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이규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4 초등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해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며 우리 나라 초등교육의 발전 방향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문헌 연구, 면담, 현지답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변조선족 자치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국가주의를 강화하고, 민족교육의 일환으로 초등교육이 추진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한 자율권이 한국의 초등학교보다 더 폭넓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 학부모의 일상 생활과 연계된 맞춤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초등학교 교육에서도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위해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elementary educational curriculum of Yanbian Korean Self-governing district in China correct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elementary educational curriculum of South Korea. For this objective,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 field investigation, and the state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education of Yanbian Korean Self-governing district emphasized nationalism. Second, the elementary education of Yanbian Korean Self-governing district regarded the education as a part of ethnic education. Third, the autonomy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was greater than that of our elementary schools. Fourth, most of daily schedules of elementary students were made out for customers, who are parents, so that the education c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working time of parents. The elementary education of Yanbian Korean Self-governing district is operated by the parents-centered, that is, demanders-centered way.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described in the art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from third &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2018.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was evaluated to be an significant factor in not only establishing appropriat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on understanding the modern painting, but it is handled in low portion, and studies on its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methods are inadequate. Accordingly, the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itially applied with the 2015 revised textbook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perform content analysis on the revised art textbooks of 4 types and 8 textbooks, and survey was also performed subjected to current art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environmental survey. Firstly in the textbook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ortion of Korean Painting was only 4.3% of the overall text to be very low. Secondly, illust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at there were low portion of Korean Painting illustrations, and the contents were also focused on the Chosun Dynasty. Thirdly,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aper notations used on Korean Paintings were different in the textbook or different between textbooks. Fourth, unit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rection of the 2015 revision; elements on creativity⋅convergence was examined, but reflections in comparison with the attempts were low 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appreciation. In the survey conducted on teachers, Korean Painting class was required for succession of tradition, but realistically low in class portion, and the reasons were pointed out to be a lack of Korean Painting theory and practice, insufficient teaching aids and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in preparation. In addition, derived conclusions were high demand for developing teaching aids, and that description on the technique of Korean Painting is required on revising the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are provided in this study. Firstly, the overall understanding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Korean painting such as mandatory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n Korean Painting in the preparation of the art textbook, and systematic changes shall be followed including the expansion of practical training of the teachers, transferring the techniques related to Korean Painting, enhancing the private education us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textbook manual for the teachers. Secondly, convenient and standardized Korean Painting teaching aids shall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the preparation of Korean Painting class, and improvements are also required in the distribution including the Korean papers. Lastly, terms and concepts on the elements related to Korean Painting shall be arranged. Moreover, follow-up studies o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textbooks⋅teachers, development of simplified teaching aids, and arrangement of terms⋅concepts, etc. are to be conducted to put efforts for the uniqu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ainting to be stabilized as a suitable educational curriculum. 본 연구는 2018년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 미술교과서에 서술된 한국화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화교육은 올바른 전통적 가치관 정립뿐만이 아니라 현대회화를 이해하는 중요 요소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가 처음 적용된 3,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4종 8권의 검정 미술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진행하였고, 교육실태 및 환경조사를 위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첫째, 정량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영역이 교과서 전체의 4.3%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판분석을 통하여 한국화 도판이 적었으며, 내용 또한 조선시대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에 사용된 종이 표기가 교과서 내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단원분석을 통하여 2015년 개정 중요 방향인 창의⋅융합에 대한 요소를 점검하였으나 시도에 비해 반영은 적었으며, 대부분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교사 설문조사에서는 한국화수업은 전통계승을 위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업비중이 낮으며, 원인으로 한국화이론 및 실기 부족, 교구 및 환경부족, 준비 번거로움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교구개발에 대한 높은 수요와 향후 교과서 개편시 한국화기법 등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한국화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화 전문지식 확충을 위해 한국화 전문인력의 미술교과서 집필진 참여 의무화 등으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며, 교사 실기연수 확대, 한국화 관련 기법전수, 방과 후 활동을 이용한 사교육 확대, 교사 교과지도서 질적 향상 등 체계적 변화모색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한국화수업 준비가 번거롭고 불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간편하면서도 규격화된 한국화교구를 개발해야 하며, 한지 등을 포함한 유통에 대한 제고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화 관련요소에 대한 용어와 개념정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재⋅교사 역량강화, 간소화된 교구개발, 용어⋅개념정리 등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고유 문화유산인 한국화가 그에 걸맞은 교육영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권정은,최재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6년까지의 초등수학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학술지의 논문이 분야별로 얼마나 고르게 연구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부합되게 초등수학교육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서 향후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연도, 연구주제, 수학과 내용영역,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 등을 분석기준으로 삼고, 분석대상으로 국회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항목 중 키워드(key word)를 '초등 수학'으로 하여 검색된 학술지 논문 중에서 1998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발표된 국내수학교육 전문 학술지인 대한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각 교육대학교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 175편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학술지 논문 60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주제 및 수학과 내용영역에서는 수업설계와 방법, 수와 연산 등 특정영역에 편중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방법에서는 초등수학교육 이론정립 및 내용분석과 관련된 교수학적분석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개별적인 특성과 환경적 변인 등을 고려한 보다 다양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the articles in Math-Educational journals between 1998 and 2006 in a bid to discuss whether the articles evenly dealt with different fields and whether studies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were in line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basically meant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he articles included in Math-Educational journals during the selected period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theme, area, method and subjects of the studies and when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checking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by inputting a keyword 'elementary mathematics', 235 articles were found, and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had been steady research efforts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s 20 or 30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a yearly basis. Second, as for theme of research, the most common themes were instructional design and method(25.5%), and an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15.3%) was the second most dominant theme. Third, regarding the area of study, the most widely investigated area was number and operation (30.0%), followed by character/expression(27.8%), figure (23.9%), regularity/function (8.9%), probability/statistics(5.6%), and measurement (3.9%). Fourth, concerning the method of research, didactical analysis(43.8%) was most prevalen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29.8%), qualitative research(16.6%) and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9.8%). Fifth, as to subjects, many of the studies(21.7%) investigated upper graders. In conclusion, it has to be accomplished the impartial researches for the whole area in order to develop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attain the objec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 KCI등재

        독일'초등학교교육학(Grundschulpadagogik)'의 학문적 성격 :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 Die Bedeutungen und Aufgaben der ' Grundschulpadagogik ' in Korea

        정혜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그 대상인 초등학교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초등학교 교육학'으로 규정 지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은 교육개혁의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학'의 부분영역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초단계 교육학'과 '초등학교 교수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등학교교육학'의 연구영역들로서 초등학교이론, 초등학교 수업이론, 초등학교 특수적인 교육내용, 교사에 관련된 이론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서 비교연구방법, 역사연구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 경험적 연구방법, 행위적 연구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및 초등교사 양성교육 실제에 주는 의미와 과제가 시사되었다. Seit einigen Jahren wird die Diskussion u¨ber die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vielfach entwickelt. Fu¨r die Feststellung der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wird zuna¨chst ein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Grundschule gefordert, dafu¨r ist es notwendig,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u¨ber die Grundschule zu feststellen. In Deutschland wird schon die Theorie der Grundschule als ein selbststa¨ndliches Forschungsgebiet mit dem Namen der 'Grundschulpa¨dagogik' festgestell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zu betrachten and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zu vorstellen.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vier Kapiteln, in denen die Entstehungskontext und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tandor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wissenschaftliche Eigensta¨ndigkei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Gegenstandsbereiche und die Forschungsmethoden mit den deutschsprachlichen Fachliteraturen untersucht werden. Zum Schluβ habe ich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mit der Theorie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vorgestellt.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교사 인식중심으로

        이미자,송지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최근까지 5, 6 학년 대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 과정에 컴퓨터 활용교육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교육방침에 따라 7차 교육과정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국민기본공통과목 교수 학습 과정에 10% 이상 'ICT활용교육'을 필수화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초등교육과정 변화와 이에 따른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활용교육 필수화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ICT활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초등 ICT활용교육 변화와 교육대학교 교육과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에서 무선표집된 초등교사 31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초등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ICT활용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ICT활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교육대학교 ICT 관련교육은 ICT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ICT활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초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다양한 ICT활용 교수 학습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강화 또는 이러한 과목을 신설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Until recently,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as computer literacy education for 5th - 6th children.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is extended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mposes that it is mandatory for teachers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at least 10% of instructional process for all of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o make change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bility adapting the computer education policy change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implementing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relevancy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4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have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from one of the 11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is study used SA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naire items was analyzed and the variance among subjects groups was analyzed using for x^2 for a few selective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However, they have lack of ability to implement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releva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is relatively low.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mainly ICT literacy education, but rarely ICT application education yet. Third, mo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in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문화와 한국 문화의 관계 설정

        최영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교육은 한국어 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해야하며, 한국 문화의 전반에 내재하는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이해까지 다룰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에 출발점을 두고 분석적 교육단계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고, 한국어 문화의 통합적 교육 단계에서는 한국어 문화 여러 요소 및 수준이 복합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한국어 사용 방식 또는 한국어 문화에 담긴 내적 체계와 공통성을 발견할수 있는 한국 문화적 요소를 찾아 연계하여 교육한다면, 한국어교육을 지향하면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Korean language culture has intimate relations with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have dealt with the uniqueness of korean educati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conceptual spectrum of culture are followings. conceptual spectrum and elements of culture elements spectrum of concept concepts (A)basis of thinking (B) symbol system style of living (C) procuct categories way of thinking religion ⇩ ⇦ ⇨ worship, funeral art ⇧⇩ ⇦ ⇨ painting, novel society ⇧⇩ ⇦ ⇨ family, economy system ⇧ ⇦ ⇨ education, law prope rties visibility internal explicit abstraction abstract concrete approach percipient analytic We should consider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korean education.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ulture, not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itself. There seems to be three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① Teaching korean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② Teaching language culture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③ Teaching culture with various korean education materials The teaching of language culture seems to be desirable in a particular sequence - from ① to ③(① → ② → ③)- in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in multicultural situation should not be taught as “social” culture itself but as “language” culture. Advanced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well-ordered language culture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non-native speakers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