕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on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For this study, the 20 child care teachers(2 of 1 year old class teachers, 8 of 18 months old class teachers, and 10 of 30 months old class teachers) working at the child care center in Seoul Mapogu has participated in the coaching program twice a week for 150 minutes, attending 8 sessions. The coaching program of this study include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role of child car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aching, and coaching dialogue model. For the measurement, within the ‘Korea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developed by Kang (1994), revised items by Hong (1997)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most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were teacher-centered, one-sided and directive. But after the program, their interactions were more supportive and encouraging for infants to solve their matters on their own. It shows that using coaching’s neutral language and future oriented questions of this program would be effective for children to plan and solve something by themselves through encouraging their potentials to be performed. The child care teachers running this program could bring infants’ potentials out, see the problem on infants’ viewpoints, and interact with infants to help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It also suggests that new way of helping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infants.

      • KCI등재

        교육컨설팅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리상섭(Sang 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 정립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태동과 현황 및 국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였다.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은 2012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컨설팅전공 석사과정이 처음으로 개설되었다. 국내 대학원 3곳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국내 교육대학원 9곳의 석사과정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교육컨설팅학의 독립된 전문학회인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는 2017년 6월 창립되었고,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의 전문학술지인 교육컨설팅코칭연구는 2022년 1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해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영역 확립, 이론과 연구 방법 확립, 국내 대학과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설치의 확대, 교육컨설팅학 관련 전문학회와 전문학술지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컨설팅학의 연구 대상, 이론, 연구 방법, 대학원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개설, 전문학회의 설립과 전문학술지의 발행 등을 통해 교육컨설팅학의 학문적 정립에 관하여 연구한 최초의 논문으로 교육컨설팅학 학문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challenges for establishing education consulting as a discipline. The Korean graduate schools,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consulting in the world. In March 2012, the fir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 consulting was opened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the Major in Education Consulting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of thre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in the master's programs of nine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a professional society of education consulting, was founded in June 2017, and its professional journal, the Journal of Education Consulting and Coaching, was selected as a KCI accredit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January 2022.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 consulting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proposed to establish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 consulting, establish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departments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expand professional societies and professional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consulting.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study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through the research objects,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 consulting, the establishment of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ocieties, and the publication of professional journals, and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for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education consul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