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정현,이종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경험이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전공 경험이 있는 초등학 교 교사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면담을 통 해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 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를 다양한 근거자료 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제시하였다.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는 연구테스트만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 회적 의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 와 성장’,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배움공 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과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 수’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the curiosity about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 solve these puzzle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their narratives, constructed them as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them as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narrative inquiry axes such as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s' were derived as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s’ were derived as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teachers who actualize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guidance’, and ‘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s’ we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an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은혁기,이명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여년 동안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요구나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과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들이 지난 20여년 동안 그 방향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대표적인 학회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가 초등학교 상담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넷째, 위의 세 가지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그동안 제시되어 온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초등학교 상담에 대한 인식, 요구나 기대는 그동안 발전을 하였지 만, 상담이 더 필요하고 상담할 수 있는 여건과 전문성, 행ㆍ제정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둘째, 초 등학교 상담의 발전과 그 방향에 관한 연구들 또한 지난 20여년 동안 유사하게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러 한 것은 주로 초등학교 상담교재개발과, 상담이론과 기법의 개발 등에 초점을 두어 왔으며, 이러한 것들이 현장에 있는 학생과 교사들, 학부모들에게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는가는 것은 다시 검증할 필요 가 있다. 셋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는 그 동안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며,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 상 담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실제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초등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상담 발전의 방향은 실제적인 적용이라는 현실적인 기반 위에서 검토되고 재정리하여 새롭게 전개될 초등학교 현장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r more than two decade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viewed related studie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s perceived, and what demands or expectations are. Second, we found out how represen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presented its direction for the past 20 years or so, and thirdly, how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a leading academic society, has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urth, based on the above three facto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that has been propo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demands or expectations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by students and teachers' parents have been improving, but they lack more counseling needs and professionalism and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also been pointed out similarly over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this ha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counseling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s, and on developing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and on how substantially these have helped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n the scene should be verified again. Third,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has been making a lot of progress over 20 years, and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Along with these developments,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which can be of real help to teachers and students at real educational sites. Fourt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should be reviewed and reorganized on the realistic basi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continuous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new elementary school site changes.

      • KCI등재후보

        ‘초등상담연구’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초등학교 상담 연구 동향 분석

        조영표,손현동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상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류 준거에 따라 분석하여 초등학교 상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초등상담연구’에 게재된 논문 236편을 대상으로 3명의 평정자가 연구자 소속,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소속은 국내 대학교에 소속된 대학 교수가 40.7%, 초등학교 교사가 59.3%를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성과연구(34.3%), 성격 및 적응연구(19.9%), 이론연구(12.7%), 척도 개발연구(9.7%)의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생(83.7%)이 가장 많았고, 교사, 상담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모두 합해 10% 이하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70.8%)가 양·질적 혼합연구(14.9%)와 질적연구(14.4%)에 비해 많았으며,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변량분석 계열, 질적연구 분석에서는 사례분석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초등학교 상담 연구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published by the Korean Elementary Counselor Education Association, between 2002 and 2016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236 article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researchers, research topic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0.7% of the researchers worked at universities and 59.3% work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outcome studies” (34.3%), “personality and adjustment studies” (19.9%), ‘theoretical studies” (12.7%), and ‘instrument developing studies” (9.7%) respectively. Third, research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83.7%), teachers (6.8%), and parents (1.1%).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70.8%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studies, which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mixed studies (14.9%) and qualitative studies (14.4%).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강영자,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8 초등상담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를 개발하는 과정은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선정의 기준을 세우고 초등학생에게 적당한 직업카드 개수를 결정한 뒤, 미래의 유망 직업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카드의 기입내용과 규격을 결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는 초등학생의 진로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만들어 졌으며,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업카드가 직업흥미 평가 도구만이 아니라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집단상담 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vocational card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useful means to be applicable to elementary career counseling, to carry ou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y using vocational cards, and ultimate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ers. After job selection criteria were prepared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ccupations, changing business world and school children, how many number of vocational cards would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ers was decided, and leading occup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Holland class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promising job list for the future, analysis of schoolbook and dream job among school children. And then what should be described on vocational card was determined, and their size was selec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vocational car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areer maturity from others who did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approa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how they felt, and they mad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program as they found it to be interesting and of use for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business world. In conclusion, the vocational card for elementary middle-year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catered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ers,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최준섭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학부모 상담주간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 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 8명의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에 관한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주제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 담자료의 분석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는 총 46개의 의미단위, 14개의 주제,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학부모 상담주간은 초등학교 담 임교사인 참여자의 관점에서 정보수집의 기회, 소통과 공유의 기회, 점검과 반영의 기회, 학 생성장의 기회, 깨달음과 반성의 기회, 성장과 변화의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실시된 지 약 10년이 되었지만,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학부모 상담주간을 실제 운영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 를 대상으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학생을 매개로 하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학생과 학부모 외에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도 교육적, 학교상담 차원에서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 연구결과는 학부모 상담주간을 보다 체계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의 보완과 개선 및 관련 연구를 보다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 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ental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urse of operating parental counseling week.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 data on the operation experie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of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46 categories, 14 topics, and 6 catego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ent Counseling Week became an opportunity for information gathering, communication and sharing, inspection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student growth opportunities, enlightenment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and growth and change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who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arent counseling week was implemented, but amid a lack of research on the operational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s counseling week’s education and school counsel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ediated by students has various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and parent will activate related studies to operate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진로 개인상담에 관한 고찰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5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초등 시기 진로 개인상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 및 부모의 진로상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상담의 영역 가운데 진로상담은 사회적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영역이고, 현재 초등학생들은 그 변화의 영향을 어느 세대보다 더 많이 받게 될 것이다. 초등학생들이 맞이하게 될 미래의 특성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 키워드는 “변화”다. 고용상태의 변화, 직업의 종류와 구조의 변화, 직무의 내용 및 요구되는 직업능력의 변화 등 직업세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고 앞으로 더 가속될 것이다. 이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가게 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의 과제를 이해하기 위해 초등학교 진로상담과 밀접히 관련된 미래사회의 변화 양상의 특징과 여기에 부응할 초등학교 시기 진로 개인상담의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지금까지 제안된 개입전략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진로상담이론 측면에서 개인-환경 매칭 관점에서의 진로선택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진로이론들을 살펴보고, 직업카드, 진로발달 SCT, 진로가계도 등 상담매체를 활용한 진로상담 기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시기 진로미결정에 대한 상담 실제에 대해 다재다능의 문제, 능력과 흥미의 불일치, 일관성이 낮은 흥미의 문제, 부모와의 갈등 문제, 예체능 진로상담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foundation to meet the career counseling need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reer counseling is one of the most affected areas of counseling by social changes,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be more affected than any gener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keyword that expresses the future characteristic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face is “change”.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such as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changes in job types and structures, changes in job skills, are already experienced by many people and will accelerate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future societ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areer counseling and the process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apply to the career counsel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theory, career theories were reviewed to suggest a new paradigm for the perspective of personal-environmental matching paradigm. And the application of career counseling techniques using counseling media such as occupational cards, career development SCT, and career genogram were proposed. The career counseling techniques on career decision-making in elementary school was discussed with the question of versatility, inconsistent ability and interest, inconsistent interests, and conflict with parent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논어상담프로그램 개발

        이정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1 초등상담연구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논어」에 담겨있는 ‘마음’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마음의 본질’을 생각해보고 ‘마음의 성장과 관련된 상담 요소’를 찾아내어 초등학생용 논어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먼저「논어」 속 공자의 마음교육에 근간이 되는 구절 및「논어」와 관련된 기존연구물을 통해「논어」에 함의된 상담 목표, 상담 원리, 상담자의 역할, 마음의 정체와 특성,마음의 발달단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논어상담프로그램의 상담 요소와 효과적인 방법을 선정하고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음성군의 0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중 20명과 66 초등학교 20명을 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의 아동에게 5 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coopersmich(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를 재작성하여 사용한 공태수(998)의 자아존중감 검사지와 Furman과 Bierman(983)의 교우관계 연구에서 제작한 척도를 조성례 (2001)가 재작성한 교우관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논어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있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논어」에 담긴 마음 성장 관련 내용을 토대로 논어 상담이라는 새로운 상담학적 연구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수현,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3 초등상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D초등학교 6학년 6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확보된 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감사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 감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감사성향, 자아탄력성, 학습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 회기별 소감문 분석 및 연구자의 관찰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감사교육프로그램은 감사성향을 높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생각과 감정으로 정상적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게 하며 학교공부, 교우,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지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제행동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상담 결정 과정에 관한 체험분석

        최윤수,임진영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motional common factors and psych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the deci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onsult problem chil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 teachers were selected as co-researchers and experienti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ive rounds.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cases and collective agreements conducted in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re-verification proces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cognized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 occurs in various ways at the several stages. In the process of deciding on counseling for children, teachers' experience in changing emotions based on emotional common factors has been added to identify problems and set up counseling tasks. On the decision process, the emotional common factors were anxiety, regret, anger, frustration, and embarrassment. After the decision, the teacher consulted child and her parents and conducted various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Looking back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eachers were proud of the positive changes of their children, the positive role of teachers, 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 However, teachers reported also various negative incidents such as temporarily suppressing problem behavior or simply trying instant solution, turning over problem behavior, focusing only on prevention, having children exposed to danger after counseling, and hesitating about decision making. In conclusion, the conditions requi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문제행동 아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상담 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공통요인과 심리적 변화를 체험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교사 11명을 공동체험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5회기 동안 체험분석을 진행하였다. 체험사례 소개와 집단합의에 대한 분석 및 해석, 그리고 재검증 과정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문제 행동 상황 단계에서 아동의 문제 행동 발생을 다양한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문제행동 아동에 대한 상담을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에서 교사는 정서적 공통요인을 바탕으로 한 교사의 감정 변화에 교사의 사전 경험이 더해져 문제 상황을 구분하고 상담 과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이 때 상담 결정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공통요인으로는 걱정, 안타까움, 화, 답답함, 당황함 등이 있었다. 상담 결정 후 교사는 아동과 학부모 상담을 진행하였고 학교 안팎으로 여러 가지 대처 활동을 실시하였다. 상담 체험을 재체험하면서 교사들은 아동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보람과 교사의 본연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뿌듯함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아동의 문제행동이 줄어드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문제행동을 일시적으로 억압하거나 단순히 눈에 보이는 문제행동만을 해결하려고 한 점, 평소 문제행동을 그냥 넘긴 점, 교사의 최선이 상담의 최선은 아니라는 점, 그저 예방에만 집중한 점, 상담 이후 오히려 아동이 위험에 노출된 점, 사후처리는 담임교사만의 몫이 되는 점, 상담 결정에 대해 망설이는 등 여러 가지 반성적 사고도 회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상담 결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 수업을 통한 다문화진로교육 방안의 모색

        허승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5

        This study aimed to planning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during the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is integrated educ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at is, educating career ability connected with multicultural ability through the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the purpose of career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was analysed and they were arranged with similar aimes of the classes. All of the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from 1st to the 6th was analyed according to the achieving level, the content of career ability and the multicultural ability. And they were divided by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grade. As a result, the three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plans were suggested availale to the cal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an example cases for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for 2nd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을 활용한 다문화진로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의 다문화진로교육이란 일상적인 수업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다문화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교육을 말한다. 초등학교 진로교육은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바탕으로 하여 진로 기초 소양을 기르는 것이 그 목표이다. 다문화교육 또한 기본적으로 공감, 수용, 갈등해결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태도, 자아정체성 및 가치관의 형성 등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과 수업을 통한 다문화진로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 각 학년별 교과별 성취 기준을 분석하였고, 둘째, 그 기준에 따라 진로교육 및 다문화교육과 연계 가능한 교과 및 관련 시간들을 추출하였다. 셋째, 이에 따라 저학년, 중학년 및 고학년 군으로 나누어 관련 교과목의 각 수업 목표, 연계될 수 있는 진로 역량과 다문화 역량을 제시하였으며, 넷째,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문화진로교육 수업안을 구안하여 그 예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