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능력 요인 탐색

        윤동규,김종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능력 요인을 탐색하고 구체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달성하기 위해 태권도 시범단을 보유한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2023년 대한태권도협회 격파 부문에 선수 등록한 대학생 456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을 실시한 결과, 총 988개의 원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원자료의 의미가 손상되지 않는범위 내에서 의미가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을 통합하여 귀납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학 태권도 시범단원들이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요인은 멘탈 관리 능력, 시범 기술 코칭 능력, 시범프로그램 연출 및 구성 능력, 단원 관리 능력, 지도자 개인역량, 훈련 지도 능력 총 6개의 구인으로 범주화하였다. 구인된 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멘탈 관리 능력은 동기 부여 능력, 멘탈코칭 능력, 인성 교육 능력으로, 시범 기술 코칭 능력은 코칭 능력, 기술 전문성, 기술 전달 능력으로, 시범프로그램 연출 및 구성 능력은 연출 능력, 창의력으로, 단원 관리 능력은 상호작용 능력, 팀워크 강화 능력, 단원 컨디션 조절 능력, 인솔 능력, 리더쉽으로, 지도자의 개인 역량은 지도자 경력, 지도자 마인드, 지도자 실기 능력, 문제 해결 능력으로, 훈련 지도 능력은 훈련 계획 능력, 체력 훈련 능력으로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전문 태권도 지도자 제도의 도입 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태권도 지도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aching ability factors in the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lea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aekwondo demonstr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456 players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re were 988 usable pieces of data collected.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processed then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was do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ader coaching factors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components, including mental management skills, demonstration technical coaching skills, demonstration program design skills, team management skills, and leader’s personal skills, training facilitation skills. Moreover, subthemes for each classified factor include mental management skills consisting of motivation ability, mental coaching ability, and character education ability. demonstration technical coaching skills refers to coaching ability, technical expertise, and technology delivery ability. demonstration program design skills refer to directing ability and creativity ability. team management skills consist of interaction ability, teamwork strengthening ability, condition strengthening ability, guiding ability, and leadership. leader’s personal skills include leader's experience, leader mindset, leader practical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Last, training facilitation skills include training planning ability, with physical strength training capabilities.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extension of what can be used as a standard when introducing a professional Taekwondo instructor system in the future. Moreover, expected to be a material that can hav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vide practical help to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leaders.

      • KCDC를 20년간 끌어오면서 : 스포츠 코칭의 과거와 미래

        박정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8 Coach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자가 (사)한국코칭능력개발원(KCDC)을 20년간 이끌어오면서 스포츠 코칭의 과거와 미래를 재조명하고 스포츠 코칭 학문을 새로운 도약을 이루고자 하는데 있다. 1998년 11월 7일 창립한 이래 2018년 현재까지 KCDC에서 실행해왔던 연혁별 프로젝트를 주제별로 소개하고 향후 미래 스포츠 코칭 학문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KCDC의 설립 목적은 코칭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교육을 통해 스포츠발전에 기여하고자 전국에 있는 코치 및 지도자들에게 현장감 있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년간 사용했던 KCDC 웹사이트, 논문집, 코치메거진, 기타 발행된 자료들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가지 주제별 실행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1. 발간사업: 코칭능력개발지(등재지), Internatonal Journal of Coaching Science(국제학술지), Coach(잡지), 각종서적발간(8종) 2. 학술세미나: 국제학술세미나 개최, 창립1주년기념 심포지움, ICCE 아시아지역 국제학술대회 개최(KCDC 10주년 기념),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3. 대학원설립: 호서대 코칭능력개발대학원(현 스포츠과학대학원) 축구지도자학과.야구지도자학과(현 축구학과.야구학과) 설립, 4. 민간자격연수: 유소년스포츠지도자, 노인체육지도자, 해양스포츠코칭지도사, 레크리에이션, 캠퍼스인증코치, 각종댄스자격연수 등 16개 국가등록 민간자격증, 5. 연수: 소프트볼 교사직무연수, 이충희키성장클럽 지도자연수, 국제스포츠지도자프로그램(Internatonal Sports Leader Program: 미시간주립대 연수프로그램), 6. 지역코칭능력개발센터 및 지부.지회 설립: 호서대 및 서울사무국, 인천지부 설립 이후 현재 11개 지역센터.지부.지회 설립 7. CDC우수코치시상식 8. 지도자 강습회: 충남체육회지도자.경남체육지도자 및 각종 지도자 강습회 9. 국제교류: 미시간주립대(MSU) 유소년스포츠연구원 자매결연, 스탠포드대 긍정적코칭협의회(PCA)와 교류, 캐나다코칭협회(CAC) 협정, 국제코칭탁월성협의회(ICCE) 가입(B 멤버)된 코칭 분야 한국대표기관으로 국제학술대회 참가(미국, 캐나다, 홍콩, 중국, 프랑스, 핀란드 등) 10. 국가 및 공공기관 지원사업: 학술지지원사업 선정, 인턴지원사업 선정, 축구국가대표 제2트레이닝센터 기본계획 수립 용역 선정 11. 산학협동제휴 12. ㈜인터내셔널스포츠그룹(ISG)공동사업: ISG설립(2009), 호서대 리틀야구단, 하이서울 온가족 연식야구 한마당 개최, 박노준 야구클리닉, 조문주 농구교실, 김정남 축구 클리닉, 국비지원 해외취업연수(미국현지) 트레이너과정, 미국야구 취업연수, 중기청 창업프로그램 선정, 스포츠챔피언에게 배우는 성과창출전략 콘텐츠 제작, 하재훈 축구아카데미, 제2회 대한민국야구박람회 주관, KING’S ENGLISH 영어캠프, FIFA Players’s agent 자격시험대비반 운영, 마해영 사회인야구, 천송이 리듬체조 및 서하경 프로골프 선수 등 매니지먼트 계약, 독립야구단 연천미라클 창단, 호서대 하계.동계 단기현장실습. 추후에는 글로벌코칭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자 글로벌 인적네트웍을 활성화해서 스포츠 코칭의 세계화에 기여하고 또한 ISG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스포츠산업에 기여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체육교사 코칭유형의 매개효과 검증

        박지혜,박동훈,양명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행동적·인지적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스포츠클럽참여와 결과변인인 학교생활적응 요인과의 관계에서 체육교사의 코칭유형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9년 중학교 학생 남녀 3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동적 참여는 인지적 참여,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과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규칙과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참여는 행동적 참여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은 통제적 코칭유형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나머지 변인들과 유의한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제적 코칭유형은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수업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 요인들은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참여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통제적 코칭유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통제적 코칭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여덟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통제적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 커리어코칭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박윤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8 Coach Vol.25 No.1

        본 연구는 개인들의 커리어에 대한 불안감 증가로 인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커리어코칭에 대해 그 개념과 활용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에 출간된 커리어코칭 관련 문헌들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커리어코칭은 고객이 자신의 커리어 이슈에 대해 문제해결자 역할을 수행하고 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호협력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커리어코칭의 궁극적 목적은 코치가 피코치의 사고방식을 평생고용의 개념으로부터 평생 동안 고용될 수 있는 사람, 즉 평생고용적격자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둘째, 커리어코칭을 직접 실행하기 위한 방법론의 측면에 대해 살펴보면, 커리어코칭은 대화를 통해 피코치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에 대한 답을 찾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에 대화스킬과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셋째, 커리어코칭의 현장 적용의 측면에선 살펴보면, 커리어코칭은 커리어 문제로 고민하는 개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자기개발과 진로탐색, 직업선택과 취업준비, 일과 삶의 균형, 이직 및 전직, 지속적인 커리어개발, 은퇴 후 재취업과 관련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 AI나 로봇 등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들이 의미 있는 직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열망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커리어코칭 분야는 향후 현장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마인드셋, 그릿,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의 구조적 관계

        조병철,김보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이 연구는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마인드셋, 그릿,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대한골프협회에 선수등록된 중·고등학교 골프선수들이며, 유의표본추출법을 통해 561명의 최종자료를 확보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26.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모형적합도 검증,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정마인드셋은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않는다. 둘째, 성장마인드셋은 운동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고정마인드셋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운동수행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고정마인드셋은 운동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그릿의 흥미유지는 운동수행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그릿의 노력지속은 운동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운동몰입은 운동수행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성장마인드셋과 운동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그릿은 매개효과가 있으나, 고정마인드셋과 운동수행능력 관계에서 그릿은 매개효과가 없다. 일곱째,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운동몰입은 성장마인드셋과 운동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으나, 고정마인드셋과 운동수행능력 사이에서 운동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성장마인드셋은 그릿의노력지속과 흥미유지, 운동몰입 그리고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증명되었으나, 고정마인드셋은 그릿의 노력지속과 흥미유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주니어 골프선수들에게 필요한 것은 성장마인드셋이며, 이를 통해 그릿과 운동몰입, 운동수행능력을 향상해 나가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선수의 장기적인 성장발전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ndset, grit, exercise flow, and performance of junior golfers. The sample consisted of middle and high school golfers who were registered in the Korea Golf Association, and the sample size was national, and 561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significant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were used. In the covariate structural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χ2, df, p, RMR, GFI, AGFI, NFI, CFI, and RMSE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growth mindset positively affects effort persistence and interest in junior golfers, but fixed mindse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effort persistence and interest in grit. Second, the growth mindset of junior golfers was found to have a defining effect on exercise exercise flow, while the fixed mindse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exercise flow. Third, growth mindset was found to have a defining influence on athletic performance in junior golfers, but fixed mindse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hletic performance. Fourth, we found that junior golfers' effort persist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but interest retention had a defining effect on performance. Fifth, junior golfers' exercise flow to the sport was found to have a defining effect on performance. Sixth, effort persistence in junior golfer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but not between fixed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Interest reten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but not between fixed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Seventh, junior golfers' involvement in the spor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but not between fixed mindset and athletic performance. Taken togeth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growth mindset i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grit, effort persistence, sport engagement, and performance, while fixed mindse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grit, effort persistence, sport engagement, and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junior golfers need to develop a growth mindset, and finding ways to improve grit, sport engagement, and performance is important for their long-term development.

      • KCI등재

        기계체조 개인종합 선수 양성을 위한 지도자의 코칭 전문성 탐구

        유원철,조욱상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기계체조 개인종합 선수양성을 위한 지도자의 코칭 전문성을 탐구하는 데 있었다. 선수 시절 수준급 개인종합선수였던 전·현직 국가대표지도자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본 연구의 주 연구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수집된 면담자료였으며,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 연구 참여자, 전문가 집단 간 삼각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개인종합 선수양성을 위한 지도자의 코칭 철학으로 지도자의 현실적 측면과 이상적 측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의미가 되는 수준급 개인종합 선수양성은 선수의 미래를 위한 장기적인 지도자의 코칭 신념을 통해 발현되어야 하고 신체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학생 선수를 위해서 지도자는 선수 지도에 거시적인 안목을 적용해야 하며, 긴 시간 투자가 필요한 개인종합 선수양성을 위해서 지도자는 선수를 위한책임감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이었다. 특히 지도자는 선수가 기계체조 전 종목을 경험하는 그 자체가 교육의 일부분이라는 가치관을 가지고 선수를 지도하는 것이 개인종합 양성의 초석이 된다. 하지만 한편으로 열악한 선수 지도 현실에 흔들리는 지도자의 신념도 확인되었다. 개인종합 선수양성을 위한 지도자의 코칭 지식은 체육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기계체조 전 종목에 관한 지식, 각 종목의 기술 습득을 위한 단계적 지식, 훈련 시간분배 및 훈련프로그램 설정 지식, 선수를 온전히 이해시킬 수 있는 교수능력, 지도자의 경험적 지식, 그리고 기술 습득을 위한 선수 보조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의견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기계체조 지도자들은 개인종합 선수 양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도자의 코칭철학 형성과 코칭 지식 구축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coaching expertise of coaches in male artistic gymnastics for the development of elite individual all-around athletes. Four former and current national team coaches, who were elite individual all-around athletes during their competitive care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primary data for this study were in-depth interview responses collected from these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riangulation was conducted among the researchers, participants, and expert groups during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es to ensure the truthfulness and ethic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elite individual all-around athletes, satisfying both realistic and ideal aspects, should be manifested through a coach's long-term coaching beliefs for the athlete's future. Coaches should apply a macroscopic perspective to athlete coaching for sustained growth, particularly for student athletes experiencing continuous physical development. Long-term commit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individual all-around athlete development are deemed essential for coaches. Coaches need interdisciplinary academic knowledge encompassing sports science to form the basis of their coaching expertise. Specific knowledge about all gymnastic apparatus, step-by-step knowledge for skill acquisition in each apparatus, knowledge in time distribution for training, setting training programs, experiential knowledge, teaching ability to fully understand athletes, and auxiliary knowledge for skill acquisition were essential for coache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Korean artistic gymnastics coache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all-around athlete development and hope for the establishment of coaching philosophies and knowledge in various aspects.

      • KCI등재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유형과 팀 응집력 간의 관계에서 팀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역할 검증

        박동훈,양명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9년도 제61회 춘계 전국 중·고등학교 검도대회에 참가한 검도선수 258명이었다. 본 연구는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통제적 코칭유형, 커뮤니케이션, 팀 응집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율성지지코칭은 팀 응집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팀 응집력에 유의하지 않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 지지 코칭과 통제적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팀 응집력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유발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응집력에 완전 매개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검도 훈련 현장에서 훈련 전·후 지도자와 선수들 간의 소통, 선수와 선수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팀 문화가 조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코칭 개념과 연구방법에 관한 국내외 비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리웨이,백양숙,박호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2 코칭능력개발지 Vol.24 No.3

        There has been a steady stream of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on coaching in Korea for the past two decades or so.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ews and trends of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on coaching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have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in Korea is ambiguous, causing confusion among subsequent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duce confusion in coaching research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coaching research by comparing overseas and domestic studies. For this purpose of research, more than 40 coaching review papers and 250 domestic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we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separately.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concept aspects, measurement aspects, analysis methods and outcome aspect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cept, measurement, and results between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We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on this for the future research. This pap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research by preventing confusion in coaching research and explaining the scientific theorization process. 2000년 이후 국내외에서 코칭에 관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조직 맥락에서 실행되고 있는 코칭에관한 국내외의 연구의 관점과 경향이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고찰된 바가 없다. 해외에서는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을 명확히 구분하여 연구하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명확한 구분 없이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후속 연구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킨다. 따라서본 연구는 조직에서의 코칭에 관한 해외 연구와 국내 연구를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으로 구분하여 개념 및 측정방법 그리고 연구방법에 관해 비교·분석함으로써 혼란을 줄이고 국내 연구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코칭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연구는 2000년 이후 해외에서 개재된 코칭 리뷰논문 40여 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국내 연구는 250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을 구분하여 개념 측면, 측정도구 측면, 분석방법 및 결과 측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와 해외 연구에서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에 대한 개념적 차이와 측정도구의 차이, 분석방법 및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에 관해논의하고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은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 연구에 대한 혼란을 줄이고 코칭의 과학적인 이론화 과정을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취업불안의 관계-

        박윤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변인들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과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S대학교에서 진로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5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과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 모두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 모두 취업불안과 부적인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코칭역량은 취업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의 진로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자기다움과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은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과 취업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행동변화요인은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취업불안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에 대한 준비, 진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취업불안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코칭역량의 향상을 통해 취업불안감을 줄이면서 진로준비와 실행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코칭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on career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anxiety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on major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career and employment at S University in Seoul, and the data of 356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coaching competency and the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both the coaching competency and the sub-factors of the coach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anxiety.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aching compet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on career variables, self-worth and communication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areer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anxiety.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behavioral chang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anxiety. Through these findings,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hat positively influenced specific actions for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rea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play a role in lowering job anxiety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will be possible while reducing job anxiety by improving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various subjects and non-subject program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ach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 hope that follow-up studies to pr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